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248B1 - Viscous material pump - Google Patents

Viscous material pu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248B1
KR840002248B1 KR1019800003236A KR800003236A KR840002248B1 KR 840002248 B1 KR840002248 B1 KR 840002248B1 KR 1019800003236 A KR1019800003236 A KR 1019800003236A KR 800003236 A KR800003236 A KR 800003236A KR 840002248 B1 KR840002248 B1 KR 840002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utlet
shaft
rotating body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3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3665A (en
Inventor
슈빙 프리드리히
Original Assignee
프리드리히빌 슈빙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랭크터 하프퉁
슈빙 프리드리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드리히빌 슈빙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랭크터 하프퉁, 슈빙 프리드리히 filed Critical 프리드리히빌 슈빙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랭크터 하프퉁
Priority to KR101980000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248B1/en
Publication of KR83000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6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2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The viscous material pump, in particular for the conveyance of concrete through a housing of a switch tube has a swivel body fastened on an axially supported pivot shaft. The swivel body alternately connects a discharge opening mounted in a housing wall with two inlet openings arranged in another housing wall. The centers of the inlet and outlet openings, respectively, are arrnanged in radial displacement from the shaft axis. The displacement of the inlet openings and the discharge opening from the shaft axis differs and is so selected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inlet openings is larger than the displacement of the discharge opening.

Description

점성물질 펌프Viscous pump

제1도는 본 발명의 점성물질 펌프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viscous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선(II-II)에 따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제3도는 제1도의 선(III-III)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제4도는 제1도의 선(IV-IV)에 따른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IV-IV of FIG.

제5도는 제3도의 선(V-V)에 따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본 발명은 특히 피버트(Pivot) 축상에 고정된 회전체를 지니는 전환 튜브(Switch tube)의 하우징을 통하여 특히 콘크리트를 반송(搬送)시키는 점성물질 펌프(viscous material pump)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a viscous material pump for conveying concrete, in particular through a housing of a switch tube having a rotating body fixed on a pivot axis.

이 회전체는 한쪽의 하우징벽에 뚫린 하나의 유출구를, 다른 쪽의 하우징벽에 뚫린 두 유입구이 교대로 연결시키는데, 이들 유입 및 유출구들의 중심선은 각각 피버트축에서 반경방향의 거리차를 가지고 배열되어있다.The rotating body alternately connects one outlet opening in one housing wall with two inlets opening in the other housing wall, and the centerlines of these inlet and outlet openings are arranged with radial distances away from the pivot shaft, respectively. It is.

본 발명의 점성물질 펌프는 콘크리트는 물론 진흙 같은 예컨대, 침전진흙(settling mud)과 같은 혼합물질을 반송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콘크리트가 여러가지 면에 볼 때 예컨대, 콘크리트가 수분을 잃었을 때 생기는 품질저하 및 콘크리트속에 포함된 모래의 마모작용으로 인해서 뿜어올리기 어려운 물질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를 반송시키는 것과 관련해서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점성물질 펌프에는 통상 교대로 반송하는 두 개의 공급 실린더를 가지고 있고, 그 실린더에는 전환튜브의 하우징 내에 각각 하나의 유입구가 배속되어 있고 그 유입구를 통하여, 실린더에 결합된 피스톤에 의해 밀려 나오는 물질을 회전체로들어가게끔 한다. 이에 대하여 배출구는 하나의 반송도관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내뿜어진 콘크리트가 도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튜브는 각 흡입반송 실런더로 하여금 하우징 위에 부착된 저장탱크로부터 콘크리트를 흡입하게 하고 흡입된 콘크리트는 후속되는 펌프행정으로 송출된다.The viscous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vey concrete as well as mixtures such as, for example, settling muds such as mu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conveying concrete, because concrete is difficult to swell due to deterioration of quality caused when concrete loses moisture and abrasion of sand contained in concrete. will be. The viscous material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supply cylinders, which are usually conveyed alternately, and each cylinder has one inlet in the housing of the switching tube and is pushed out by a piston coupled to the cylinder through the inlet. Allow material to enter the rotating body.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by one conveying conduit so that the flushed concrete is introduced. The conversion tube causes each suction conveying cylinder to suck concrete from the storage tank attached to the housing and the sucked concrete is sent to the subsequent pump stroke.

