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524B1 - 디지랄 데이타 워드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디지랄 데이타 워드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524B1
KR840001524B1 KR1019810000916A KR810000916A KR840001524B1 KR 840001524 B1 KR840001524 B1 KR 840001524B1 KR 1019810000916 A KR1019810000916 A KR 1019810000916A KR 810000916 A KR810000916 A KR 810000916A KR 840001524 B1 KR840001524 B1 KR 840001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error correction
pcm
time
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783A (ko
Inventor
도시다다 도이
겐따로 오다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쥐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쥐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0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524B1/ko
Publication of KR83000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9/00Multiplex systems in which each channel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type of modulation of the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랄 데이타 워드 전송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럭 다이아그램.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발생되는 전송블럭.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럭 다이아그램.
본 발명은 오차교정 포멧으로 디지탈 데이타워드를 전송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된 정보내의 오차교정 능력을 개선시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데이타워드를 전송 및 기록시키기 위한 오차 교정부호와 기술은 많이 제안되어져 왔다. 예를 들면 펄스 부호변조(PCM) 신호와 같은 데이타워드 형태의 디지탈 데이타는 전송되거나 기록될 때 랜덤 및 버스트 오차로 알려진 오차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랜덤오차는 분리된 PCM 신호의 비트를 왜곡시키거나 파손시키며, 버스트 오차는 PCM 신호에 포함된 한개 또는 그 이상의 데이타워드를 왜곡 또는 파손시킨다. PCM 신호에 수반되는 패리티(parity)워드의 사용과 같은 비교적 간단한 오차-교정기술은 랜덤오차를 교정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버스트 오차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더욱 복잡한 오차교정 부호화 기술이 필요하다.
이미 제안된 한 기술에 있어서, PCM워드와 같은 데이타워드는 소위 시간 삽입 포멧으로 부호화된다. 즉 연속적인 PCM계열워드(X0,X1,X2,…Xk-1)는 k개의 채널에 각각 분배된다. 따라서 이들 PCM워드(X0,…Xk-1)는 병렬워드이다. 각각의 워드 또는 채널은 각각 다른 양으로 시간 지연된다. 예를 들면, PCM워드(X0)는 D0의 시간으로 지연되고, X1은 D1으로 지연되고, Xk-1은 Dk-1로 시간 지연된다. 이에 따라 지연된 PCM워드(X0)는 Y0로 표시되고 X1은 Y1으로, Xk-1은 Yk-1로 표시되어 이들간에는 시간삽입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제1패리티워드(Px)는 원래의 지연되지 않은 PCM워드(X0…Xk-1)에 응답하여 발생된다. 그 예로서, 패리티워드(Px)는 모듈로 -2가산기에 모든 PCM워드(X0…Xk-1)를 한 비트씩 공급하므로써 발생된다. 이 가산기의 출력은 각 PCM워드를 구성하는 비트와 같은 비트수를 가진 패리티워드(Px)이다.
제2패리티워드(Ry)는 시간삽입 PCM워드(Y0…Yk-1)에 응답하여 발생된다. 즉, 이들 시간-삽입 PCM워드가 또 다른 모듈로-2 가산기에 공급된 후 그 가산기의 출력으로서 패리티워드(Ry)가 발생되는 것이다. 먼저 언급된 패리티워드(Px)는 적절한 시간 Dk씩 지연되어 패리티워드(Ry)가 발생된다. 지연된 패리티워드(Ry) 및 제2패리티워드(Ry) ; 시간 삽입 PCM워드(Y0…Yk-1)가 함께 전송블럭을 형성하여 전송된다. 이 전송블럭은 워드씩 병렬로 전송될 수 있으며, 직렬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동기신호(SYNC)가 전송블럭의 제1워드로써 삽입된 후 이 전송블럭은 적절한 기록매체상이 기록되거나 전송될 것이 상술한 형태의 시간 삽입된 부호화정보가 재생될 때, PCM워드(Y0…Yk-1) 및 패리티워드(Px)(Ry)로 형성된 전송블럭과 이 재생되에 디멀리플렉서와 같은 적절한 분배장치에 의해 채널에 분리인가 된다. 만약 재생된 PCM워드(Y0…Yk-1) 중의 임의의 한개에 오차가 생긴다면 이 오차는 통상적인 기술로 알려진 방법처럼 패리티워드(Ry)에 의해 교정될 수 있다. 즉 이들 PCM워드 중의 한개에 나타날 수 있는 오차를 교정하기 위해 종래의 패리티 오차 교정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일단 잘못된 PCM워드가 교정이 된 후에는 PCM워드(Y0…Yk-1)는 시간 소거된다. 패리티워드(Yy)는 부호화과정 동안에 전달되었던 원래의 시간지연을 소거할 수 있는 충분한 양만큼 지연되어 그에 의해 패리티워드(Px)가 재생된다. 시간 소거처리는 시간-삽입부호화 과정에서 사용되었던 원래의 지연(D0,D1,…Dk-1) 시간을 소거하기에 충분한 양만큼 재생된 PCM워드(Y0…Yk-1)를 각각 지연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원래의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원래의 PCM워드(X0…Xk-1)가 얻어진다. 이들 PCM워드 중 하나에 나타날 수 있는 임의의 오차는 종래의 패리티 오차 교정기술에 따라 재생된 패리티워드(Px)를 사용하므로서 교정된다.
