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241Y1 - 경화처리기용 경화 계수기 - Google Patents

경화처리기용 경화 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241Y1
KR840001241Y1 KR2019840003886U KR840003886U KR840001241Y1 KR 840001241 Y1 KR840001241 Y1 KR 840001241Y1 KR 2019840003886 U KR2019840003886 U KR 2019840003886U KR 840003886 U KR840003886 U KR 840003886U KR 840001241 Y1 KR840001241 Y1 KR 840001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signal
curing
harden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3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쓰스께 후루야
Original Assignee
로오렐 뱅크마신 가부시끼 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오렐 뱅크마신 가부시끼 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filed Critical 로오렐 뱅크마신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3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2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2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6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in combination with coin-cou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화처리기용 경화 계수기
제1, 2, 3도는 각각 경화처리기의 요부를 나타낸 상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경화계수 시스템 제1실시예의 회로도.
제5도는 제4도 경화계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시간표.
제6도는 제4도 회로도에 포함된 발생기 회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7도는 제6도의 발생기 회로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본 고안은 경화를 계수하기 위해 경화계수기, 경화포장기 또는 경화선별기등과 같은 경화처리기에 사용되는 경화계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화계수기에 있어서는, 예를들어 경화의 원주곡면에 거의 맞는 치형을 갖는 성치차의 하나의 톱니바퀴를 보낼때 마다 계수기의 계수를 올리도록 사용되므로써 경화의 수가 계수된다. 그런데, 이러한 계수동작은 계수 속도가 빨라지게 되면 성치차의 회전관성이 너무 강하게 미치게 되어 경화수를 실제수보다 하나 더 계수한 것처럼 나타내기 쉽다고 하는 결점을 갖는다.
또한, 경화가 통과할 때마다 경과가 접촉방식으로 계수되는 구성도 제안되어 있지만 계수작등을 정지시키기 위한 아암(arm)등이 경화와 접촉하게 되는 로울러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구상도 전체중량이 커지고 그에 따라 작동관성이 커지게되므로써 신속 정확한 작동을 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을 갖는다.
그래서 본 고안은 경화처리기에 의해 계수되는 경화가, 경화통로의 내벽과 상호 인접하여 반송되는 두 경화의 대챔 외주부분으로 이루어진 개략의 삼각형 공간을 갖추면서 반송벨트에 의해 경화 통로상에서 접촉반송된다고 하는 점에 착안하여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원활하고 신속한 계수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오동작이 없는 정확한 경화 계수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2목적은 경화 반송벨트가 정지시의 반동으로 역전되었을 경우나 경화통로 상에서 막혔을 때 수동으로 역전되었을 경우 일지라도 이미 계수된 경화 한개가 역방향으로 반송되므로써 잘못 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화 계수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수되는 일련의 경화를 안내하는 경화통로 경화를 상기 경화 통로내에서 반송하기 위해 상기 경화통로에 병렬로 설치된 반송장치, 광을 발하기 위해 상기 경화통로의 하부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 경화 반송방향에 서로 전후에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받아드리며 상기 경화통로의 내벽과 상기 경화를 따라 상호 인접하여 반송되는 두경화의 마주보는 외주부분에 의해 이루어지는 대략 삼각형 공간내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포함되도록 배열됨에 의해서 각각의 신호들을 발생하는 전단 및 후단센서, 상기 전단 및 후단센서의 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두경화가 상기 전단센서로부터 상기 후단 센서로 정상 순서로 통과할 때에는 가산신호를 발생하고 상기한 두경화가 상기한 후단센서에서 상기한 전단센서로 비정상순서로 통과할 때에는 감산신호를 발생하고 감산신호에 대해서는 감산신호 다음의 가산신호에 의해서는 계수신호를 발생하지 않도록 동작하는 회로 및 상기 계수신호를 받을때 상기 경호의 수를 계수하는 계수기로 구성되어서 이미 계수된 경화가 역반송될지라도 다시 잘못 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경화 처리기용 경화계수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다.
제1, 2, 3도는 각각 경화처리기의 요부를 나타난 상평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첨부도면에 나타낸 부재번호 1은 회전원반이며 이 회전원반(1)위에 공급된 경화(2)는 당해 슈트(7)를 거쳐 집적통(8)내로 도입될 때까지 반송벨트(6)의 압력을 받으면서 고정 안내판과(3)가 동안내판(4) 사이의 경화통로(5)내에서 고속으로 일렬로 반송된다.