이러한 식의 콘크리트 반송펌프는 각종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들에 대하여 전술한 원리는 특히 반송 저항이 높을 때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는 대단한, 예컨대 20,000kg정도의 정수압이 생기고, 이로 인하여 그 정수압에 의하여 부하를 받고 반력을 발생시켜야 하는 탄성적인 구성부분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어도 변형은 일어난다. 이 변형에 의해서 튜브 전환기의 계속적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고체 부재간에 틈이 생긴다.Concrete conveying pumps of this type are known in various forms. 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nciples are difficult to apply, especially when the transfer resistance is high. Because, in this case, a great hydrostatic pressure, for example, about 20,000 kg, is generated, which causes deformation even if a sufficient elastic component is provided under the hydrostatic pressure to generate a reaction force. This deformation creates a gap between the continuously sliding solid members of the tube converter.

콘크리트에서 유체부분이 밀려나와 동작이 중단되는 악영향을 받지 않을 지라도 불가피한 마모로 인하여이미 누출이 시작된다.Even if the fluid part is pushed out of the concrete and is not adversely affected by interruption of operation, leakage is already started due to unavoidable wear.

다음에 그렇게 하여 생긴 틈 속으로 모래일부가 밀려들어가 튜브전환기의 매 회전후에 일어나는 탈하중과함께 압착된다. 따라서 전환기능이 마비되고 과도한 마모가 일어난다.A portion of the sand is then pushed into the resulting gap and squeezed together with the unloading that occurs after every turn of the tube converter. This results in paralysis and excessive wea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공개 제2614895호에서는 밀폐부재(seals) 예컨대, 축방항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마모링(wear ring)을 회전체속에 배치시켜 운반되는 매체의 압력을 받아서 압축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역시 모래가 밀려들어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회전체의 끝과 그 위에 있는 마모링 사이의 틈의 너비는 하중과 카운터링 장치(countering apparatus)의 신장에 따라서 변하며, 압축행정시에 수밀리미터 정도로 된다. 튜브 전환기의 전환과정에 탈하중이 되어 탄성응력을 받은 카운터링 장치가 풀림으로써 링틈을 다시 함께 압축한다. 따라서 짧은 이음대나 편향지지대를 통하여 탄성변형을 가능한 줄이려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틈새에 모래가 밀려 들어가서 압착되어 밀폐에 실패하였다.Conventional techniques for solving this problem are as follows. In Germ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614895, seals, for example, wear rings, which can move axially, are placed in a rotating body so as to be compressed under the pressure of the transported medium. But it also turned out to be sand. The width of the gap between the end of the rotor and the wear ring on it varies depending on the load and the elongation of the countering apparatus and is in the order of several millimeters during compression stroke. The ring gap is compressed again by unwinding the countering device subjected to elastic stress due to unloading during the conversion of the tube converter. Therefore, we tried to reduce the elastic deformation as much as possible through short joints or deflection supports.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sand was pushed into the gap and pressed to fail to seal.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1,285,319호에서는 회전체를 대략 S자형으로 휘어진 파이프로 함으로써 그 회전파이프의 유출구가 하우징 유출구와 똑같은 자유면을 갖게끔 하였다. 이 경우에는 그렇지 않으면, 피버트 축에 작용하게 되는 정수압을 보상한다.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Patent No. 1,285,319 the rotating body is a pipe bent in an approximately S-shape so that the outlet of the rotating pipe has the same free surface as the housing outlet. In this case it otherwise compensates for the hydrostatic pressure acting on the pivot shaft.

그러나, 회전축의 축선으로부터 거리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유입구에서 그 정수압의 크기 및 그 축으로부터 반경거리에 의해 정해지는 휨 모멘트가 생긴다. 이로 인하여, 피버트축이 벽에 저널되어(Journalled) 있기 때문에 그 용기가 기울어지고 유입구에는 틈이 생긴다.However, at an inlet arranged at a distance from the axis of the rotational axis, a bending moment is determined which is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hydrostatic pressure and the radial distance from the axis. This results in the container tilting and opening in the inlet openings because the Fever shaft is journaled to the wall.

회전체로서 대략 S자형으로 휘어진 파이프를 이용한 또 다른 공지의 점성물질 펌프(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공고 제2,104,191호)에 의하면, 상기 언급된 모멘트는 축의 베아링속으로 흡수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탄성 변형과 그로 인한 틈의 발생을 피하기 위하여 축의 직경이 횔씬 더 크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저항이 높을 경우에는 실제상 실현불가능한 예이다.According to another known viscous material pump (Germ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104,191) using a pipe that is bent in an approximately S-shape as a rotating body, the above-mentioned moment is adapted to be absorbed into the bearing of the shaft. Here, the diameter of the shaft is much larger to avoid elastic deformation and the resulting gaps. However, as mentioned above, when the conveyance resistance is high, it is an example which cannot be realized in practice.

