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110Y1 - 모내기 기계의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모내기 기계의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110Y1
KR850001110Y1 KR2019840009432U KR840009432U KR850001110Y1 KR 850001110 Y1 KR850001110 Y1 KR 850001110Y1 KR 2019840009432 U KR2019840009432 U KR 2019840009432U KR 840009432 U KR840009432 U KR 840009432U KR 850001110 Y1 KR850001110 Y1 KR 850001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wheels
frame
respec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9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꾸지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뎃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노 시게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00001475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2306A/ko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뎃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노 시게가즈 filed Critical 구보다 뎃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9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110Y1/ko

Links

Landscapes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내기 기계의 주행장치
제1도는 보행형 모내기 기계의 측면도.
제2도는 상기 모내기 기계의 개랴 평면도.
제3도는 요부의 측면도.
제4도는 요부의 평면도.
제5도는 스톱퍼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로서, 제5(a)도는 제2스톱퍼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제5(b)도는 제1스톱퍼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모내기 기계에서 좌우 차륜을 각기 따로 승강가능하도록 설치하고, 기체에 왕복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부착된 가동(可動) 틀체에, 요동틀을 축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양차륜을 상기 요동틀에 설치하되 그들 양차륜의 승강에 수반하여 요동틀이 축 주위에서 회동하도록 연동 연결하고 상기 양차륜을 기체에 대하여 하강시키는 쪽의 상기 가동틀체의 스트로우크 엔드(Stroke end)에서 상기 요동틀의 축 양측 부분에 꽉 눌리어지는 스톱퍼를 기체에 고정한 모내기 기계의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행장치는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다. 즉, 가동틀체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기체에 대한 차륜의 평균 높이가 변경되고, 그것으로 말미암아, 논바닥의 진흙 깊이에 관계없이 모심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요동틀이 가동틀체의 이동에 의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와 스톱퍼로 고정되는 상태로 바꿔지고 요동틀의 회동에 의하여 좌우 차륜이 승강되면 논바닥 진흙면 아래의 경반(硬盤)의 좌우 경사각이 변화하거나, 혹은 경반에 요철이 있어도 기체의 로울링이 억제되고 또 요동틀이 스톱퍼로 고정되면, 좌우차륜이 기체에 대하여 최하강 위치에서 승강할 수 없게 되고 모심기 작업 이외의 주행시에 기체가 로울링하지 않게 되어 운전하기가 쉽게 된다.
그러나, 종래 스톱퍼의 위치는 일정하고, 또 깊은 진흙에 대하여서도 충분히 기체를 흙면위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양차륜이 기체에 대하여 충분히 하강하도록 스톱퍼의 위치를 설정하였으므로 흙이 얕은 논바닥에서의 모심기 작업에 있어서의 기체선회시 차륜의 기체에 대한 승강에 불필요한 시간이 소비되는 결점이 있었다.
즉, 모심기 작업에 있어서 일렬의 모심기가 완료되면, 기체의 선회가 진흙 저항에 의하여 곤란하게 되지 않도록 하고, 또 기체의 로울링에 의하여 선회조작이 곤란하게 되지 않도록, 양차륜을 기체에 대하여 한계 위치까지 하강시켜서 스톱퍼에 의하여 기체에 대하여 승강하지 않도록 하고 그리고 기체의 선회가 완료하면 양차륜을 모심기에 적당한 위치까지 기체에 대하여 상승시키고 그 후, 모심기 작업을 재개하는 것이다. 따라서, 진흙이 얕은데도 불구하고, 흙이 깊을 때에 맞추어서 위치가 설정된 스톱퍼에 의하여 양차륜을 승강할 수 없도록 하면 기체가 흙깊이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크게 들어 올려지므로 기체가 선회할 때마다 차륜의 기체에 대한 승강 때문에 불필요한 시간이 낭비되고 전체로서 모심기 작업의 능률이 상당히 저하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체 본체를 선회할때 기체에 대한 차륜의 승강량을 흙깊이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모심기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는 점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주행형 모내기 기체는, 엔진(1), 트랜스 미션케이스(2), 전동케이스를 겸한 통상(筒狀)의 프레임(3)이 프레임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하여 있는 조종핸들(4), 트랜스 미션케이스(2)의 양횡측부에서 연장하는 전동케이스 겸용의 차륜 지지케이스(5),(5) 이들 케이스(5)의 자유단부에 지지되는 추진차륜(6),(6) 및 엔진(1)과 트랜스 미션케이스(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방 접지(接地) 플로우트(7)등으로 이루어질 주행기체(8)의 후부에, 프레임(3)의 후단에 연결된 모심기 트랜스 미션케이스(9), 횡방향으로 일정한 스트로우크씩 왕복 이동되는 모얹는대(10),이 모얹는대(10)의 하단과 진흙 속에 걸쳐서 상하로 순환작동하는 4개의 모심기 갈고랑이(11), 및 좌우 한쌍의 후부접지 플로우트(12),(12) 동으로 이루어전 모심기 장치(13)이 장치되어 주행기체(8)의 진행에 따라, 모심기 장치(13)으로써 순차적으로 4줄의 모를 심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양차륜 