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340B1 - 개량된 액체 선하물 탱크구조 - Google Patents
개량된 액체 선하물 탱크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40001340B1 KR840001340B1 KR7802930A KR780002930A KR840001340B1 KR 840001340 B1 KR840001340 B1 KR 840001340B1 KR 7802930 A KR7802930 A KR 7802930A KR 780002930 A KR780002930 A KR 780002930A KR 840001340 B1 KR840001340 B1 KR 8400013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tanker
- lading
- liquid
- hu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조선의 개량된 액체선하물 탱크구조의 일예의 부분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에 따른 액체 선하물 탱크구조의 횡단면도.
제3도는 좌초 및 또는 선체측면이 손상되므로 생긴 측면 및 저면선체의 파괴면을 도시한 액체선하물 탱크구조의 다른 예의 횡단면도.
제4도는 유조선의 상부 선하물탱크의 부가적인 선적 및 하선장치를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조선의 개량된 액체 선하물탱크의 또다른 예의 평면도.
제5도는 상부 선하물 탱크내에 있는 부가적인 선적 및 하선장치를 도시한, 제4도에서 설명한 액체 선하물 탱크구조의 다른 부분을 확대시킨 단면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동액을 넣는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조선의 개량된 액체 선하물 탱크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량의 액체를 수송하기 위한 유조선은, 예컨대 미국특허 명세서 제2,918,032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조선은 일반적으로 유조선을 액체가 누출되지 않는 다수의 구획저장실로 세분하는, 액체의 누출을 막는 다수의 횡단격벽과 하나 그 이상의 종단격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만약 이러한 유조선의 선체지면이나 또는 측면이 좌초나 또는 어떤 다른 사고에 의해서 파괴된다면, 이 파괴된 선하물 탱크는 각 탱크내에 있는 액체 선하물의 “압력수두(壓力水頭)”까지, 즉 거의 유조선의 수선(水線)위에 위치한 액체 선하물 부분까지 유조선으로부터 누출시킬 것이다. 이러한 누출은 소위 “SWBT” 및 “이중-저면(double-bottom)” 유조선에 심각한 문제인바, 왜냐하면 이들 유조선은 재래식 유조선에 비하여 건현(乾舷)이 큼으로 보다큰 선하물의 압력수두(pressure bead)를 갖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좌초나 또는 다른 커다란 재난에 의해서 생긴 선체의 파괴결과로서 오일선박에 의한 오염문제가 점점 더큰 관심사가 되어 왔다. 그 결과, 여러 가지 항-오염 유조선의 구조가 제한되었는바, 이들중의 하나가 소위 “이중-저면” 유조선 구조로서 이것은 근본적으로 두개의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선체 저면을 갖는 유조선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의 목적은, 만약 외부 선체저면이 예컨대, 좌초에 의해서 파괴되었을 때 유조선의 선하물 탱크로부터의 누출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좌초나 또는 어떤 다른 사고에 의해서 생긴 누출을 막을수 없었는바, 왜냐하면 이러한 손상은 또한 외부저면을 파괴할 수도 있기 때문이었다. 더우기, 부가적으로 이러한 유조선을 제조하는데 드는 비용이 고가인 것 이외에, 내부와 외부 선체저면 사이의 공간을 선하물의 운송 및 저장에 사용할 수 없고 그 결과, 이러한 구조는 유조선을 조작하고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을 증가시켰다. 또한 이러한 유조선에 있어서의 저면 손상수리비용이 심각하게 커졌고 이러한 이중저면 유조선은, 선체에 손상이 생겼을때 내부 및 외부선체 저면모두를 파괴시키는 경향이 있는 내부선체 저면상의 선하물 및 외부선체 저면상의 물의 거대한 압력을 지지하기 위해 견고한 내부적 구조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측면 탱크를 유조선의 정면(頂面) 갑판으로부터 선체 저면까지 확장시키며 선하물탱크 근처에 위치하고 선하물탱크에 연결시키는 이중 측면을 갖는 유조선을 제작하는 것이 미국 특허명세서 제3,832,966호에서 제안되었는바, 이들 측면탱크는 수선위에 위치한 각각의 선하물탱크의 용량에 대등한, 선체 저면로부터 유조선의 수선까지의 용량을 갖는다. 이와같은 유조선에서 만일 선체가 파괴된다면 선하물탱크에 연결된 측면탱크의 밸브가 열려서 오일이 선하물탱크에서 측면탱크로 배출되므로 선하물탱크내의 수선위에 있는 오일이 파괴된 선체 저면으로 누출되지 않게되어 있다. 측면 탱크에서 사용된 배출구는 선하물탱크에서 사용된 배출구보다 커서 이들 배출물이 바다로 누출되는 대신에 선하물 탱크에서 측면탱크로 배출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결점은 선하물 탱크에서 운반된 “압력수두”의 액체 선하물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측면 탱크가 선하물을 저장 및 운반하는대 사용할수 없는, 이중-저면 유조선에서의 내부와 외부 선체저면 사이의 공간과 유사했다. 따라서 유조선의 제작, 유지 및 조작비용을 증가시켰다. 더우기, 이러한 구조는 단지 이론적이고 실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유조선에 의해서 운반된 액체선하물을 단지 2 또는 3%를 절약하는데 지나지 않았다.