회전체를 대략 U자형으로 휘어진 관으로 한 다른 공지의 점성물질 펌프(독일 연방공화국 특허 제2,162,406호)의 경우에는 그 관의 뒤쪽부분은 더 낮은 회전체의 영역 내에서 횡봉에 지지된다. 이 회전파이프의 지지대는 상술한 예들과는 대조적으로 운반되는 매체속에 미끄럼 운동하여 마찰과 마모가 더욱 증가하며, 또한 횡단봉은 비교적 긴 이음봉에 연결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음봉이 탄성적으로 상단히 연장되고 횡단봉의 편향으로 인한 탄성변형은 그 부분에 대해서 유입구에 생기는 틈의 정도를 더욱 심화시킨다.In the case of other known viscous pumps (German Patent No. 2,162,406) having a rotating tube of approximately U-shaped bends, the rear part of the tube is supported by a transverse rod in the region of the lower rotating body. The support of the rotating pipe slides in the conveyed medium in contrast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to further increase friction and wear, and the cross bars must also be connected to relatively long joint rods. The joint bar extends elastically upward and the elastic deformation due to the deflection of the cross bar further exacerbates the amount of gap in the inlet to the part.

본 발명의 선행기술인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공고 제1,278,247호의 점성물질 펌프에는 2개의 펌프실린더와, 하우징 바닥의 곡률에 맞도록 된 회전체가 있다. 회전체는 크랭크 아암(crank arm)을 통하여 구동장치에 의하여 선회운동하는 피버트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2개의 유입구와 교대로 통하는 한개의 입구와 하우징의 한개의 출구와 역시 번갈아 통하는 2개의 출구가 있다. 상기 회전체의 3개의 구멍들은 회전체의 피버트축으로부터 비슷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피버축은 하우징벽에 축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다. 펌프 작동 중에 회전체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유체 정역학적 힘을 지탱하기 위하여 하우징벽에 즉, 펌프 실린더 앞이 마모판을 설치하였고, 피버트 축에 대한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가 생기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회전체 운동에 영향을 주는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마모판을 마모시키고 틈속에모래가 들어가 압착되어 회전체 작동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며 밀봉에 큰 문제가 있다.The viscous material pump of th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278,247, which is a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pump cylinders and a rotating body adapted to the curvature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The rotor is fixed to a pivot shaft pivoted by a drive through a crank arm, one inlet alternately with two inlets of the housing and two alternately with one outlet of the housing. There is an exit. The three holes of the rotor are separated by a similar distance from the pivot axis of the rotor. The fiber shaft is arranged to axially slide on the housing wall. In order to support the hydrostatic forces acting axially on the rotor during pump operation, a wear plate was installed on the housing wall, i.e., in front of the pump cylinder, to prevent bending moments about the pivot shaft. However, a large friction force affecting the rotational motion occurs to wear the wear plate and the sand is compressed into the gap to reduce the reliability of the rotational operation and there is a big problem in sealing.

상술한 공지의 점성물질 펌프들은 굽힘 모멘트가 피버트축에 작용하여 회전체,가 기울어지며, 피버트축 방향으로 발생되는 힘에 의한 하우징과 회전체의 마찰로 야기되는 마모, 하우징과 회전체의 구멍들이 서로 통할 때 밀폐의 실패 등으로 인하여 회전체의 원활한 선회운동을 저해하고 펌프기능을 마비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에서 기술한 형식의 점성물질 펌프에 있어서 회전축의 증대된 굽힘부하를받지 않고 유입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벽의 회전체에 의한 기계적인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키자는데 있다. 이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형식의 점성물질 펌프에 있어서, 회전축이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있고 회전축의 축선으로부터 유입구 및 유출구까지의 거리가 다르고 더구나 유입구까지의 거리가 유출구까지의 거리보다는 크게 되도록 선정했다.Known viscous pumps described above have a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pivot shaft, the rotating body tilts, wear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rotating body due to the force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ivot shaft, When the hol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of inhibiting smooth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ng body due to failure of sealing and paralyzing the pump func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gnificantly reduce the mechanical load by the rotating body of the housing wall forming the inlet without receiving the increased bending load of the rotating shaft in the viscous pump of the type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iscous material pump of the type described above, the axis of rotation is support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distance from the axis of the axis of rotation to the inlet and the outlet is different, and furthermore, the distance to the inlet is the distance to the outlet. Selected to be larger than.

