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397Y1 - 기중 크램프 - Google Patents

기중 크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397Y1
KR840002397Y1 KR2019840000678U KR830000678U KR840002397Y1 KR 840002397 Y1 KR840002397 Y1 KR 840002397Y1 KR 2019840000678 U KR2019840000678 U KR 2019840000678U KR 830000678 U KR830000678 U KR 830000678U KR 840002397 Y1 KR840002397 Y1 KR 840002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pin
cam
plate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0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스 윌리암
Original Assignee
제이.씨.렌프로 앤드 썬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찰스 제이.랜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렌프로 앤드 썬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찰스 제이.랜프로 filed Critical 제이.씨.렌프로 앤드 썬스,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2019840000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397Y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중 크램프
제1도는 수동제작핸들이 폐쇄위치에 있는 본 고안 기중크램프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수중조작핸들이 개방되어 무는 캠턱을 개구상태로 유지하는 제1도와 유사도.
제3도는 가동성 원호형 캠턱과 측면확장 슬롯내에서 기중하려는 판이 전후로 흔들리는 상태를 도시한 제4도의 선 3-3단면도.
제4도는 크램프의 좌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역방향에서 취한 우측면도.
제6도는 제3도의 선 6-6단면도.
제7도는 제2도의 선 7-7단면도.
제8도는 제2도의 선 8단면도.
제9도는 보조공정핀에 의해 수동조작핸들이 고정되는 또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입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선 10-10단면도.
제11도는 보조고정핀이 필요없을때 이를 제거할 수 있는 또다른 예를 보여주는 상세도.
본 고안은 철판같은 물체를 들어올리는 프램프(clamp), 특히 크램프의 캔턱을 폐쇄위치로 유지시켜 주는 보조고정핀이 제공되어 있는 크램프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2,654,630호에는 기중하려는 물체를 넣을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된 크램프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슬롯의 외부 개구단부 근처의 각슬롯의 측면에 캠턱이 제공된다. 무는 턱이 보통 다른 고정된 턱에 대하여 개ㆍ폐위치사이를 이동한다. 이 가동성턱은 다수의 연결장치에 의해 빗장에 연결되어 작동한다. 크램프에는 한쌍의 간격진 면판이 형성되어 있다. 면판의 내측에는 면판의 외측에 위치한 핸들에 의해 작동하는 선회가능한 연결판이 장착되어 있다. 높은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의 작용으로 연결판이 빗장과 가동성 턱사이를 연결시켜 준다. 수동조작핸들을 폐쇄위치로 회전시키면 스프링은 가동성턱에 강한 무는 힘을 가한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스프링은 연결판의 편심된 핀에 연결되어 보통축에 대해 경사진위치인 핸들쪽으로 기울게 한다. 이것이 핸들의 작동을 어렵게 한다.
어떤 크램프는 기중하려는 물체가 크램프슬롯의 내부에서 전후로 흔들리는 것이 가능하여 슬롯에서 기어(walk out)나가게 된다. 또한 크램프를 사용하여 철판을 운반할 때 조작핸들이 어떤 물체에 부딪혀, 개구위치로 핸들이 이동할 위험이 있으며 따라서 철판이 크램프로 부터 낙하되는 위험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한쌍의 간격진 면판으로 형성된 크램프체를 포함하는 기중크램프에 관한 것이다. 몸체에는 기중하려는 물체가 삽입될 슬롯이 있는데 이것은 그 개구 외측단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옆으로 확장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 원호형인 한쌍의 대향하는 캠턱은 슬롯의 각 대향하는 면에 장치되어 있다. 빗장은 크램프체내에서 안내되어 수직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으며 개ㆍ폐위치에서 가동성인 대캠턱에 연결된 빗장에 의해 물체가 기중된다.
