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355B1 - 변환기 소자용 온도보상회로 - Google Patents

변환기 소자용 온도보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355B1
KR850000355B1 KR1019810002947A KR810002947A KR850000355B1 KR 850000355 B1 KR850000355 B1 KR 850000355B1 KR 1019810002947 A KR1019810002947 A KR 1019810002947A KR 810002947 A KR810002947 A KR 810002947A KR 850000355 B1 KR850000355 B1 KR 850000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urrent
output
ladd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687A (ko
Inventor
애슬리 반 더 해브 레오나르드
Original Assignee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엘든 에이취. 루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엘든 에이취. 루더 filed Critical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1981000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355B1/ko
Publication of KR83000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4Means for compensating for effects of changes of temperature, i.e. other than electric compen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ication And Recording Devices For Special Purposes And Tariff Metering Device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변환기 소자용 온도보상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전기적 회로도.
제2도는 온도보상이 없을때, 감지기의 온도함수와 같은 변환기 시스템 출력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변환기 시스템의 신호발생기에 대하여 입력과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 회로의 온도 보상된 출력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변환기 장치에 대한 온도보상, 특히 변환기 감지기 소자의 변형특성의 온도 의존성에 대한 전기적인 보상에 관한 것이다.
차동압력 송신기들과 같은 많은 종류의 변환기 장치에 대하여, 자체의 압력측정이 온도에 의존하지 않도록 온도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어떠한 종류의 차동압력 변환기에 있어서, 금속격막은 압력차가 있는 두개의 실사이에 봉합된다. "E코어(core)"와 같은 전기 코일은 각 실내에 있는 격막의 둘중의 어느 한면에 위치된다. E코어 은 브리지(bridge)에 가지(branch)를 형성하여 전압신호 발생기에 의해서 여기된다. 격막에 작용하는 압력차는 격막을 변위시키며 이러한 변위는 E코어들의 자기결합을 변화시킨다. 격막변위는 자기저항의 변화로서 변환기 시스템에 의해서 감지되며, 브리지를 통하여 압력차로서 표명되거나 기록될 수도 있다.
격막변위는 변환기 장치실 사이의 압력차에 이상적으로 비례한다. 그러나 격막의 응력 및 변형관계는 온도에 의존한다. 즉 주어진 압력차는 격막의 온도에 의존하는 차이값만큼 격막을 변위시킬 것이다. 만일 높은 정도의 변환기 정확도가 요구돤다면 격막의 이러한 재질 특성은 보상되거나 고려되어야만 한다.
특히 핵 발전설비에 사용될 때, 차동압력변환기들은 약 40℉내지 250℉의 온도범위에 대하여 ±1%정도의 정확도를 가져야만 한다. 이러한 종류의 정확도는 통용되는 상업적 변환기로서는 얻어질 수 없다. 비록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변환기들이 전기회로 자체내에 즉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내에 발생하는 온도영향을 보상할 수 있을지라도 이전에는 감지기 자체의 재질 특성의 온도의존성을 특별히 보상하기 위한 어떤 만족할만한 방법이 없다고 믿어져 왔다.
본 발명은 차동압력 변환기내의 격막의 변형특성과 같은 감지기 소자의 온도의존성이 감지기 소자의 온도 의존성과 역으로 변하는 출력전압을 가진 보상회로를 제공하므로써 특별히 처리되도록 종전기술의 변환기를 개선하는 것이다.
보상회로는 4개의 기본 부분 즉 감지기 온도에 비례하는 출력을 가진 전류원과, 정전압원과, 노오튼(Norton)분할기와 연산증폭기를 포함한다.