그런고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선하물 탱크 구조의 상술한 결점을 제거하고 유동성 선하물의 손실 및 유조선의 선체가 파괴된 경우에 있어서의 오염을 감소시키는, 유조선의 개량된 액체 선하물탱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조선의 선체 저면 손상의 결과로서 생긴 안정성의 난점을 감소시킨, 유조선의 개량된 액체 선하물 탱크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유의 안전한 유조선항-오염장치로 제공되고 동시에 액체 선하물의 운반 및 저장에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개량된 액체 선하물 탱크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기타목적은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유조선의 정면 및 저면 사이에 최소한 하나의 방수구획실을 형성하는 저면, 측면 및 정면을 가진, 물보다 비중이 적은 액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물에 배치된 유조선에서 성취된다. 본 발명의 개량은 유조선의 수선상의 정면과 저면 사이의 유조선내에 배치되었으며 H(Sw/Sc)보다 적거나 동일한 저면상의 일정거리에 있는 방수 수평격벽으로 구선되어 있다. 상기한 H(Sw/Sc)에서 H는 저면상의 수선의 수직높이를 나타내며, Sw는 물의 비중을 나타내며, Sc는 액체선하물의 비중을 나타낸다. 격벽은 유조선의 수선 상하 구획실내에 분리된 상부와 저부 방수 액체-수용탱크를 형성하며, 상부탱크는 수직높이가 저부 탱크보다 낮다.
본 유조선은 저면과 측면, 정면 갑판 및 정면갑판과 선체 저면 사이에 다수의 방수 선하물 구획실을 형성하는 선체내에 위치한 최소한 하나의 횡단격벽으로 구성된 물보다 적은 비중을 가진 액체 선하물의 수송용 유조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량은 유조선의 수선상의 정면 갑판과 선체 저면 사이의 선체내에 위치하며 H(Sw/Sc)보다 적거나 동일한 선체저면상에 있는 방수 수평격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H(SW/Sc)에서 H는 선체 저면상의 유조선의 수선의 수직높이이며, Sw는 물의 비중이며, Sc는 액체 선하물의 비중이다. 수평격벽은 유조선의 수선 상하에 최소한 하나의 선하물 구획실내에 분리된 상부와 저부 방수선하물탱크를 형성하며, 상부탱크는 수직높이가 하부탱크보다 낮다.
