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307Y1 - 낚시릴의 스냅고정된 자중버턴(Snap-in self-centering mechanism button) - Google Patents

낚시릴의 스냅고정된 자중버턴(Snap-in self-centering mechanism butt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307Y1
KR840002307Y1 KR2019840009624U KR840009624U KR840002307Y1 KR 840002307 Y1 KR840002307 Y1 KR 840002307Y1 KR 2019840009624 U KR2019840009624 U KR 2019840009624U KR 840009624 U KR840009624 U KR 840009624U KR 840002307 Y1 KR840002307 Y1 KR 840002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fishing
reel
arm
b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9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 키커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브런스윅 코오포레이션
떠블유 비. 브레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088,032 external-priority patent/US4373683A/en
Application filed by 브런스윅 코오포레이션, 떠블유 비. 브레머 filed Critical 브런스윅 코오포레이션
Priority to KR2019840009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릴의 스냅고정된 자중버턴(Snap-in self-centering mechanism button)
제1도는 본 고안을 지니는 회전형 낚시릴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단부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수용하기에 적당한 판의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제2도의 선 5-5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언더컷 부분을 도시하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제7도는 릴의 자중베일장치(self-centering bail machanism)가 작동되면 본 고안의 버턴의 일부분이 자중 베일장치의 일부분과 접촉하는 회전형 낚시릴의 측단면도.
제8도는 자중베일 장치가 풀어져서 비작동되는 제7도에 도시된 회전형 릴의 측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단부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제9도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에 도시된 본 고안을 수용하기에 적당한 판의 평면도.
제12도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
제13도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제12도의 선 13-13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 도시된 본 고안을 수용하기에 적당한 판의 평면도.
본 고안은 회전형 낚시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시릴의 베일을 가장 바람직한 낚시 던지는 위치에 반복적으로 놓이게 하는 장치를 작동시키고 비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낚시릴의 후방에 설치된 버턴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에서 회전형 낚시릴속에 역전방지 자중베일 장치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별한 형태의 장치는 약 20년전에 랭리 매뉴팩츄어링 캄파니에 의해서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며 낚시릴의 회전자 컵의 내부와 기어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었다. 랭리 회사의 장치는 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 낚싯군을 낚싯줄을 손으로 잡아야 하는 문제가 항상 있어서 낚싯군에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만약 필요한 자중 역전방지부가 낚시릴의 후방부로부터 작동되게 결합된다면 매우 유익하다는 것이 확실하다. 이에 따라서 대부분의 회전형 릴은 낚시릴의 후방으로부터 작동되는 역전방지 장치를 지니게 제조되었으나 자중 베일부를 지니지는 않았다. 대개 역전방지부를 작동시키는 장치는 릴의 후방부에 위치되어 우측에서 좌측으로 끼워지는 작은 축을 지니었으나 결코 우수한 장치는 못되었다.
1978년 8월 11일자 출원되어 현재는 포기된 제이 떠블유 퓨이어(J.W.Puryear)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932,848호에는 역전방지자중베일 장치를 작동시키는 편리한 버턴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퓨이어의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 낚시릴은 버턴을 전후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스프링 하중을 받는 버턴과 버턴헤드릴의 지지구에 의존한다. 버턴을 전후로 이동시키게 버턴을 누르면 버턴헤드는 이동을 어렵게하는 지지구위에 걸린다.