크램프체의 외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수동조작핸들의 고정장치인 탄성스프링에 의해 수동조작 핸들을 상향으로 회전시키면 캠턱이 폐쇄위치로 고정되며, 그 핸들을 역회전시켜 스프링을 이완시키면 캠턱이 개구위치로 이동된다. 수동조작핸들에는 핸들의 폐쇄위치로 부터의 불의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빗장을 거는 보조고정핀이 설치된다. 이 보조고정핀의 스프링에 의해 수동조작핸들이 폐쇄위치에서 더욱 안전하게 유지된다. 보조고정핀은 수동조작핸들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으로 조작된다. 또한 보조고정핀이 불필요한 경우 수동조작핸들을 거는 위치로 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1목적은 렌포의 미국특허 제2,654,630호의 일반형태의 기중크램프를 개량한 것으로 쉽게 작동하는 고정장치가 형성되어 있고 슬롯의 개구단부로 부터 내측으로 가면서 폭이 확장된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슬롯의 개구단부위치의 양 대향면에 원호형가동성 캠턱장치된 기중크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쉽게 장치할 수 있으며 뜻하지 않는 고정장치의 해리를 예방하는 보조고정핀이 설피된 개량된 크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장치에 의해 수동조작 핸들을 고정시킨 폐쇄위치에서 그 핸들이 조작되지 못하게 하는 보조고정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점은 하기의 도면과의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크램프(10)는 캠턱이 판(P)과 같은 기중하려는 물체를 무는 폐쇄위치에서 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보조고정핀에 의해 수동조작핸들이 결려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도는 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보조고정핀에 의해 수동조작핸들이 걸려있지 않는 개방상태의 크램프(10)을 도시하고 있다.
크램프(10)은 두개의 면판(11)과 (12)로 형성된다. 이것은 제4,5 및 6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한쌍의 면판(11)과 (12)는 한쌍의 연결볼트(14)와 (16)에 의해 적당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각각 볼트둘레에는 크램프체의 한쌍의 면판사이에 적당한 간격을 형성하여 주는 스페이서관(18)과 (20)이 제공된다. 이 볼트는 크램프의 상단에 위치하여 있는데 제3도에서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볼트(14)는 종래의 넛트(22)에 의해 고정되며, 따라서 면판사이는 주어진 간격으로 유지된다. 볼트(14)도 또한 제1,2도에서 처럼 재래식모형이다. 볼트(16)에도 종래의 넛트(24)가 체결되기도 하지만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판(12)에는 볼트(16)머리의 구멍이 볼트머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하게 제공되어 있다. 볼트(16)의 머리에는 넛트(24)를 고정밀착시켜 체결시키기 위한 알렌렌치 소켓(26)이 제공된다. 이와같은 볼트머리(16)의 돌출부는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제3도에서 도시한 바 면판(11)과 (12)사이는 교량부재(28)(30)에 의해 유지된다. 이 교량부재는 면판(11)의 내면과 면판(12)의 내면에 용접되어 크램프면판의 하단을 적당간격으로 유지시키며, 또한 소캠턱용 정지부를 제공한다. 다시 제3도에서, 교량부재(28)와 (30)의 결합은 이하 기술할 소캠턱의 회전이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부(32)를 제공한다. 한쌍의 캠턱은 면판(11)과 (12)사이에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성 원호형 대캠턱(34)은 팬(36)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 핀(36)은 면판(11)과 (12)에 형성된 구멍에서 돌출되어 있고 제4,5도에서 도시한 바 멈춤핀(38)에 의하여 크램프의 면판에서 느슨하게 고정된다.
제1,3도에서 도시한 바 대캠턱(34)은 원호형 물음면에 일련의 이빨(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이빨은 대캠턱(34)의 원호부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물음면의 원호형 구조와 함께 기중하려는 판(P)와 같은 물체에 바람직한 압력을 제공한다. 물음면의 이빨(40)은 원호형이 아니라 제1도에 도시한 것처럼 하단으로 부터의 어떤 곡선형이며 대캠턱(34)상의 물음면의 상단에서 보다 날카로운 곡선을 나타낸다. 이것은 턱이 판(P)과 같은 물체를 들어올리는데 하향운동으로 이빨(40)이 기중하려는 물체면을 보다 강하게 무는 이점이 있다.