상술한 시간 삽입부호화 기술에 의한 방법에 의해, 재생된 시간 삽입 PCM워드워드(Y0…Yk-1)에 존재할 수 있는 많은 시간 소거블럭 내의 고유 오차분산에 기인한 버스트 오차가 교정될 수 있으나 만일 패리티워드(Ry또는 Px)에 오차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PCM워드(X0…Xk-1)로부터 유도된 지연된 패리티워드(Py)는 시간삽입 PCM워드(Y0…Yk-1)로서 모듈로-2 가산기에 공급된다. 따라서 제2패리티워드(Ry)는 시간삽입 PCM워드(Py) 및 지연된 패리티워드(Py)의 함수가 된다. 결과적으로 재생동안, 재생된 패리티워드(Ry)에 오차가 발생된다면, 이 오차는 종래의 패리티오차 교정기술에 따라 패리티워드(Py)를 사용하여 교정될 수 있다. 이것은 패리티워드(Py)가 일단 교정되면 재생된 시간삽입 PCM워드로부터 재생된 시간소거된 PCM워드(X0…Xk-1)가 오차교정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시간 삽입오차 교정부호 기술에 있어서, 만약 재생된 시간삽입 블럭내의 패리티워드(Py) 및 PCM워드 모두에 오차가 발생한다면 패리티워드(Py)는 교정될 수 없다. 더우기, 연속적으로 재생된 두 개의 시간삽입 블럭내의 두 개의 워드에 오차가 발생된다면 재생된 시간소거된 워드는 교정될 수 없다. 따라서 패리티워드(Px)는 지연된 패리티워드(Ry)와 함께 PCM워드(X0…Xk-1)로부터 유도된다.
이와 같은 회로배열에 의해, 재생된 패리티워드(Ry)에 생길 수 있는 많은 오차는 종래의 패리티오차-교정기술 및 패리티워드(Px)를 사용하여 교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부호화장치의 오차교정 능력을 현저하게 개선된다.
그러나, 상술된 시간-삽입오차 교정기술에서의 한가지 단점은 임의의 블럭에 포함된 단일 오차워드(PCM워드 또는 패리티워드)만을 교정할 능력밖에 없다는 것이다. 즉 재생된 시간-삽입 블럭내의 단지 한 오차 워드만 교정될 수 있고, 따라서 시간-소거 블럭내의 단지 한 오차워드만 교정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 삽입효과에 의한 자체분산을 능가하는 주기를 갖는 버스트 오차는 동일한 시간소거 블럭내에서 존재하는 두 개 이상의 워드를 왜곡시킬 것이다. 이와 같이 증가된 버스트오차의 분산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PCM워드(Y0…Yk-1) 및 패리티워드(Py)(Ry)에 제2지연을 전달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또다른 시간 삽입효과를 초래한다. 또한 CRC(순환잉여도 검사) 코드와 같은 오차검출코드는 삽입된 워드로부터 유도되는데 이 CRC코드는 삽입워드에 부가되어 함께 전송블럭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CRC코드를 사용하므로써 PCM워드용 유용한 ″데이타슬롯(데이타를 기억할 수 있는 연속된 구역)″이 감소된다. 즉 개선된 오차교정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비교적 정보를 여유있게 전송시켜야 하기 때문에 유용한 정보를 나타내지 않는 오차교정 패리티워드 및 오차교정 CRC코드를 전송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CRC코드가 전송될 필요가 없는 기술이 제안되어 왔다. 이와 같은 기술은 미합중국 특허 제3,629,824호 및 제3,697,948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PCM워드를 나타내는 코드로서 b-인접코드, BCH코드 또는 이와 유사한 코드를 사용한다. 이들 기술에 따라 오차가 발생된 특정워드를 미리 확인하지 않아도 블럭내의 임의의 워드는 교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일반적으로 단일 블럭에서만 발생되는 오차에 국한된다. 더우기 패리티코드는 일반적으로 각 블럭의 여유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그에 따라 유용한 정보용 데이타슬롯이 제한된다.
그러므로 패리티워드와 같은 오차 교정코드를 여유있게 전송하지 않으며, 부호화된 정보에 CRC코드와 같은 오차 검출코드를 수반하지 않도록 하는 오차 교정부호화 기술이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타워드와 같은 디지탈정보를 오차 교정포멧으로 부호화하여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여 양호한 오차교정능력을 나타낼 수 있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부호화된 데이타가 개선된 오차 교정능력을 갖고 전송되거나 기록되도록 PCM워드와 같은 데이타워드를 부호화시키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PCM신호를 사용하는 개선된 오차 교정부호화 기술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다수의 PCM신호는 블럭을 형성하며, 상기 블럭내의 한개나 두개의 워드가 CRC코드워드의 사용없이도 패리티워드만을 사용하므로써 완전히 교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PCM워드를 사용하며 높은 여유도의 오차 교정코드를 요구하지 않는 바람직한 오차 교정능력을 갖는 개선된 오차 교정부호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다른 목적과 장점 및 특징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특히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지적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탈 데이타워드를 사용하는 개선된 오차교정부호화 기술이 제공된다. 연속적인 데이타워드는 다수의 각 채널에 분배되어 연속적인 데이타블럭을 형성한다. 따라서, 각 데이타블럭은 다수의 채널내의 데이타워드로 이루어진다. 제1오차 교정코드는 데이타블럭에 포함된 워드의 함수로 발생하는데, 상기 제1오차 교정코드는 데이타블럭이 기록매체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재생될 때 데이타블럭 내에서 오차가 발생되는 최소한 한개의 워드를 교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데이타 블럭에 포함된 데이타워드는 각각 다른 지연시간으로 지연되어 시간삽입 데이타워드로 구성된 시간-삽입 데이타블럭을 형성한다. 제2오차 교정코드는 시간-삽입 데이타블럭에 포함된 워드의 함수로 발생되는데, 상기 제2오차 교정코드는 시간삽입 데이타블럭이 수신되거나 또는 재생될 때 시간-삽입 데이타블럭내에 오차가 발생되는 최소한 한개의 워드를 교정하는데 사용된다. 제1, 제2오차 교정코드와 함께 시간-삽입 데이타블럭은 전송블럭으로 결합되어 전송되거나 기록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부호화 기술을 실행하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럭 다이아그램이다. 설명될 바와같이, 이 실시예는 특히 디지탈화된 스테레오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데 적합하고 이와 같이 디지탈화된 오디오신호가 적절한 기록매체상에 기록되므로써 회전-헤드형레코더(예를 들면, 비데오테이프 레코더)와 같은 레코드에 이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공급된 디지탈화된 스테레오 오디오신호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샘플링한 후 아날로그-디지탈 변화회로에 의해 펄스부호변조(PCM) 포멧으로 각 샘플치를 디지탈화 하므로써 발생된다. 그러므로, 제1도에 도시된 장치에는 PCM워드와 같은 연속적인 디지탈 데이타워드가 공급되는데 각각의 이러한 워드는 샘플링된 오디오신호가 디지탈화된 신호이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에는 좌채널 및 우채널 데이타워드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입력단자(10),(20)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부호화장치가 좌 및 우 데이타워드로 이루어진 단일채널에 제공되어 이 단일 채널을 좌 및 우 데이타워드로 분리시킨다.