종래의 기술에서 알수 있듯이, 판형 스프링은 대개 지지구로서 사용되어 버턴에 스프링 인장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판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우기, 낚시릴을 청소하기 위해서 해체하면 버턴 스프링이 릴 하우징으로 부터 튀어나가 스프링의 크기가 작고 대부분의 주위 환경물과 잘 섞여져서 어딘가로 잃어버려져서 매우 당황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은 역전방지 자중베일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낚시릴의 기어 하우징 속의 후방에 위치되는 독립된 내부로 스프링부하를 받는 버턴을 지니는 회전형 낚시릴에 관한 것이다. 베일장치를 기어 하우징 속에 위치시켜서 이것을 작동시키는 버턴 장치가 낚싯줄의 통로를 벗어나 릴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역전방지 자중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낚시릴 하우징속에 위치되는 독립된 슬라이딩 버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장된 스프링 부하가 걸린 장치를 지니는 버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항상 스프링 장력하에 있는 간단한 슬라이딩 버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버턴을 수용하고 결합하는 형태의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낚시릴 용도 이외의 다른 많은 통로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결합되는 판을 지니는 간단한 슬라이딩 버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예정된 위치를 지니는 판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간단한 슬라이딩 버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긴 슬라이딩 가감 저항기(Rheosfat)와 같은 구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임의로 선택된 다수의 위치부를 지니는 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버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기타 목적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제1도에는 개방면을 지니는 형태의 낚시릴(1)이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릴(1)은 내부 기어케이스(28)를 지니는 하우징(10)과 릴을 회전형 낚싯대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설치대(11)에 하우징(10)을 연결시키는 스템(12)을 지닌다. 릴은 크랭크 핸들 축(41)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크랭크 조립체(40)를 지니며, 회전 가능한 감기 핸들(44)은 낚싯군이 그의 왼손으로 낚싯줄을 감기위해 사용되며 낚싯대(도시안됨)는 그의 오른손에 잡혀지게된다. 핸들(44)은 사용자의 개인적인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기어케이스(28)의 다른 측면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축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자 하우징(230)은 크랭크(40)가 낚싯줄을 감기위해 회전됨에 따라 낚싯줄(5)이 낚싯줄 로울러(272)위를 지나 베일(270)에 의해서 파지되도록 중심 스풀 축(300)의 축 주위에서 회전하게 설치되어 있다. 베일(270) 및 낚싯줄 로울러(272)는 회전자(230)와 함께 회전하며, 그에 따라 낚싯줄(5)은 스풀(290)위에 감겨진다. 나사(281)는 피봇트 점으로서 작동하며, 따라서 베일 아암(260) 및 (280)을 통하여 베일(270)의 회전 중심에 위치된다.
진동자장치(30)는 회전자(230)가 낚싯줄(5)을 스풀(290)에 감을때 스풀(290)이 축방향으로 앞뒤로 왕복운동하게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릴을 회전시킬때는 스풀(290)은 조절 가능한 제동장치(50)에 의해서 조절되어 허용될때를 제외하고는 중심축(300)의 축 주위로 회전하지 않는다. 스풀의 이러한 제한된 회전은 물고기가 낚싯줄(5)의 다른 단부에서 살기 위해서 물속에서 저항할때 낚싯줄을 감는 동안에 발생된다. 더우기, 제동마찰력은 낚싯줄의 인장력에 의해서 극복된다. 이것은 큰 물고기가 낚싯줄(5)의 단부에 있을때 내부 장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베일(270)이 낚시를 던지기 위해 개방위치로 회전하면, 낚싯줄(5)은 스풀(290)로부터 자유로이 풀려나간다.
릴의 전 장치에 있어서, 측면 덮개판(14)은 제동 포켓(13)을 지니는 기어 하우징(28)을 덮기 위해서 하우징(10)에 나사(17)로 고정된다. 구동기어 조립체(150)는 구동기어 축(154)위에 설치된 구동기어(153)를 지니며 한 단부는 캠 조립체(130)의 측면 립(136)속에 수용된다. 베어링 칼라(131)는 립(136)과 동축상으로 놓이고 캠(133)의 반대쪽 측면에 설치된다.
기어 조립체(150)와 캠 조립체(130)은 각기 내부 구멍을 지니며 크랭크 핸들(41)위에 동축상으로 설치되며 구동속(154)은 측면판 베어링(15)속에 바깥쪽에 설치되며 베어링 칼라(131)는 하우징(10)의 측면의 일부분이고 베어링(15)과 동축상으로 놓인 베어링(16)속에 설치된다(제1도에는 도시안됨). 진동자 슬라이드 요우크(140)는 캠 조립체(130)의 캠(133)을 둘러싸며 기어케이스(28)속에 베어링(16)근처에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리테이너 스크류(42)는 크랭크 핸들 축(41)을 릴(1)에 고정시킨다. 크랭크 조립체(40)는 쉽게 알 수 있듯이 릴(1)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릴(1)이 낚싯군의 왼손에 잡히고 오른손에 의해서 회전되게 반대로 놓일 수 있다.
