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941B1 - 방해 송신 시뮬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방해 송신 시뮬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941B1
KR850000941B1 KR1019810002775A KR810002775A KR850000941B1 KR 850000941 B1 KR850000941 B1 KR 850000941B1 KR 1019810002775 A KR1019810002775 A KR 1019810002775A KR 810002775 A KR810002775 A KR 810002775A KR 850000941 B1 KR850000941 B1 KR 850000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eiver
disturbance
control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006A (ko
Inventor
에스 아티넬로 죤
Original Assignee
에스 아티넬로 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아티넬로 죤 filed Critical 에스 아티넬로 죤
Priority to KR1019810002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941B1/ko
Publication of KR830007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해 송신 시뮬레이션 장치
제 1 도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통신선용의 방해송신을 발생하는 방해계통의 개략도.
제 2 도는 레이다 장치용 방해송신을 발생하는 방해계통의 개략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방해 인젝터(injector)의 예를 예시한 블록선도.
본 발명은 방해송신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극신호 인젝터를 사용하여 수신장치에 방해신호를 주입하므로서 송신방해 신호를 시뮬레이션시키는 계통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식 송신을 방해하므로서 전자기식(電磁氣式 ) 통신계통을 방해하면 기능이 무력해진다. 따라서 강력한 잡음 송신 또는 위장적인 방해송신을 이용하여 고의적으로 군사작전도중 군통신망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 더우기 이러한 방해송신 계통은 전자기 에너지를 송신하므로서 작동되는 레이디 같은 각종 혼신(混信)시키거나 방해하게 된다.
오래동안 알려져 있는 사실로는 군사통신 계통 및 관련된 전자(電子)장치를 고도의 혼신 환경에서 시험하므로서 여러가지 현실적인 조작 조건하에서의 이런 계통들의 성능을 측정하고 이 계통을 조작하는사람을 훈련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단일 통신장치나 이 장치의 부품을 전자식으로 보호된 지역내에서 현재 시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은 항상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현실적이 현장 시험에는 부적합하다. 방해송신용 현장시험에 있어서 이제까지는 예측된 혼신 환경을 재현하거나 콤퓨터 모델 설정에 의해 환경을 시뮬레이션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콤퓨터 모델 설정법은 물리적으로 장치와 요원에 대한 시험을 할 수 없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군사훈련 같은 경우에 있어서 실제로 방해송신을 이용하면 자국의 민간 통신계통, 즉 상업방송,텔레비젼, 민간항공 통신 및 마이크로파 전화송신 계통 등이 방해를 받는다. 따라서 실제적인 면에 있어서 민간통신 장치와 거리가 먼 격리된 지역이나 미리 설정된 곳에서 물리적인 통신방해 시험을 할 필요가 있었고 군사용 혼신 시험을 할 때는 민간통신을 잠시동안 방해하도록 하는 조건에서 시험을 했던 것이다.
군사목적의 시험에 있어서 현실적인 혼신 환경을 조성하는데 제기되는 문제점은 강력한 방해전파를 발행시켜 시험을 함에 있어서 어려운점이 많고 극비로 통신 방해시험을 하기가 어려웠다는 점이다.
더우기 고가의 통신 방해장치를 사용하여야만 실제로 군사목적의 통신 방해조건을 조성할 수 있고 특히 예측된 통신 방해전파를 계속 발생시킬 수 있었다는 점이다. 또한 강력한 통신 방해로 인해 민간통신을 방해하기 때문에 민간 당국이 이러한 시험을 실시하기가 극히 어려운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미국에서 현실적인 통신 방해시험을 실시하기가 극히 어려우며 인구밀도가 큰 서구 여러나라에서 이러한 시험을 하고자 할 때는 복잡성이 훨씬 증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해통신을 현실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장치를 제시함과 아울러 통신 방해 시험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방해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시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섭 신호를 발생함이 없이 작동이 되고 광범위한 방해신호를 현실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작동이 쉽사리 되는 통신방해용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시함에 있다.