본 발명의 수평격벽은 선하물 구획실내에 액체선하물의 압력수두를 분리 및 포함하기 때문에 유조선에 의하여 운반된 선하물의 누출이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이중-저면 유조선(이러한 유조선이 내부 선체 저면이 파괴될때)을 포함하는 종래의 유조선과 비교해볼 때, 종래의 유조선은 선체의 저면이나 또는 측면이 파괴되면 선하물의 압력수두가 상실되거나 제거될때까지 신속히 누출되는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유조선은 만일 저면 선체가 파괴되는 경우물에 비해 유조선에 의해 운반된 액체 선하물의 비중이 더 가볍기 때문에 액체 선하물이 보다 적게 누출될 것이며, 사실상 선체 전면의 누출이 제거되며, 유조선의 선체측면에 있는 파괴구를 통한 누출량도 또한 상당히 감소된다. 따라서, 좌초나 또는 보다큰 사고에 의해 초래되기 쉬운 용량이 큰 선박오염문제는 최소한의 오염문제로 감소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평격벽을 설치하므로서 격벽이 파괴될 위험이 최소화되고, 선하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유조선의 선체의 가장 높은 수직높이에 격벽이 설치되기 때문에 선체가 파괴되는 경우 유조선으로부터 선하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성능의 감소가 최소화된다. 더우기, 최대로 유용한 수직높이로 유조선에 격벽을 설치하므로서 유조선의 상부선하물탱크의 높이가 감소되기 때문에 그러한 유조선을 제조하거나 또는 현존하는 유조선에 격벽을 설치하는 비용이 상당히 감소되며, 따라서, 상부탱크의 선하물의 중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격벽용 지지구조물이 상부탱크내의 선하물을 지지하는데 보다 적게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괴된 유조선으로부터 선체 누출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뿐만 아니라, 충돌이나 좌초되는 경우 격벽이 비효과적으로 되는 피해를 최소화하며, 새로 유조선을 제조하거나 현존하는 유조선에 그와같은 격벽을 창작하는 비용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개량된 유조선은 액체선하물을 상부탱크에서 하부탱크로 운송시키고 하부탱크에서 상부탱크로 운송시키기 위해 상부 및 하부 선하물탱크 사이에 위치하고 상부 및 하부 선하물탱크를 연결해 주는 밸브장치를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본 유조선은 선체내에 위치한 다수의 종단 및 횡단격벽과 다수의 선하물 구획실 및 또는 벙커 탱크를 상부 및 하부 방수 선하물탱크로 분리시키는 수평 격벽을 포함한다. 추가로 유조선은 상부 및 하부탱크를 선적 및 하선시키기 위해 밸브에 의해서 상부 및 하부 선하물탱크에 연결된 주된 액체 선해물의 선적 및 하선장치와 상부탱크를 선적 및 하선시키기 위해 상부 선하물탱크에 연결된 부가적인 액체 선하물의 선적 및 하선장치를 포함한다. 부가적인 선적 및 하선장치는 상부 선하물탱크로부터 액체 선하물을 제거하기 위한 흡입장치, 예컨대 모터로 움직이는 펌프장치, 흡입기에 연결된 제1도관 및 제1도관과 상부 선하물탱크에 연결된 제2도관을 포함할 것이다. 유조선에 있는 제1 및 제2도관은 상부 선하물탱크와 내부적으로 연결되고 여러계층의 선하물을 선적 및 하선시키는 상부 탱크에서 액체선하물을 구해내고 액체 선하물을 상부 선하물탱크중의 하나로부터 또다른 탱크로 운반한다. 각각의 상부 선하물탱크는 또한 상부 액체탱크내에 있는 액체를 수집하는 기름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로서, 각각의 상부 액체탱크에 있는 밸브장치는 기름통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예에 있어서의 장점은 상부액체 탱크가 액체 및 또는 밸러스트(ballast)용으로 충분히 이용될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같은 형태는 유조선의 크기를 더욱 작은 크기로 하는바, 그 결과 “이중-저면”이나 또는 “SWBT” 유조선에 비하여 조작비용이 훨씬 저렴하다. 또한 상부액체 선하물탱크는 하나의 탱크로서 선적할수 있으며 액체 선하물은 밸브장치가 열림으로 밸브를 통하여 중력에 의해 하부 선하물탱크로 하선될수 있다. 이와는 달리, 여하한의 또는 모든 상부 탱크는 부가적인 선적 및 하선장치가 상부 선하물탱크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계층의 액체의 운송 및 저장용으로 사용될수 있다. 더우기 유조선에 의하여 운반되는 선하물이 물보다 비중이 적기 때문에 하부 선하물탱크내의 액체 선하물은 격벽이 중압 높이 아래 위치할때 플러스(+)로 상승하는 압력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상부선하물탱크에서 밸브가 열림으로 액체 선하물이 하부 선하물탱크로부터 상부 선하물 탱크로 운반되어 그곳에서 선적 및 하선장치나 또는 부가적인 선적 및 하선장치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하선시키거나 또는 운반시킬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유조선은 매우 고가이고 시간이 소비되는 선하물을 이동시키는 보조장치가 필요치 않다.