피니온 조립체(60)는 전면(25)의 전방 구멍(29)속에 설치되고 리테이너(72)에 의해서 적소에서 지지되는 베어링(70)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자중 래치트(67)는 피니온 조립체(60)위에 기어케이스(28)속에 설치된다. 리테이너(72)의 전방에 스페이서 링(74) 및 트립 래버(triip lever)(76)가 피니온(60)위에 설치된다. 회전자(230)는 리테이너(76)의 전방에 피니온 조립체(60)위에 설치되고 와셔(61) 및 너트(62)에 의해서 그곳에 고정된다. 중심축(300)은 피니온 조립체 구멍(64)속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것에 지지되고 그 후방단(301)은 격벽(20)을 지나 제동조립체(50)속으로 연장한다. 스풀(290)은 축(300) 위에 설치되며 스풀 캠(292)에 의해서 그곳에 고정된다. 축(300)은 진동자 요우크 슬라이드(140)에 고정되며 크랭크 핸들 축(41)이 회전하면 회전자에 대해서 전후로 왕복이동한다.
피니온 조립체(60)의 후방에 설치된 피니온 기어(63)는 구동기어(153)와 결합되고 따라서 회전 가능하다. 피니온 조립체(60)는 회전자(230)가 스풀(290) 주위로 회전하게 한다. 진동자 캠 조립체(30)와 기어 구동 조립체(150)는 모두 크랭크 조립체(40)에 의해서 동시에 작동되며, 스풀(290)은 그 주위의 낚싯줄 로울러(272)의 회전 운동에 대해서 전후로 왕복운동하여 이러한 연합 운동에 의해서 낚싯줄(5)은 스풀(290)에 감긴다.
회전자(230), 축(300), 피니온 조립체(60) 및 제동조립체(50)의 축(2)은 크랭크 핸들 조립체(40), 캠조립체(30) 및 구동기어 조립체(150)의 축(3)에 거의 수직하다. 축(2)은 설치대(11) 근처의 축(3)위에 위치된다.
베일(270)은 통상 폐쇄 또는 감는 위치로 놓여있고 따라서, 로울러(272)는 낚싯줄(5)을 스풀(290)주위로 릴(1)에 대해 핸들(44)을 돌려서 감도록 작용한다. 베일(270)이 낚시를 던지는 위치 또는 개방위치에 놓이면, 베일(270)은 L형 베일 측부(231, 232)주위에서 피봇트되고 캠(261)과 트립램프(264)에 의해서 수용되는 트립레버(220)에 의해서 적소에 고정되며 베일 아암(260)의 하측면 위에 위치되는 표면은 측부(231)의 공간을 바라본다.
낚시를 던지는 위치에서, 낚싯줄(5)이 스풀(290)로 부터 자유로이 배출된다. 낚시를 던지는 동안에, 이러한 낚싯줄은 매우 빨리 풀려져서 낚싯군은 이러한 개방면을 지니는 형태의 낚싯릴을 사용할때 재권취 또는 낚싯줄 감는 형태(낚싯줄 로울러(272)에 의해서 스풀(90)주위로 낚싯줄을 감는 형태) 또는 제동장치(50)는 모두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낚싯줄의 풀림을 멈추게 낚싯줄을 그의 손으로 눌러야 한다. 베일을 개방된 낚시를 던지는 위치로부터 폐쇄된 감기는 위치로 변경시키도록, 회전자(230)가 회전하여 트립레버(220)가 트립램프(264)로부터 풀려나서 베일 귀환 스프링(283, 284)이 감는 위치로 베일(270)을 후방으로 피봇트되게 한다.