미국특허 제4,039,954호에는 통신 방해용 계통이 나와 있는데, 즉 케이블 텔레비젼망에 형성된 가입자 서어비스선의 통신 채널을 전자기식으로 교란시켜 특정한 가입자가 특정한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 특허에 의한 방식은 수신 장치에 구성되었으며 각각이 관련된 감쇠장치와 고주파 스위치를 가진 다수의 오실레이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작동시에는 제어신호를 디코우딩하여 특정 스위치를 작동시키므로서 관련된 오실레이터의 교란 신호를 발생시켜 가임자 선의 텔레비젼 신호를 방해하도록 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3,684,823호에 의한 다른 케이블 텔레비젼 계통에는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를 사용하여 방해신호를 IF 수신기의 증폭단계에 주입하므로서 수신기에 들어온 프로그램 신호를 방해하도록 핫고 있다. 오실레이터의 방해신호는 원거리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무기력화 시킬 수 있다.
인용된 케이블 텔레비젼 방해 계통은 전자기식 방해 환경을 시뮬레이션 하는데는 사용할 수 없으며, 특히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공통적인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특정한 송신장치의 신호를 방해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방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자면 전자기식 방해 통신의 시뮬레이션 장치중에 전자기식 방해 통신의 특수한 형태를 결정하는 코우딩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송신장치를 포함시킨다. 이렇게 하므로써 표적 수신장치가 제어신호와 정상적인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 중의 일부를 방해용 인젝터로 통과시킨다. 혼신용 인젝터는 제어신호를 코우딩하여 상응하는 방해용 신호를 표적 수신 장치로 주입하게 된다.
방해 인젝터에 디코우더(decoder)가 있어서 제어신호를 디코우딩하여 디코우딩된 신호를 가하므로서 최소한 한개 이상의 방해 전파 발생기를 작동시킨다. 방해 전파 발생기는 수신된 제어신호의 강도에 대해서 역비례 관계로 감쇠된 국부적인 방해신호를 발생시키고, 감쇠된 방해신호는 수신기의 정상적인 신호를 방해하기 위해서 표적 수신장치의 안테나에 가해지게 된다.
방해 전파 발생원의 특정한 스캔 패턴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서, 스캔 시뮬레이션(scan simulator)를 사용하여 신호 인젝터의 방해신호를 감쇠시킬 수 있다.
레이다 수신기에서 모니터(monitor)되는 정상적인 에코우 펄스를 기만적으로 방해하기 위해서 레이다 수신기로 주입되는 지연된 레이다 에코우 펄스(echo pulse)를 만들기 위해서, 방해 인젝터는 레이다 장치의 수신기와 함께 작동될 수도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계통의 계략도인데, 이 계통을 이용하여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기 통신 채널에 대해 방해 전파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다.
작동에 있어서 제어 송신기(3)를 이용하여 협대역(狹帶域) 제어신호(C)를 송신하고 이 신호를 표적 수신기(2)의 안테나(4)로 받아 수신기의 방해 인젝터(5)로 보낸다. 방해 인젝터는 제어 송신기(3)로 부터 제어신호를 디코우딩하여 제어신호의 신호 강도 또는 코우드에 의해 형성되는 특정한 방해신호를 발생시킨다. 방해신호는 안테나(4)에 걸려서 정상적인 통신신호를 방해하자는 것이다. 통신신호는 송신기(1)에서 부터 표적 수신기(2)로 송신되는 것이다.
여기서 알아두어야 할 것은 표적 수신기(2)는 송신기로서도 작용하며, 송신기(1)에는 표적 수신기(2)로 부터의 송신파를 받아들이는 수신장치가 수신장치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방해 인젝터가 있는 여러가지 많은 송신기와 수신기를 본 발명에 의한 계통중에 사용할 수 있으며 한개 이상의 제어 송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간단히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계통을 단일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1방향 통신에 대해서만 상술하기로 하며, 이후로 단일 제어 송신기의 작동에 대해서만 상술하기로 한다.
제어 송신기(3)는 스위치(6) 같은 것을 사용하여 수동식으로 작동시키거나 조합된 반도체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같은 것을 포함한 프로그램식 스위치 장치(7)에 의해 간헐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 송신기(3)를 스위치(8)를 선택하므로써 리피이터(repeater)방식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리피이터 방식에 있어서 특정한 특성을 가진 신호를 제어 송신기의 감지부분내에 송신기에 리피이터 스위치 회로(9)에 의해서 제어 송신기(3)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송신기(1) 또는 기타 송신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로 송신되는 신호를 제어 송신기(3)의 안테나(11)로 받아서 서큘레이터(13)에 의해 공지의 방법으로 회로(9)로 공급한다. 이렇게 되면 회로(9)에 의해 제어 송신기(3)가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서큘레이터(13
)에 의해 안테나(11)로 통과시킨 후 수신기(2)로 송신시키는데, 이 경우에 있어서 송신기(1)나 기타 트리거식(triggering)송신기에서 나오는 신호가 제어 송신기(3)에 의해 수신되는 한 계속해서 작동이 된다.