이때 전기한 가동 안내판(4)은 경화통로(5)의 폭을 조정하기 위한 계수되는 경화의 종류에 따라 경화폭 설정 캠(9)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경화통로(5)의 고정안내판(3) 쪽에는 정지축(11)이 장치된 경화 정지장치(10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정지축(11)은 경화통로(5)의 저부를 직각으로 교차하는 축을 가지며 고정안내판(3)과 경화통로(5)를 포함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 정지축(11)은 고정안내판(3)의 내벽까지 절단된 절결부가 갖추어진 두부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지축(11 )은 회전 솔레이노이드(13)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경화통로내에 경화반송 방향으로 전후해서 나란히 놓여진 전단 및 후단센서(14, 15)가 갖추어져 있다. 이들 센서(14, 15)는 고정안내판(3)의 내벽과 일부분이 상호 접하면서 인접 주행하는 두경화의 대칭 외주로 이루어진 개략의 삼각형 공간(X)내에 일시적으로 포함되도록, 즉 공간(X)가 통과할 때에는 센서가 경화(2)에 의해 차폐되지 않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이들 센서(14, 15)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다이오드로서 상기한 공간(X)가 통과하는 경화통로(5)의 부분을 가로질러 상기 두 센서(14, 15) 상부에 비치된 광원(16)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받는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제4, 5도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경화계수시스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및 시간표이다.
이 경화 계수시트템은 경화가 전단센서(14)에서 후단센서(15)로 정순서로 통과하는 때에는 가산신호(ADD)를 발생하고 경화가 후단센서(15)에서 전단센서(14)로 역순서로 통과하는 경우에는 감산신호(SUB)를 발생하도록 전기한 전단 및 후단센서 (14, 15)의 신호(A, B)에 응하는 가산 및 감산신호 발생기회로(20) 및 전기한 발생기회로(20)의 가산 및 감산신호(ADD, SUB)에 따라 공급되는 설정계순신호(C)에 응하여 작동하도록 된 계수기(21)로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그렇게 만들어진 경화 계수시 스템은 하나의 가산신호(ADD)가 발하여 질때마다 하나의 계수신호(C)를 발생하여 경화(2)를 계수한다.
하지만 경화가 경화통로(5) 내에서 역방향으로 반송되어 하나의 감산신호(SUB )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플립플롭(FF)을 셋트하여 다음번 가산신호(ADD)가 발하여진다고 하더라도 계순신호(C)가 발하여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음번 가산신호(A DD)는 플립플롭(FF)을 리세트 상태로 돌려서 다음번의 정상 계수동작에 대비하도록 한다.
가산 및 감산신호 발생기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6, 7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전단 및 후단센서(14, 15)는 경화가 그 전단 및 후단센서(14, 15)에 도달하기 전에는 광원(16)으로부터 광을 받는다.
그런후에 센서(14, 15)는 경화가 센서(14, 15)상을 통과하는 동안 경화에 의해 차례로 광이 차폐되고 경화가 통과한 후에는 광원(16)으로부터 다시 광을 받는다. 전단 및 후단센서(14, 15)는 각각 제6도의 발생기회로 접속점“Y” 및 “Z”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단센서(14)는 광의 차폐로 인하여 접속점 “Y”에서 신호(혹은 펄스)(A)를 발하고 후단센서(15)은 광의 차폐로 인하여 접속점 “Y”에서 신호(혹은 펄스)(B)를 발한다.
경화가 정순서 또는 전방으로 통과하는 경우에는 신호(A)가 먼저 발생되고 다음에 시간(t1)에서 신호(B)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 AND게이트(AND1) 입력중의 하나인 인버어터(INV2)와 지연회로( D1)가 연결된 입력에는 신호(B)가 발생되기전에 이미 접속부 “Z”의 L레벨신호에 의해서 인버어터(INV2)를 통하여 반전된 H레벨의 신호가 공급되어 있다.
따라서 제7도 신호 B와 같이 접속부 “Y”에 이어서 접속부 “Z”에 신호(B)가 H레벨로 되면 이와 동시에 AND게이트(AND1)의 세 입력은 H레벨이 되어 OR게이트 (OR1)에 H레벨의 출력을 공급한다.