노오튼 분할기의 한 가지는 온도에 의존하는 공급원로부터의 전류 증가만큼 예정된 비율로 증가하는 출력전류를 가진 변화성 도전 래더(variable conductance ladder)이다. 예정된 비율은 변환기 감지기의 온도의존특성에 근거된다. 노오튼 분할기의 두가지는 연산증폭기의 입력에 접속된다. 연산증폭기는 전압원의 기준전압과 변화성 도전래더의 출력전압간의 차인 보상회로의 출력을 제공한다. 전류원이 증가할 때, 증폭기의 출력전압은 증폭기의 출력전압이 감소되므로써 출력전압의 온도의존성은 감지기 변형특성의 온도의존성에 역으로 근접하게 된다.
본 발명은 공지된 보상된 변환기들을 이용하지 않는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가장 중요하게, 감지기 소자 자체의 온도의존성은 변화성 도전래더내에 충분한 수의 연속 도전 통로들을 제공하므로써 필요한 만큼의 정확도가 얻어질 수 있게 되는 구간직선 선분에 인해서 처리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래더는 다이오드 및 저항들로 구성되며 그들의 동작에 있어서 극히 정확하다. 이것은 핵발전설비에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온도범위에 대하여 ±1%의 정확도를 제공할 수 없는 온도계 및 저항온도장치(RTD'S)와 같은 종전기술에 사용된 온도보상 장치와는 정반대이다. 다른 상태의 변환기 장치와 함께 사용될 때,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정확도를 허여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만들어진 구역 조절로서 동일 특성으로 제조된 변화기들 사이의 미소 변화들에 손쉽게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프로그램 가능한 저항이 변화성 도전래더로부터의 고정전류량을 제거하도록 제공되므로써 회로는 어떤 기준온도에서의 공지된 출력전압을 제공하도록 조절된다. 또한 제 2 프로그램 가능한 저항은 래더에 의해서 제공된 구간직선선분의 이득조절을 목적으로 증폭기 출력과 변화성 도전 래더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이러한 조절은 변환기로부터 변환기로의 미소하게 변화하는 격막두께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하다.
제1도 격막(도시되지 않았음)과 같은 감지기 소자 양단의 압력차를 측정하기 위하여, E코어와 같은코일(12)을 가진 자기저항 브리지(10)를 포함한 변환기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이 브리지는 브리지(10)를 AC 여기시키는 신호발생기(14)에 의해서 작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용으로서의 이러한 브리지 및 신호발생기 또는 이와 등가장치들은 몇개의 종전기술 참조, 즉, 미합중국 특허3,995,493의 차동압력변환기 및 4,011,758의 마그니토스트릭티브 압력변환기에 충분히 설명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는 이것을 참조한다. 종전 기술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브리지에 대한 신호발생기로부터의 AC 출력전압신호는 감지기 온도에 무관한 진폭을 갖는다.
또한 제2도를 참조하면, 감지기 온도함수와 같은 정규화 브리지 출력(18)이 제 2도에 도시된다. 40℉내지 250℉의 온도범위에 걸쳐서, 브리지출력(18)은 감지기 격막 양단에 인가된 동일 차동압력에 대하여 50% 정도 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온도범위의 변환기 정확도가 수 퍼센트내에서 유지된다면 이러한 온도 영향은 정확하게 보상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변환기 출력신호(18)보다는 오히려 변환기 활성 또는 여기 신호내에서 온도보상이 이루어지도록 본 발명은 신호발생기(14)의 AC출력을 변조한다. 실제에 있어서 신호발생기의 AC출력진폭이 감지기의 온도에 따라 감소되므로써 활성전압은 감지기내의 재질의 온도의존성에 역으로 변화한다.
제3도는 감지기의 온도함수와 같은 발명회로의 출력전압(VT)을 도시한 것이며, 보상회로의 출력(VT)은 변환기 시스템의 신호발생기(14)의 입력이다. 주어진 온도에서 두개의 정규화 곡선들의 적(積)은 1.00이며, 실제에 있어서 정규화 브리지 출력신호(18)로부터의 온도의존성을 제거함을 제2도와 제3도를 비교하므로써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브리지 출력은 40℉내지 250℉의 어떤 주어진 온도에서 동일 압력차와 동일하게 될 것이다.