도시된 실시예는 디멀티플렉서와 같은 분배회로(30)와, 제1오차 교정코드발생기(40)와, 다수의 제1시간 지연회로(50,51,…62,63)와, 제2오차교정 코드발생기(70) 및 다수의 제2시간 지연회로(80,81,…86,87)로 구성된다. 도시된 장치에는 여러개의 디지탈 워드채널을 단 한개의 다중화된 직렬디지탈워드의 채널로 결합시키는 멀티플렉서(90)가 제공된다. 분배회로 또는 디멀티플렉서(30)는 좌채널 및 우채널데이타 또는 좌채널 및 우채널오디오신호의 연속적인 샘플을 나타내는 PCM워드를 수신하는 입력단자(10),(20)에 결합한 한쌍의 입력을 갖는다. 분배회로는 입력단자(10)를 통해 공급된 연속 데이타워드 중 좌채널 PCM워드를 도시된 다수의 각 채널(X0,X2,X4,X6,X8,X10)로 분배시키고 우채널 PCM워드는 채널(X1,X3,X5,X7,X9,X11)로 분배시킨다.
연속적인 좌채널 및 우채널 PCM워드는 연속적인 시간주기로 분배회로(30)에 공급된다. 분해회로에 공급된 PCM워드에 의해 경유되는 시간주기는 D로 표시된다. 분배회로에는 6개의 좌채널 PCM워드 및 6개의 우채널 PCM워드가 수신된 후, 총 12개의 PCM워드가 채널(X0…X11)에 공급되도록 적절한 기억회로 및 게이팅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들 12개의 PCM워드는 단위데이타워드 시간주기(D)동안 발생하고, 이 시간 동안 이들 채널내의 PCM워드의 조합은 데이타블럭이 된다. 따라서 한 데이타블럭은 좌채널 및 우채널 PCM워드(L0,R0,L1,R1,L2,R2,L3,R3,L4,R4,L5,R5)로 구성되며, 그 다음 데이타블럭은(L6,R6,L7,R7,L8,R8,L9,R9,L10,R10,L11,R11)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채널(X0)에는 연속적인 좌채널 PCM워드(L0,L6,L12…)가 공급되고, 채널(X1)에는 연속적인 우채널 PCM워드(R0,R6,R12…)가 공급되며, 채널(X2)에는 연속적인 좌채널 PCM워드(L1,L7,L13…)가 공급된다. 즉 각 채널(X0…X11)에는 각각 좌채널 또는 우채널 PCM데이타 계열이 제공되는데, 그 계열에 포함된 각 PCM워드는 각각 좌채널 또는 우채널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에 대응되는 디지탈 변화된 신호이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 좌채널 및 우채널 PCM계열은 분배회로(30)의 출력에서 워드씩 병렬로 공급된다. 각 워드는 비트씩 직결로 발생될 수 있고, 분배회로의 출력에서의 각 채널이 병렬리드로 구성되어 각 PCM계열(X0…X11)이 비트씩 병렬로 발생될 수도 있다. 상기의 두 방법 즉 각 PCM계열이 비트씩 직렬로 발생하거나, 비트씩 병렬로 발생하거나 각 PCM워드는 16개 비트로 형성된다.