본 발명이 의하면 상기와 같은 거리를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선회축의 축선상에 위치하는 임의의 점은 모멘트를 받지 않든지 거의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잔류하는 축방향 힘은 이와 같이하여 회전축으로부터 압축 또는 인장부하가 걸리는 베아링을 통하여 굽힘부하를 받는 일 없이 제거 가능하다. 상기 베아링은 반송되는 물질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더구나 밀폐는 하우징벽의 부하경감에 의하여 간단화되고 따라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밀폐부재(가스킷)를 회전체의 개구부에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distance as described above, any point located on the axis of the pivot axis can be made to receive little or no moment. The remaining axial force can thus be removed from the rotating shaft without receiving a bending load through a bearing which is subjected to compression or tensile load. The bearing may be disposed outside of the material being conveyed. Furthermore, the sealing can be simplified by reducing the load on the housing wall, and thus a sealing member (gasket) that can move in the axial direction can be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rotating body.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체 속의 배출면과 피버트축에서 그 배출면의 공통의 무게 중심선(common centerof gravity)까지의 거리를 곱한 값이 유입면과 피버트축에서 그 유입면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를 곱한 값과비슷할 때 완전히 모멘트가 걸리지 않은 상태로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distance from the discharge face and the pivot shaft in the rotating body to the common center of gravity of the discharge face determines the distance from the inflow surface and the pivot shaft to the center line of the inflow surface. Similar to the multiplied value, the moment is not completely applied.

또한 회전체의 회전각은 가능한 작게 잡을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성물질 펌프의 회전체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배출구의 외곽선은 콩팥과 같은 모양이다.In addition, the smaller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body is, the more advantageous it is. Therefore, in the rotary body of the viscous material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ne of the partially coincided outlet is shaped like a kidney.

본 발명의 특징은 하우징의 배출구쪽에 추력베아링이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체의 축을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이 추력베아링은 회전체의 축과 함께 반송방향의 반대쪽으로 하중을 받는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thrust bearing is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the housing to support the axis of the rotating body in the axial direction. This thrust bearing is loa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veying direction together with the axis of the rotating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피버트축에서 하우징의 입구 쪽에 있는 축방향 추력 베아링이 그 하우징에 대해 응력을 가하는 장치로서 형성된다는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s that an axial thrust bearing on the inlet side of the housing at the fever shaft is formed as a device for stressing the housing.

회전체의 구조를 짧게하면 하우징의 길이가 축방향으로 짧아지기 때문에 하우징의 부품이 짧아져서 비용이 덜든다.Shortening the structure of the rotor shortens the length of the housing in the axial direction, which shortens the cost of the components of the housing.

또한 축의 입구축에는 전술한 응력을 가하는 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인장하중에 대한 피버트축의 경도로인하여 하우징의 축방향 길이의 늘어남은 거의 완전히 억제된다.In addition, since the device applying the above-described stress is provided on the inlet shaft of the shaft, the extension of the axial length of the housing is almost completely suppressed due to the hardness of the fibber shaft against the tensile load.

마지막으로 회전체의 구멍들의 주위를 압력체의 각면에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저널(Journalled)된 마모링으로 둘러싸는 것이 좋다.Finally, it is better to surround the holes of the rotor with journaled wear rings so that they can move axially on each side of the pressure body.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체는 회전축으로부터 축방향으로만 조절되며, 또한 퍼버트축위에 축방향으로 지지됨으로써 피버트축은 휨 하중을 받지 않고 조절하우징은 아무런 비틀림 하중을 받지 않는다. 이는 콘크리트의 압력하에 피버트축이 직각으로 조절하우징의 접촉면에 대하여 정확하게 놓여 있는 회전체위에 설치된 가스킷에 의해서 이 상황에 알맞게 대처할 수 있다는 잇점을 지닌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body is adjusted only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rotational axis, and is also supported axially on the perverted shaft so that the pivot shaft is not subjected to bending load and the adjusting housing is not subjected to any torsional load.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pe with this situation by means of a gasket mounted on a rotating body with the fibrate shaft at right angles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regulating housing under the pressure of the concret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과정중의 마찰로 나아가서는 마모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왜냐하면 축방향력을 콘크리트 외부에서 그리고 통상의 회전 마찰베아링 안에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우징의 나머지 축방향의 신장은 대단히 작기 때문에 벌어진 틈속으로 모래 입자들이 끼어들어가서 압착되는 경향은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Finally,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ear by going to the friction during the rotation process. This is because the axial force can be supported outside the concrete and in the usual rotating friction bearing. The remaining axial elongation of the housing is so small that the tendency for the sand particles to squeeze into the gaps can be effectively avoided.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도면에는 전환튜브(2)가 점선으로 표시한 점성물질(저장탱크 자체는 공지의 것이므로 그 위치만을 점선으로 표시하였음) 밑에 도시되어 있다. 전환튜브는 축방향으로 짧게 만들어진 하우징(3)을 갖고 있다.1 and 2 are shown in the figure below the viscous material indicated by the conversion tube 2 in dotted lines (the storage tank itself is known and only its location is indicated in dotted lines). The conversion tube has a housing 3 made short in the axial direction.

