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971Y1 - 방적기에 있어서의 실장력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방적기에 있어서의 실장력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971Y1
KR850000971Y1 KR2019830001710U KR830001710U KR850000971Y1 KR 850000971 Y1 KR850000971 Y1 KR 850000971Y1 KR 2019830001710 U KR2019830001710 U KR 2019830001710U KR 830001710 U KR830001710 U KR 830001710U KR 850000971 Y1 KR850000971 Y1 KR 850000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fixed shaft
coil spring
housing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1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527U (ko
Inventor
가주오 가미야
요시아기 요시다
대쑤야 아시자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400055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5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10Tens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적기에 있어서의 실장력조정장치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는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 실의 권취동작을 설명하는 정면약시도와 약시측면약시도.
제2도는 종래의 판스프링식 실장력조정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장력조정장치의 정면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장력조정장치의 코일스프링하우징 및 조정레버보지부재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장력조정장치의 요동아암 및 코일스프링하우징의 부분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실 7 : 고정축
12 : 실안내부 17 : 코일스프링하우징
19 : 코일스프링 20 : 코일스프링수용공간
21 : 조정레버보지부재 26 : 조정레버
본 고안은 방적기에 있어서 실의 장력변동에 대하여 보상할 수 있는 실장력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픈엔드방적기에 있어서는, 제1(a)도 및 제1(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방사장치 1로 방출된 실 2는 트래버스롯드 7을 지나서 한 쌍의 인출로울러 3, 4에 의하여 인출되어 권취드럼 5에 설치된 공지의 트래버스홈(도시되어 있지 않음) 또는 기타의 수단의 작용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트래버스하면서 치이즈 6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실 2는 트래버스 하면서 치이즈 6으로 형성되므로 드럼 5 중앙의 경로 a와 드럼 5 양단의 경로 b에는 경로의 길이에 차이가 생기고 그 차이만큼 경로 a에서 실이 이완되어 실의 장력이 감소되므로 치이즈 권취형상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장력조정장치 8을 인출로울러와 권취드럼 5와의 사이에 설치하여 실장력의 변동을 흡수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실장력조정장치 8로서 그 자중으로 실을 누르는 자중식의 것(도시생략)과 제2도에 표시한 판스프링식의 것이 있었으나, 자중식실장력 조정장치는 경로 b, b 사이의 트래버스에 대한 응답성(應答性)이 나쁘므로 특히 최근의 방사속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균일한 장력으로 권취를 행하는 것이 점차 곤란하게 되고 있다.
한편, 판스프링식 실장력조정장치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톱인출로울러 3을 지지하는 고정축 9의 소정위치에 고착되는 판스프링보지부재 10과, 이 보지부재 10에 적당한 수단으로 고착시킨 판스프링 11과, 판스프링 11의 선단으로 부터 고정축 9와 거의 평행을 이루는 실안내부 12를 가지는 것으로, 실장높의 변동에 대하여 판스프링 11이 신속하게 응답하므로 전술한 자중식실장력 조정장치의 결점을 해소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이 판스프링식 실장력조정장치에도 여러가지의 결점이 있다.
즉, 제1(b)도에서 실장력조정장치 8의 판스프링이 위치 13 또는 14에 있을 때, 판스프링의 스프링정수(定數)가 적은 편이 위치 13 및 14에서의 판스프링에 의한 실에 대한 가압력의 차가 적으며, 실장력에 큰 변동을 주지않고 전술한 경로사이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판스프링 정수를 적게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판스프링식에서는 한정된 공간내에서 일정한 가압력을 실에 부여하고저 하면 스프링 정수가 크게되기 쉬워서 전기한 요구를 충족시키기가 곤란하다.
또 실을 이을 떼나 "래일" 권취시에 실이 판스프링에 감겨붙는 일이 있으나, 래번수의 실을 취급하고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실의 강도가 크므로 사단(端)이 권취드럼 5(제1도)의 금속에 감겨 들어가면 판스프링은 인열(引裂)될 때까지 굴곡되어 강한 응력을 받으므로 파손되기 쉬워서 내구성이 약하다.
역으로, 실의 강도가 적은 세번수의 실을 취급하고 있는 경우에는 판스프링의 스프링정수가 크므로 실이 끊어져 버리는 현상이 생긴다.
