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718Y1 -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버어너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버어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718Y1
KR840001718Y1 KR2019830009013U KR830009013U KR840001718Y1 KR 840001718 Y1 KR840001718 Y1 KR 840001718Y1 KR 2019830009013 U KR2019830009013 U KR 2019830009013U KR 830009013 U KR830009013 U KR 830009013U KR 840001718 Y1 KR840001718 Y1 KR 840001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uel
combustion
air
furnace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9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017U (ko
Inventor
에드워드 베리 밀톤
리 패리아니 로날드
Original Assignee
사우스 와이어 컴페니
허버트엠. 하네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우스 와이어 컴페니, 허버트엠. 하네간 filed Critical 사우스 와이어 컴페니
Priority to KR2019830009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7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718Y1/ko
Publication of KR8400060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017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002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spraying nozzle arranged within furnac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38Nozzles; Cleaning devices therefor
    • F23D11/383Nozzles; Cleaning devices therefor with swir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버어너 장치
제1a도는 본 고안의 버어너장치가 설치되는 축형 용광로의 한측 입면도.
제1b도는 제1a도에 도시된 축형 용광로의 상측 입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버어너 장치를 도시하는, 제3도의 선 2-2선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버어너 장치의 단면도.
본 고안은 용광로내에 장입된 장입물을 가열 용융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 연료를 사용하여 비철금속을 가열, 용융시기 위한 버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 형태의 장입물을 여러 상이한 조건하에서 가열 용융토록 다양한 형태의 용광로들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용광로들은 예로, 미합중국 특허 제2,203, 163호, 제2,815,278호, 제2,886,304호, 제3,148,973호, 제3,199,977호, 제3,603, 571호 및 제3,958,919호 등에 기술되어 있다. 그 외에도, 미합중국 특허 제3,715,203호, 제3,788,623호 및 제3,809,378호에는 특히 비철금속을 용융하기에 유용한 용광로가 기 술되어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2,605,180호, 제3,701,517호 및 제3,852,021호에는 개개의 특성이 다양한 장입물들을 가열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조건하에서 작동되는 여러 버어너 장치들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용광로에 장입된 장입물을 가열 용융시키는데 사용되는 연료의 가격이 최근 들어 급격히 상승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한 기체연료는 적용 범위가 극히 한정되어 있어, 등급이 다양한 액체 연료를 사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급증되었다. 그리하여,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그러한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데 효과적인 버어너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장치들은 예로 미합중국 특허 제2, 632, 501호, 제2, 697, 910호, 제2, 698, 050호, 제2, 711, 214호 및 제3, 366, 469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외에도, 미합중국 특허 제2,205,983호, 제2,333,531호, 제2,632,300호, 제2, 725, 929호, 제3, 042, 105호, 제3, 558, 119호, 제3, 749, 548호, 제3, 758, 263호, 제3, 777, 983호, 제3, 947, 226호, 제3, 980, 415호, 제3, 986, 815호 및 제4, 025, 282호 등에, 상술한 바와 같은 액체 연료를 사용하여 장입물을 가열 용융시키기 위한 버어너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많은 버어너 장치들이 개발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버어너 장치들에 있어서는 액체 연료를 용광로에 장입된 장입물과 접촉되기 전에 모두 효과적으로 기화시켜 대체로 완전한 연소를 이루게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을 가열 용융시킬 경우에는 특히 액체 연료를 그러한 비철금속 장입물과 접촉되기 전에 모두 효과적으로 기화시켜 대체로 완전한 연소를 이루게 해야만 용융물의 요구되는 금속적인 특성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만약 액체 연료 방울이 용융될 장입물의 비교적 냉각된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면 용융물이 우선적으로 연소되지 않은 액체 연료로부터 이탈되는 개스류로부터 산소를 흡수하게 되므로써, 용융된 장입물은 산소 및 연소되지 않은 일부 액체 연료에 의해 오염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장입물의 오염도는 액체 연료의 등급이 낮으면 낮을수록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등급이 낮은 저렴한 액체 연료를 사용하면서도 용융물을 오염시킴이 없이 비철금속을 가열 용융시킬 수 있는 버어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용광로에 장착되며 유입부와 배출부를 구비한 내화블럭과, 그 내화 블럭의 유입부에 인접하게 내화 블럭에 장착되며 액체 연료, 분무공기, 연소 공기를 각각 분리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액 체연료를 연소에 앞서 분무화시킬 수 있도록 액체 연료와 분무 공기를 혼합시킴과 동시에 그들의 혼합도를 조절하는 밸브 수단과, 상기 내화블럭의 유입부와 밸브 수단사이에 형성되어 액체 연료와 연소 공기를 수용하여 혼합시키는 혼합드로트 수단과, 상기 내화 블럭의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혼합 드로트 수단으로부터 액체 연료, 분무 공기, 연소 공기의 혼합물을 수용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에 형성되어 연소실 내에서 혼합물의 대체적인 완전 연소를 이루게 하도록 혼합물을 기화시키기 위해 연소실 내에서 난류를 발생시키게 하는 난류 발생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용광로에 장입된 비철금속 장입물을 액체 연료에 의해 오염되게 함이 없이 가열 용융시킬 수 있는 버어너 장치가 제공된다.