이 하우징은 횡벽을 이루는 리브(4)로 횡단 분리되어 있다.The housing is separated by ribs 4 forming a transverse wall.

제 2도에 보다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횡벽위에 부착된 안경형판(5)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6,7)를 통하여 두 공급실린더(8,9)로부터 콘크리트가 공급된다. 공급실린더(8,9)의 두 끝은 슬리브(10 및 11) 속에 배치되며, 그 슬리브의 표면에는 가스킷(12 : 제1도 참조)이 있으며, 그 관은 뒷쪽 하우징(5')안쪽의 횡벽(4) 내에 지지된다. 벽(4 및 5')과 함께 단일편으로 형성된 하우징은 뚜껑(14)으로 닫혀 있다. 뚜껑(14)은 볼트(15)에 의해서 하우징 테(16)에 고정된다. 뚜껑의 안쪽으로는 유출구(25)가 형성되어 있는 판(17)이 있다. 가스킷(20 및 20')과 함께 슬리브(19)는 펌프로 뿜어내어진 콘크리트를 전도하는 이송관(21)에 연결된다.As shown more clearly in FIG. 2, concrete is supplied from the two supply cylinders 8, 9 via inlets 6, 7 formed in the spectacle plate 5 attached to the transverse wall. The two ends of the supply cylinders 8, 9 are arranged in the sleeves 10 and 11, the surface of which has a gasket (see also FIG. 1) and the tube is a transverse wall inside the rear housing 5 '. (4) is supported. The housing, formed in one piece with the walls 4 and 5 ', is closed with a lid 14. The lid 14 is secured to the housing frame 16 by bolts 15. Inside the lid is a plate 17 on which an outlet 25 is formed. Together with the gaskets 20 and 20 ′, the sleeve 19 is connected to a conveying pipe 21 which conducts the pumped concrete.

공급실린더(8 및 9)는 제1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하우징(3)의 내부(24)를 통하여 교대로 흡입된다. 다음에 이 실린더들은 흡입한 콘크리트를 안경형 판(5)의 유입구(6 및7)를 통하여 교대로 밀어낸다.The supply cylinders 8 and 9 alternately suck the concrete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1 through the interior 24 of the housing 3. These cylinders then alternately push the sucked concrete through the inlets 6 and 7 of the spectacle plate 5.

이 작동이 시작되기 전에 유입구(6 및 7)는 마모판(17)에 형성된 하우징의 유출구(25)와 연결된다. 회전체(26)(제1및 2도)가 이러한 연결작용을 하며, 그 구조는 제 3도와 제 4도에 보다 명료히 나타나 있다. 제3도를 보면 회전체는 유입구(28)를 둘러싼 제 2도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링(27)이 있으며, 구멍(28)은 제 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29)으로 싸여 있다. 무게중심은 원형면의 중간에 존재한다.Before this operation begins, the inlets 6 and 7 are connected with the outlet 25 of the housing formed in the wear plate 17. Rotator 26 (first and second degrees) makes this connection, the structure of which is more clearly shown in FIGS. In FIG. 3 the rotor has a ring 27 which is axially movable in FIG. 2 surrounding the inlet 28, and the hole 28 is enclosed in a ring 29 as shown in FIG. 2. The center of gravity is in the middle of the circular plane.