분배회로(30)의 출력에서 채널 또는 PCM계열(X0…X11)은 오차교정코드 발생기(40)에 결합된다. 각 데이타 블럭은 워드씩 병렬로 이 오차교정코드 발생기에 공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오차교정코드발생기(40)는 Px및 Qx로 표시되는 두 개의 오차 교정워드를 발생시킨다. 오차 교정워드(Px)는 패리티워드발생기(41)에 의해 발생되고 오차교정워드(Qx)는 패리티매트릭스워드 발생기(42)에 의해 발생된다. 원한다면, 적절한 오차교정워드 Px및 Qx를 발생시키기 위해 다른 오차교정워드 발생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채널(X0,X1…X11)이 각각 연속데이타 블럭으로 PCM워드(W0,W1,…W11)를 구비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한개의 데이타블럭에서, 워드(W0,W1,…W11)는 좌채널 및 우채널워드(L0,R0,…R5)로 구성되며, 다음 데이타 블럭에서의 상기 워드는(L6,R6,…R11) 등등으로 구성된다. 주어진 데이타블럭 내의 워드(W0,W1,…W11)는 패리티워드발생기(41)에 병렬로 공급된다. 이 패리티워드 발생기에는 모듈로-2 가산기가 있어 이 패리티워드 발생기에 인가된 데이타워드를 모듈로-2 형태로 합한다. 그 결과로서, 오차교정워드(Px)는 패리티워드 발생기에 공급된 데이타워드의 함수인 패리티워드가 되고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kpo00001
패리티매트릭스 워드발생기(42)에도 마찬가지로 데이타워드(W0,W1,…W11)가 워드씩 병렬로 공급되고, 이에 응답하여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x)가 발생된다. 그 한 실시예로서, 패리티매트릭스 워드발생기(42)는 선정된 발생매트릭스[T]에 공급된 각각의 데이타워드(W0…W11)를 증배시키는 b-인접 인코더로 이 매트릭스는 T,T2…T11으로 표시된다. 즉, 이 발생매트릭스는 갈로아필드(Galois Field)(2b) 중 논-제로(non-zero) 소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패리티매트릭스 워드발생기(42)는 모듈로-2 가산으로 발생매트릭스에 의해 중배된 데이타워드를 합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패리티매트릭스 워드발생기(42)에 의해 발생된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x)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kpo00002
제1오차교정 코드발생기(40)에 의해 발생된 패리티워드(Px) 및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x)와 채널(X0…X11)내에 포함된 각 워드는 시간 지연회로에 의하여 각각 다른 양으로 시간 지연된다. 이 시간 지연회로는 이 회로에 인가된 워드에 시간지연을 전달하며, 그 시간지연은 D의 배수와 동일하다(여기에서 D는 각각의 데이타 또는 PCM워드에 의해 점유된 시간 주기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시간 지연회로(50)는 D만큼 패리티워드(Px)를 지연시켜 지연된 패리티워드(Py)가 출력된다. 시간 지연회로(51)는 2D만큼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x)를 지연시켜 지연된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y)가 출력된다. 시간 지연회로(52)는 채널(X0)내의 PCM워드를 3D만큼 지연시켜 지연된 PCM워드의 채널(Y0)이 발생된다. 시간 지연회로(53)는 채널(X1)내의 PCM)워드를 4D만큼 지연시켜 지연된 PCM워드의 채널(Y1)이 발생된다. 마찬가지로, 시간지연회로(54,55…63)은 채널(X2,X3…X11)내의 PCM워드를 5D,6D…14D만큼 지연시켜 각각 지연된 채널(Y2,Y3…Y11)이 발생된다.
이 실시예는 오차교정이 (Px)(Qx)를 PCM워드가 지연되는 시간보다 작은 양으로 지연시키고 있지만 원한다면, 상기 오차교정에는 PCM가 지연되는 시간보다 더 길게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데이타워드 주기와 다른 양의 지연도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지연의 결과로서, 채널(Y0…Y11) 내의 PCM워드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상호 시간 삽입관계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한 실시예로서, 만약 데이타블럭에 포함된 각 PCM워드가 16비트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면, 이들 16비트 워드에 응답하여 밤생된 패리티워드(Rx) 및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x)도 16비트로 형성될 것이다. 대안으로, 각 패리티 및 매트릭스 패리티워드(Px)(Qx)는 8비트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16비트 워드 W를 8비트씩 Wa, Wb두 개로 분할시키므로써 달성된다. 이때, 패리티 워드발생기(41) 및 패리티매트릭스 워드발생기(42)에는 12개의 16비트로 된 워드가 공급되기보다는 24개의 8비트어가 공급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식(1) 및 (2)는 다음과 같이 수정된다.
Figure kpo00003
식(3) 및 (4)로부터 패리티워드(Px) 및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x)는 각각 8비트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6비트 오차교정워드를 2개씩 사용하는 것보다 16비트 오차 교정워드 중 처음 8비트는 8비트 패리티워드(Px)를 형성하고 다음 8비트는 8비트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x)를 형성하도록 단일 16비트 오차교정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각 채널((X0…X11)에 16비트 워드보다는 8비트 워드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좌채널 또는 우채널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의 샘플치를 나타내는 각 PCM워드가 16비트로 구성된다면, 이 16비트 워드는 두 개의 8비트워드로 분할되고, 처음 8비트워드는 채널(X0)내에 공급되고 다음 8비트워드는 채널(X1)내에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연속워드가 W0,W1,…W5로 표시된다면, 여기에서 (W0=L0), (W1=R0), (W2=L1), (Wε=R1), (W4=L2), (W5=R2)이고, 채널(X0)은 8비트워드 W0a로 이루어지며, 채널(X1)은 8비트워드 W0b로 이루어지며, 채널(X2)은 8비트워드 W1a로 이루어지며, 채널(X11)은 8비트의 W5b로 이루어지게 된다. 8비트워드 W0a,W0b,…W5a,W5b가 한 데이타블럭을 구성하고, 다음 데이타블럭은 8비트워드 W6a,W6b,W7a,W7b,…W11a,W11b로 구성되고, 이들 8비트워드가 채널(X0,X1,X2,X3,…X10,X11)에 제공된다. 이 장치 즉 8비트워드가 제공되는 각 채널에 의해 패리티워드(Px) 및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x)는 8비트가 되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kpo00004
실시예가 식(1),(2) 또는 (3),(4) 또는 (5),(6)중의 어느 식으로 표현되던간에 시간 지연회로(50,51,…,63)는 패리티워드, 매트릭스 패리티워드를 지연시켜 지연된 오차교정워드(Py)(Qy)와 지연된 채널(Y0…Y11)을 발생한다. 따라서 지연된 오차교정 및 PCM워드는 상호 시간 삽입관계를 나타낸다. 지연된 PCM워드 채널(Y0…Y11) 내의 시간삽입 PCM워드는 시간삽입 데이타블럭을 구성한다. 지연된 PCM워드 채널(Y0…Y11)내의 이들 시간삽입 PCM워드는 제2오차 교정코드발생기(70)에 워드씩 병렬로 공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오차 교정코드발생기(70)는 상술된 제1오차 교정코드발생기(40)와 유사하며 비교적 간단한 패리티 워드발생기(71)와 패리티 매트릭스발생기(72)를 포함한다. 패리티워드 발생기(71)는 도들로-2가산에 의해 채널(Y0…Y11) 내의 시간삽입 데이타블럭에 포함된 PCM워드를 가산하여 제2패리티워드(Ry)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한다. 패리티 매트릭스발생기(72)는 선정된 발생매트릭스에 의해 이 시간삽입 데이타블럭에 포함된 각 PCM워드를 증배시키고, 모듈로-2 가산으로 이 증배된 값을 합하여 제2매트릭스 패리티워드(Sy)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오차교정워드(Px및 Qx)는 분배회로(30)의 출력에서 형성된 원래의 데이타블럭과 관련되며, 제2오차교정워드(Ry및 Sy)는 시간삽입 데이타블럭과 관련된다.