상술한 이외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조선에 의해 제공된 여러가지 장점들이 있다. 예컨대, 좌초에 의해 생긴 저면손상의 수리비용이 이중저면을 갖는 유조선에 비해 크게 감소되었다는 점과 또한 비록 선하물탱크가 파괴된다 할지라도 모든 하부선하물 탱크가 완전하면 실제적으로 정상적인 균형 및 흘수(吃水)가 유지되기 때문에, 좌초나 또는 보다큰 사고에 의해 선하물탱크 대역에 손상이 생긴 경우에, 다른 형태의 선박에 비해 본 발명의 유조선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점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조선은 종단구조적으로 완전하게 존재하는한, 선체저면에 생긴 손상의 범위에 관계없이 실제적으로 침몰되지 않게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조선은 좌초에 의해 손상되었을때 부력을 쉽게 잃어버리는 이중-저면 유조선과는 달리 좌초한 후에 부력이 거의 변화하지 않거나 전혀 변하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부 및 하부선하물 탱크의 버터워어드(butter worth)세정이나 또는 가스제거(gasfreeing)는 이중-저면 유조선에 비해 훨씬 더 용이하게 유조선의 주요 갑판에서 동시에 수행할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조선내의 상부 및 하부 선하물탱크는 버터 워어드 세정 및 가스제거를 위해 3-5시간정도가 필요한 반면에 이중-저면 유조선에서는 동일양을 세정하는데 하루나 또는 그 이상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의한 유조선은 여러가지 형태를 가지며, 예컨대 바다에 있는 유조선, 거룻배 또는 오일저장 탱크일수 있다. 만약 선박이 유조선이라면 어떤 상부액체 탱크가 건조 또는 저장수용으로서 사용될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이어서 창구의 테두리 및 덮개 또는 선실통로 입구가 가설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주지해야 한다.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제1도와 제2도에서 부호(10)는 대략 도시한 유조선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서, 이 유조선은 저면(11)과 측면(12)로 구선된 선체를 함유한다. 유조선은 유조선의 선체내에 위치하며 유조선의 정면갑판(13)과 선체 저면(11) 사이에서 다수의 방수 선하물 구획실(16)을 형성하는 다수의 종단 및 횡단격벽(14)와 (15)을 함유한다. 방수 수평격벽(17)은 유조선의 수선(18)위의 정부 갑판(13)과 선체 저면(11)사이에 위치하여 최소한 하나의 선하물 구획실내에서 분리된 상부방수 선하물탱크(19)와 하부방수 선하물탱크(20)을 형성하며, 도시한 본 발명의 예에서는 유조선(10)의 수면(18)위와 아래에 다수의 선하물 구획실(16)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부탱크는 하부탱크보다 낮은 수직높이를 가진다. 수평격벽은 유조선의 전방에, 고물에, 중앙에 또는 측면 부분에 하나의 상부 선하물탱크나 또는 다수의 상부선하물 탱크를 형성한다는 사실과, 필요에 따라 유조선은 선하물 구획실을 형성하는 단지 하나의 횡단격벽이나 또는 하나 이상의 종단격벽을 함유할 것이라는 사실을 주지해야 한다.