또한 특히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의 반대쪽끝에는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링(30)에 의해 둘러싸인 유출면이 있다. 이 면은 회전체(26)의 전면 가장자리(31)에 의하여 외곡이 결정되며 이것은 후술하는 회전체의 유출구(32)와 일치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4, there is an outflow surface surrounded by a ring 30 which is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t the opposite end of the rotating body. This surface is deformed by the front edge 31 of the rotor 26, which coincides with the outlet 32 of the roto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그 외곽선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콩팥모양이다. 따라서, 콩팥모양 외곽선 내에서 유형유출구는 부분적으로 겹친다. 중심선은 콩팥형 유출구(32)의 중앙에 놓여 있다. 이 배출면의 중심선은 제 1도의 축중심선(35)에서 반경거리 R2를 두고 있는 반면, 전술한 유입면의 중심선은 축중심선(35)이서 반경거리 R1을 두고 있다.The outline is kidney shaped as shown in FIG. Thus, the tangular outlet partially overlaps within the kidney shape outline. The center line lies in the center of the kidney outlet 32. The center line of this discharge surface has a radial distance R 2 at the axial center line 35 of FIG. 1 , while the center line of the inflow surface described above has a radial distance R 1 at the axial center line 35.

회전체(26)는 아암(37)과 함께 단일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아암은 베아링 캡(38)과 협력한다. 베아링 캡(38)은 두개의 볼트(제 3도의 39 및 40)에 의해서 아암(37)과 언결됨으로써 피버트축(44)의 중심단면은 그들 양부품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The rotor 26 is formed in one piece together with the arm 37, which cooperates with the bearing cap 38. The bearing cap 38 is frozen with the arm 37 by two bolts (39 and 40 in FIG. 3) so that the central section of the pivot shaft 44 can extend between both parts thereof.

제5도에서, 피버트축(전체적으로 44로 표시함)의 그 회전체(26)가 있는 지역에는 다단부(45)가 있다. 이것은 직경이 큰 밴드(46)에 끝나기 때문에 회전체(26)는 그 축상에서 축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밴드(46)는 직경이 작은 원통부분(47)으로 이어지고 그 원통부분은 반경방향겸 축방향 베아링(48) 내에서 지지된다. 다면부(45)는 그 반대쪽 끝에서 직경이 작은 원통부분(49)으로 이어지고, 그 원통부분(49)은 더욱 작은 직경의 스핀들부분(50)으로 이어진다. 스핀들부분 위이는 대향 너트(51)와 함께 너트(52)가 결속되어 있다. 이 너트를 통해서 피버트축은 다수 부분으로 된 원판(53)에 지지되고, 이 원판 자체는 베아링 슬리브(54)의 단면에 지지되어 있다. 베아링 슬리브(54)는 콘크리트의 반송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체(26)를 통하여 부하가 걸리는 축방향 추력베아링이다.In FIG. 5, there is a multi-stage portion 45 in the area where the rotating body 26 of the pivot shaft (denoted entirely 44) is located. This ends in the large band 46, so that the rotor 26 can be fixed axially on the axis thereof. The band 46 leads to a cylindrical portion 47 having a small diameter, which is supported in the radial and axial bearing 48. The multi-sided portion 45 leads to a smaller diameter cylindrical portion 49 at its opposite end, and the cylindrical portion 49 leads to a smaller diameter spindle portion 50. The nut 52 is engaged with the opposing nut 51 above the spindle portion. Through this nut, the pivot shaft is supported by a disc 53 having a plurality of parts, and the disc itself is supported by the end face of the bearing sleeve 54. The bearing sleeve 54 is an axial thrust bearing which is loaded through the rotating body 26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concrete.

제3도에 있어서 회전체(26)의 유입구의 정수압 하중을 받은 면적을 A1이라 하고 제4도에 있어서 회전체의 콩팥형 배출구의 정수압 하중을 받은 면적을 A2라고 한다면,If the area subjected to the hydrostatic load of the inlet of the rotating body 26 in Fig. 3 is A 1 and the area under the hydrostatic load of the kidney-shaped outlet of the rotating body in Fig. 4 is A 2 ,

A2=Z·A1 A 2 = ZA 1

식중, 값(Z)은 회전체의 유입구의 정수하중을 받는 면적이 콩팥형 유출구의 정수하중을 받은 면적보다 얼마나 작은가를 규정하는 그 구성에 의존하는 값이다.In the formula, the value Z is a value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that defines how small the area subjected to the hydrostatic load of the inlet of the rotor is smaller than the area subjected to the hydrostatic load of the kidney-like outlet.

