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103B1 - 코운형(cone型)크러셔(crusher)의 축수장치 - Google Patents

코운형(cone型)크러셔(crusher)의 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103B1
KR840001103B1 KR1019800004405A KR800004405A KR840001103B1 KR 840001103 B1 KR840001103 B1 KR 840001103B1 KR 1019800004405 A KR1019800004405 A KR 1019800004405A KR 800004405 A KR800004405 A KR 800004405A KR 840001103 B1 KR840001103 B1 KR 84000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r
agitated
eccentric drive
crush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934A (ko
Inventor
다께시 다나까
마사오 죠오따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다까하시 고오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다까하시 고오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Priority to KR1019800004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103B1/ko
Publication of KR830003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운형(cone형(型)) 크러셔(crusher)의 축수장치
제1도-제3도는 종래형 크러셔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1예를 표시하는 크러셔 단면도.
본 발명은 코운형 크러셔의 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회(下回)에 있어서만 축수되는 두부를 자유롭게 한 형식의 코운 크러셔에 있어서 특히 충격부하를 받는 축수부의 편접(偏接)에 의한 편마모(偏摩耗)를 상하로 분배 배치한 축수구조와 구면 축수구조와의 공동(共動)작용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특수 축수구조인데도 불구하고 선동(旋動)파쇄체(破碎體)를 언제라도 자유로히 승강 가능케하고 또한 토오크(torgue) 전달 가능한 태세의 것으로서 이것을 행하므로써 파쇄실의 출구간극을 조절하여 자동제어 운전을 가능케 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코운형 크러셔에서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크러셔 고정 프레임(1)을 본체로 하여 구성하고 이 프레임(1)의 중앙 저부에 입설된 고정통(固定筒) (34)에 종동기어(從動 gear)(6)가 달린 편심 구동통(8)을 외삽(外揷)하고 그의 외주부를 편심상으로 하므로서 선동 파쇄체(20)에 선동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 크러셔에서는 재료공급에 수반하여 고정프레임(1)의 내면에 마모가 한쪽으로 쏠려서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재료공급이 지장없이 퍽 원활하게 공급되는 등의 이유때문에 선동파쇄체(20)의 상부에 축수를 구성하지 않고 오로지 이 파쇄체 (20)의 저부통(35)과 편심구동통(8) 사이에 있어서만 축수(36)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런 경우 파쇄체(20)의 외주원추면에는 그의 직각방향으로 파쇄에 의한 부하가 생겨 파쇄체(20)가 쓰러지는 방향으로 부하 모멘트를 받는 형태로 되는 이치이지만 종래의 축수형식은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소에 축수(36)를 설치하고 그것만으로 모멘트를 받는 모양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축수(36)의 통면(筒面)이 편심구동통(8)에 대하여 편접을 발생시키는 태세를 띠우고, 그 결과 축수(36) 뿐만 아니라 편심구동통(8)의 표면에 심한 편마모가 생겼든 것이며, 특히 이런 종류의 파쇄기에서는 충격하중이 가해지고 더우기 파쇄 더스트가 선동에 수반하여 침입하기 쉬운 것 등으로 인하여 크러셔 수명에 크게 영향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파쇄 성능 자체의 쇠퇴도 비교적 빨리 도래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 선동 파쇄체(20)는 레이디얼(radial) 방향의 축수뿐만 아니라 트러스트 (thrust)방향에 대한 축수도 구성하는 것이지만 종래의 경우 통형(筒型) 주축(主軸)(15)을 편심 구동통(8)에 관통 삽입하고 그 주축(15)위에 구면(球面)축수(37)를 구성하고 있었든 까닭이였고 따라서 파쇄부하가 작용하면 구면축수(37)가 그 부하를 받을 뿐만 아니라 주축(15) 또는 주축축수(16)에 벤딩 모멘트(bending moment)가 작용하는 결과로 되어 있었든 것이다.
한편 이들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선동파쇄체(20)의 저부 구면을 고정 프레임(1)측에 받게 하고, 이것에 의한 축수(36)를 중심으로 한 역저항 모멘트의 발생을 가지고 축수(36)에 대한 집중부하를 경감하려고 한 것이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축(15)을 승강시킬 수가 없고 오로지 고정프레임(1)의 상부를 스크루우에 의해서 회동조절 하므로서 파쇄실의 출구틈을 조정하는 형식인데 불과하며 따라서 파쇄중에 극간 제어한다고 하는 자동성은 없으며 반드시 일단 운전 정지하여 조정하지 않으면 안되고 더우기 그 조정작업 자체가 매우 대규모여서 시간과 품을 요하며 이것이 파쇄를 능률적으로 처리하는데 있어 매우 불리하였으며, 또 구조적으로도 필요이상으로 복잡화하여 코스트적인 불리함을 피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된 것이며 여기서 특징으로 하는 바는 선동 파쇄체가 상부에 있어서 자유롭고 하부측에 있어서만 지지된 코운형의 크러셔에 있어서, 크러셔 저부내에 있어서 구동 피니온에 맞물리는 종동기어에 대하여 선동파쇄체에 선동을 주기 위한 편심 구동통을 토오크 전달 가능한 태세를 유지하면서 승강 조절자재로 하고 또한 이 편심구동통을 크러셔 고정프레임의 상하에 설치한 축수부를 통하여 지지시키는 동시에 선동파쇄체의 주축을 삽입 지지시킨 편심구동통의 정부와 선동파쇄체의 저부간에 구면 축수부를 구성한 점에 있다.