수평격벽(17)은 상술한 바와같이, 유조선의 수선위에, 또한 선하물 구획실에서 중압높이보다 적거나 동일한 유조선의 선체저면 위에 수직높이(h)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또한 유조선 수선상에 설치되 있다. 후자의 높이는 유조선에 의하여 운반되는 선하물이 물에 의하여 지지될 최대 수직높이며, 방정식H(Sw/Sc)로 주어지는데, 여기서 H는 선체저면상의 유조선의 수선, 즉 유조선 홀수의 수직높이를 나타내며, Sw는 물의 비중을 나타내며, Sc는 유조선에 의하여 운반되는 선하물의 비중을 나타낸다. 유조선의 수선에 대하여, 격벽은 H(Sw/Sc-1)보다 적거나 동일한 수선상의 수직거리에 설치된다. 격벽은 온도 및 유조선의 균형의 변화로 인하여 선하물 및 물의 비중에 변화를 주도록 중압높이 아래로 구체적으로 약 1피트 아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하여 하부 선하물탱크에 양압(+)이 존재하기 때문에 격벽이 선하물 구획실내의 중압위치에 설치될 때 선체가 파괴되는 경우 유조선으로부터 선하물이 누출하게 된다. 따라서, 유조선의 선체 저 명상의 바람직한 격벽높이(h)는 방정식 h=(Sw/Sc)-1로 나타나진다. 여기에서 H는 유조선 선체 저면상의 유조선의 수선을 피트(ft)로 나타낸 수직높이이며, 선체저면상의 격벽을 피트로 나타낸 수직높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수선이란 용어는 작동중에 예컨대 유조선의 여름 흘수중에 사용되어야하는 유조선의 만재 흘수선을 의미하며, 본 기술분야에 숙달된 사람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바와같이, 수선의 위치는 사용된 만재흘수선에 따라 유조선의 선체저면상의 높이에 대하여 약간 변경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조선의 최대하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유조선 수선은 선체저면 45피트상에 설치되며, 유조선이 설치되는 물이 비중은 1.0269(이것은 해수의 비중이다)이며, 수평격벽은 보스칸(Boscan)중유 (비중 0.9986)이 유조선에 의하여 운반될때 선체저면상에 45,2753 피트 (또는 수선 0.2753피트)상의 수직 높이로, 중연료유(비중 0.9659)가 유조선에 의하여 운반될때 유조선선체저면 46.8419피트 높이로, 디젤유(비중 0.8762)가 유조선에 의하여 운반될때 선체저면 51.7396피트(수선 6.7396피트)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는 (가) 선체저면(11)에 있는 파괴구(21)로 도시된 선체저면(11)에 생긴 보다 작은 좌초손상, (나) 파괴구(22)로 도시된 선체저면에 생긴 심한 좌초손상 및 (다) 결함, 부딪침 또는 유사한 손상에 의해 생긴 측면 선체 파괴구(23)가 발생했을때의 본 발명의 액체 선하물탱크의 조작을 조시했다. 파괴구(21)의 경우에 있어서, 수평격벽(17)이 단리되어 있고 파괴된 하비 선하물탱크(20)의 위에 있는 상부 선하물탱크(19)에서 액체선하물의 유동압력수두를 포함하기 때문에 음영을 띤 부분(24)으로 도시한 소량의 선하물이 상실된다. 선하물구획실에서 액체 선하물이 물의 비중보다 적은 비중을 갖기 때문에, 파괴된 선하물 구획실에서 압력 수두의 액체선하물이 누출되지 않는다. 파괴구(22)의 경우에 있어서, 물의 비중에 비해 액체 선하물의 비중이 더욱 작기 때문에 제3도에서 음영을 띤 부분(25)으로 도시된 액체선하물만이 상실된다. 측면선체손상(23)의 경우에 있어서, 음영을 띤 부분(26)으로 도시된 보다 많은 양의 액체선하물이 상실되는바, 즉 상실되는 액체선하물의 부분은 선체에 있는 파괴구의 높이까지 달한다. 그러나 상부 선하물탱크(19)에 의하여 파괴된 선하물구획실에서 수평격벽(17)에 의해서 압력수두가 봉쇄되기 때문에 하부선하물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는 비교적 느리게 유출된다. 그결과, 일부의 액체 선하물은 파괴된 하부 선하물탱크로부터 또다른 선하물탱크로 이송될 것이다. 이러한 선하물의 이송은 하부 선하물탱크(20)에 근소한 마이너스(-) 압력이 생기도록 수평격벽(17)을 유조선의 수선부근이나 그 아래의 위치시킴으로 달성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액체 선하물탱크의 또다른 예이다. 본 발명의 예에 있어서, 밸브(27)는 유조선의 각각의 상부 선하물탱크(19)에 제공된 기름통(28)에 위치한다. 기름통은 상부 선하물탱크에서 액체 선하물을 수집하고 상부와 하부 액체선하물탱크 사이에 위치한 밸브는 각각의 상부액체 선하물탱크와 하부 액체선하물탱크를 연결하며 액체 선하물을 상부탱크(19)에서 하부탱크(20)로 운반하고 하부탱크(20)에서 상부탱크(19)로 운반한다. 또한 유조선은 여분의 상부 선하물탱크에 선적 및 하선시키기 위해 부가적인 액체선하물의 선적 및 하선장치를 포함하고 부가해서 유조선의 상부 및 하부 선하물탱크에 연결된 중요한 액상 선하물의 선적 및 하선장치(도시되지 않았음)을 제공한다. 부가적인 선적 및 하선장치는 모터로 움직이는 펌프(29), 예컨대 유조선의 비상 디젤-발전기의 출력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원심펌프나 또는 회전펌프로 구성되고 상부 선하물탱크(19)내에서 종단으로 확장된 제1도관(30)에 연결된 흡입기와 상부 선하물탱크를 내부적으로 연결한 도관(30)에 연결된 횡단으로 위치한 다수의 제2도관(31)을 포함한다. 한선출구(33)은 펌프에 연결되고 선적입구(34)는 상부 선하물탱크를 선적시키고 하선시키기 위해 도관(30)에 연결되어 있다. 부가적인 선적 및 하선장치는 상술한 바와같이, 선하물구조용으로 여러계층의 선하물의 선적 및 하선용으로 그리고 상부 선하물탱크의 하나로부터 그 탱크의 다른하나, 즉 상부 또는 하부로 운송시키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부가적인 액체선하물선적 및 하선장치의 밸브(27)와 제2도관(31)은 모두 실제적으로 유조선의 정면갑판(13)을 상향으로 확장시키는 핸들바퀴에 의해서 조절된다. 그 밸브와 핸들바퀴는 상부선하물 탱크의 고물끝에 위치한다.