또한, 각 유입구가 하중 K1을 받고, 유출구가 하중 K2를 받는다면 모멘트 균형조건은Also, if each inlet receives a load K 1 and the outlet receives a load K 2 , the moment equilibrium condition is

K1·R1=K2·R2 K 1 · R 1 = K 2 · R 2

따라서,therefore,

K2=Z·K1 K 2 = ZK 1

R1=Z·R2 R 1 = ZR 2

그러나, 그것은 제1도에서 피버트축의 양 베아링상에 작용하는 힘 V가 생기지 않은 것을 나타내며 결국 V=0이다.However, it indicates that in Fig. 1 the force V acting on both bearings of the pivot shaft does not occur and eventually V = 0.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즉, 피버트축에서 반경거리(R)는 유입구의 거리(R1)가 콩팥형 유출구의 무게중심선의 거리(R2)보다 Z배 더 커지도록 선택되어 모멘트가 0이 되므로 그 축과 베아링에 직각방향으로 힘이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그 축은 휘어지도록 하중을 받지 않는다. 하우징 또한 기울어지지않는다. 피버트 축은 추력 피스톤 구동장치(60)이 의해서 크랭크(61)를 통하여 조작되며, 크랭크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이홈(62)이 마련된 축단부의 원통부분(47)에서 작용한다. 제5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축(44)의 실린더 쪽단부는 단지 반경방향겸 축방향 베아링(48)속으로 안내되어 있는데 비하여,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버트 축의 단부는 하우징의 뚜껑(14) 있는 쪽에 설치된 베아링과 일치하는 형상을 지닌다. 제1도에 도시된 너트(63 및 64)에 의해서 피버트축(44)은 그 양단부가 죄여지고 축방향의 베아링 부하를받는부분의 변형이 방지된다. 키이홈(62 : 제5도에 도시됨)은 너트(63및 64)를 지나서 배치되어 있고 그 너트들은 축방향으로 죄일수 있고 또한 전체를 부호 66으로 도시한 베아링(66)에 속해 있다.Thus,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That is, the radial distance (R) in the Fever shaft is selected such that the distance (R 1 ) of the inlet port is Z times larger than the distance (R 2 ) of the center of gravity line of the kidney-shaped outlet port, so that the moment is zero. No force is applied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Thus the shaft is not loaded to bend. The housing also does not tilt. The pivot shaft is operated by the thrust piston drive 60 through the crank 61, and the crank acts on the cylindrical portion 47 of the shaft end portion provided with the key groove 62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the cylinder end of the shaft 44 is only guided into the radial and axial bearing 48, whereas in the embodiment of FIG. 1 the end of the pivot shaft is the lid 14 of the housing. ) It has the same shape as the bearing installed on the side. The nuts 63 and 64 shown in FIG. 1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portion of the pivot shaft 44 which is clamped at both ends and subjected to an axial bearing load. The keyway 62 (shown in FIG. 5) is disposed past the nuts 63 and 64, which nuts can be axially clamped and also belong to a bearing 66, shown generally at 66.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이렇게 배치하면 회전체(26)가 매달린 피버트 축(44)은 전방 또는 후방 하우징벽(17 또는 4,5')에 배열될 수 있는 최소한 한 개의 베아링(54 또는 66)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Thus, in this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at least one bearing 54 or 66 on which the pivot shaft 44 on which the rotor 26 is suspended can be arranged on the front or rear housing wall 17 or 4,5 '. This is supported in the axial direction.

이와같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유입구(6,7)는 안경형 판속에 배치됨으로써 회전축에서 그 무게 중심선까지의 거리는 그 대응하는 유출구의 거리 즉 회전축에서 유출구의 무게중심선까지의 거리보다 더 크다.As such, the inlets 6,7 shown in FIGS. 1 and 2 are arranged in spectacle plates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axis of rotation to its center of gravity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of its corresponding outlet, that is, from the axis of gravity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utlet. Big.

회전체는 피버트 축(44)의 양끝 위치에서 하우징의 양 유입구중(6 및 7)의 하나 및 그 반대쪽의 유출구를모두 덮도록 만들어진다. 회전체와 이것을 피버트축과 연결시키는 아암(제 5도의 70 또는 제 3도의 37)은 회전체와 피버트축과의 관계가 전술한 바와 같은 결과가 되도록 만들어진다.The rotor is made to cover both the outlets of one and both of the inlets 6 and 7 of the housing at both ends of the pivot shaft 44. The rotating body and the arm connecting it to the pivot shaft (70 in FIG. 5 or 37 in FIG. 3) are made such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ng body and the pivot shaft is the result as described above.