비록 제2도내에 도시된 정규화 브리지 출력이 T1, T2, T3, T4를 통하여 온도의 완만한 변위를 가진 완만한 곡선일지라도 제3도내에 도시된 보상곡선은 T1, T2, T3, T4사이에서 구간 직선선분이 된다. 감지기의 고유온도 의존성을 보상하는데 필요한 구간직선 선분의 수는 감지기의 온도의존성의 곡률 및 필요한 정확도의 정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제2도내에 표현된 감지기의 작용에 대하여, 3개의 구간직선선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구간보상을 제공하는 변화성 도전래더의 다리수는 설계자의 판단 및 필요한 정확도에 기인할 것이라는 것이 인지되어야만 한다.
제1도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상회로(16)의 출력이며, 신호발생기(14)의 입력인 온도보상된 전압(VT)이 도시되어진다. 본 발명의 보상회로(16)의 출력과 연관하여 설명될 전압들은 변환기 시스템의 신호발생기(14) 및 브리지 부분(10)에 공통으로 관련한다. 보상회로는 감지기 소자(도시되지 않았음)와 실제적으로 동일한 온도에서 유지되며 온도에 대하여 선형성인 출력(I0)를 갖는 전류원(26)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내쇼날 반도체 회사제품인 LM-134 또는 아나로그 부품 회사제품인 파트 AD-590과 같이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류원(26)은 감지기 소자에 가능한한 가까이 위치되는 것이 좋다. 적합한 전류원은 온도변화 °K당 전류변화 마이크로 암페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선택된 5내지 10볼트 범위내에서, 전압원(20)은 교정온도에서 전류원의 베이스 또는 기준출력에 대응하는 베이스 또는 기준전압을 제공한다. 40℉에서 그리고 약 278마이크로 암페어의 근원전류에 대응하여, 출력전압(VT)이 근원 전압(V0)과 정확하게 동등하도록 회로가 초기 조절된다. 이것은 교정온도에서의 V0와 VT가 프로그램 기능한 저항(P1)을 제공하므로써 또는 저항(R7)을 적당히 선정하므로써 행해진다.
저항(R1)은 저항성 다이오드 매트릭스(R2), (R3), (R4), (R5) 및 (D1), (D2), (D3)의 형태로 예시된 변화성 도전 래더(24)와 접속되어 노드(22)에서 노오튼 분할기 형태로 된다. R1은 전압원(20) 및 연산 증폭기(A1)의 정극성 입력에 접속되며, 래더는 증폭기의 부입력에 접속된다.
연산 증폭기(A1)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한다.
VT= V0- I1× (R6+P2)
여기서 R6및 P2는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I1은 변화성 도전 래더(24)를 거쳐 통과하는 소량의 전류이다.
교정온도, 즉 40℉에서 VT-V0, I0는 R1및 R2를 통과하며 R7및 P1조절에 의해서 I1=0이 된다. 전류원과 감지기의 온도가 증가할때, 전류의 증가량은 저항(R2)을 통하여 흐르며 일정한 소량의 전류(I0)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연산증폭기의 규칙에 따라, I1이 증가할때 증가전압이 V0로부터 감하여지게 되므로써 보상회로 출력전압 VT는 I0가 증가할때 감소한다.
제1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VT는 40℉와 150℉ 사이에서 일정기울기를 갖는다. R2양단의 전압이 약 0.7 볼트 증가할때, 다이오드(D1)는 도통되며 저항(R3)이 회로에 보태진다. I0가 계속 증가할때, VTT2와 T3점들 사이의 표현된 선형 관계에 따른다. 이와 동등하게, D2양단의 전압이 약 0.7 볼트에 이를때, 저항(R4)은 동작상태로 들어가며, 감지기 재질의 온도작용이 만족되게 설계하기 위해 래더의 많은 다리가 필요한 바와 같이 결과가 계속된다. 그러므로 변화성 도전 래더(24)는 전류원(26)으로부터의 중가전류(I0)와 연관한 구간직선 선분인 전류 출력을 갖는다. 제2도로부터 설계자에 알려진 정보에 근거하여 구간직선선분은 래더에 계획된다. 이러한 정보는 보상되지 않은 변환기 시스템(10), (14)에서의 측정으로부터 이상적으로 얻어질뿐만 아니라, 특정 감지기재질의 재질 특성의 공표된 데이타로부터 만족할만하게 확정된다.
