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177Y1 - 컵 스탠드 - Google Patents

컵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177Y1
KR840001177Y1 KR2019840003586U KR840003584U KR840001177Y1 KR 840001177 Y1 KR840001177 Y1 KR 840001177Y1 KR 2019840003586 U KR2019840003586 U KR 2019840003586U KR 840003584 U KR840003584 U KR 840003584U KR 840001177 Y1 KR840001177 Y1 KR 840001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small
cup stand
shaf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3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쓰유끼 오오노
Original Assignee
죠오지루시 프라스틱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오오노 다이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오지루시 프라스틱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오오노 다이이찌 filed Critical 죠오지루시 프라스틱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3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1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177Y1/ko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컵 스탠드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함.
제1도는 본 고안의 컵 스탠드의 일부 절단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컵 스탠드의 일부 절단평면도.
제3도는 연결부재의 평면도.
제4도는 연결부재의 단면도.
제5도는 하측의 연결부재의 평면도.
제6도는 하측의 연결부재의 단면도.
제7도는 작은 연결부재의 평면도.
제8도는 작은 연결부재의 단면도.
제9도는 하측의 작은 연결부재의 평면도.
제10도는 하측의 작은 연결부재의 단면도.
제11도는 지지부재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고안의 컵 행거(cup hanger)의 연결부재를 넓게 펼친 경우와 압축하였을 때의 점유면적의 비교를 표시한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탁상용의 컵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하향으로 한 컵의 내부저면을 지지부재에 의하여 받쳐서 지지하도록한 컵 스탠드는 있었다. 그것은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횡설한 여러개의 횡봉이 선단에 지지부재를 바로 세워서 설치한 것이든가 또는 받침판 위에 여러개의 지지부재를 고정되게 세워서 설치한 것등이 있었으나 어느 것이나 사용하기에는 좋으나 일단 사용치 않고 벽장등에 넣어두었을 경우에는 그것이 점유하는 면적이 크므로 방해가 되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고안은 불사용시에 넣어두는 경우나, 포장해두는 경우에는 변형시켜서 점유면적을 작게할 수가 있는 컵 스탠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중(1)은 컵을 지지하는 지지봉으로서 그 상단에는 원형의 지지판(2)이 설치되여 있다. 또 이 지지봉(1)의 하단은 지지부재(3)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부재(3)의 하면에는 직경이 큰 축(4)과 직경이 작은축(5)이 2단으로 하향 돌설되어져 있다. (6)은 중심봉으로서 그 상단에는 손잡이부(7)가 만들어져 있고 하단에는 직경이 큰축( 8)과 작은축(9)이 2단으로 하향 돌설되여저 있다.
또한 본예에 있어서는 편의상 이 중심봉(6)의 큰축(8)은 전기지지부재(3)의 큰축(4)과 같은 치수의 형상으로 하고, 또 작은축(9)도 지지부재(3)의 작은축(5)와 동일한 치수의 형상으로 되여있으나 반드시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다. (10)은 가늘고 기다란 띠모양의 연결부재로서 그 양단부에는 전기지지부재(3)의 큰축(4)이 삽입가능한 구멍(11)이 뚫어져 있으며 또 중앙부에는 전기중심봉(6)의 큰축(8)이 삽입가능한 구멍(11)으로 뚫어져 있다.
(12)는 가늘고 긴 띠모양의 연결부재로서 상기 연결부재(10)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양단부 및 중앙부에는 지지부재(3)와 중심봉(6)의 작은축(5),(9)이 삽입가능한 구멍(13)이 뚫어져 있으며, 각 구멍(13)의 위치에 있어 하측의 연결부재(12)의 하면에는 받침부(1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연결부재(12)의 위에 전기연결부재(10)를 겹치고 중심봉(6)의 큰축(8)을 연결부재(10)의 중앙의 구멍(11)에 끼우고 작은축(9)을 하측의 연결부재(12)의 중앙의 구멍(13)에 접착제등을 칠해서 삽입하여 고정하고, 연결부재(10)는 회동이 가능하게 되여있다.
(15)는 상기 연결부재(10)의 약 반길이의 작은 연결부재로서 그 양단부에는 전기 지지부재(3)의 큰축(4)을 끼울수 있는 구멍(11)이 뚫어져 있다.
또 (16)은 전기 하측의 연결부재(12)의 약 반 길이의 연결부재로서 상기 연결부재 (10)(15)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양단부에는 지지부재(3)의 소경축(5)이 삽입 가능한 구멍이 뚫어저 있고, 각 구멍(13)의 위치에서 하측의 작은 연결부재(16)의 하면에는 받침부(14)가 돌설되어져 있다.