이러한 낚싯릴의 특징은 회전자(230)를 최적의 낚시를 던지는 위치에서 베일(270)을 개방하도록 같은 위치로 회전을 허용하는 중심 베일장치에 있다. 중심 레버 아암(350)은 나사(351)와 와셔(352)에 의해서 기어 케이스 속에 설치되어 아암(350)의 후단부(354)는 중심 버턴(80)과 작동하게 결합된다. 구동기어 축(154)위에 설치된 레버 아암 스프링(353)은 포올 단부(355)를 래치트(67)를 향하여 밀어댄다. 그러나, 버턴(80)을 후방 위치에 놓으면 포올(355)은 래치트(67)와 결합이 해체되게 피봇트된다. 버턴(80)이 제동조립체(50)로부터 멀어지고 스템(12)에 보다 가까운 전방 위치에 있으면 버턴(80)의 하부는 아암(350)의 포올단부(355)가 래치트(67)와 접촉하게 하여서 회전자(230)가 낚시를 던지는 위치에서 베일을 개방 시키기 위해 미리 예정된 위치로 반대로(낚싯줄을 스풀 주위에 감는 회전방향에 반대로)회전하게 된다. 같은 장치가 릴의 역회전 방지 장치로 작용하여서 회전자는 단지 한 회전 미만으로 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형성된 캔티레버 아암(50) 및 반대편에 위치된 쐐기장치(91)를 지니는 간단한 버턴(80)이 하우징(10)의 후방에 또는 직사각형 구멍을 지니는 어떠한 장치의 직사각형 구멍(81)속에 끼워맞추어 진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었듯이, 버턴(80)은 해드(86)와 하부(87)를 지니며, 하부는 상부(88)에서 헤드(86)에 부착되거나 헤드와 일체로 형성된다. 하부(87)는 바람직하게 형성된 저부캠면(112)을 지니는 기저부(89)를 지닌다. 하부(87)는 제1종방향 벽(106)과 제2종방향 벽(107)을 지닌다. 벽(106)위에는 상부 쐐기면(109)과 하부 쐐기면(110)을 지니는 쐐기장치(91)가 놓이고 상부 및 하부 쐐기장치는 상부(88)와 거의 평행한 외부로 돌출하는 모서리(117)에서 만난다. 반대편 제2벽(107)위에는 J형 아암(98)의 횡단면 형상부를 지니는 캔티레버 아암(90)이 놓이고 또한 캔티레버 아암은 상부 돌출 다리부(99)와 아암(98)을 하부(87)에 고정시키는 하부부분(100)를 지닌다.
아암(98)은 기저부(89)로부터 연장되는 캔티레버 스프링으로서 배치된다. 다리부(100)는 제2 벽(107)근처에서 이와 마주보고 종방향 공간(108)에 의해서 분리된 내측부(115)를 지니며 외측부(116)는 하부의 경사진 레일면(96)과 상부의 경사진 레일면(95)을 지니며 이들은 상부(88)와 평행하며 제2 벽(107), 다리부(99) 및 외부 면적부(116)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레일(94)에서 만난다. 레일(94)보다 제2 벽(107)에 가깝게 위치된 작은 평면부(101)이 상부로 돌출한다. 닙(92)이 평면부(101)와 상부의 경사진 레일면(95)위에 설치되고 제2 벽(107)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제2, 3 및 4도에 도시되듯이, 하부(87)는 U자 형상이며, 제1 및 제2 측면부(113) 및 (114)는 상부(88)에서 헤드에 고정되고 중앙 개구(105)를 형성한다. 하부(87)가 U자형이면, 2개의 쐐기장치(91)는 제5도의 횡단면도에서 도시되듯이 제1 벽(106)위에 형성된다. 이와는 달리, 하부(87)는 단단한, 고체일수 있으며, 따라서 단지 하나의 쐐기장치(91)를 지닐수 있다. 버턴(80)은 필요에 따라서 금속, 목재, 플라스틱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플라스틱 버턴을 사출성형시키면 제2 벽(107)에 대한 아암(90)의 양호한 탄성 이동을 제공하는 인성을 지닌 탄성재료로서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버턴(80)이 설치되는 직사각형 구멍(81)의 평면도가 제4도에 도시된다. 제4도는 릴 하우징(10)의 구멍(81)이나 버턴(80)이 설치되는 어떤 판의 구멍을 나타낸다. 그러나, 버턴이 적당히 작동되기 위해서 구멍은 제2, 3 및 6도에 도시되듯이 상부표면(81a)과 하부표면(81b)을 지니는 판 또는 하우징의 직사각형 구멍이어야 한다. 