기타 소캠턱(43)(42)은 슬롯(44)의 반대면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슬롯(44)은 기중하려는 물체를 무는 크램프의 면판에 형성되어 있다. 슬롯(44)은 확장슬롯부(46)에서 내면이 화대되어 있는 반면 슬롯(44)의 외단 근처에서의 입구는 좁다. 이러한 측면확장 슬롯부(46)는 기중하려는 판이나 물체가 크램프의 슬롯에서 "워크 아웃(wald out)"하게 되지 않도록 슬롯의 측면부가 확장되어 있어, 그 측면에 부딪치지 않고 기중하려는 판이 앞뒤로 흔들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판(P)와 같은 물체가 이렇게 흔들리는 것이 제3도에서 판의 상이한 두 위치로 예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실선 위치는 판의 왕복위치의 한 위치를 보여주며 점선은 판의 왕복위치의 반대방향 한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슬롯(44)의 한측면에 장착된 소캠턱(42)은 핀(48)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된다. 핀(48)은 대캠턱(34)을 지지하는 핀(36)과 같이 크램프의 면판(11)과 (12)에 형성된 구멍에 장착되어 있으며 멈춤핀(50)에 의해 이 위치에 유지된다. 대캠턱(34)처럼 소캠턱은 원호형 물음면상에 이빨(52)이 형성되어 있다. 소캠턱상(42)의 물음면의 이빨(52)은 제1도에서 도시한 것처럼 전주가 원호는 아니고 그 하단부에서는 곡선이 완만하다.
제3도에서 도시한 바, 소캠턱(42)의 상단 후부에는 각진부분(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진 부분(54)은 교량부재(28)과 (30)사이의 구석부(32)에 위치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 소캠턱(42)의 각진부분(54)의 크램프상의 주석부(32)에 대한 관계는 소캠턱(42)의 핀(48)에 의한 선회운동이 5도내로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제로, 가장 훌륭한 작업은 이빨과 물음면의 조화에서 나오는데 양캠턱(34)와 (42)는 턱외단 근처에서 반경이 큰 곡선이고 확장슬롯부(46)내의 상단에서 반경이 작은 곡선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크램프가 물체를 들어올리려는 위치에 있을때 소캠턱(42)은 기중하려는 물체의 반대면에 대해서 대캠턱(34)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하향으로 선회하는 경향이 있다. 이 하향선회로 캠턱은 약간 아래쪽으로 선회하여 대캠턱(42)상의 보다 작은 반경의 이빨(52)에 의해 기중물체의 표면이 보다 강하게 물린다.
호이스트 케이블단부에 설치된 종래의 기중후크를 수용하는 큰 구멍(62)을 지닌 빗장(60)이 면면(11)과 (12)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빗장(60)은 면판(11)과 (12)의 내면에 형성된 한쌍의 홈(64)에 의해 지지된다. 이들 홈(64)은 수직이며 빗장(60)하단의 핀(66)이 그 홈안에서 상하로 움직인다. 이 핀(66)은 빗장(6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64)내에서 대캠턱(34)에 의한 크램프 개폐운동에 따라 상하 왕복운동할 수 있다.
빗장(60)은 제4,6도에서 잘 도시된 한쌍의 연결판(68)에 의해 대캠턱(34)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연결판(68)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66)으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면판사이에서 아래로 형성되어 있어, 핀(70)에 의하여 대캠턱(34)의 이빨의 반대편단부에 연결된다. 그 연결판(68)은 면판 아래로 뻗어 나와 있으며, 핀(70)에 의하여 대캠턱(34)의 이빨이 반대편단부에 연결된다. 그 연결판(68)은 면판 아래로 뻗어 나와 있으며, 핀(70)에 의한 대캠턱(34)과의 연결부와 핀(66)을 통하여 빗장으로 부터 기중력을 전달한다. 빗장(60)은 홈(64)내 빗장(66)의 미끄럼운동에 의해 크램프내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수직통로에서의 핀(66)의 비회전운동은 홈내에 제한된다. 빗장(60)의 상단에 제공된 큰 구멍(62)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중연결부가 형성된다.