제2도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같이 두장의 작은 연결부재(15)의 일단을 하측의 연결부재(12)의 양단부의 상면에 각각 겹쳐 합치고 각기의 겹쳐진 곳에 지지봉(1)을 설치한 지지부재(3)의 큰축(4)을 작은 연결부재(15)의 구멍(11)에 끼운 연후에 작은축(5)을 하측의 연결부재(12)의 구멍(13)에 끼워서 고정하고 있다.
또 두장의 작은 연결부재(16),(16)의 일단을 연결부재(10)의 양단부의 하면에 각각 겹쳐 합치고 또 다른 일단을 작은 연결부재(15)의 단부 하면에 겹쳐 합치고 각기 겹쳐진 곳에 전기와 같이 지지봉(1)을 설치한 지지부재(3)의 큰축(4)을 상부의 연결부재의 구멍(11)에 끼운 다음 작은축(5)을 하부의 연결부재의 구멍(13)에 끼워서 고정시켜져 있다. (17)은 컵을 표시함.
봉형이나 판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각 연결부재(10),(12),(15),(16)는 연속된 판타그래프체(Pantagrapn體)(18)로서 결합되어 각 겹쳐진 곳은 회동이 가능하게 착설되어 있고 각 겹쳐진 곳에는 지지봉(1)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의 겹쳐진 정도는 약간의 힘으로는 회동하지 않으나 좀 센 힘을 가하면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의 컵 스탠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함과 같이 연결부재를 넓게 펼쳐서 사용한다.
컵 스탠드를 사용치 않고 벽장등에 넣어두는 경우에는 우선 컵(17)을 들어내고 제12도에 표시함과 같이 컵 스탠드의 좌우에서 중심을 향하여 힘을 가해 압축하고 각 지지판(2)이 맞닿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2도에 있어서 2점 점선으로 표시한 것이 실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양자의 길이와 폭의 변화를 비교하면은 길이는 거의 변하지 않으나 폭 A가 폭 B로 변화한다. 즉, 폭이 극히 작아지고 점유면적이 굉장히 적어진다.
또한 본 예의 컵 스탠드의 지지봉(1)은 6개로 되여 있으나, 더욱 연결부재를 증가 또는 연장하여 연결하면은 지지봉(1)의 수도 많아지고 다수의 컵을 걸수가 있다. 또 연결부재의 적당한 곳에다 돌기를 돌설하든가 하여 연결부재를 넓게 펼친 경우에 연결부재의 측부가 돌기에 맞붙혀져서 연결부재의 넓게 퍼지는 위치를 규제함과 같은 위치규제수단을 강구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컵 스탠드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등에는 간단하게 변형시켜 점유면적을 작게할 수가 있으므로 벽장등에 넣어도 거치장스럽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 다수의 제품을 포장하는 경우에도 용적이 적어지며 운반하는 경우에도 운임이 싸게드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여섯개 이상의 컵을 지지하는 컵 스탠드에도 유효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봉형 또는 판형의 연결부재(10),(12),(15),(16)를 복수개 형성하여 이 복수개의 연결부재(10),(12),(15),(16)의 일부분을 중첩한 형태로 상호 회동가농하게 설치해서 판타그래프체(18)를 구성하고, 이 판타그래프체(18)의 복수개소에 지지봉(1)을 바로세워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스탠드.
KR2019840003586U 1984-04-18 1984-04-18 컵 스탠드 KR840001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3586U KR840001177Y1 (ko) 1984-04-18 1984-04-18 컵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3586U KR840001177Y1 (ko) 1984-04-18 1984-04-18 컵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177Y1 true KR840001177Y1 (ko) 1984-07-10

Family

ID=1923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3586U KR840001177Y1 (ko) 1984-04-18 1984-04-18 컵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1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278294S (en) Table
USD300290S (en) Bottle draining stand
USD301530S (en) Floor mat or similar article
USD300996S (en) Coffee table
KR840001177Y1 (ko) 컵 스탠드
USD280078S (en) Packaging cup with a pedestal base
USD314422S (en) Clothes washer adapter
USD284700S (en) Test tube rack
USD292534S (en) Boot drying rack
USD291637S (en) Spice rack
FR2594309B1 (fr) Meuble comportant une embase munie de roulettes
KR870003622Y1 (ko) 옷걸이겸용 세탁물 건조대
USD310451S (en) Combined table top support and multiple seating unit
USD279260S (en) Packaging cup with a pedestal base
JPS61121140U (ko)
JPH029728Y2 (ko)
JPH02136568U (ko)
USD279451S (en) Packaging cup with a pedestal base
JPH0299798U (ko)
JPH0323023U (ko)
JPH0286342U (ko)
JPS62193446U (ko)
JPH0184252U (ko)
JPS62137255U (ko)
JPS6414048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