직사각형 구멍(81)은 제1 긴측면(84)과 제2 긴측면(85)을 지니며 제1 측면(84)은 표면(81a, 81b)사이로 연장하는 2개의 간격진 요부(82, 83)를 지닌다. 파지요부(82, 83)는 그 속에 닙(92)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측면(85)의 하부표면(81b)은 시이트(93)를 제공한다. 상부 쐐기면(109)과 상부(88) 사이와 상부의 경사진 레일면(95)과 상부(88)사이의 공간은 표면(81a, 81b)사이의 공간에 의해서 제공되는 판의 두께보다 약간 적다. 측면(84, 85)사이의 직사각형 구멍(81)의 폭은 크기가 A이고 측면(85)과 요부(82, 83)의 최단부 사이의 폭은 A보다 확실히 큰 B의 크기이다.
제5도에 도시되듯이, 모서리(117)와 닙(92)의 최외부 돌출부 사이의 거리는 C이다. 모서리(117)와 레일(94) 사이의 거리는 D이며 C는 최소한 B와 같거나 B보다 크고, D는 A, B 또는 C보다 크다.
버턴(80)은 닙(92)이 요부(82, 83)속에 위치되게 구멍(81)속으로 밀어넣어진다. 버턴(80)을 구멍(81)속으로 밀어넣으면, 아암(90)은 제2 벽(107)을 향하여 내부로 밀쳐지고 외부표면(116)은 측면(84)에 대해 접촉시켜 가압되고 하부 쐐기면(110)은 측면(85)에 대해 접촉시켜 눌려지고 하부 쐐기면(110)은 측면(85)에 접촉시켜 눌려진다. 버턴(80)이 충분히 밀쳐지면 상부 쐐기면(109)은 시이트(93)를 벗어나고 상부의 경사진 레일면(95)은 하부표면(81b)를 벗어나며 닙(92)은 요부(82, 83)속에 수용되어 버턴은 제자리에 위치된다.
버턴(80)이 제1 위치로 미끄러지면 닙(92)은 요부(82)속에 안치되고 스프링 아암(90)은 버턴이 그 위치에 유지되게 한다. 톱니 모양의 표면(103)을 누르면 버턴(80)은 닙(92)이 요부(83)속에 수용되고 유지되는 제2 위치로 쉽게 미끄러진다. 헤드의 하부면이 매끄럽고 구멍을 둘러싸는 판의 상부표면(81a)로 매끄럽기 때문에, 버턴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걸리지 않고 전후로 쉽게 미끄러질 수 있다. 일체의 스트림부하가 걸린 아암(90)은 측면(84, 85)에 대해 외부압을 발생시킨다.
아암(90)이 거리 D가 A 크기에 가깝게 될때까지 제2 벽(107)을 향하여 내부로 밀쳐지면 버턴(80)은 판으로부터 제거될수 있는데, 기저부(89)가 판을 향하여 밀쳐져서 구멍(81)으로부터 버턴(80)을 제거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6도에 도시되듯이 상부 쐐기면(109)과 언더컷(111)이 버턴(80)의 보다 양호한 안치를 제공한다. 언더컷(111)을 제공하면, 버턴(80)이 측면(84, 85)에 대해 구멍속에 보다 확고하게 유지되게 하나, 버턴(80)을 구멍(81)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보다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멍(81)은 요부(82, 83)와 유사한 다수의 요부를 지닐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멍속의 버턴은 버턴(80)이 위치되는 판에 제공된 위치부의 숫자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다수의 위치부로 부터 앞뒤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제7도 및 8도에서 도시되듯이, 캠면(112)은 하부 아암(350)의 후방단(354)과 결합하여 작동 가능하다. 제7도에 도시되듯이 버턴(80)이 전방 위치에 있으면 포울 단부(355)는 아래로 내려가서 래치트(67)(도시안됨)과 결합된다. 반대로, 버턴(80)이 제8도에 도시되었듯이 후방 위치에 있으면 포올단부(355)는 올라가서 래치트(67)(도시안됨)과 접촉하지 못한다. 따라서, 버턴(80)을 앞뒤로 간단히 미끄럼 이동시켜서 릴(1)의 자중 베일 장치가 바람직하게 작동되거나 비작동되게 할 수 있다.