지지케이스(5),(5)가 상하 요동 가능하게 피벗되고, 이들 지지케이스(5),(5)의 기부(基部)에 세워서 설치한 아암(14),(14)가 로드(15),(15)를 통하여 요동틀(16)의 양단에 각각 연동 연결되고, 프레임(3)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한 가동틀체(17)에, 요동틀(16)이 축(26)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가동틀체(17)을 전후 이동 및 고정하는 유압 실린더(18)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 플로우트(7)이, 그의 전단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피벗되고, 플로우트(7)의 후단과, 유압 실린더(18)의 제어 밸브(19)가 작동로드(19a) 및 링크 기구(20)을 거쳐 연동연결되어 아래 기술한 바와같이 차륜(6),(6)이 기체에 대하여 자동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즉, 경반(硬盤)이 깊어져서 전방 플로우트(7)이 진흙에 밀려서 윗쪽으로 요동하면 제어 밸브(19)가 유압실린더(18)을 신장시키도록 조작되고 가동틀체(17)의 전방 이동에 따라 양차륜(6),(6)이 기체에 대하여 하강되고, 반대로 경반이 얕아져서 전방 플로우트(7)이 하방으로 자체중량에 의해 요동하면 제어밸브(19)가 유압실린더(18)을 인입하도록 조작되고, 가동틀체(17)의 후방이동에 따라 양차륜(6),(6)이 기체에 대하여 상승한다. 그리하여 경반 깊이에 관계없이 주행기체(8)의 흙면에 대한 높이와, 더 나아가서는 모심는 깊이의 안정화를 도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른 한편, 경반에 좌우 경사나 요철이 있으면 좌우차륜(6)(6)이 요동틀(16)의 회동으로 승강하게 되어 있고 그러므로써 경반의 좌우 경사나 요철에도 불구하고 플로우트(7),(12),(12)의 지지 작용으로 기체의 높이나 자세를 유지시켜서, 심은 모의 자세나 깊이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링크 기구(20)를 형성하는 요동링크(20a)와 동심원상으로 회동 가능한 아암(21)에 링크(20a)를 압압하는 접촉편(21a)가 일체로 설치되고, 핸들(4)의 근처에 설치한 수동 조작레버(22)가 아암(21)에 와이어(23)을 거쳐 연결됨으로써 레버(22)의 조작에 따라 접촉편(21a)을 요동링크(20a)에서 떨어뜨리면 전방 플로우트(7)에 의해 차륜(6),(6)을 기체에 대하여 자동 승강시킬 수 있게 되고, 레버(22)의 조작에 따라 접촉편(21a)에 의하여 요동링크(20a)를 강제 요동시키면 제어밸브(19)의 수동조작에 의해 차륜(6),(6)을 기체에 대하여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로 주행시나 논에서의 논두렁 주행시동에 있어서, 레버(22)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차륜(6),(6)을 기체에 대하여 하강시킬 때에, 양차량(6),(6)이 기체에 대하여 같은 높이가 되도록, 요동틀(16)의 축(26) 양측 부분에 밀어 부쳐지는 스톱퍼(24)가 설치되어 있고, 스톱퍼(24)는 기체에 고착된 제1스톱퍼(24a)와 이 제1스톱퍼(24a)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피벗된 제2스톱퍼(2Bb)로 구성되고(제5도참조), 제2스톱퍼(24b)의 상하 요동에 의하여 제1스톱퍼(24a)를 사용하는 상태(제5b도)와 제2스톱퍼(24b)를 사용하는 상태(제5a도)로 바꾸어지도록 구성되고, 또 요동틀(16)의 스톱퍼(24)와의 접촉부는 축(26)과 거의 평행한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로울러(25),(25)로 구성되어 있다.
즉 차륜(6),(6)을 기체에 대하여 하강시키던 가동틀체(17)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가동틀체(17)의 스트로우크 엔드에서 양로울러(25),(25)가 제1, 또는 제2스톱퍼(24a),(24b)에 꽉눌려 요동틀(16)이 고정되고 양차륜(6),(6)이 기체에 대하여 같은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스톱퍼(24a)와 제2스톱퍼(24b)를 선택하므로써 좌우차륜(6),(6)의 하강한계 위치를 2단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논바닥의 진흙이 깊을때에는, 제2스톱퍼(24b)를 비(非) 작용위치로 요동시켜 좋고 제1스톱퍼(24a)에 요동틀(16)을 접촉시켜서 양차륜(6),(6)을 기체에 대하여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까지 하강시키고, 또 논바닥의 흙이 얕을 때에는, 제2스톱퍼(24b)를 제1스톱퍼(24a) 보다도 요동틀(16)에 가까운 지점에서 작용하는 접촉위치에 요동시켜 두고, 양차륜(6),(6)을 기체에 대하여 과히 떨어지지 않은 위치에까지 하강시키도록 하여 기체에 대한 차륜(6),(6)의 승강량을 가급적 적게하면서, 기체를 선회 시키기 쉬운 높이까지 충분히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 요컨대, 본 고안은 기체에 대하여 각기 따로 승강 가능한 좌우의 차륜(6)을 설치하고 기체에 왕복 이동과 고정 가능하게 부착한 가동틀채(17)에 요동틀(16)을 축(26) 주위에서 회동하도록 연동 연결하고 상기 양차륜(6)을 기체에 대하여 하강시키는 측의 상기 가동틀체(17)의 스토로로우크엔드에서 상기 요동틀(16)의 축(26)의 양측 부분에 밀어부쳐지는 스톱퍼(24)를 기체에 고정한 모내기 기계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24)가 제1스톱퍼(24a)와 그 제1스톱퍼보다 앞에서 상기 요동틀(16)측에 작용하는 제2스톱퍼(24b)로 구성되고, 제2스톱퍼(24b)는 상기 요동틀(16)에의 접촉위치와 상기 제1스톱퍼(24a)와 요동틀(16)이 접촉하도록 하는 비작용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제1스톱퍼에 피벗되어 있고, 그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논바닥의 진흙이 깊을때에는 제1스톱퍼(24a)에 의하여, 또 흙이 얕을 때에는 제2스톱퍼(24b)에 의하여, 요동틀(16)을 고정시키면, 기체에 대한 차륜(6)의 하강 한계 위치가 적절히 변경되어서, 진흙깊이에 관계없이 기체 선회에 대한 진흙저항이 충분히 작게되도록 기체를 들어올릴 수가 있는 동시에, 이를 위한 차륜(6)의 기체에 대한 승강량을 가능한한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흙이 얕은 논바닥에서 심는 모의 열을 변경할때 기체 선회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체를 들어 올리는 동시에, 요동틀(16)의 고정에 의하여 기체의 로울링을 지지하는데 있어서, 불필요한 차륜(6)의 승강시간이 길게되는 일이 없게 되고, 기체 선회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모심기 작업의 능률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