이후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중 부호(B)는 본 고안의 버어너 장치를 나타낸다. 이 버어너 장치(B)는 액체 연료를 연소시켜 용광로(F)에 장입된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 장입물을 액체 연료에 의하여 오염되게 함이 없이 가열 용융시키도록 사용된다.
본 고안의 버어너 장치(B)는 일반적으로 용광로(F)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 내화블럭(R)과, 그 내화블럭(R)에 장착된 밸브수단(V)과, 내화블럭(R)과 밸브수단(V) 사이에 형성된 혼합 드로트수단(M)과, 내화블럭(R)내에 형성되며 난류 발생 수단(T)이 형성된 연소실(C)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버어너 장치의 구성 부품들은 본문에서 달리 설명하는 것 외에는 모두 파괴에 대한 응력 및 변형도가 큰 강 또는 적당한 고강도 재료료로 제작된다.
본 고안의 버어너 장치(B)는 용광로(F)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적합한 형태를 갖는다. 용광로(F)는 제1a도 및 제1b도에서 부호(10)로 도시된 바와 같은 축형 용광로로서 설명하겠지만 용광로(F)는 그러한 형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형적으로 이축형 용광로(10)는 배기연료(10a)와, 장입부(10b)와, 가열부(0c) 그리고 방출부(1 0d)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연로(10a)는 용광로(10)의 장입부(10b)의 상축에 장착되며 바람직하게 그 배기연로의 상측에는 덮개(10e)가 장착된다.
장입부(10b)의 측부에는 장입구(10f)가 형성되어 있으며, 장입물 수용 램프(ra mp)(10g)가 축형 용광로(10)의 내부에 장입부(10b)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상측으로 장입구(10f)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콘베어 베트(12a)와1콘베어 로울러(12b)로 구성된 적당한 콘베어(12)가 장입물 수용 램프(10g)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있어, 장입물은 후술할 바와 같이 화살표(14)방향을 따라 장입물 수용 램프(10g)로 이송되게 된다.
축형 용광로(10)의 가열부(10c)는 장입부(10h)아래에 장착되어 장입물 용수 램프(10i)로 부터 이송되는 장입물을 수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열부(10c)는 상측 용융부(10h)와 하측 용융부(10i)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버어너 장치(B)는 용광로(F)의 하측 용융부(10i)에 설치되며, 후술할 바와 같이버어너(16)(18)(20)(22)(24)(26)(28)(30)로 구성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형 용광로(10)의 가열부(10c)는 다층 구조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광로(F)의 외측 쉘(10i)은 장입물의 고하중 및 고온도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파괴에 대한 큰 응력및 변형도를 갖는 강 또는 다른 고강도 재료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조 가능한 고알부미나 내화 콘크리트(10k)를 외측 쉘(10j)과 내화벽돌(101)사이에 환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화벽돌(101)은 내화콘크리트(10k)와 환형벽돌(10m)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환형벽돌(10m)은 축형 용광로(10)의 가열부(10c)의 내실(10n)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 탄화규소로 제작된다. 환형벽돌(10m), 내화벽돌(101), 내화콘크리트(10k)와 외측쉘(10j)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는 기계적인 하중을 지탱할수 있는 동시에 전형적인 가열용융 공정시 발생하는 고온도에 견딜 수 있는 열절연벽을 형성한다.