제9도 및 10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헤드(86a)와 하부(87b)를 지는 버턴(80a)이 도시되어 있다. 하부(87a)는 제1 종방향 벽(106a)을 지닌다. 아암(90a)은 헤드(86a)를 향해 있는 상부 근처에 평판(101a)은 제2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의 반대의 형상을 지닌 요부(92a)를 지닌다. 제4도에 도시된 2개의 요부 보다는 오히려, 통로는 종방향 측면(85a)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종방향 측면(84a)위에 닙(82a, 83a)을 지닌다. 파지구는 닙과 요홈으로 구성되며 제2도 및 9도에 도시되듯이 서로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버턴(80a)은 벽(106a) 평행한 헤드(86a)아래의 측면단(170)을 지니며, 이 측면단(170)은 통로측면(85a)과 결합한다. 요부(92a)의 후방과 측면단(170)사이의 거리는 E이고 닙(82a,83a)으로부터 반대편 측면(85a)까지의 거리는 약 E이다. 통로의 전체의 폭은 F이며 평면(101a)과 측면단(170)사이의 버턴 (80a)의 폭은 F1이며, 이것은 F보다 약간 크거나 대략 같다.
버턴(80a)이 통로(81)에 위치된 것과 같은 형태로 통로에 위치되면, 버턴(80a)은 요부(92a)가 닙(82a)위에 놓이는 제1 위치로 미끄럼 이동되어 스프링 아암(90a)은 버턴이 제위치에 유지되게한다. 표면(103a)을 밀어대면 버턴(80a)은 닙(82a)이 요부(92)에 수용되어 유지되는 제2 위치로 쉽게 미끄럼 이동된다.
헤드의 하부면이 매끄럽고 통로를 둘러싸는 상부 표면도 매끄럽기 때문에 버턴(80a)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걸리지 않고 앞뒤로 쉽게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일체의 스프링 부하를 받는 아암(90a)은 측면(84a, 85a)에 대해 외부압을 발생시킨다. 버턴(80a)은 버턴을 통로(81)로부터 제거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통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12 및 13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버턴(80b)이 헤드(86b)와 하부(87b)를 지니며 제2 종방향 벽(107b)위에 탄성 아암(90a)과 제1 종방향 벽(106b) 위에 쐐기장치(91b)를 지닌다. 아암(90b)은 벽(106a)와 평행한 측면단(170a)으로부터 거리 H만큼 떨어진 상부로 돌출된 평면(101b)을 지닌다.