또한 접속부 “Z”에 신호(B)가 발생됨과 동시에 인버어터(INV2)의 출력은 L레벨이 되어 지연회로의 콘덴서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방전된다.
방전이 지연되는 동안 상기 OR게이트(OR1)를 통한 출력은 플립플롭(FF1)을 설정하는 펄스(FF1-S)로서 플립플롭(FF1)의 설정 입력단자(S)에 공급된다. 따라서 플립플롭(FF1)의 출력(Q)에는 H레벨의 출력(FF1-Q)이 발생한다.
그후 경화가 계속 전진하여 시간(t2)에서 접속부 “Y”가 L레벨이 되면 이 신호 (A)는 인버어터(INV1)를 통하여 NAND게이트(NAND1)의 한입력에 H레벨신호를 공급하게 되므로 지연회로(D3)에 의해 H레벨신호가 이미 공급되어 있는 NAND게이트 (NAND1)의 두 입력은 모두 H레벨이 된다. 따라서 그 출력에는 L레벨신호가 출력되며 이 신호에 의해 단 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기동이 되어 인버어터(INV3) 및 OR게이트 (OR3)에 파형()을 공급한다.
파형()은 인버어터(INV3)를 통해 H레벨펄스를 NAND게이트(NAND3) 입력중 하나에 가한다. 한편 파형()은 반전되어 OR게이트(OR3)를 통하여 지연회로(D5)에 공급된다. 파형(FF1-R)과 같이 시간(t2)으로부터 지연된 후 지연된 펄스가 플립플롭(FF1)의 재설정단자(R)에 공급되어 플립플롭(FF1)의 출력(Q)의 파형(FF1-Q)과 같이 L레벨이 된다.
따라서 t2시간부터 지연회로(D5)에 의해 지연된 시간에 상당하는 펄스가 NAN D게이트(NAND3)의 출력에서 발생되며 이 펄스는 가산펄스, 즉 가산신호(ADD)로서의 역활을 한다.
전단 및 후단센서(14, 15)를 한번 통과한 경화가 역순서로나 혹은 역전되어 그러한 센서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플립플롭(FF2)을 셋트하기 위해 우선신호(B)가 발생하고 신호(A)가 발생한다. 전기와 같은 방법으로 감산펄스 또는 신호(SUB)가 NAND게이트(NAND4)에서 발하여 진다.
본 고안에 따라 이와 같이 구성된 경화계수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경화정지기(10)는 정지기축(11)의 원주를 경화통로(5)내로 돌출한 위치로부터 절곡부(12)가 경화통로(5)의 내측과 일렬로 되는 위치로까지 회전시키므로써 계수작동을 시작하도록 풀린다.
결국, 계수되는 경화(2)가 회전원반(1)에서 경화통로(5)로 차례로 공급되어 반송벨트(16)의 작동에 따라 고속으로 반송된다.
이러는 동안에 전단센서(14)를 차폐하고 다음에 후산센서(15)를 차폐하여 제5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각각의 센서(14, 15)로부터 발생기회로(20)로 전단 센서신호 (A)와 후단센서 신호(B)가 공급되도록 한다. 한개의 경화의 계수동작에 따른 전단 센서신호(A) 및 후단센서신호(B)에 용하여 하나의 가산신호(ADD)가 발생되어 인버어터 (22)를 통해 AND회로(23)의 하나의 입력 단자로 공급된다.
한편 NAND회로(24)는 전번 가산신호(ADD)에 의해 인버어터(22)를 통하여 콘덴서에 충전되어 지연된 H레벨신호와 가산신호(ADD)가 발생된 후의 H레벨신호에 의해 두입력이 H레벨로 되도록 플립플롭(FF)의 리세트 입력단자에 H레벨신호를 공급한게 된다. 이에 따라 플립플롭(FF)은 리세트 상태로 되어서 출력()에 H레벨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AND회로(23)는 플립플롭(FF)이 리세트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발생기 회로로부터 가산신호(ADD)가 발생될 때마다 하나의 계수신호(C)를 계수기에 공급한다.
따라서 계수기(21)는 계수신호(C)에 응하여 1을 계수하며 같은 방법으로 연속되는 경화에 따라 연속적으로 계수를 하게 된다.