회로(9)에는 입력신호의 주파수 같은 특수한 특성을 디코우딩하고 감지하며 특수한 신호특성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 송신기(3)로 전력을 공급하는 실리콘 제어식 정류기(SCR) 같은 전자식(電子式)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도는 레이다 장치(16)의 작동을 방해하는 방해 시험 계통에 대한 개략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레이다 장치(16)에는 송신기(17)가 있는데 이것은 전자식 펄스를 발생시키며 이 펄스는 서큘레이터(21)에 의해 주사식(走査式) 레이다 안테나(19)로 보내진다. 정상적인 작동으로는 주사식 안테나(19)로부터 펄스를 송출되어져서 표적물(20)로 부터 반사되게 된다. 반사된 에코우펄스를 안테나(19)로 받아서 서큘레이터(21)에 의해 수신기(22)로 보낸다. 송신된 펄스와 수신된 펄스 사이에서 생기는 시간간격을 이용하여 송신기(17)와 표적물(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공지의 방해 계통에 있어서는 잡음 또는 기타 방해용 전파를 이용하여 레이다 장치의 에코우펄스를 교란시킨다. 또한 위장적인 방해법을 이용하여 위장 에코우 펄스를 레이다 장차의 수신기로 보내서 레이다가 잘못된 거리판단을 하게 한다. 위에 나온 레이다 방해법을 제2도에 예시된 계통에 있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시뮬레이션 시킬 수 있다. 작동이 있어서 제어 송신기(15)는 코우딩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이 신호가 레이다 장치(16)의 방해 인젝터(5)를 동작시키므로서 위장적인 방해 신호가 레이다 수신기(22) 속으로 주입된다.
제어 송신기(15)는 간헐적 내지 계속적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실제적으로 제어신호의 강도는 송신 및 수신 안테나의 상대적인 위치의 함수관계에 있다. 따라서 레이다장치(16)의 주사식 안테나(19)가 제어 송신기(15)의 안테나와 비교적 먼 거리에 있으면 수신기(22)에서 제어신호를 받아 주입하게 되는데, 이 경우는 안테나(19)가 제어 송신기(15)의 안테나와 같은 방향에 있을 때에만 해당되는 것이다. 그러나 레이다 장치의 안테나(19)가 제어 송신기(15)의 안테나와 비교적 근접된 거리에 있게되면 제어 송신기(15)의 안테나와 같은 방향에 있지 않더라도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피이터 양식으로 제어 송신기를 작동시켜 송신파를 수신하게 될 때만 코우딩된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제2도의 계통의 경우에 있어서는 레이다 펄스를 레이다(16)에서 발사하게 될 때만 제어 송신기(15)가 작동하여 방해용 제어신호(C)를 발사하게 된다. 따라서 방해 인젝터(5)가 있으며 제어 송신기(15)의 송신 범위내에서 작동하는 표적 수신기(22)는 제어 신호 송신기(17)의 정상적인 송신 신호를 받으며, 제어신호(C)에 의해 형성되는 인젝터(5)의 방해 신호를 수신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계통에 있어서 제어신호는 관련된 방해 인젝터가 있는 표적 수신기에서만 방해 효과를 낼 뿐이며 방해 인젝터가 없이 작동하는 수신기, 즉 조작요원 훈련용 또는 시험용의 수신기나 민간용 수신기는 방해제어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제어 송신기의 제어 신호(C)는 시뮬레이션되는 방해 신호의 출력 수준 이하의 수준에서 송신된다. 또한 제어신호(C)의 좁은 주파수 영역을 선택하므로서 정상적인 통신 신호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가능하다면 시뮬레이션되는 방해신호의 주파수 영역내에서 제어 주파수 영역을 선택하도록 한다. 더우기 방해 송신기가 사실상의 방해신호를 송신하는 위치에 제어 송신기의 위치를 잡고 제어 송신기용 안테나의 전기적 및 기타 작동 특성을 선택하여 실제적인 방해 송신기의 안테나의 특성과 조화되도록 하거나 이 특성을 제어 신호의 특정한 코우딩에 의해 시뮬레이션 시킨다.