제14도에 도시된 판의 긴 통로(81d)는 2개의 건축면(84b, 85b)을 지닌다. 버턴(80b)은 버턴(80)이 통로(81)속에 위치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통로(81d)속에 위치된다. 통로(81d)의 폭은 H보다 적은 G이며, 따라서 버턴(80b)이 통로(81d)속에 위치되면 측면단(170b)과 평면(101b)은 스프링 아암(90b)에 의해서 측면(84b, 85b)에 대해 외부로 밀쳐져서 항상 안치된다. 상부표면(103b)을 밀어내면 버턴(80b)은 통로(81d)속에서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미끄럼 이동되고 측면단(170b)과 평면(101b) 및 측면(84b, 85b)사이의 마찰 결합은 버턴(80b)을 항상 제위치에 유지시킨다. 헤드의 하부면이 버턴(80, 80a)과 유사하게 매끄럽고 통로를 둘러싸는 상부표면도 매끄럽기 때문에 버턴(80b)은 걸리지 않고 앞뒤로 쉽게 미끄럼이동된다. 마찰 장치는 통로속의 버턴(80b)의 무제한 다수 위치부를 제공하는 이러한 구성은 슬러이딩 가감 저항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버턴(80b)은 버턴(80)을 통로(81)로부터 제거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통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본 고안의 특수한 형태는 단지 대표적인 실시예이며, 어느 정도의 변경과 수정이 본 고안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낚시릴의 레버아암을 포함하는 자중 베일 장치를 작동시키는 버턴에 있어서, 상부표면 밖으로 설치되는 헤드(86), 쐐기장치(91)와 캔티레버 아암(90)을 양측면에 지니는 하부(87), 캠면(112)을 지니는 기저부(89)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캔티레버 아암(90)의 닙(92)이 통로(81)의 홈(82, 83)들에 맞물려서 버턴(80)이 제1, 제2 위치에 보지되며, 쐐기면(109)과 레일면(95)의 쐐기작용으로 버턴(80)을 통로(81)에서 견고히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의 스냅고정된 자중 버턴.
KR2019840009624U 1979-10-25 1984-09-29 낚시릴의 스냅고정된 자중버턴(Snap-in self-centering mechanism button) KR840002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624U KR840002307Y1 (ko) 1979-10-25 1984-09-29 낚시릴의 스냅고정된 자중버턴(Snap-in self-centering mechanism butt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032 1979-10-25
US06/088,032 US4373683A (en) 1979-10-25 1979-10-25 Snap-in self-centering mechanism button
KR1019800003639A KR830003167A (ko) 1979-10-25 1980-09-16 스스로 중심을 잡는 장치용 결합 버튼
KR2019840009624U KR840002307Y1 (ko) 1979-10-25 1984-09-29 낚시릴의 스냅고정된 자중버턴(Snap-in self-centering mechanism butt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639A Division KR830003167A (ko) 1979-10-25 1980-09-16 스스로 중심을 잡는 장치용 결합 버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307Y1 true KR840002307Y1 (ko) 1984-11-13

Family

ID=2734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9624U KR840002307Y1 (ko) 1979-10-25 1984-09-29 낚시릴의 스냅고정된 자중버턴(Snap-in self-centering mechanism butt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3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7632A (en) Casting fishing reel with torque converter and clutch
KR100338543B1 (ko) 분리백래시제어를 구비한 낚시용 베이트케스팅 릴
US4156510A (en) Miniature lightweight fishing reel
US5921492A (en) Large arbor fishing reel embodying recessed drag control knob and zero backlash drag engagement clutch
US4426045A (en) Bail trip mechanism for fishing reel
US4291846A (en) Rotor brake for fishing reel
CA1161012A (en) Drag system for spinning style fishing reel
US5683051A (en) Spinning reel with removable master gear cover unit
US4402469A (en) Self-aligning drag drive for fishing reels
US4873728A (en) Portable disinfecting device for a toilet seat and other surfaces
KR840002307Y1 (ko) 낚시릴의 스냅고정된 자중버턴(Snap-in self-centering mechanism button)
US4650134A (en) Dual anti-reverse and self-centering mechanism for spinning reels
US5810274A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cover to a fishing reel
US4359197A (en) Silent-selective anti-reverse mechanism
US4203565A (en) Fishing reel spool locking knob
US4208020A (en) Self-centering bail for fishing reel
US4193561A (en) Clicker device for fishing reel
US3223346A (en) Line drag means for a spinning reel
US6971601B2 (en) Spinning reel sound producing mechanism
US4200248A (en) Internal disc drag for spinning reel
US4373683A (en) Snap-in self-centering mechanism button
US4491285A (en) Oscillating system retaining means
US4193562A (en) Anti-reverse device for fishing reel
KR950002578A (ko) 낚시용 릴의 역전방지장치
US4456194A (en) Fishing reel with control lever gu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02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