통상적인 핵발전 설비에는 일반적으로 수많은 이상적인 차동압력 변환기들이 필요하다는 것이 인지된다. 각 변환기의 가능한 균일한 온도보상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손쉬운 조절을 허여하므로써 각 변환기는 다른 변환기들과 동일한 기준상태를 갖도록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서 , 모든 보상회로(16)는 40℉에서 동일 출력전압을 제공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는, 각 보상회로(16)가 적용되므로써 기준상태에서 가가 보상회로의 출력은 신호원(14)의 규정 AC출력전압과 정합될 것이다. 실상, 기준상태 즉, 40℉에서의 출력 전압(VT)이 변환성 도전 래더(24)에 접속된 제 1프로그램 가능한 저항 P1에 의해서 높혀지거나 낮추어질 수 있다. P1은 전류원(I0)의 세기에 무관한 래더로부터의 고정 전류량을 제거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차동전류원(26)에 대하여 40℉ 에서 생성된 전류량의 개별적 차이는 40℉에서 각 보상회로내의 동일 출력전압(VT)을 제공하도록 오프셋(offset)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부터 가능한 다른 조절은 제 3도내에 도시된 구간직선선분의 기울기의 이득조절이다. 변환기 시스템들의 선적은 동일특성의 격막두께를 가지나, 실행에 있어서, 변화들이 발생함이 인지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변화들은 보상회로출력(VT)과 변화성 도전 래더(24) 사이에 접속된 제 2 프로그램 가능한 저항(P2)에 의해서 처리되므로써 증폭기 신호는 제 2 프로그램 가능한 저항 (P2)를 통하여 궤환된다. 이러한 조절은 제3도 내에 도시된 각 기울기들이 상수 인자에 의해서 조절되는 비율 조절이다.
제2도는 신호 발생기(14)에 입력되는 정전압원으로서 40℉에서 250℉의 온도범위에 걸친 감지기 온도의 함수로서 정규화된 브리지출력(18)을 나타낸다. 신호발생기(14)에 대한 정전압입력에 대하여, 정규화된 브리지출력은 온도에 따라 비선형으로 증가함을 제 2도로부터 알 수 있다. 이 정규화된 브리지출력의 비선형 증가는 본 발명이 보상하고자 하는 감지기 온도의 함수이다. 본 발명은 압력변환 감지기의 변형특성에 기인한 온도를 보상하기 위하여 압력변환 감지기의 온도에 대한 함수로서 신호발생기(14)의 입력전압(VT)을 비선형으로 감소시킴에 의하여 압력변환 감지기의 변형특성에 기인한 온도을 보상한다. 본 발명은 정전압원(20)에 의하여 온도보상을 성취한다. 정전압원은 전압 V0로서 연산증폭기(A1)에 비반전 입력을 제공한다. 압력변환 감지기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지기 소자의 온도와 실제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전류원(26)의 전류(I0)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감지기 소자 온도의 증가에 비하여 감소하는 보상된 전압(VT)을 산출해내는 연산증폭기(A1)에 의해 항증가전압이 감산된다.
