KR850002190Y1 - 계전기용 접점 조립체 - Google Patents

계전기용 접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190Y1
KR850002190Y1 KR2019830011472U KR830011472U KR850002190Y1 KR 850002190 Y1 KR850002190 Y1 KR 850002190Y1 KR 2019830011472 U KR2019830011472 U KR 2019830011472U KR 830011472 U KR830011472 U KR 830011472U KR 850002190 Y1 KR850002190 Y1 KR 850002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ed
piece
rela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1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408U (ko
Inventor
고성희
정용기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주식회사
이재연
하인츠 디터 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주식회사, 이재연, 하인츠 디터 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11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190Y1/ko
Publication of KR850005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1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계전기용 접점 조립체
제1도는 본 고안을 이용한 접점 세트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으로 구성된 접점 세트의 일부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제1고정동체 6 : 고정접점
9 : 제2접점세트 10 : 제2고정동
11 : 체스프링판 13, 13' : 지지편
15 : 탄편 16 : 고정편
17 : 홈 18 : 원형고정공
19 : 확대원주부 20 : 원주상접점
본 고안은 계전기용 접점 조립체,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교환 가능한 접점을 갖는 접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계전기에 있어서는 접점이 빈번한 접촉으로 접점이 마멸되기 쉬워 계전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계전지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접점을 갖는 일축 접점세트에 상대되는 타측접점 세트의 접점을 교환가능하도록 구성함에 의하여 접점의 빈번한 접촉으로 접점이 마멸되는 경우, 이 마멸된 접점만을 간단히 교환함으로서 계전기의 기능이 장시간 발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장치는 보강판(1)이 착부된 스프링판(2)이 제1고정동체(3)상에 입설되고, 일측면에 지지편(4)이 지지된 제1접점세트(5)의 상단에는 고정접점(6)이 리벳팅 방식으로 고정착설된다. 제1고정동체(3)에 고정볼트(7) 및 너트(8)로 합체되는 제2접점세트(9)의 제2고정동체(10)에는 스프링(11)을 입설하고 상부측 양면에는 상단의 이동용 바아(12)를 갖는 지지편(13)(13')이 리벳트(14)로 합체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는, 외향 절곡된 탄편(15)을 갖는 고정편(16)을 제2접점세트(9)의 일측 지지편(13)에 고정하고, 탄편(15)에는 하측으로 고정편(16)상부까지 가늘게 연장되 홈(17)을 갖는 원형고리공(18)을 천설하여 확대원주부(19)가 탄편(15)과 지지편913)사이에 개재되는 원주상접점(20)을 원형고정공(18)에 삽착하여 제1접점세트(5)의 고정접점(6)과 접촉되게 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제1접점세트(5)의 고정접점(6)과 제2접점세트(9)의 원주상접점(20)이 접촉하여 계전기의 기능이 발휘되는 것으로, 이들 접점(6)(20)의 빈번한 접촉으로 보다 마멸이 빠른 원주상접점(20)이 마멸되는 경우, 탄편(15)을 당겨서 탄편(15)와 일츨 지지편(13)사이의 간격을 넓혀 확대원주부(19)방향으로 원주상접점(20)을 탄편(15)의 원형 고정공(18)으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접점(20)을 교환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접점은 원형고정공(18)의 하측으로 홈(17)이 가늘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원주상 접점을 삽입할때 그 주면에 탄력을 가하게 되어 탄편(15)에 의한 횡방향 지지와 함께 종방향으로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접점이 구성될 수 있고, 마멸되기 쉬운 접점의 교환이 가능하므로, 접점의 마멸시에 전체 계전기를 그대로 설치한 상태에서 접점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접점(6)을 갖는 제1고정동체(3)에 합체고정되는 제2접점세트(9)의 제2고정동체(10)에 양면으로 지지편(13)(13')이 합체고정되는 스프링판(11)을 입설한 계전기접점조립체에 있어서, 제2접점세트(9)의 일축지지편(13)에 외향 절곡된 탄편(15)을 갖는 고정편(16)을 고정하고, 탄편(15)에는 하측으로 가늘게 홈(17)이 연장된 원형고정공(18)을 뚫어 내측으로부터 확대 원주부(19)를 갖는 원주상 접점(20)을 끼워붙여서 된 계전기용 접점 조립체.
KR2019830011472U 1983-12-31 1983-12-31 계전기용 접점 조립체 KR850002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472U KR850002190Y1 (ko) 1983-12-31 1983-12-31 계전기용 접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472U KR850002190Y1 (ko) 1983-12-31 1983-12-31 계전기용 접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408U KR850005408U (ko) 1985-08-10
KR850002190Y1 true KR850002190Y1 (ko) 1985-10-07

Family

ID=7016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1472U KR850002190Y1 (ko) 1983-12-31 1983-12-31 계전기용 접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1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408U (ko) 198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15789A (en) Nut retainer which is distortable to permit assembly of nut therewith
US2457058A (en) Supporting arrangement
KR850002190Y1 (ko) 계전기용 접점 조립체
US5358079A (en) Disc brake with friction pad backing plate biasing spring
US2938757A (en) Grooved refractory pulley
US2461487A (en) Holder for thermionic valves and like electrical devices and means for securing it to supports
US2324798A (en) Switch
US2579841A (en) Electric switch construction
WO1998026197A1 (en) Device for anchoring the basket damper in a washing machine or the like
US2231325A (en) Electrical contact means
US1911459A (en) Arm or lever or the like
US3202244A (en) Electromagnetic device with resiliently mounted pole unit
US2992049A (en) Split bearing-hanger
US1896560A (en) Contact finger for electrical controllers and switches
US4236616A (en) Current collector shoe
KR970027395A (ko) 방적기계의 래핏
US2936502A (en) Receptacle for rotary stud fastener
ATE31678T1 (de) Grundplatte einer aufreihvorrichtung fuer gelochtes schriftgut.
KR102553623B1 (ko) 건축용 내장재 고정장치
KR200480518Y1 (ko) 브러쉬의 교체 주기가 증가된 샤프트 브러쉬 어셈블리
KR830001381Y1 (ko) 터글 스위치의 코일스프링 부싱
JPH0224192Y2 (ko)
KR950010418Y1 (ko) 침대용 쿠션체
EP0232303A1 (en) FRICTION PADS FOR DISC BRAKES.
KR0113634Y1 (ko) 스프링 타입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