용광로(F)의 방출부(10d)는 용광로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출부(10d)는 가열부(10c)의 하측 용융부(10i)의 내실(10n)과 연통되는 경사 방출 슈우트(10o)를 포함한다. 방출슈우트(10o)는 탄화규소로된 내화벽돌(10p)로 형성되며, 용융물을 수용하는 방출 트러프(32)와 연통되도록 하방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용광로(F)는 기부(34)에 장착되어 적합하게 지지되게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버어너 장치를 사용하는 용광로의 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버어너장치는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용광로에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버어너 장치는 용광로(F)에 장입된 비철금속 장입물을 액체 연료에 의해 오염되게함이 없이 가열, 용융시키기 위해 분무공기 및 연소 공기와 함께 액체연료 연소시키도록 사용된다. 제4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버어너 장치(B)는 내화블럭(R)과, 밸브수단(V)과, 혼합 드로트 수단(M)과, 난류 발생수단(T)을 가진 연소실(C)을 포함하는데, 이것에 대해서는 뒤에서 충분히 설명하겠다. 상기 버어너 장치(B)는 동일한 구조로된 버어너(16)(18)(20)(22)(24)(26)(28)(30)들로 구성되므로,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이후로는 버어너(16)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본 고안의 버어너 장치(B)의 버어너(16)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알루미늄 내화재로 형성된 내화블럭(R)을 포함한다. 내화블럭(R)은 축형용광로(10)의 하측 용융부(10i)에 인접하게 용광로(F)에 장착되는 블럭(36)을 포함한다. 블럭(36)은 유입부 (36a)와 배출부(36b), 그리고 유입부(36a)와 배출부(36b) 사이에서 블럭(36)에 형성된 연소실(36c)을 포함하는 연소실(C)을 형성한다. 연소실(36c)에는 유입부(36a)로부터 배출부(6b)쪽으로 확개된 절두원추형의 연소실벽(36d)이 형성되어 있다.
난류발생수단(T)은 연소실(C)내에서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버어너 장치 (B)의 연소실에 형성되어 있다. 난류발생수단(T)은 연소실벽(36d)에 형성된 립(36e) (36f)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난류 발생립으로 구성된다. 립(36e)(36f)은 이후 상세히 상술할 바와 같은 이유 때문에 각각 유입부(36a)및 연소실벽(36d)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버어너 장치(B)는 유입부(36a)에 인접하게 내화블럭(R)에 장착된 밸브수단(V)을 포함하는데, 이 밸브수단(V)은 니들 밸브장치(38)로 구성된다. 니들 밸브장치(38)은 밸브 하우징(38a)과, 연료실(38b)과, 분무공기실(38c) 그리고 니들밸브(38d)로 구성된다. 니들밸브장치(38)의 밸브 하우징(38a)은 유입부(36a)에 인접하게 내화블럭(R)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는 연료실(38b)과 분무공기실(38c) 그리고 연소공기실(38e)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수단(V)의 연료실(38b)에는 화살표(40) 방향으로 유동하는 액체 연료가 유입되게 된다. 또한 분무공기실(38c)에는 화살표(42)방향으로 유동하는 분사공기가 유입되게 되며, 연소공기실(38e)에는 화살표(44) 방향으로 유동하는 연소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각실(38b)(38c)(38e)은 모두 버어너 장치(B)의 적합한 작동을 위하여 요구되는 연료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적당한 공급관(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되어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공급관의 연료 및 공기의 공급량은 공급관에 설치된 적당한 계량기(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추정할 수 있다.
니들밸브장치(38)는 밸브하우징(38a)내에 위치된 니들밸브(38d)를 포함하는데, 그 니들밸브(38d)는 니들부(38f)와 나선이 형성된 샤프트부(38g)로 구성된다. 밸브 하우징(38a)내의 연료실(38b)과 분무 공기실(38c)은 내부린(38h)에 의해 분리되게 되는데, 그 내부린은 또한 연료실(38b)내에서 니들밸브(38f)를 이동 가능하게 위치시키도록 작용하는 적당한 밸브 고정블럭(38i)을 지지한다. 니들밸브(38d)의 샤프트부(38g)는 니들밸브(38d)를 그의 길이 방향축을 따라 이동시키게 할 수 있도록 밸브고정블렉(38i)에 형성된 나선과 나선결합된다. 니들밸브(38d)는 소정의 조정부재를 니들밸브 장치의 밸브 하우징(38a)에 형성된 조정구멍(38j)를 통해 삽입하여, 샤프트부(38g)의 단부에 형성된 슬롯(38k)에 물리게 한 뒤 회전시킴으로써 조정가능하게 된다.