이제 경화(2) 반송용 반송벨트(6)가 정지되는 작용에 따라 반전되거나 경화통로(5)가 경화로 막혀 수동적으로 반송벨트(6)를 반전시키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에 이미 계수된 경화가 후단센서(15)에서 전단센서(14)로 비정상순서로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반송된다면 후단 센서신호(B)와 전단 센서신호 (A)의 이차 쇼트(shot)가 제5도에 나타낸 상(phase) 관계로 연속적으로 발생된다.
이러한 특정된 경우에는 플립플롭(FF)을 셋트하여 다음번 경화 계수동작에서 발생되는 가산신호(ADD)(제5도에 나타낸 전단 센서신호의 삼차 쇼트에 따른)에 응할지라도 계수신호(C)가 발생되지 않도록 가산신호(ADD)가 아닌 감산신호(SUB)가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경화통로(5)에서 역방향으로 반송된 1개의 경화에 의해 실제로 감산이 일어나서 모든 경화가 정확하게 계수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경화 계수시스템은 예를들어 가역 또는 업 다운 카운터(UP. Down Counter)를 사용하는 계수시스템과 같은 복잡한 계수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적은 부품수를 갖고 적은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다.
전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화 계수시스템은 부드럽고 신속하게 오차없는 착실한 계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을 얻을 수가 있다.
본 경화계수 시스템은 또한 경화가 역방향으로 반송되는 경우에도 계수 동작이 간단한 회로구조를 사용하여 계수동작을 진행하므로써 경화의 수가 정확히 계수될 수 있다고 하는 또다른 장점도 갖는다.

Claims (1)

  1. 경화통로를 따라서 안내된 경화가 각각 연속하여 계수되며 소정수의 경화가 계수된 때에 정지되는 경화 계수장치에 있어서, 경화통로(5)내의 이동방향의 전후에 배치되어서 경화(2)가 통과하는 동안 일단 경화(2)를 검지함과 동시에 신호를 전달하는 2개의 센서(14, 15)와, 2개의 센서(14, 15)에 접속되어 경화(2)가 순방향으로 경화통로(5)를 이동할 때에는 가산신호를 발생하고 경화(2)가 역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감산신호를 발생하는 발생기회로(20) 및 발생기회로(20)에 접속되어 발생기회로(20)의 신호에 따라서 AND게이트(23)를 통하여 가산신호가 전달되는 업(UP)계수기(21)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산신호는 AND게이트(23)의 일입력단자에 직접 접속되며 다른 입력단자는 각 가산신호에 의해서는 리세트 상태로 되고 감산신호에 의해서는 세트 상태로 되는 플립플롭(FF)을 통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처리기용 경화계수기.
KR2019840003886U 1980-12-13 1984-04-26 경화처리기용 경화 계수기 KR840001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3886U KR840001241Y1 (ko) 1980-12-13 1984-04-26 경화처리기용 경화 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762 1980-12-13
KR2019840003886U KR840001241Y1 (ko) 1980-12-13 1984-04-26 경화처리기용 경화 계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762 Division 1980-12-13 1980-1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241Y1 true KR840001241Y1 (ko) 1984-07-16

Family

ID=2662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3886U KR840001241Y1 (ko) 1980-12-13 1984-04-26 경화처리기용 경화 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2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9800A (en) Coin handling apparatus having a signal operated blocker
US3485339A (en) Article spacing system
US4167949A (en) Coin jamming detecting device in coin sorting machine
US4100925A (en) Coin jamming detecting device
US5516293A (en) Gaming machine coin hopper coin sensor
US4370990A (en) Coin counting and stopping apparatus for use in a coin handling machine
US4187545A (en) Article orientation determining apparatus
KR840001241Y1 (ko) 경화처리기용 경화 계수기
US4362177A (en) Coin counting apparatus for coin handling machine
US3264630A (en) Mis-feed detecting system
US4216788A (en) Coin processing machine
GB2152208A (en) Optoelectronic coin entry sensing system for coin operated machines
US4379466A (en) Counting device for coin sorting and counting machine
US3695279A (en) High speed coin counting and sorting
US4307556A (en) Coin irregularity process machine for coin packaging machine
KR840000166B1 (ko) 경화처리기의 계수 정지장치
GB1580521A (en) Article detection systems
GB1604842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dimension of an article
US4812982A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code marks
SU1259307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чета штучных предметов,перемещаемых конвейером
JPH0150957B2 (ko)
JPS56106161A (en) Pulse detector
JPH0113586B2 (ko)
GB160484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dimension of an article
JPS623659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22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