온도의존 전류원(26)의 전류(I0)는 노드(22)에서 분할되어 두개의 가지로 통하게 된다. 제 1가지는 저항(R1)으로 되어 있다. 연산증폭기(A1)는 입력임피던스가 매우 높으며 저항(R1)을 통하는 전류원(26)의 전류는 전혀 입력되지 않는다. 전류원(26)의 전류가 통하는 제 2가지는 변화성 도전 래더(24), 저항(R7)과 프로그램 가능한 저항(P1)으로 되어 있다. 노드(22)를 통하여 변화성 도전 래더(24)로 들어가는 전류원(26)의 전류부분은 연산증폭기(A1)의 반전 입력단자에서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신호발생기(14)에 인가되는 온도보상전압(VT)을 발생시키는 연산증폭기(A1)에 의해 전압원(20)의 V0에서 감산되는 전압이다. 변화성 도전 래더(24)를 통하는 전류(I0)의 부분은 처음에 저항(R2)을 통하며 프로그램 가능한 저항(P1)을 통과한다. 연산증폭기(A1)가 고입력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연산증폭기(A1)는 반전 입력단자에 어떠한 전류도 들여보내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변화성 도전 래더(24)의 각 가지에서 그 가지에 전류흐름을 개통시키기 위한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강하를 극복하므로서 해결하는 것이며, 그 가지에서 전류흐름을 종결하기 위하여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강하를 극복하여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전류원(26)의 전류(I0)는 노드(22)에서 전류분로회로망에 인가된다. 노드(22)에 입력되는 전류의 한 부분은 변화성 도전 래더(24)를 통하는 전류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저항(R1)을 통한다. 교정온도 다이오드(D1), (D2), (D3)는 부도체이다. 프로그램 가능한 저항(P1)은 전류(I0)가 0이 되도록 조절한다. 압력변환 감지기와 전류원(26)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류원(26)의 출력전류(I0)가 증가한다. 저항(R2)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증가량은 저항(R2)양단의 전압을 증가시킨다. 저항(R2)양단의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다이오드(D1)의 순방향 전압강하(약 0.7볼트)를 극복하기에 충분한 크기가 된다. 다이오드(D1)가 노드(22)로부터 저항(R3)으로 가는 전류를 도통시키면 다이오드(D1)와 저항(R3)으로 구성된 변화성 도전래더(24)가 회로의 활성영역으로 된다. 저항(R2), (R3)이 병렬이므로 노드(22)와 연산증폭기(A1)의 반전입력단자 사이의 합계저항은 감소된다. 변화성 도전 래더의 저항이 감소하면, 연산증폭기(A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전압원(20)이 전압(V0)에서 많은 전압이 감산되며 그 결과로 연산증폭기(A1)의 출력전압, 즉 신호발생기(14)에 인가되는 전압(VT)이 감소된다. 압력변환 감지기와 전류원(26)의 온도가 계속하여 증가하면, 전류원(26)의 출력전류(I0)는 계속하여 증가하여 전류가 노드(22)를 통하여 변화성 도전 래더(24)에 흐르게 되며 따라서 저항 (R3)의 양단에 전압이 발생되며 다이오드(D2)의 순방향 전압강하를 초과하게 되고 그래서 다이오드(D2), 저항(R4)으로 이루어진 변화성 도전 래더(24)가 회로의 활성부분에 보태어진다. 동시에, 변화성 도전 래더(24)의 저항이 감소하며 연산증폭기 (A1)의 반전입력 단자에 전압이 증가하고, 이에 의하여 연산증폭기(A1)의 출력전압(VT)이 더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온도변환 감지기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센서물질의 온도특성을 만족하게 설계하는 데에 더 많은 변화성 도전 래더(24)의 가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변화성 도전 래더(24)의 가지수는 필요한 정확도와 감지기의 온도의존 곡선에 의해 결정된다. 압력변환 감지기의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압력변환소자의 감소온도와 실제적으 로동일하게 유지되는 전류원(24)의 출력전류(26)가 감소한다. 변화성 도전 래더(I0)의 가지는 연속적으로 도전 전류를 중지시키며 따라서 변화성 도전 래더(24)의 활성영역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것은 변화성 도전 래더(24)의 저항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하여 연산증폭기(A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서의 전압을 감소시키며 차례로 연산증폭기(A1)의 출력전압(VT)을 증가시킨다. 예를들어, 다이오드(D1), (D2)가 도전되면, 압력변환 감지기와 전류원(26)의 온도가 감소하고 전류(I0)가 감소하며, 따라서 이에 의해 노드(22)를 통하여 변화성 도전 래더(24)에 입력되는 전류가 감소한다. 