원한다면, 제2오차 교정코드발생기(70)는 제1오차 교정코드발생기(40)에 의해 발생된 오차교정워드(Px및 Qx)와 다른 포멧의 오차교정워드(Ry및 Sy)를 발생시키는 다른 부호화 회로일 수 있다. 그러나 제2오차 교정코드발생기(70)는 종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시간 지연회로(80,81,…87)는 오차교정워드(Py,Qy,Ry,Sy) 중에서 선택된 워드와 채널(Y0…Y11)에 제공된 시간-삽입 PCM워드 중에서 선택된 워드를 제2시간 지연시킨다. 이들 시간지연회로는 모두 동일한 지연시간 d를 전달하는데, 여기에서 d는 데이타워드 주기 D의 일부로 d는
Figure kpo00005
이다. 각 PCM워드가 16비트로 형성되는 경우 제2시간 지연 d는 그 비트가 점유되는 주기와 동일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차교정 및 PCM워드는 상호 시간삽입 관계를 이루며, 제2지연시간 d는 이들 시간삽입워드에 교대로 전달된다. 즉, 패리티워드(Py)(Ry) 각각은 시간지연회로(80),(81) 각각에 의해 d만큼 시간 지연되고, 채널(Y0,Y2,Y4,Y6,Y8,Y10)내의 시간삽입 PCM워드는 각각 시간지연회로(82,83,84,85,86,87)에 의해 d만큼 지연된다.
이들 선택적인 제2지연이 이루어진다. 오차교정워드 계열은 각각 Pz,Qz,Rz,Sz로 된다. 유사하게, 제2지연이 이루어진 시간삽입 PCM워드는 각각 PCM계열(Z0,Z1…Z11)로 표시된다. 그러나, 이들 오차교정 및 PCM워드 모두는 상호 시간 삽입관계를 나타내며, 결합시에는 전송블럭을 형성한다. 이 전송블럭은 멀티플렉서(90)에 워드씩 병렬로 공급된다.
멀티플렉서(90)는 이에 공급된 각 연속 전송블럭에 포함된 시간-삽입워드를 직렬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멀티플렉서는 병-직렬 변환기로 작용하여 전송블럭을 직렬화시킨다. 직렬화된 전송에는 제2도에 도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동기번호(SYNC)가 직렬화된 전송블럭 앞에 삽입되며, 이 동기신호 다음에는 4개의 오차교정워드(Rz,Sz,Pz,Qz)가 따르며, 이들 오차교정워드 다음에는 12개의 시간삽입 PCM워드(Z0,Z1,…Z11)가 따른다. 따라서, 각 전송블럭은 16개의 워드를 포함하며, 만약 각 워드가 16비트로 형성된다면 직렬화된 전송블럭은 256비트+SYNC가 된다.
제1도에서, 분배회로(30)의 출력에 공급된 데이타블럭이 각각 채널(X0…X11) 내에서 좌채널 및 우채널 PCM워드(L0,R0,L1,R1,L2,R2,L3R3,L4R4,L5,R5)로 형성된다고 가정하면, 이 데이타블럭이 발생하는 시간에서 멀티플렉서(90)에 공급된 채널(Z0…Z11) 내의 전송블럭에 포함된 대응 좌채널 및 우채널 PCM워드는 [L0-6(3D+d), R0-240, L1-6(5D+d), R1-360, L2-6(7D+d), R2-48D, L3-6(9D+d), R3-60D, L4-6(11D+d), R4-72D, L5-6(13D+d), R5-84D]로 표시된다. 이는 멀티플렉서(90)에 공급된 전송블럭과 분배회로(30)의 출력에서 발생된 데이타블럭간의 시간관계를 나타낸다.