크램프가 수평위치에 있는 판에 장착되었을 때 구멍(62)에 기중력이 작용하여 빗장이 선회하게 되고 저 주로 작용하는 스페이서관(20)에 결속되여 홈(64)내에서 핀(66)을 상승시키게 되고 미국특허 제2,654,630호에 기재된 방법에서 대캠턱(34)에 폐쇄력을 가하게 된다. 어느 정도 전술한 구조물은 당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여러 위치에서 상이한 원호곡선을 지닌캠턱의 유일한 원호형상과 크램프면판(11)과 (12)의 양측에 제공된 횡적확장 구조로 보다 안전하게 물려진다. 소캠턱(42)의 제한된 선회운동은 교량부재(28)과 (30)에 의해 형성된 구석부(32)에 의하여 그 운동이 제한되며 이와 같이 개선된 크램프 작용으로 판(P)와 같은 기중물체가 확고하게 고정된다.
적어도 평면적인 연결판(68)중 하나에는 쇼울더(7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폴(74)는 면판(11)과 (12)사이의 기중크램프내에 핀(7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핀(76)은 기중크램프 작동기에 부착할 수 있는 면판(12)의 외피에 수동조작핸들(78)이 설치되어 있다. 수동조작 핸들(78)이 제2도에 도시한 위치로 움직일 때 돌출폴(74)는 한 연결판(68)의 쇼울더(72)에 접촉시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캠턱(34)을 개방위치로 유지시킨다. 그 위치에서 완전히 개구상태로 있게된 가동성 대캠턱(34)에 폐쇄력은 가해지지 않으며 쇼울더(72)에 접촉된 돌출폴(74)는 개구위치에서 크램프를 고정시킨다. 바람직한 것은 무거운 크램프에서는 돌출폴(74)이 연결판(68)의 양단에 접촉하도록 핀(76)의 각 단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돌출폴(74)의 핀(80)은 그 돌출폴(74)회전축인 핀(76)에 편심이며, 핀(76)에는 크램프의 외부의 수동조작핸들(78)이 고정된다. 탄성스프링(82)은 연결판(68)의 하단에 고정된 핀(84)과 핀(80)을 연결하고 있다.
핀(84)는 제5도에 도시한바대로 스프링(82)의 하단에 연결하기 위해 두 연결판(68)의 사이에 설치되게 된다.
클램프의 외부에 있는 수동조작 핸들(78)이 제2도의 위치에 있게되면 탄성스프링(82)은 이완된다. 이경우 크램프의 턱캠이 개구되며 돌출폴(74)는 크램프 캠턱을 개구상태로 하기 위하여 연결판(68)상의 쇼울더(72)와 연결된다. 탄성 스프링(82)는 제3도에서 처럼 핀(76)의 축에 대해 편심인 핀(80)과 연결판(68)에 고정된 핀(84)사이에서 탄성을 갖게 된다. 이 힘이 작용하면 제1,3도에서 처럼 스프링의 탄성은 대캠턱(34)을 폐쇄위치로 잡아당긴다. 이 위치에서 두개의 캠턱은 서로 마주향하여 움직이며 기중하려는 물체나 판은 캠턱사이에서 물려 기중되게 된다.
빗장(60)에 보다 큰 힘이 가해지면 연결판(68)을 통해서 이 힘은 더욱 두개의 캠턱을 이동시켜 확고히 물리게 한다. 두개의 캠턱상의 이빨(40)과 (52)과 함께 소캠턱(42)의 제한된 선회운동도 또한 두가지의 이점이 있다.