만일 실제적인 방해전파 발생원에 대해 구성되는 것과 같은 위치에 제어 송신기를 설치하고 제어 신호의 주파수를 시뮬레이션되는 방해 신호의 주파수와 같게 하면 제어신호의 전파특성은 시뮬레이션된 방해 신호의 전파 특성과 조화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국부적인 지형에 있어서의 차폐 구조가 미치는 효과는 비교가능한 방해 신호와 같은 제어신호의 경우와 동일하게 되므로서 방해 시뮬레이션의 현실성이 향상된다.
방해 시뮬레이션 계통에서의 실현성을 최대로 하자면 상응하는 제어 송신기의 안테나에 의해 시뮬레인션된 방해 안테나의 전기적 및 주사 특성이 배가(倍加)될 수 있다. 그러나 경제적이거나 기타 실용적인 이유로 해서 특정한 방해 안테나의 주사 특성 또는 전기 특성을 물리적으로 배가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앞서 나온 바와 같이 제어 송신기의 제어신호를 코우딩하므로서 사실상의 방해 안테나의 주사특성과 전기 특서을 시뮬레이션 시킬 수 있다.
예를들자면 실제적인 방해 안테나를 회전시켜 진폭이 시간 변화를 하는 전자기식 방해신호를 발생토록 하면 상응하는 제어 송신기의 제어신호는 시간에 따라 전자식으로 감쇠되어 방해 안테나의 주사작동에 미치는 영향이 배가된다. 또한 표적 수신기의 방해 인젝터에 방해 전파 발생원의 주사특성을 시뮬레이션 시킬 수 있는 주입된 방해 신호를 가변적으로 감쇠시키는 장치를 포함시킨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할 수 있는 제1도와 제2도에 예시된 계통에서 사용되는 방해 인젝터의 블록선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해 인젝터(5)는 레이다 장치의 구성부분이거나 기타 통신 목적으로 사용되는 수신기(29)속으로 방해 신호를 주입한다. 수신기(29)의 안테나(31)는 교신 송신기로 부터 정상적인 교신 신호(S)를 받으며 제어 송신기로 부터는 제어신호(C)를 받는다. 물론 안테나(31)는 배경의 잡음과 기타 방해신호를 수신하기도 한다. 그러나 간단히 하기 위해 다음 부터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제어신호(C)와 정상적인 교신신호(S)에 대해서 상술하기로 한다. 제어신호(C)와 정상적인 교신신호(S)의 작은 신호부분을 안테나(31)로 부터 방해 인젝터(5)까지 공지의 방법으로 결합시킨다.
적절한 예를 보자면 소규모의 인젝터 입력신호를 결합할 때는 방향성 결합기(33)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결합된 인젝터로의 입력신호 손실을 될 수 있는 한 작도록 하여 수신기(29)의 입력신호가 감쇠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증폭기를 수신기(29)의 앞쪽 끝에 연결하여 입력신호를 증폭시키므로서 결합기(33)가 미치는 감쇠 효과를 보상하도록 한다.
제어신호(C)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어 정보를 가지게 한다. 적절한 예를 보자면, 터치톤(TOUCHTONE)같은 분애에서 사용되던 방식으로써, 제어신호를 협대역 고주파 캐리어(carrier)로 하여 다주파 부호(MFC)방식에 따라 변조되게 한다. 중 음조 다주파 패드(pad)를 작등시켜 고주파 캐리어를 변조시킨 후 제어송신기의 송신영역에 있는 조합된 방해 인젝터와 표적 수신기로 송신하므로써 제어 송신기에 이러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물론 표적 수신기가 제어 송신기의 범위내에 있고 국부적인 지형내에 있는 중간 목적물이 제이신호를 폐쇄하지 않는다면 표적 수신기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방향성 결합기(33)의 신호는 방해 인젝터(5)의 수신기(35)로 나간다. 수신기(35)는 협대역의 전면끝 필터가 있는 전형적인 고주파 수신기여서 고주파 제어신호만 통과시킨다. 수신기(35)는 고주파 캐리어로부터 다주파톤 신호를 발생시켜 이 톤 신호를 디코우더(37)로 공급한다. 디코우더(37)은 이를 프로그램하여 각각의 독특한 다주파 톤 입력에 대해 특정한 디지탈 코우드(digital code)가 발생되게끔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식 디코우더는 공지로 되어 있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
디코우더(37)의 디지틸 출력을 N디코우더(39)의 M 가한다. 디코우더(39)에는 다수의 입력이 단자가 있으며 디코우더(37)에서 오는 디지탈 코우드를 받으며 다수의 출력제어선(41,43,45)이 있어서 이들 각각의 특정 입력 디지탈 코우디에 응답하여 작등한다. 디코우더(39)의 제어선(41,43,45)은 상응하는 방해 전파 발생기(47,49,51)에 연결된다.