결국은, 저항(R3)양단의 전압이 다이오드(D2)의 순방향 전압 강하보다 적게되어 다이오드(D2)가 비도전상태로 되게 한다. 변화성도전 래더(24)의 활성영역이 축소되어 다이오드(D1)와 저항(R2), (R3)만 남게 된다. 압력변환 감지기와 전류원(26)의 온도가 계속하여 감소하여 측정온도에 접근하게 되면 저항(R2)양단의 전압강하가 다이오드(D1)양단의 순방향 전압강하보다 적어지므로 다이오드(D1)가 비도전상태가 된다. 다이오드(D1)가 도전상태에서 비도전상태로 됨에 따라 변화성 도전 래더(24)의 저항(R2), (R3)이 병렬상태에서 저항(R2)만으로 되어 전체 저항이 증가한다. 동시에, 저항(R2)이 저항(R2), (R3)의 병렬결합보다 커지므로 연산증폭기(A1)의 반전입력 단자에 나타나는 전압이 감소한다. 연산증폭기(A1)의 반전입력단자에서의 전압이 감소하면, 연산증폭기(A1)의 출력전압(VT)이 증가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압력변환 감지기의 온도와 실제적으로 동일한 온도로 유지되는 전류원(26)의 전류(I0)가 증가하거나 감소함에 따라 구간직선 선분으로 변하는 출력전류를 갖는 변화성 도전 래더(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변화성 도전 래더(24)는 증가하는 감지기온도에서 래더내의 각 다이오드를 도전상태로 하기 위하여 각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강하를 극복하는데 의존하며, 압력변환 감지기의 온도강하에서 각 다이오드를 도전상태에서 비도전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각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강하를 극복하는데 의존하지 않는다. 세개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변화성 도전 래더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VT)은 제2도의 온도보상이 없을 경우 압력감지기 온도와 동일한 범위로 제3도에 도시된다. 전압(VT)은 압력변환 감지기의 변형특성에 의존하는 비선형온도를 보상하기 위하여 신호발생기(14)의 입력에 인가된다. VT가 신호발생기(14)에 인가되면, 릴럭턴스 브리지(10)의 브리지 출력이 설계된 변화성 도전 래더 (24)의 전 온도범위에 대하여 선형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압(VT)이 감소하면 압력변환 감지기의 온도가 증가하고 신호발생기(14)에 인가되는 전압(VT)의 크기가 감소하여 압력변환기의 변형특성에 기인하는 온도를 보상한다. 이것은 제2도와 제3도로부터 알 수 있으며 주어진 온도에서 보상되지 않은 압력변환 감지기의 수직눈금 크기와 동일한 감지기 온도에서 정상화된 온도보상된 전압(VT)을 곱하면 결과적으로 거의 1이 얻어지며 다수의 구간직선선분의 근사값을 포함하도록 설계된 변화성 도전 래더(24)의 정확도내에 있게 된다. 그리하여 온도보상 되지 않은 압력변환기의 변형특성에 기인하는 온도를 기록하고, 소정의 정확도를 얻기 위하여 감지기에 종속되는 고유온도를 보상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간직선선분의 근사값의 수를 결정하며, 변화성 도전 래더(24)는 압력감지기의 변형특성에 의존하는 온도를 보상하기 위해 설계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금속격막의 응력 / 변형 관계의 온도의존성 전기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사용된 어떤 시스템에 있어서 후크의 법칙 또는 아나로그는 필요한 측정의 기초를 형성하는 재질특성이나, 온도변화성에 대한 보상이 필요하다. 양호한 실시예에 공지된 회로장치에 대하여 특정값을 제공하는 또는 증가회로를 구성하는 세부항목은 이러한 기술에 숙달된 사람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이와 동등하게, DC신호발생기가 사용될 수도 있는 또한 변환기 시스템의 입력보다는 출력을 변조시키는 저항성 변환기 시스템에 본 발명의 활용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1)

  1. 변환기 시스템 내에서 감지기 소자의 온도 의존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신호발생기가 감지기 소자를 활성화 시키고, 보상회로(16)가 감지기 소자의 온도와 실제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전류원(26)을 가지고 그의 출력은 온도와 선형이며, 온도무관기준 전압원(20)을 구비하고, 변화성 도전 래더(24)가 상기 전류원(26)의 부분출력전류를 갖는 노튼분할기의 한가지에 연결되며 출력전류는 상기 전류원(26)의 증가전류와 구간직선선형관계에 있는 변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연산증폭기(A1)가 변화성 도전 래더(24)와 온도무관기준 전압원(20) 사이에 연결되고 변화성 도전 래더(24)를 통과하는 부분전류에 비례하는 전압과 기준전압(20)과의 차를 나타내는 출력을 가지며, 제 1 저항(R7)이 변화성 도전 래더(24)에 접속되어 전류원(26)에 무관한 변화성 도전 래더(24)의 고정 전류량을 제거하며, 제 2 저항(R6)이 연산증폭기(A1)의 출력과 변화성 도전 래더(24) 사이에 접속됨에 의하여 연산증폭기(A1)의 출력이 제 2 저항(R6)을 통하여 궤환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기 소자용 온도보상회로.