또한 제2도의 판스프링식 실장력조정장치에 있어서는 실을 걸 때 판스프링 11을 제2도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비틀어서 실안내부 12를 실경로로 부터 벗어나도록 해주어야하므로 실을 거는 작업이 귀찮아져서 조작성이 나빠질뿐 아니라 판스프링이 과도하게 비틀리면 절손의 위험성까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좁은 공간내에 설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은 스프링정수를 가지며 실의 번수에 관계없이 적절히 작용하며 또한 조작성이 좋은 실장력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실장력조정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고정축, 이 고정축의 축방향의 소정위치에 착설된 코일스프링착설부재, 전기한 고정축의 원주방향에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된 조정레버보지부재, 이 보지부재에 보지되어 선단부에 실을 안내할 수 있는 실안내부를 가진 조정레버, 전기한 고정축을 둘러감도록 일단을 전기한 착설부재에 걸고 타단을 전기한 조정레버 보지부재에 걸어서 전기한 실안내부에 의하여 안내되는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전기한 조정레버 보지부재를 부세(付勢)시키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적절한 실예시를 첨부도면의 제3도-제5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의 종래예와 동일 또는 해당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도에 있어서, 인출로울러 3은 제2도의 종래 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요동아암 15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으며, 요동아암 15의 기단부(基端部) 15a에 내장된 스프링 16의 작용에 의하여 타측의 인출로울러 4(제2도, 제3도에는 도시되지 않았음)로 압압되어 있다. 고정축 9 위에는 요동아암 15의 전기한 기단부 15a에 근접하여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코일스프링하우징 17이 장착된다.
제5도에 가장 잘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하우징 17은 축방향으로 분할된 두 개의 반할(半割) 부분 17a, 17b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양부분 17a 및 17b는 각기 그들에 천설된 나사공에 나합되는 보울트 18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고정축 9 위의 축방향 및 원주방향에 관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제3도에서, 하우징 17은 스프링정수가 적은 코일스프링 19를 수용하기 위하여 고정축 9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원통형의 요부(凹部), 즉 코일스프링공간 20을 가진다.
고정축 9를 둘러싸도록 비교적 탑은 환상(環狀)의 공간 20 속에 탄설된 코일스프링 19는 그 일단이 하우징 17에 축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된 구멍 17c에 수용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조정레버보지부재 21에 형성한 축방향의 구멍에 걸리도록 되어있다.
코일스프링 19의 축방향의 중심은 실 2의 트래버스방향의 중심 또는 실안내부 12의 중심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전기한 보지부재 21은 고정축 9의 원주 방향에 관하여 코일스프링 19의 전기한 타단 및 스톱퍼 22에 의하여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회동자재이며 축방향에 관하여서는 전기한 스톱퍼 22를 보울트 23에 의하여 장착한 규제판 24에 의하여 이동을 조지시키고 있다.
제3도-제5도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보지부재 21의 규제판 24측에는 구형판상의 홈 21a와 3각주상의 절결부 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결부 21b쪽으로 부터 홈 21a 속으로 들어가는 핀 25에 의하여 조정레버 26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3도로 부터 양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홈 21a 속에는 조정레버 26을 제3도에 표시한 위치로 탄력을 주는 스프링 27이 주지의 태양으로 탄설되어 있다.
제6도는 요동아암 15의 기단부 15a 및 하우징 17의 일부를 표시하는 평면도로서, 기단부 15a에는 눈금을 표시한 눈금판 28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우징 17에는 기준위치를 표시하는 마크 29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한 보울트 18을 풀어서 하우징 17의 원주방향위치를 조절하면 리크 29는 제6도에 표시한 숫자 5의 눈금과는 다른 위치로 이용된다. 이 조절에 의하여 실의 변수에 상응한 장력조정을 부품 교환없이 행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실의 장력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스프링정수가 적고 또한 제한된 좁은공간 20 내에 장착할 수 있는 코일스프링 19를 채용하였으므로, 실 2가 트래버스할 때의 코일스프링 19에 의한 실 2에 대한 가압력의 차를 적게 유지할 수가 있으며 또한 실이을 때나 "매일" 권취시에 실이 조정레버 26에 감겨붙을 때 실이 태번수의 것이라도 조정레버 자체는 스프링이 아니어서 충분한 강도를 가지므로 조정레버가 손상을 받는 일은 없으며, 세번수의 실의 경우이면 스프링 정수가 적은 코일스프링 19가 용이하게 변형하므로 실이 끊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조정레버가 핀 25에 의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27에 대항하여 조정레버 26을 제3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기만 하여도 실을 걸 때에 조정레버 26을 실의 경로로부터 벗어나게 해두고 이 레버 26에 실이 가까워졌을 때 이 레버 26을 놓아버림으로써 간단하게 실을 걸 수가 있어 매우 조작이 용이하다.