Claims (1)
-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액체를 수용하기 위해 정면과 저면 사이에 최소한 하나의 방수 구획실을 형성하는 저면, 측면 및 정면(頂面)으로 구성되는 유조선에 있어서, 방수 수평격벽이 유조선의 수선위의 저면과 정면 사이의 유조선속에 저면으로부터 H(Sw/Sc)미만 또는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며 상기 유조선의 수선위와 아래의 격벽속에 분리된 상부 및 하부 방수액체수용탱크를 형성하며 상부의 탱크가 하부의 탱크보다 적은 수직높이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의 비중보다 적은 비중을 지니는 액체를 수용하도록 물속에 위치되는 유조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2930A KR840001340B1 (ko) | 1978-09-26 | 1978-09-26 | 개량된 액체 선하물 탱크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2930A KR840001340B1 (ko) | 1978-09-26 | 1978-09-26 | 개량된 액체 선하물 탱크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1340B1 true KR840001340B1 (ko) | 1984-09-19 |
Family
ID=1920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802930A KR840001340B1 (ko) | 1978-09-26 | 1978-09-26 | 개량된 액체 선하물 탱크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40001340B1 (ko) |
-
1978
- 1978-09-26 KR KR7802930A patent/KR840001340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89031B2 (en) | Vessel including automatic ballast system using tubes | |
US4030438A (en) | Ships for liquid cargoes | |
US4241683A (en) | Liquid cargo tank construction | |
US4409919A (en) | Ship's double bottom and bag segregated ballast system | |
US3399645A (en) | Tanker construction | |
US4389959A (en) | Cargo handling system for tanker vessels | |
FI60680C (fi) | System foer transport av vaetskeformiga produkter | |
US414482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ng hydrocarbon gases from the cargo compartments of a tanker vessel | |
US2048312A (en) | Ship for carrying fluids in bulk | |
US4759307A (en) | Tanker ballast | |
CN112469625A (zh) | 用于控制无海水压载的运输船的纵倾的方法 | |
US4715309A (en) | Device for the handling of liquids | |
GB2044202A (en) | Tankers | |
EP0049564B1 (en) | Improved tanker vessel construction for reducing the loss of liquid cargoes having a specific gravity less than that of sea-water | |
KR840001340B1 (ko) | 개량된 액체 선하물 탱크구조 | |
RU2150404C1 (ru) | Судно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 |
EP0557397A1 (en) | TANKER. | |
US5901656A (en) | Watercraft with stacked wing ballast tanks | |
US1759644A (en) | Oil-carrying marine vessel | |
CA1099996A (en) | Liquid cargo tank construction | |
GB2174347A (en) | Liquid ballasting and de-ballasting systems for a vessel | |
KR20060056947A (ko) | 해양 선박용 가스 팽창 트렁크 | |
US20020152942A1 (en) | Ballast tank arrangement for double-hull tanker | |
KR820001051B1 (ko) | 액체 화물 탱크 구조 | |
US5275118A (en) | Ballast tank elements for a double hull vess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