분무공기실(38c)과 연료실(38b)을 연통시키도록 적당한 통로(도시되지 않음)가제공된다. 니들밸브(38d)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니들밸브(38d)의 니들부(38f)는 밸브하우징(38a)의 노즐(38m)에 형성된 니들시이트(38l)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하여, 노즐(38m)에 의해 밸브하우징(38a)내의 연소공기실(38a)과 연료실(38b)이 분리되게 된다. 니들밸브(38d)의 적당한 회전으로 연소실(C)로 배출된 액체연료와 분무공기 및 연소공기의 혼합물의 혼합도를 조절함으로써 공기/연료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밸브수단(V)은 상기 혼합물을 연소실(C)내로 유입시키기 전에 그들의 혼합도를 조절한다.
또한 버어너장치(B)는 내화블럭(R)의 유입부(36a)와 밸브수단(V) 사이에 형성된 혼합벤튜리(mixing venturi)(46)와 같은 혼합 드로트수단(ㅆ)을 포함한다. 혼합벤튜리(46)는 밸브수단(V)로부터 분무화된액체 연료를 수용하여 연소공기실(38e)로부터 공급된 연소공기와 혼합시킨다. 혼합벤튜리(46)가 타원형의단면을 가짐으로써, 혼합벤튜리(46)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드로틀링이 발생하게 되어 연소공기실(38a)로부터 공급되는 연소 공기와 분무화된 액체 연료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게 되며, 이렇게 혼합된 연료는5직접 연소실(C)로 유입되게 된다. 대체로, 액체연료, 분사공기, 연소공기의 모든 혼합은 혼합 드로트수단(M)의 혼합벤튜리(46)에 인접한 곳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혼합벤튜리가 타원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종래 버어너에서 문제시되었던 소음 발생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버어너 장치(B)의 연소실(C)에는 액체연료, 분무공기, 연소공기의 합혼물이 수용되어 그곳에서 모두 연소되게 되므므로써, 용광로(F)내에 장입된 비철금속을 가열, 용융시키기 위한 열에너지를 공급해 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난류발생수단(T)은 연소실(36c)의 벽(36d)에 형성된 난류발생린(36e)(36f)을 포함하여, 대체로 혼합물을 완정 기화, 연소시킬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버어너장치(B)는 연소실(C)의 배출부(48)에 인접하게 형성된 배출벤튜리(4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 배출벤튜리 (48)는 연소실(36e)의 인접배출부(36b)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로부터 단부(48b)쪽으로 연장되면서 점점 직경이 감소되어 상기 단부(48b)에 인접한 드로트부(48a)에서 가장 감소된 직경을 갖게 된다. 배출벤튜리(48)의 단부(48b)는 용광로(10)의 가열부 (10c)의 내실(10n)에 직접 노출되어 있다. 또한 배출벤튜리(48) 는 혼합드로트수단(M)과 같이 타원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연소실(C)의 배압을 감소시켜 액체연료의 기화를 조장시킬 뿐만 아니라 소음 발생을 감소시켜 내화블럭(R)의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용광로에 장입된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의 장입물을 용융시키기 위해 용광로를 가열시키도록 사용되는 종래의 버어너장치의 경우에 당면했던 주요 문제점은 연료 방울을 비철금속 장입물의 비교적 냉각된 표면에 접촉되지 않게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접촉이 발생하게 되면 용융물이 우선적으로 연소되지 않은 액체연료로부터 이탈되는 개스류로부터 산소를 흡수하게 되므로써, 용융된 장입물이 산소 및 연소되지 않은 일부 액체연료에 의해 오염되게 되어 용융물의 요구되는 금속적인 특성을 유지할 수 없게된다. 따라서 검댕이나 탄소점착물 뿐만 아니라 액체 연료 방울을 비철금속 장입물과 접촉되지 않게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의 버어너장치에 있어서, 모든 연소 공정은 용광로(10)의 내실(10n)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내화블럭(R)의 연소실(C)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연소공정이 연소실 (C)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액체연료가 완전히 연소되기 전에 비철금속 장입물의 냉각된 표면에 접촉하게 되어 용광로(F)에 장입된 비철금속에 탄소 점착물 또는 다른 연소 생성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밸브수단(V)과 혼합 드로트수단(M)은 연소실(C)에 공급되는 액체연료, 연소공기, 분무공기의 혼합물의 양을 정환히 조절해준다. 