가령 조정레버 26이 요동가능하지 않을 경우에도 제4도의 가상선레버 26 위치로 부터 시계방행으로 회동시켜서 다른 쪽의 손가락으로 실을 눌러부쳐서 조정레버 26의 아래쪽으로 돌아넣어서 실을 걸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 착설부재를 하우징의 형태로 취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에 한한다는 것은 아니며 요컨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걸릴 수 있게된 것이면 된다.
따라서 예를들면 고정축에 착설된 디스크라도 좋다.

Claims (1)

  1. 고정축, 이 고정축의 축방향의 소정위치에 착설된 코일스프링 착설부재, 전기한 고정축의 원주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된 조정레버보지부재, 이 보지부재에 보지되고 선단부에 실을 안내할 수 있는 실안내부를 가지는 조정레버, 전기한 고정축을 감싸도록 일단을 전기한 하우징에 걸고 타단을 전기한 조정레버 보지부재에 걸어서 전기한 실안내부에 의하여 안내되는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전기한 조정레버 보지부재를 부세(付勢)시키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방적기의 실장력조정장치.
KR2019830001710U 1982-03-02 1983-02-26 방적기에 있어서의 실장력조정장치 KR85000097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28432 1982-03-02
JP1982028432U JPS58131970U (ja) 1982-03-02 1982-03-02 紡機の糸張力調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527U KR840005527U (ko) 1984-10-20
KR850000971Y1 true KR850000971Y1 (ko) 1985-05-22

Family

ID=3004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1710U KR850000971Y1 (ko) 1982-03-02 1983-02-26 방적기에 있어서의 실장력조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31970U (ko)
KR (1) KR850000971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22519Y1 (ko) * 1966-02-04 1969-09-22
JPS4713223U (ko) * 1971-03-10 1972-10-17
JPS5341426B2 (ko) * 1971-09-09 1978-11-02
US3967351A (en) * 1975-04-18 1976-07-06 Melvin Rosenberg Clasp
JPS5718366Y2 (ko) * 1976-09-11 1982-04-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3814Y2 (ko) 1987-06-17
JPS58131970U (ja) 1983-09-06
KR840005527U (ko) 198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9822A (en) Yarn tension sensor for a textile machine
US2243624A (en) Thread guiding device for the winding of thread
US4244176A (en) Device for waxing a yarn
US2731786A (en) klein
EP0045854B1 (en) Thread retainer
US3850394A (en) Bobbin holder
US3966133A (en) Tension controlling apparatus
US3438188A (en) Yarn defect detecting device
KR960000740A (ko) 터릿형 권취기
KR850000971Y1 (ko) 방적기에 있어서의 실장력조정장치
US4342429A (en) Bobbin holder
US4469290A (en) Thread guide for coaxially mounted bobbins
US5394684A (en) Yarn storage mechanism
US3727394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curling and looping of the yarn in a traveler-ring twisting machine
RU2248419C1 (ru) Нитепо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нитенаблюдателем с пружинным упором
US3074225A (en) Textile spindle machine mounting
KR102637289B1 (ko) 와인딩 머신
RU2620490C2 (ru) Вытяжной механизм для вытяжки ровницы
US2624370A (en) Thread clamp
US4121781A (en) Yarn tension compensating apparatus
US3873044A (en) Dual function in-line tensiometer-yarn tension controller
US3264812A (en) Apparatus for twisting yarn
US4605181A (en) Strand tension controlling apparatus
US4195789A (en) Bobbin slides for respooling machines
JPS60242182A (ja) 精紡機の巻取張力補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