우선 전술한대로, 판(P)과 같은 기중하려는 물체의 중량에 대해 빗장(60)을 통해 크램프를 들어 올리려는 힘은 캠턱(34)와 (42)의 캠을 아래로 당기며 턱의 상단의 반경이 적은 원호에 의해 보다 탄탄하게 물려진다. 전술한대로 확장슬롯부(46)를 제공함에 따라 판이 선회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판이 슬롯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대로 이것은 제3도에 도시한 판의 선회위치에 의해 알 수 있다. 제한된 선회운동만이 가능하게 설치된 소캠턱의 갖는 또 다른 장점은 캠턱양단에 보다 커다란 이빨은 크램프의 사용기간동안 물음작용에 손상됨이 없이 사용된다. 그러나, 제한된 선회운동용의 소캠턱(42)으로서 이빨은 함께 맞물리도록 조정되어 크램프가 빈번하게 폐쇄위치로 물리게 될 때 양캠턱의 어느 한 이빨을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수동조작핸들(78)이 제1도에 도시한 위치로 회전될 때 본 고안의 특징은 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보조 고정핀에 의해 캠턱을 폐쇄위치로 회전시키는 수동조작 핸들들을 고정시킨다. 크램프의 캠턱이빨사이에 물린판(P)과 같은 물체를 기중할 때에 기중 크램프의 외부에 노출된 수동조작핸들(78)은 제1도에서의 폐쇄위치로 부터 제2도에서의 개구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캠턱사이의 물체의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하여 제2도에서의 위치로 수동조작핸들을 이동시킴에도 불구하고 캠턱이 폐쇄위치에 있게 되지만, 캠턱과 클램프에서 물체가 빠져나갈 위험성은 남아 있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고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 편향보조 고정핀은 클램프체와 수동조작핸들(78)을 연결시켜 제1도에서의 위치로 유지시킨다.
각각 이빨(40)과 (52)가 있는 원호형 표면을 지닌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캠턱(34)와 (42)은 기중하려는 물체를 잡기에 적당한 구형이나 반구형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제1,2도에서 도시한바, 돌출 폴(74)에서 핀(80)의 편심위치와 스프링에 대한 돌풀폴의 관계와 핀(84)의 연결판(68)의 하단부에의 연결은 제1,3도에서 도시한 스프링의 탄성이 수동조작핸들(78)을 슬리브부재에 연결될 돌출폴(74)의 폐쇄위치로 움직이게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동조작핸들(78)이 제1,3도에서 도시한 폐쇄위치로 부터 제2도에 도시한 개방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수동조작핸들에 힘을 가하여 핀(76)의 중심축을 건너가도록 해야 한다.
폐쇄위치에 수동조작핸들(78)을 고정시키는 스프링편향 보조고정핀의 구조와 위치에 대하여는 여러 다른 실시양태가 있다. 또 한 예로서 보조고정핀이 작동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클램프내에 멈춤쇠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다. 상승크램프의 몸체내에서 폴(74)의 운동을 조절하는 핀(76)에 장치된 수동조작핸들(78)의 구조에 있어서, 수동조작핸들(78)에 노치(86)가 제공되는데, 여기에 스프링편향 보조고정핀이 이 노치에 결합되어 수동조작핸들(78)을 제1도의 폐쇄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이 오치(86)에서 안쪽으로 핸들의 밑면에는 경사캠면(88)이 제공된다. 이 경사 캠면(88)은 수동조작핸들(78)이 폐쇄위치로 움직일 때 보조 고정핀을 내부로 이동시키고 스프링을 후진시킴으로써 전술한대로 보조고정핀이 노치(76)에 위치하게 되어 고정작용을 하게 한다. 이 경사 캠면(88)은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또 한예에서 스프링편향 보조고정핀은 면판(11)과 (12)사이에 제공된 분리포켓에 형성장착된다. 이에는 제2도의 선 8-8을 취한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또다른예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인데 여기서 보조고정핀은 면판(11)과 (12)를 연결시키는 볼트중 하나에 장치된다. 또 다른예는 제11도에 도시하였는데 보조고정핀을 작동하지 않는 멈춤쇠가 예시되었으며 보조고정핀을 내부로 가압하여 90도 회전시킴으로써 보조고정핀이 크램프체내에서 완전히 고정될 수 있어 보조고정핀이 불필요할 때 보이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보조고정핀의 단부는 다음 방법으로 작용한다.