연소실(C)내에 형성된 난류발생수단 (T)은 점화시 연소실(C)내에 위치된 혼합물의 완전한 기화및 연소를 보장해 주어 기화되지 않은 액체연료에 의해 비철금속이 오염되지 않도록 해줌으로써 비철금속의 요구되는 금속적인 특성을 유지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드로트수단(M)과 배출벤튜리(48)의 특정형상 때문에 버어너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연소실(C)내에서 대체로 모든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어 연료방울이 비철금속 장입물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융시슬래그(slag)가 적게 생성되어 주조에 적합한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을 용융시키는데 저급 액체연료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라, 양이 정확히 조절된 액체연료, 연소공기, 분무공기가 버어너장치(B)에 공급되어, 그곳에서 연료는 분무화된 뒤 연소실(C)에서 신속히 연소되며, 그렇게 하여 생성된 연소 생성물은 비철금속을 용융시킬 용광로(F)의 내실(10n)로 고속으로 송출되게 된다. 연소 생성물의 양을 정확히 조절하므로써 금속적인 특성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연소 생성물의 조절은 각버어너에 설치된 유동감지 또는 개스 분석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분무공기 및 연소공기의 양을 적당히 선택하고 그에 따라 연료 및 연료의 질을 적당히 선택하므로써, 혼합물의 연소는 밸브수단(V)의 외부에서 그러나 용광로(F)내에서가 아닌 연소실(C)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연소실(C)에서는 액체연료의 난류식 혼합이 조장되어, 연소에 의해 생성된 검댕이 연소실내에 수집되게 되므로써 그러한 검댕에 의해 용광로(F)내에 장입된 비철금속이 오염되지 않게 된다.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버어너장치(9)는 각용광로(F)에 다수의 갯수로 설치되게 되는데, 버어너들 중 버어너(22)(24)(26)(28)과 같은 몇개의 버어너는 설치 방향을 용광로의 길이 방향중심축선을 지나지 않게 하고 대신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에 대해 약 50도의 각도를 두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어너를 이렇게 설치하므로써, 용광로(F)내에서의 난류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용광로내의 장입물의 가열을 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장입물은 가열용융된 뒤, 방출부(10d)에 인접한 용광로(F)의 하단부로 방출되게 되며, 그뒤에 그로부터 방출슈우트(10o)를 거쳐 적당한 주조를 위해 방출트러프(32)로 방출되게 된다.
본 고안의 버어너장치의 작동시엔, 먼저 액체연료가 연료실(38b)에 공급되게 되며, 그렇게 공급된 액체연료는 분무공기실(38c)에 공급된 분무공기와 혼합되어 분무화되게 된다. 니들밸브(38d)에 의해 분무화된 액체연료와 연소공기의 양이 조절되게 되며, 그럼으로써 공기/연료비가 조절되게 된다. 그뒤에 분무화된 액체연료와 연소공기는 밸브수단(V)과 내화블럭(R)사이에 형성된 혼합드로트수단(M)부근에서 합류되게 된다. 그뒤에, 액체연료, 분무공기, 공기, 연소공기의 혼합물은 혼합드로트수단(M)으로부터내화블럭(R)에 형성된 연소실(C)로 이송되어, 그곳에서 난류식으로 혼합되게 되며, 연소실(C)의 연소실벽(36d)에 형성된 난류발생수단(T)에 의해 그러한 난류식 혼합이더욱 조장되게되므로써, 모든 혼합물이 완전히 기화되게 되어 연소실(C)내에서의 혼합물의 대체적인 완전연소가 보장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난류식 혼합시에 연소실(C)의 벽 (36d)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난류발생린(36e) 또는 (36f)에 대하여 혼합체의 일부가 충돌하게 되므로써 연소실(C) 내에서의 난류식 혼합이 더욱 증진되게 된다. 그 뒤에, 이렇게 기화된 혼합물은 연소실내에서 연소되게 되어, 용광로(F)에 장입된 비철금속 장입물을 용융시킬 수 있는 열이 제공되게 되며, 이와 같은 가열용융공정 중에 기화되지 않은 액체 연료에 의해 비철금속 장입물이 오염되지 않게 되므로써 용융될 비철금속 장입물의 금속적인 특성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최종적으로, 연소된 혼합물은 연소실(C)로부터 배출벤튜리(48)를 통해 방출되게 되는데, 배출벤튜리에 의해 소음 발생이 감소되고 연소실(C)내의 배압이 감소되게 되므로써, 액체연료의 분무화가 더욱 증진될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내화블럭(R)의 수명이 연장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버어너장치는 저급연료를 사용할 수 있게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비철금속의 오염을 방지시켜 우수한 금속적인 특성을 갖는 비철금속 용융물을 제공해 준다.