유사하게, 전송블럭(L0,R0,…L5,R5)이 분배회로(30)의 출력에서 발생되고, 패리티워드(Px)는 P0와 같고, 패리티워드(Ry)는 R0와 같으며, 매트릭스 패리티워드(Sx)가 S0와 같다고 가정하면, 이때 멀티플렉서(90)에 공급된 전송블럭에 포함된 오차교정워드(Pz,Qz,Rz및 Sz)는 각각 P0-6(D+d), Q0-12D, R0-6D 및 S0로 표현된다. 이는 주어진 전송블럭내에 포함되는 오차교정워드의 시간-삽입 또는 시간 지연관계를 나타낸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2도에 도시된 형태로 각 전송블럭을 직렬화시키기 위해서는 멀티플렉서(90)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원한다면 전송블럭에 포함된 각각의 오차교정워드 및 PCM워드를 고정된 다중헤드를 갖는 적절한 PCM레코더상에 직접 기록시킬 수 있다. 즉 전송블럭은 종래의 다중헤드 또는 다중갭 헤드에 의해 기록매체상의 병렬 트랙내에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멀티플렉서(90)를 이용하므로써, 전송블럭은 PCM 기록 시스템에 사용된 자기테이프, 적절한 기록디스크 또는 다른 기록매체상에 단일 채널로 기록될 수 있다.
Figure kpo00006
인 지연시간 d에 의해 오차교정 및 PCM워드를 교대로 선택적으로 지연시키므로써, 채널(Z0) 내의 전송블럭에 포함된 16비트워드는 오디오신호의 샘플에 대해 비트대 비트로 대응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이 16비트워드는 PCM워드로 언급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전송블럭이 재생될 때, 선택성 지연 d는 d만큼 제2지연되지 않았던 워드를 지연시키므로써 상쇄될 수 있다. 또한 d만큼 지연되었던 워드가 재생 처리동안 D-d만큼 지연되며, 나머지 워드는 D만큼 지연될 수 있다. 하여튼, 시간-삽입 데이타블럭(Y0…Y11)과 오차교정워드(Ry및 Sy)는 적절한 시간관계로 재생된다. 그리하여 시간-삽입 워드에 오차가 발생된다면, 이러한 오차는 종래의 오차-교정기술에 따라 오차교정워드(Ry및 Sy)를 사용하여 교정된다. 그 후 채널(Y0…Y11) 내의 시간삽입 PCM워드는 시간지연회로(50…63)에 의해 지연된 지연된 지연양의 역인 양으로 이들 PCM워드를 지연시키므로써 시간 소거된다. 마찬가지로 오차교정워드 Py및 Qy는 오차교정워드 및 원래의 데이타블럭간에 존재했던 동일한 시간관계로 오차교정워드(Px및 Qx)를 재생시킬 수 있도록 적절히 지연된다. 그후 시간소거된 PCM워드내의 임의의 오차는 잘 알려진 오차교정기술에 따라 시간소거된 오차교정워드(Px및 Qx)를 사용하여 교정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오차교정 부호화 기술에 지금까지 요구되어 왔던 오차검출코드의 사용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예를들면, CRC코드워드에 의해 점유된 ″시간슬롯″이 PCM워드에 의해 점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오차검출 코드필요성을 제거시키므로써 오차교정 부호신호의 여유도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용한 정보에 대한 패킹(packing) 및 기록밀도가 향상된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개선된 실시예가 제2도에 도시된다. 제3도의 실시예가 상술된 것과 다른 점은 지연된 패리티워드(Py) 및 지연된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y) 모두가 오차교정 코드발생기(70′)에 공급된다는 점이다. 특히 패리티워드(Py)는 패리티워드발생기(71′)에 공급되고,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y)는 패리티 매트릭스발생기(72′)에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패리티워드(Ry)는 패리티워드(Py)를 갖는 채널(Y0…Y11)내의 시간삽입 PCM워드를 모듈로-2 가산하므로써 얻어진다. 또한, 매트릭스 패리티워드(Sy)는 예정된 발생매트릭스에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y)를 적용시켜 산출된 값과 상기 발생 매트릭스에 시간삽입 PCM워드를 적용시켜 산출된 값을 모듈로-2 가산하므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패리티워드(Ry)는 패리티워드(Py)와 시간삽입 PCM워드의 함수이며, 매트릭스 패리티워드(Sy)는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y) 및 시간삽입 PCM워드의 함수이다.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하므로써, 전송블럭의 재생 또는 수신동안 패리티워드(Py) 또는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y)에 오차가 발생된다면, 이 오차는 종래의 오차교정 오차교정기술에 따라 각각 패리티워드(Ry) 또는 매트릭스 패리티워드(Sy)를 사용하여 교정할 수 있다. 오차교정워드(Py및 Qy)내의 재생시에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오차가 일단 교정되면, 원 데이타블럭이 교정될 것이다. 그러나 제1도의 실시예가 사용되는 경우에, 재생시 오차교정워드(Py)(Qy) 내의 오차가 교정되지 못한다면 원래의 데이타블럭은 교정될 수 없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오차교정 능력이 높다.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더 개선된 실시예가 제4도에 도시된다. 제4도에서, 오차교정 코드발생기(70′′) 내의 패리티워드발생기(71′′)에 의해 발생된 패리티워드(Ry)는 지연시간 d에 의해 제2지연된 후 귀환되어 오차교정코드발생기(40′)에 포함된 패리티워드 발생기(41′)에 패리티워드(Rx)로 공급된다. 즉, 지연된 패리티워드(Rx)는 D-d씩 지연되는 시간지연회로(88)를 통해 귀환된다. 유사하게, 오차교정코드발생기((70′′)내 패리티 매트릭스발생기(72′′)에 의해 발생된 매트릭스 패리티워드(Sy)는 귀환되어 오차교정코드(40′)의 패리티 매트릭스발생기(42′)에 공급된다. 이는 패리티워드(Px)가 PCM워드 및 귀환된 패리티워드(Rx)의 함수로서 발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배트릭스 패리티워드(Qx)는 데이타블럭내에 포함된 PCM워드 및 귀환된 매트릭스 패리티워드(Sy)의 함수로서 발생된다. 각 오차교정 코드발생기들간의 오차교정워드의 ″횡귀환″(cross-feeding)의 결과로, 재생되거나 또는 수신된 오차교정워드(Ry및 Sy)에 생길 수 있는 오차는 오차교정워드(Px)(Qx)를 사용하여 각각 교정된다. 마찬가지로 재생 또는 수신된 오차교정워드(Py)(Qy)에 생길 수 있는 오차는 오차교정워드(Ry및 Sy)를 사용하여 교정된다. 결과적으로 오차가 생긴 오차교정워드가 교정되기 때문에, 교정될 수 없는 오차가 발생된 PCM워드로 교정된다. 그러므로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오차교정능력은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더 향상된다.