각 방해전파 발생기를 이용하여 디코우더(39)에서 나오는 제어선에 신호가 들어올 때 특정한 방해신호를 발샐하도록 한다. 따라서 여러가지 상이한 형식의 방해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자면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백잡잡음, 의사난수(擬似亂數) 방해 펄스, 톱날형 방해 펄스 또는 기타 방해신호를 발생하는 발생기를 사용하여 교신신호를 교란시킬 수 있다. 예로서 방해신호 발생기(47)를 이용하여 백색잡음을 발생하고, 발생신호 발생기(49)를 이용하여 의사난수 방해 펄스를, 그리고 방해신호 발생기(51)를 이용하여 톱날형 방해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특정한 예의 방해신호 발생기에 대해 예를들었지만 기타 공지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더우기 제3도에는 세가지 방해신호 발생기가 예시되어 있으나 여러가지 다른 형식의 것을 이용하여도 된다.
신호가 들어온 제어선에 응답하여 각각의 방해신호 발생기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에 대해서는 공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 상술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각 방해신호 발생신호 발생기의 제어선을 이용하여 발생기에 입력을 주려고 할 때는 트랜지스터나 기타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하여 신호가 들어온 제어선에서 부터 가해진 신호에 응답하여 방해신호 발생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방해신호 발생기를 작등상태에서 유지하고 디코우더(39)와 관련된 스위치, 즉 트랜지스터 같은 제어선을 이용하여 특정한 방해신호 발생기의 출력을 발생기의 출력선(53)에 가한다. 발생기 출력선(53)에 있는 방해신호를 애더(adder)(55) 가하여 출력선(54)에 방해신호를 결합시키고 상응하는 결합된 신호를 감쇠기(57)에 가한다. 감쇠기(57)는 애더(59)의 출력감쇠 제어 전압에 의해 형성되는 량만큼 입력 결합신호를 감쇠시킨다. 특히 감쇠기는 감쇠정도를 증가시키므로서 애더(55)의 출력에서의 감쇠제어 전압의 진폭이 감소됨에 따라 결합된 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킨다. 마착가지로 감쇠제어 전압의 진폭이 증가함에 따라 결합된 신호의 진폭은 증가되고 감쇠 정도는 감소된다. 제3도의 감소기(57)와 같은 전압조절식 감쇠기는 공지의 것이다.
애더(59)의 출력에서의 감쇠제어 전압은 고주파 수신기(35)의 자등이득제어(AGC : automatic gain control)의 절합점 X에서 나오는 입력 범위 신호와 스캔 시뮬레이터(61)의 출력에서 발생되는 스캔 시뮬레이터 전압에 의해 형성된다.
고주파 수신기(35)의 AGC 전압이 수신기(35)가 받는 제어신호의 진폭에 상응한다. 표적 수신기(29) 및 관련된 방해 인젝터(5)가 제어신호(C)를 발생하는 제어 송신기에 인접하여 있으면 AGC 신호는 비교적 커지게 되어 수신기(35)에 대해 이득이 증가된다. 마찬가지로 표적수신기(29) 및 관련된 방해 인젝터(5)가 제어송신기로 부터 먼거리에 있으면 수신기(35)가 받는 제어신호는 훨씬 감쇠되므로 인하여 AGC전압이 감소되어 수신기(35)의 이득이 감소된다. 따라서 AGC 전입의 크기는 제어송신기에 대해 표적 수신기(29)의 범위나 거리를 나타내게 된다. 그러므로 제어송신기가 비교적 표적 수신기(29)에 인접해 있으면 수신기(29)에 비교적 큰 방해신호가 주입되고 제어송신기와 표적 수신기(29)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신기(29)에는 보다 작은 방해신호가 주입된다. 수신기의 AGC를 이용하여 주입된 신호의 감쇠정도를 제어하므로서 주입된 신호의 강도가 송신계통의 기하학적인 관계, 제어송신신기와 수신기간의 거리 및 지형의 제어신호에 미치는 영향등과 같은 인자에 의존하게 된다. 그러나 수신기의 AGC가 본 발명의 예에 있어서 주입된 신호를 감쇠시키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고 하더라도 기타 감쇠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범위에서 이탈됨이 없이 수신된 신호의 몇가지 기능으로서 주입된 신호의 감쇠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여러가지 경우에 있어서 주입된 신호의 감쇠정도는 수신된 신호수준의 대수(對數 : Log)에 거의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대수 수신기(logarithmic receiver)를 AGC대신에 사용하여 주입된 신호를 감쇠시키거나 AGC회로를 사용하여 대수응답(log respomse)에 근사하게 할 수 있다.