KR1019810002947A 1981-08-13 1981-08-13 변환기 소자용 온도보상회로 KR850000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947A KR850000355B1 (ko) 1981-08-13 1981-08-13 변환기 소자용 온도보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947A KR850000355B1 (ko) 1981-08-13 1981-08-13 변환기 소자용 온도보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687A KR830006687A (ko) 1983-10-06
KR850000355B1 true KR850000355B1 (ko) 1985-03-22

Family

ID=1922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947A KR850000355B1 (ko) 1981-08-13 1981-08-13 변환기 소자용 온도보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3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687A (ko) 198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8581A (en) Device for correcting the non-linear variation of a signal as a function of a measured magnitude
US4516865A (en) Resistance thermometer
US4169243A (en) Remote sensing apparatus
JPS6038619A (ja) 風量感知回路
US20070103174A1 (en) Direct current test apparatus
EP0392746A2 (en) Transducer temperature compensation circuit
US4408128A (en) Electric resistance type wide range moisture meter
US4556330A (en) Resistance thermometer and linearization circuitry
US4355537A (en)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transducer components
US4190796A (en) Pressure detecting apparatus having linear output characteristic
CA1044326A (en)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bridge circuit
US3943434A (en) Arrangement for measuring temperatures
US3906796A (en) Electronic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US3311826A (en) Measuring system standard utilizing amplifier with rectifier in negative feedback path to compensate rectifier forward voltage drop
EP0670502B1 (en) Electrical quantity measurement device
US6107861A (en) Circuit for self compensation of silicon strain gauge pressure transmitters
KR850000355B1 (ko) 변환기 소자용 온도보상회로
US4294116A (en) Temperature detecting circuit
US2976486A (en) Resistance comparator
US3416076A (en) Voltage regulating means for impedance bridge measuring circuits
US5096303A (en) Electronic circuit arrangement for temperature measurement based on a platinum resistor as a temperature sensing resistor
KR100202589B1 (ko) 온도측정장치 및 그의 온도보상방법
CA1150525A (en)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transducer components
US5488296A (en) Temperature compensated magnetically sensitive circuit
EP0667509A2 (de) Temperaturkompensation bei Massenstromsensoren nach dem Prinzip des Hitzdraht-Anemome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