제8도에 관해서, 각각의 슬리브(90)는 클램프의 면판(11)과 (12)사이의 공간부에 장착제공된다. 이 슬리브(90)에는 커버 즉 캡(92)이 제공되고 있다. 간격관(94)는 면판(11)과 (12)의 내면에 위치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면판을 유지시킨다. 한쌍의 스크류(96)는 간격관(94)를 통해 슬리브(90)속으로 나 있어 적당한 위치에서 슬리브를 고정시킨다. 링(98)은 슬리브(90)내에 장착되어 있고 몇개의 스크류(100)에 의해 고정된다. 축(104)에 의해 보조고정핀(102)은 슬리브(90)내에서 크램프면판(12)의 표면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조고정핀(102)의 외부단부는 수동조작핸들(78)의 노치(88)내에 결합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보조 고정핀(102)의 외부단부는 수동조작핸들(78)이 회전됨으로써 내부로 이동한다. 이 이동은 수동조작핸들(78)의 밑의 경사캠면(88)에 의해 달성된다. 보조고정핀(102)와 축(104)는 멈춤테(106)에 의해 슬리브(90)내에서 포켓밖으로 제거되거나 변위되지 않도록 유지된다. 이 멈춤테는 축(104)의 단부에서 홈에 결합되어 있으며 링(98)과 결속하여 보조고정핀(102)을 슬리브(90)내의 포켓에 유지되게 한다. 스프링(108)은 보조고정핀(102)의 내측에 작용하여 보조고정핀(102)을 슬리브(90)내에서 멈춤테(106)에 의해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채 외측으로 편향시킨다.
작동시 핀(76)의 축에 관한 수동조작핸들(78)의 선회운동으로 보조고정핀(102)의 노치(86)에 결합된다. 수동조작핸들(78)하면의 경사 캠면(88)은 보조고정핀(102)을 슬리브(90)내로 이동시켜 제8도에 도시한 1점쇄선 위치로 움직인다. 여기서 수동조작핸들(78)이 더 움직이면 그 핸들(78)내의 노치(86)내로 들어가 수동조작핸들을 폐쇄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스프링(108)에 의해 보조고정핀(102)이 돌출된다.
수동조작핸들을 개방시키기 위하여서는 단시 스프링(108)에 의해 보조고정핀(102)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수동조작하여 그 보조고정핀을 포켓속으로 눌러 넣기만하면 된다. 이때 수동조작핸들을 제2도에서 도시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8도에서 수동조작핸들(78)의 스프링 편향보조 고정핀(102)은 크램프를 구성하는 부품과는 별개인 분리포켓에 장치된다. 제10도에서 아주 유사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7도에 볼트(16)와 스페이서관(20)이 도시되어 있는데 그 볼트에는 보조고정핀을 설치하기 위한 포켓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7도에서 도시한 것에 비교할 수 있는 번호를 사용하면 볼트(116)과 스페이서관(120)는 너트(124)에 의해 유지되며, 이것은 볼트(16), 스페이서관(20)와 넛트(24)와 같은 방법으로 기중클램프의 면판상단의 기계적 연결부로 작용한다. 볼트(116)의 머리는 볼트(16)의 경우에서 처럼 경사진 구멍에 결합되게 형성되어 있다. 볼트(116)의 단부에는 크램프 문 몸체를 조립할 때 사용되는 스파나 렌치용 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제11도에서의 예는 제10도에서와 유사하다. 보조고정핀(202)은 제10도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면판(11)과 (12)의 연결장치의 부품을 형성하는 볼트내에 장치되어 있다. 유사하게 스페이서관이 판사이에 제공되고 볼트가 넛트에 의해 체결된다.
제10도와 다른 점은 보조고정핀(202)용의 포켓을 형성하는 구멍은 축(206)의 단부가 볼트를 통해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완전히 관통된다. 볼트(216)내의 보조고정핀(202)의 축(206)은 볼트내에서 완전히 돌출하였을 때 노출되는 색상있는 단부(204)를 가질 수 있으며 색상있는 단부(204)는 제11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반대편에 위치한다. 보조고정판(202)상의 축(206)에 설치된 멈춤쇠(208)는 축(206)내 구멍을 가로질러 옆으로 뻗은 핀의 형태이다.