스캔 시뮬레이터(61)를 가변식 전압공급원으로 사용하므로서 디코우더(39)로 제어하여 방해신호 발생원의 시참레이션된 주사 패턴에 따라 진폭 변화를 하는 전압을 발생시킨다.
스캔 시뮬레이터(61)의 출력전압이 특정한 주사 패턴에 따라 변화함에 따라 애더(59)의 출력전압도 변화하게 되며 감쇠기(57)의 출력에서의 방해신호는 따라서 감쇠된다. 그러므로 방해신호 발생기(47,49,51)에서 나오는 방해신호는 시참레이션되는 방해신호 발생원의 안테나 주사패턴과 표적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제어신호의 신호강도에 따라 감쇠된다.
감쇠된 방해신호는 방향성 결합기(69)에 의해 안테나(31)에 연결되므로서 수신기(29)가 발생 인젝터에서 오는 방해신호와 입력신호(C,S)를 수신한다.
위에서 나온 바와 같이 제어 송신기 자체에는 시뮬레이션 되는 방해신호 공급원의 안테나의 주사 패텬과 등일한 패턴으로 주사하는 안테나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어 송신기에 주사 시뮬레이션이 주어지기 때문에 스캔 시뮬레이터(61)는 불필요하다.
제어 송신기의 안테나가 특수한 패턴으로 주사하지 않는다면 제어 송신기에 있는 제어된 감쇠기를 이용하여 특정하게 시뮬레이션된 주사 패턴에 따라 시간에 대해 송신기의 제어신호를 감쇠시키므로서 주사 패턴을 시뮬레이션 시킬 수도 있다. 물론 제어 송신기에서와 같이 주사 패턴 감쇠가 되면 스캔시뮬레이터(61)는 방해 인젝터에서는 필요없다.
제2도에서와 같이 레이다 장치에 수신기(29)가 있다면 방해 인젝터(5)는 제2도에서와 같이 위장적인 에코우 레이다 펄스를 발생시킨다. 특히 제3도에 있어서 표적 수신기(29)가 레이다 장치에 있는 수신기라면 신호(S)는 표적에서 반사된 에코우레이다 펄스이고 신호(C)는 제어 송신기에서 발생되고 레이다 수신기의 방해 인젝터에 의해 수신되는 제어 신호인 것이다. 작등에 있어서 방향성 결합기(33)를 이용하여 반사된 레이다 펄스(S) 및 관련된 제어신호(C)를 위의 경우에서 처럼 방해 인젝터(5)에 결합하고 수신기(35)와 디코우더(37)는 제어신호(C)의 주파수 부호에 상응하는 디지탈 코우드 신호를 발생한다. 결합된 C 및 S 신호를 지연선(65)에 보내서 공지의 방법으로 시간에 따른 신호를 지연시킨다. 지연선(65)의 출력에 증폭기를 구성하여 지연된 신호를 증폭시킨다. 지연선(65)의 사간지연 또는 지연된 신호의 증폭을 공지의 방법으로 시간에 따라 일정한 양상으로 변화시켜 보다 복합적인 형식의 레이다 방해신호로 시뮬레이션시킨다. 지연된 신호를 애더(55)로 통과시킨 후 위에 나온 방법으로 감쇠기(57)로 지연된 시료를 감쇠시켜 방향성 결합기(69)에 의해 수신기(29)의 안테나에 결합시킨다.