  1. 기체에 대하여 각기 승강가능한 좌우의 차륜(6)을 설치하고, 기체에 왕복 이동과 고정 가능하게 부착한 가동틀체(17)에 요동틀(16)을 축(26)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양차륜(6)을 상기 요통틀(16)에 연결하되, 그들 양차륜(6)의 승강에 따라 요동틀(16)이 축(26) 주위에서 회동하도록 연동연결하고, 상기 양차륜(6)을 기체에 대하여 하강시키는 쪽의 상기 가동틀체(17)의 스트로우크엔드에서 상기 요동틀(16)의 축(26) 양측 부분을 고정하는 스톱퍼(24)를 기체에 설치한 모내기 기계의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24)가 기체에 고착된 제1스톱퍼(24a)와, 그 제1스톱퍼(24a)보다 앞에서 상기 요동틀(16)측에 작용하는 제2톱퍼(24b)로 구성되고, 상기 제2스톱퍼(2Bb)는, 상기 요동틀(16)에의 접촉위치와, 상기 제1스톱퍼(24a)가 요동틀(16)에 접촉하도록 허용하는 비작용 위치사이에서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제1스톱퍼에 피벗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내기 기계의 주행장치.
KR2019840009432U 1980-04-09 1984-09-25 모내기 기계의 주행장치 KR850001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432U KR850001110Y1 (ko) 1980-04-09 1984-09-25 모내기 기계의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475A KR830002306A (ko) 1980-04-09 1980-04-09 모내기 기계의 차륜의 지지구조
KR830005049 1983-10-25
KR2019840009432U KR850001110Y1 (ko) 1980-04-09 1984-09-25 모내기 기계의 주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475A Division KR830002306A (ko) 1980-04-09 1980-04-09 모내기 기계의 차륜의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110Y1 true KR850001110Y1 (ko) 1985-06-08

Family

ID=2662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9432U KR850001110Y1 (ko) 1980-04-09 1984-09-25 모내기 기계의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1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110Y1 (ko) 모내기 기계의 주행장치
JPH0328736Y2 (ko)
KR850000393Y1 (ko) 모내기 기계의 주행장치
JPS6228809Y2 (ko)
JPH0317444B2 (ko)
JPH0142980Y2 (ko)
JPS6358523B2 (ko)
JPH0233466Y2 (ko)
JPH0233629Y2 (ko)
JPH0327382Y2 (ko)
JPH0551246B2 (ko)
JPH0310B2 (ko)
JPH0327380Y2 (ko)
JPS6338732Y2 (ko)
JPS6115693Y2 (ko)
JPH0233631Y2 (ko)
JPH0233456Y2 (ko)
JPH029619Y2 (ko)
JPS6238501Y2 (ko)
JPH0811008B2 (ja) 苗植機
JPH038B2 (ko)
JPH036B2 (ko)
JPS6320268Y2 (ko)
JPS6313646B2 (ko)
JPH03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