보조고정핀(202)의 정상작동 위치에서 이 멈춤쇠(208)는 스프링(212)의 영향하에 링(210)에 걸리게 된다. 분활된 슬리브(214)는 축(206)주변에서 후방으로 형성되며 핀(202)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멈춤쇠(208)는 슬리브(214)내에서 왕복운동하며 따라서 보조고정핀(202)은 제11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이동한다. 보조고정핀(20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외단부에 제공된 스크류드라이버용 슬롯(218)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보조고정핀이 작동하지 않도록 분활된 슬리브(214)의 단부의 포켓속에 멈춤쇠(208)가 위치하게끔 보조고정핀(202)을 가압하면서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위치에서 멈춤쇠(208)에 의하여 볼트(216)에 형성된 포켓내에 보조고정핀(202)이 유지되어 작동하지 않게 되며, 스크류드라이버용 슬롯(218)을 통해 다시 보조고정핀(202)을 멈춤쇠(208)가 자유롭게 되는 제11도에 도시된 상태로 90도 회전시켜 작동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다면 소캠턱(42)의 제한된 선회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캠턱(42)의 제한된 선회운동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우수한 예들을 기술하였다. 그러나 청구범위에서 언급한 범위내에서 적당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Claims (1)

  1. 기중될 물체가 위치할 슬롯(44)이 한쌍의 간격진면판(11,12)에 형성된 크램프체(10)와, 그 슬롯의 양측에 설치되고 대캠턱(34)이 소캠턱(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기중될 물체를 무는 대향하는 한쌍의 턱(34,42)과 기중력에 의해 크램프체내에서 안내되어 상하운동을 하는 빗장(60)과 대캠턱(34)에 빗장(60)을 연결시키는 연결판(68)과 크램프체(10)외측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수동조작핸들(78)과, 상기 면판(11,12)사이에 수동조작핸들(78)의 고정장치로서 설치되는 스프링(82)으로 구성된 기중크램프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핸들(78)의 폐쇄위치로 부터의 예기치 못한 움직임에 대하여 그 수동조작핸들을 고정시키도록 보조고정핀(102)이 그 수동조작핸들(78)과 결속하게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과 같은 물체를 기중하는 기중크램프.
KR2019840000678U 1983-01-27 1983-01-27 기중 크램프 KR840002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678U KR840002397Y1 (ko) 1983-01-27 1983-01-27 기중 크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678U KR840002397Y1 (ko) 1983-01-27 1983-01-27 기중 크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397Y1 true KR840002397Y1 (ko) 1984-11-22

Family

ID=1922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0678U KR840002397Y1 (ko) 1983-01-27 1983-01-27 기중 크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3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6421A (en) Lifting clamp
US4541155A (en) Portable beam clamp
JPH0435096Y2 (ko)
KR830003326A (ko) 고정 죠오 커플러용 회전식 로크세트 기구
US5309796A (en) Ratchet wrench
KR840002397Y1 (ko) 기중 크램프
US4462581A (en) Vise with changeable gripping elements
US2949140A (en) Quick acting clamp
CA1312641C (en) Plate lifting clamp
JP2006312530A (ja) 吊上げ治具
US6453715B1 (en) Gripping device for straightening a car body
US6125514A (en) Safety clamp
US2707412A (en) Open-end ratcheting pipe wrench
US2594249A (en) Pivoted door supporting clamp
JPS5934619Y2 (ja) 油圧シヨベルのアタツチメント着脱装置
JPS6130637Y2 (ko)
JPS5817616Y2 (ja) 空気「ろ」過器の締付装置
GB2086547A (en) Halyard stopper
CN207682218U (zh) 一种适用于螺栓拆除的引线固定夹
JPS5848316Y2 (ja) 吊上用クランプ
JPS634611Y2 (ko)
US4807389A (en) Setting tool for animal traps
JPH045261Y2 (ko)
KR900011110Y1 (ko) 캐비넷문의 괘정장치(掛錠裝置)
US3747967A (en) Roll gate l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