방해 인젝터(5)에 의해 표적 수신기(29)에 지연된 신호를 보내서 위장적인 에코우 펄스를 발생시켜 관련된 레이다의 범위 또는 기타 변수 측정에 오하가 발생하게 한다. 방해 인젝터(5)는 발생기(47,49,51)에서 나오는 방해신호를 주입하여 레이다 수신기가 수신하는 에코우 레이다 펄스를 교란시킨다. 따라서 방해 인젝터(5)는 특정한 방해신호를 시뮬레이션하는데 가해지는 주사 패턴감쇠 또는 범위 감쇠와 주입되는 방해신호의 형식을 확인을 확인하는 입력제어 신호에 따라 표적 수신기의 안테나에 방해신호를 결합시키게 된다.
에코우 신호(S)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변형시켜 레이다 장치의 적절한 작등을 방해하는 주입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특정한 예의 신호변형을 시킬 수 있겠으나 기타 공지의 방법도 사용 할 수 있다.
이러한 공지의 방해법은 Stephen L. Johnston 의 저서 [“Radar Electronic Countermeasures” ARTECH House (1979)]에 예시되어 있다.
제3도에 예시된 적절한 예는 표적 수신기(29)의 안테나에 방해신호를 주는 방해 인젝터에 대한 겻이지만 여기서 알아두어야 할 것은 수신기(29)의 어떤 지점에서도 방해신호를 주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로서 수신기(29)의 특정단계의 진폭에서 방해신호를 주입하여 방해 효과를 나타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표적 안테나에 방해신호를 주입하여 가장 현실적인 방법으로 방해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더우기 수신기 안테나에 방해 신호를 주입하면 필요한 모든 것이 방해 인젝터를 수신기의 안테나에 연결하므로 해서 수신기의 주변에 이상이 생기지 않게 되고 수신기를 방해 유도 수신기로 전환시키는 경비도 없어지게 되기 때문에 방해신호주입 계통에서 일반 수신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해신호 주입법에 따라 밀리와트 범위의 방해신호를 수신기에 주입하여 큰 킬로와트의 실제적인 방해 신호 송신에 의해 야기되는 방해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시험시에 강력한 방해신호를 송신할 때 생기는 문제를 피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도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방해를 유도하는데 있어서 고출력의 방해신호를 발생원을 사용하는 계통보다 조작 경비가 훨씬 저렴하다. 더우기 본 발명에 의한 계통은 협대역 제어신호를 활용하기 때문에 국부적인 방해 인젝터를 작등시키며 군사 작전훈련을 극비로 수행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비인가된자가 코우딩된 제어신호를 쉽사리 모니터하거나 디코우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협대역 주파수와 제어 신호가 비고적 저출력이라는 점으로 인하여 방해 시험 도중 민간 교신이 교란되지 않는다.
다주파 톤 제어신호에 대해서 본 발명의 계통을 상술했지만 어떠한 형식의 제어신호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형식의 주입된 방해신호에 대해 상술했으나 여러가지 형식의 공지의 방해신호도 사용할 수 있다. 더우기 제어송신기를 지상, 공중, 바다 또는 공간 송신 위치에서 설치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특정한 종류의 방해를 유도할 수 있다. 물론 시험의 현실성을 유지하자면 실질적인 방해신호 발생기를 예측된 위치에 따라 설치하는데, 본 발명은 제어 송신기의 위치를 특정하게 지정하지 않고 있다.
제3도의 예를 본 발명의 기능을 달성하는데 사용되는 특정한 부품에 대해 상술했으나 기타 부품도 사용할 수 된다. 따라서 제3도의 예는 예시적인 목적에 한정된 것이고 특정한 인젝터의 조작이나 방해 인젝터의 부분에 대해서는 한정은 하지 않고 있다.
예를들자면 제3도의 예는 주사 패턴, 범위 및 특정한 형식의 방해를 시뮬레이션하는 장치에 대해 상술한 겻이지만 기타 제어 또는 시뮬레이션 특징을 첨가하여 송신기의 추가적인 특징을 시뮬레이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한 형식의 디코우딩된 제어신호와 특정한 관계의 디코우딩된 제어신호와 제어기능을 한정하진 않는다. 따라서 디지탈 디코우딩된 제어신호에 대해 상술되어 있으나 기타 형식의 신호, 예로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어 기능 또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기타 제어기능을 부여 할 수 있다.