또한 회전체(26)의 단면은 하우징 벽의 정면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그 결과로 생기는 틈이 마모링에 의하여 덮여지도록 배열이 구성된다.The cross section of the rotor 26 is also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front of the housing wall so that the arrangement is such that the resulting gap is covered by the wear ring.

이외에도 회전체속에는 양 유출구의 각각을 유입구에 연결시키는 축선을 가지고 있고 이들 축선은 모든구멍들이 피버트축에서 동거리로 떨어져 있을 때 필요한 것보다 더 기울어져 있다. 마지막으로 회전각이 비교적 작게 되어 있고 그 결과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각도가 비교적 큰 경우에 필요한 두 개의 유출구를 하나의 유출구로 통합하는 제4도에 도시한 콩팥형 유출구가 얻어진다.In addition, there is an axis in the rotor that connects each of the outlets to the inlets, which are more inclined than necessary when all the holes are equidistant from the pivot shaft. Finally, the kidney-like outlet shown in FIG. 4 is obtained, incorporating the two outlets required when the rotation angle is relatively small and the rotation angle is relatively larg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to one outlet.

Claims (1)

피버트 축에 연결되어 한쪽의 하우징벽에 형성된 한개의 유출구를 다른 쪽하우징벽에 형성된 두개의 유입구에 교대로 연결시키는 회전체(Swivel body)가 있는 전환되는 튜브(Swivel tube)의 하우징을 통하여 콘크리트를 반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피버트 축(44)은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축중심선(35)에서 유입구(6,7)및 유출구(25)까지의 반경거리는 유입구(6,7)의 거리(R1)가 유출구(25)의 거리(R2)보다 더 크게 되도록 정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물질 펌프(viscous material pump).Concrete through a housing of a swivel tube with a swivel body connected to the fever shaft and alternately connecting one outlet formed in one housing wall to two inlets formed in the other housing wall. In order to convey the pressure, the pivot shaft 44 is support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radial distance from the shaft center line 35 to the inlets 6 and 7 and the outlet 25 is the distance R of the inlets 6 and 7. Viscous material pump, characterized in that 1 )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istance R 2 of the outlet 25.
KR1019800003236A 1980-08-16 1980-08-16 Viscous material pump KR840002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236A KR840002248B1 (en) 1980-08-16 1980-08-16 Viscous material pu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236A KR840002248B1 (en) 1980-08-16 1980-08-16 Viscous material p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665A KR830003665A (en) 1983-06-22
KR840002248B1 true KR840002248B1 (en) 1984-12-07

Family

ID=1921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236A KR840002248B1 (en) 1980-08-16 1980-08-16 Viscous material pu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24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665A (en) 198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3875A (en) Viscous material pump, in particular for the conveyance of concrete
US4465441A (en) Two-cylinder pump for heavy flowable materials, such as concrete
CA1054854A (en) Bent axis pumps and motors
US3741691A (en) Hydraulic piston pump assembly
FI70982C (en) PUMP AV DEPLACEMENTTYP
KR880000932B1 (en) Multi-way valves for pumps for conveying heavy flowable materials
KR840002248B1 (en) Viscous material pump
GB2125900A (en) Positive-displacement rotary pump
US3989420A (en) Concrete pumping apparatus
US4426914A (en) Axial piston pump
US3793924A (en) Fluid-traversed flow piston unit
JPH04104175U (en) rocking piston pump
US3829251A (en) Squeeze pumps for delivering concrete
US4033238A (en) Axial piston machine with a tiltable, revolving cylinder drum
US5201260A (en) Hydrostatic machine
EP0249175A2 (en) Pump means
AU644984B1 (en) Slide surface tight-coupling device for an S-shaped gate valve for concrete pumps
US4518331A (en) Pressure loaded gear pump
US4473339A (en) Liquid pump
SU1763706A1 (en) Axial-piston machine for liquids
US3196801A (en) Fluid pumps or motors
AU719300B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hydraulic pumps and motors
US3584543A (en) Elastic holddown member for the cylinder block of a fluid pump/motor
JPH04224285A (en) Force feeding device
GB2037879A (en) A Dual-pump Assembly Comprising Two Axial Piston Pum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