제5도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제5도 실시예에서 설명된 소자와 동일한 소자는 ″1″이 첨가된 동일숫자로 표시된다. 오차교정 코드발생기(170)에는 오차교정 코드발생기(140)로부터 유도된 오차교정워드(Py)(Qy)가 공급되고, 오차교정 코드발생기(140)에는 오차교정워드(Rx)(Sx)가 공급되며, 이들 두 오차교정워드(Rx)(Sx)는 오차교정 코드발생기(170)로부터 유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오차교정워드의 ″횡귀환″은 제4도에 관해 상술된 ″횡귀환″과 유사하다.
제5도의 실시예에서 분배회로(130)에는 입력단자(110)를 통한 연속적인 좌채널 PCM워드와, 입력단자(120)를 통한 연속적인 우채널 PCM워드가 공급된다. 채널(X0…X11)은 상술된 바와 같이 지연회로(150,151…160)에 결합되고, 이들 채널은 패리티 워드발생기(141)와 매트릭스 패리티워드발생기(142)에 결합되는데 이들 두 발생기는 모두 오차교정 코드발생기(140)에 포함되어 있다. 지연회로(150…160)는 상술된 시간지연회로(52…63)와는 달리 전달되는 지연시간양이 다르다. 또한 제5도에서 채널(X0) 내의 PCM워드는 지연되지 않는다.
채널(X1)은 PCM워드(R0,R6,R12…)에 (D-d)의 지연을 전달하는 지연회로(150)에 결합되고, 채널(X2)은 PCM워드(L1,L7,L13…)에 2(D-d)의 지연을 전달하는 지연회로(151)에 결합된다. 유사하게 채널(X3…X11) 내의 PCM워드는 각각 지연회로(152…160)에 의한 시간지연에 좌우되는데 이러한 시간지연은 각각 (D-d)의 배수이다. 여기에서 D는 데이타워드 시간주기와 같고, d는 D의 예정된 일부(
Figure kpo00007
)이다. 지연회로(150,…160)는 PCM워드에 시간삽입을 하여, PCM워드로 형성된 시간삽입 데이타블럭을 이루어 채널(Y0…Y11)에 제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채널(X0) 내의 PCM워드는 시간지연되지 않는다.
제5의 실시예에서, 패리티워드(Px) 계열은 지연된 패리티워드(Py)를 발생시키도록 지연회로(161)에 의해 지연된다. 이 지연양은 12(D-d)이다. 지연매트릭스 패리티워드(Qy)는 지연회로(162)에 의해 지연된다. 지연회로(162)는 13(D-d)의 지연을 전달한다. 그러므로, 지연회로(150…162)는 각각 (D-d)의 배수도 동일한 선택적인 지연을 제공하므로써 PCM 및 오차교정워드에 시간삽입이 되며 따라서 시간삽입 데이타블럭을 형성하게 된다.
지연채널(Y0…Y11)에 제공된 시간-삽입 PCM워드는 패리티 워드발생기(171) 및 패리티 매트릭스발생기(172) 양쪽에 공급되고, 이들 각 발생기에는 또한 지연된 패리티워드(Py) 및 지연된 매트릭스 패리티워드(Qy)가 공급된다. 그러므로, 패리티 워드발생기(171)는 패리티워드(Ry)계열을 발생시키고, 패리티 매트릭스발생기(172)는 매트릭스 패리티워드(Sy)계열을 발생시킨다. 패리티워드(Ry)는 지연회로(195)를 통해 오차교정 코드발생기(140)에 포함된 패리티 워드발생기(141)로 귀환된다. 이 지연회로는 14(D-d)의 지연을 전달하고, 귀환지연된 패리티워드는(Rx)로 표시된다. 유사하게 매트릭스 패리티워드(Sy)는 지연회로(196)를 통해 패리티 매트릭스발생기(142)로 귀환된다. 이 지연회로는 15(D-d)의 지연을 전달하고 귀환지연된 매트릭스 패리티워드(Sx)로 표시된다. 채널(Y0…Y11) 내의 시간삽입 PCM워드가 오차교정 코드발생기(170)에 공급되는 것은 물론 시간지연회로(180…190)에 의해 선택된 제2시간 지연된다. 특히, 채널(Y0)에 제공된 PCM워드는 지연되지 않는다. 채널(Y1)에 제공된 PCM워드는 시간지연회로(180)내에서 d만큼 지연되며, 채널(Y2)내의 PCM워드는 시간지연회로(181)내에서 2d로 지연되는등 채널(Y11)에 제공된 PCM워드워드는 시간지연회로(190)내에서 11d로 지연된다. 여기에서, 시간지연회로(180…190)은 지연회로(150…160)에 의해 지연양의 일부를 상쇄하여 채널(Z0…Z11)내 시간삽입 PCM워드는 데이타워드주기(D)의 정수배(0,1,2…11)와 동일한 지연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지연된 패리티워드(Py)는 시간지연회로(191) 내에서 12d만큼 지연되고, 지연된 메트릭스 패리티워드(Qy)는 시간지연회로(192)내에서 13d만큼 지연되며, 패리티워드(Ry)는 시간지연회로(193)내에서 14d만큼 지연되며, 메트릭스 패리티워드(Sy)는 시간지연회로(194)내에서 15d만큼 지연된다. 시간지연회로(191)는 패리티워드(Pz)를 12d만큼 지연시키는 지연회로(161)에 의해 전달된 지연양의 일부를 상쇄하는 경향이 있다. 시간지연회로(192)는 메트릭스 패리티워드(Qz)를 13d만큼 지연시키는 지연회로(162)에 의해 전달된 지연부분을 상쇄하고 시간지연회로(193),(194)는 지연회로(195),(196)에 의해 전달된 지연부분을 상쇄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상술된 멀티플렉서(190)와 유사하게 멀티플렉서(200)에는 시간삽입워드로 형성된 전송블럭이 공급된다. 특히 이 전송블럭은 채널(Z0…Z11)내의 시간삽입 PCM워드와 함께 시간삽입 오차교정워드(Pz,Qz,Rz,Sz)로 형성된다. 멀티플렉서(200)는 워드씩 병렬로 공급된 전송블럭을 직결화하여 제2도에 도시된 전송블럭형태로 나타낸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은 CRC코드와 같은 오차검출코드에 대한 필요성이 바람직하게 제거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전송블럭의 재생 또는 수신동안 잘못될 수도 있는 특정워드를 표시하기 위하여 이 CR코드를 사용하는 게 좋을 경우라면, CRC코드 또는 교체오차 검출코드가 제2도에 도시된 전송블럭내로 삽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CRC코드는 오차교정워드 앞에 삽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으로부터 얻어진 장점으로 인해, 오차교정 후의 오차비(1 이하인)는 현저하게 개량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교정될 수 있는 다수의 오차는 지금까지 교정될 수 있었던 것보다 훨씬 많이 교정된다. 그 결과로서, 오차교정 작동 후의 나머지 오차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오차수보다 훨씬 적다. 예를 들면, 교정 후의 이 오차비가 Pw로 표시된다면(이 오차비는 1 이하임), 본 발명에 따라 워드오차비는 대략 Pw 8내지 Pw 12정도이다. 이것은 CRC코드와 같은 오차검출코드가 사용될 때 약 Pw 3인 오차비의 종래 기술에 비해 탁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차교정 부호화기술에 따른 오차교정능력이 훨씬 더 개량되었음이 인정된다.
본 발명이 어떤 적합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고 특정하게 도시되어진 반면 본 기술상 숙련된 통상적인 자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이탈됨없이 세부형태의 여러 수정이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간파할 수 있다.