더우기 방해신호 발생기(47,49,51)를 계속적으로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할 수 있고 특정한 코우드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시키며 다른 코우드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한가지 이상의 방해신호 발생기를 동시에 작동시켜 특정한 소요의 방해특성을 가진 결합된 방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한 형식의 방해 발생기에 제한을 주지 않으며, 본 발명에 의한 계통의 모든 방해 인젝터를 동일한 양식으로 작동시키거나 동일한 내부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계통을 시뮬레이션된 방해 신호의 주파수와 거의 같거나 동일한 주파수를 가진 제어신호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상응하는 시뮬레이션된 방해신호의 주파수와 거의 다른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가진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방해신호 시뮬레이션과 관련해서 시뮬레이션된 방해신호의 주파수와 콘사한 주파수에서 제어신호를 송신할 경우 가장 큰 성공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와 방해 계통을 이용하여 현실적으로 비교적 저렴하게 방해 조건을 시뮬레이션 하므로서 라디오나 레이다 수신기 같은 통신장비의 방해 시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최소한 한개의 시험 송신기로(1)서 시험 교신신호를 발생시켜 안테나를 통해 최소한 한개의 표적 시험 수신기(2)와 교신하고 다른 비시험용 송신기로서 비시험 교신신호를 발생시켜 다르거나 동일한 안테나를 통해 비시험 수신기와 교신하도록 한 형식의 통신계통에 있어서, 비시험 및 시험용 교신신호를 방해하지 않으며 상응하는 방해신호를 형성하는 방해인젝터(5)에 제어신호(C)를 송신하는 제어송신기(3)와 제어신호(C)에 의해 방해신호를 발생하며 최소한 한개의 표적 시험용 수신기(2)에 방해신호를 가하여 표적 시험용 수신기(2)에서 수신되는 최소한 시험용 교신신호(S)를 방해하도록 하는 최소한 한개의 표적 시험용 수신기(2)와 작동에 있어서 관련을 가진 방해 인젝터(5)로 방해 시뮬레이션 계통을 구성하여 시험용 교신신호(S)만 방해하도록 한 방해 송신 시뮬레이션 장치.
KR1019810002775A 1981-07-30 1981-07-30 방해 송신 시뮬레이션 장치 KR850000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775A KR850000941B1 (ko) 1981-07-30 1981-07-30 방해 송신 시뮬레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775A KR850000941B1 (ko) 1981-07-30 1981-07-30 방해 송신 시뮬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006A KR830007006A (ko) 1983-10-12
KR850000941B1 true KR850000941B1 (ko) 1985-06-28

Family

ID=1922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775A KR850000941B1 (ko) 1981-07-30 1981-07-30 방해 송신 시뮬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9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006A (ko) 198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7214A (en) Apparatus for simulating interference transmissions
US5719579A (en) Virtual noise radar waveform for reduced radar detectability
US4969819A (en) ECM simulator for missile fire control system vulnerability studies
US3792475A (en) Radar target simulator
Morong et al. Study of the GNSS jamming in real environment
US5047782A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targets for a radar receiver utilizing an optical link
WO2000078063A2 (en) Apparatus for testing mobile phones
KR101762395B1 (ko) 광대역 능동형 재밍 장치
KR850000941B1 (ko) 방해 송신 시뮬레이션 장치
US5436973A (en) Pseudo-random signal synthesizer with smooth, flat power spectrum
US4397034A (en) Low probability of intercept transmitting apparatus
US4435710A (en) System for obscuring antenna sidelobe signals
KR960014674B1 (ko) 이동통신용 페이더(Fader) 내장형 무선 채널 시뮬레이터 장치
US3452354A (en) Expanded conical and navigational scan simulator
KR100248064B1 (ko) 안테나 빔 패턴이 고려된 시험장치를 구비한 레이다 시스템
KR101270458B1 (ko) 위성통신 고주파신호의 품질 검증을 위한 전달경로 모사장치
Maenpa et al. New Interference Rejection Technology from Leica
RU1841355C (ru) Способ маскировки излучения радиоэлектронных систем
Lockwood Side band and harmonic radiation from topside sounders
JP3013277B2 (ja) 移動通信用1周波数交互通信方式における伝搬路模擬装置
KR960014673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용 알에프(rf) 링크 시뮬레이션 장치
Okuyucu Effects of Jamming on radars
Kraemer EMC analysis of collocated UHF frequency hopping systems employ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KR10032627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제거 장치
CN108562915A (zh) 一种gps压制式干扰方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