Claims (1)

  1. 용광로(F)에 장입된 비철금속 장입물을 액체 연료에 의해 오염되게함이 없이 가열용융시키도록 액체연료, 분무공기, 연소공기를 함께 연소시키는 버어너 장치(B)에 있어서, 용광로(F)에 장착되며 유입부(36a)와 배출부(36b)를 구비한 내화블럭(R)과, 그 내화블럭(R)의 유입부(36a)에 인접하게 내화블럭(R)에 장착되며 액체연료, 분무공기, 연소공기를 각각 분리수용 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액체 연료를연소에 앞서 분무화 시킬 수 있도록 액체연료와 분무공기를 혼합시킴과 동시에 그들의 혼합도를 조절하는 밸브수단(V)과, 상기 내화블럭(R)의 유입부(36a)와 밸브수단(V)사이에 형성되어 액체연료와 연소공기를 수용하여 혼합시키는 혼합드로트 수단(M)과, 상기 내화블럭(R)의 유입부 (36a)와 배출부(36b)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혼합 드로트 수단(M)으로 부터 액체연료, 분무공기, 연소공기의 혼합물을 수용하는 연소실(C)과, 상기 연소실(C)에 형성되어 연소실(C)내에서 혼합물의 대체적인 완전연소를 이루게 하도록 혼합물을 기화시키기 위해 연소실(C)내에서 난류를 발생시키게 하는 난류 발생수단(T)을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버어너장치.
KR2019830009013U 1983-10-21 1983-10-21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버어너 장치 KR840001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013U KR840001718Y1 (ko) 1983-10-21 1983-10-21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버어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013U KR840001718Y1 (ko) 1983-10-21 1983-10-21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버어너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2171A Division KR830000808A (ko) 1979-06-30 1979-06-30 액체 연료를 이용한 비철금속광의 가열방법과 버어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718Y1 true KR840001718Y1 (ko) 1984-09-15
KR840006017U KR840006017U (ko) 1984-11-10

Family

ID=7015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9013U KR840001718Y1 (ko) 1983-10-21 1983-10-21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버어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7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17U (ko) 198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2964A (en) Flash smelting furnace
US4431403A (en) Burner and method
US5989019A (en) Direct reduction method and rotary hearth furnace
US5081937A (en) System for treating waste material in a molten state
EP0686807A1 (en) Rotary burner
EA030272B1 (ru) Фурма для продувки погружением сверху,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улучшенное погружное горение
NO142359B (no) Fremgangsmaate for forbedring av de antistatiske egenskaper hos tekstilgjenstander
CA1223775A (en) Burner for pulverized, gaseous and/or liquid fuels
US6422160B1 (en) Apparatus for the combustion of vanadium-containing fuels
US4536152A (en) High-velocity gas burners
KR840001718Y1 (ko)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버어너 장치
KR830002772B1 (ko) 액체연료를 사용한 비철금속 가열 용융방법
US4375352A (en) Method for melting a non-ferrous metal charge with liquid fuel
US3663203A (en) Melting of fusible materials
US2857148A (en) Method of firing rotary kilns and gas burner therefor
CA2109122A1 (en) Lance for immersion in a pyrometallurgical bath and method involving the lance
KR930007447B1 (ko) 가스 버어너
GB2069683A (en) A method and burner apparatus for heating a non-ferrous metal charge with liquid fuel
JPH0359389A (ja) 金属溶解方法
JP3574967B2 (ja) 固形廃棄物の溶融処理及び廃油の部分燃焼処理方法
RU2058399C1 (ru) Фурма для подачи горячего дутья в доменную печь
SU143590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плава мелкокускового металла
SU1388660A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 жидкого и твердого мелкодисперсного топлив
CA1154270A (en) Process of smelting with submerged burner
RU2134842C1 (ru) Горе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7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