Claims (1)

  1. 데이타워드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데이타블럭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채널 각각에 연속적인 데이타워드를 분배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타블럭에 포함된 워드의 함수로 제1오차 교정코드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시간삽입 데이타워드로 이루어진 시간삽입 데이타블럭을 형성하도록 상기 데이타블럭 내에 포함된 데이타워드를 각기 다른 시간지연으로 선택적으로 지연시키는 단계와, 전송블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타블럭에서 오차가 발생된 최소한 한 개의 워드를 교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1오차 교정코드와 상기 시간삽입 데이타 블럭내에서 오차가 발생된 최소한 한 개의 워드를 교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2오차 교정코드 및 시간삽입 데이타블럭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탈 데이타워드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오차 교정코드를 상기 시간삽입 데이타블럭내에 포함된 워드의 함수로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은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워드 전송방법.
KR1019810000916A 1981-03-19 1981-03-19 디지랄 데이타 워드 전송방법 KR840001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916A KR840001524B1 (ko) 1981-03-19 1981-03-19 디지랄 데이타 워드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916A KR840001524B1 (ko) 1981-03-19 1981-03-19 디지랄 데이타 워드 전송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156A Division KR840001525B1 (ko) 1984-04-23 1984-04-23 Pcm워드용 오차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783A KR830005783A (ko) 1983-09-09
KR840001524B1 true KR840001524B1 (ko) 1984-09-29

Family

ID=1922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916A KR840001524B1 (ko) 1981-03-19 1981-03-19 디지랄 데이타 워드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5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783A (ko) 198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82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digital with two error correcting codes
KR850001023B1 (ko) 오차교정 디코더장치
US4238852A (en) Error correcting system
CA11517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igital information words by error-correction encoding
US4630272A (en) Encoding method for error correction
EP01466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data signal
US48666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ormly encoding data occurring with different word lengths
EP0127687B1 (en) Method of recording pcm signal
US4306305A (en) PCM Signal transmitting system with error detecting and correcting capability
EP0343930B1 (en) Dat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EP0303450B1 (en) Digital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US4188616A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locks of encoded data words to minimize error distortion in the recovery of said data words
CA11715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digital signal for transmission
US4356564A (en) Digit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with encoding and decoding sections for correcting errors by parity signals transmitted with digital information signals
US44032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digital signal
GB2082809A (en) Digital signal error correction coding
EP0129223B1 (en) Digital signal transmission method providing high error correction capability
US43800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rrors in PCM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H01119127A (ja) ディジタル信号伝送装置
EP0395125A2 (en) A PC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042037A (en) Digital data modulation circuit having a DC component suppression function
KR840001524B1 (ko) 디지랄 데이타 워드 전송방법
KR840001525B1 (ko) Pcm워드용 오차교정장치
GB2071370A (en) PCM Signal Processing
KR970008641B1 (ko) 부호화 디지탈 신호의 기록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