다음에 도시한 1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4도에 있어서(1)은 크러셔 외부 본체를 구성하는 통동형(筒胴型)의 고정프레임이며, 하부 본체(2)에 상부 본체(3)를 올려놓은 구조로 설치되고 하부본체(2)는 외부동체와 그 내부중앙에 종향(縱向)으로 고정설치한 고정하우징(housing)(4)을 크러셔 중심(0)으로 동심상(同心狀)을 이루어서 형성한 것으로서 그 하부 한쪽에는 내단에 구동피니온(5)을 갖춘 구동축계(驅動軸系)가 장착되어 있다. (6)은 크러셔 중심(0) 위에 대응하기 위하여 고정프레임(1) 내저부에 갖춘 종동기어이며 동기어(6)는 트러스트 및 레이디얼 축수를 통하여 수평회동 자재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피니온(5)에 맞물리고 정해진 높이 위치에서 회동되는 것으로서 그의 내주(內周)에는 종향의 스프라인(spline)(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라인(7)에 대하여는 원통형의 편심 구동통(8)이 그의 하부 외주에 형성된 스프라인(9)을 통하여 승강 자재하게 맞물린다. 이 편심구동통(8)은 상반부 외주를 상기 고정하우징(4)에 지지시키고, 고정하우징의 내주 전높이에 걸쳐서 원통형의 상부 축수 (10)가 삽입되어 있다.
이에 대한 하부 축수(11)는 고정프레임(1)의 내저부에서 일체 원통상으로 돌설된 실린더(12)와 상기 편심구동통(8)의 하단내주에 하향 개방상을 이루어서 요상(凹狀)으로 형성된 하부 수통(8a)(도시하지 않음)과의 내외간에 똑같이 원통형의 것으로써 설치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실린더(12) 쪽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2) 안에서는 피스톤(14)이 승강자재로 되고, 그것에 따라 움직여서 편심구동통(8)이 승강한다. 동 구동통(8)의 상반부에는 크러셔 주축(15)의 하부가 크러셔 중심(0)에 대하여 약간 경사된 자세로 삽입되고 외주의 주축 축수(16)를 통하여 자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주축(15)의 상부 외주에는 원추형의 헤드센터(17)가 삽착되고, 그의 외주에 피관(被冠)한 맨틀(mantle)(18)을 헤드록구(head lock具)(19)로 일체적으로 접결(接結)하므로서 선동파쇄체(20)가 구성되고, 이 파쇄체(20)에 대하여서는 상부 본체(3)의 내주에 장착한 코운 케이프링(21)이 대응하는 것이며, 이 경우 파쇄체(20)의 정부는 자유단으로 하등 축수를 구성하지 않은 형식으로 되어 있따.
여기서 파쇄체(20)의 내저부는 하향으로 원추형의 요소(凹所)(22)를 가졌고 그 요소(22)내에 편심구동통(8)의 정부를 면하게 하고, 이 구동통(8)의 정부위에 구면수좌 (球面受座)(23)를 고정 설치하고 동 수좌(23)를 요상 링형(凹狀 ring型)으로 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파쇄체(20)의 저면을 구면부(20a)로 하고, 이것이 맨틀(18)이 형성하는 원추의 정점을 중심으로 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축수(10) 그외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정 하우징(4)은 파쇄체(20)의 하측방에 대응하기 위하여 아래 부분에 수평 플랜지(24)를 가졌으며, 그 내주에 상하 방향의 환유구멍(還油孔)(25)을 형성하는 동시에 플랜지(24) 위에는 내외 2중의 링으로 형성된 고정측(固定側)외통(外筒)(26)을 가장 외주쪽으로 입설하고 그것으로 부터 내주쪽으로 얼마만큼 떨어진 개소에 내통구멍(27)이 달린 고정축 중간통(28)을 입설하고, 또 그 마모 내주에 고정측 내통(29)을 입설하여 이들 각통(26)(28)(29)이 크러셔 중심(0)에 대하여 동심형의 3중링으로 되고 선동 파쇄체(20)에 선동을 허용하기에 족할 정도로 충분히 접근하여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렇게해서 평면 환상의 액체 저류부(30)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저류부(30)안에는 통상의 액수(淑水)를 깊이 저장하는 한편 파쇄체(20) 쪽에는 경사중심(0)으로 등심상으로 되도록 헤드센터(17)의 외주 저부로부터 원통형 회전통(31)이 수설(垂設)되고 그 대부분이 고정측의 외통(26)과 중간통(中間筒)(28)간의 저류부(30)안에 선동자재로 침지(侵漬)하는 모습으로 되므로서 완벽한 축수용 시일을 구성하고 있다.(32)는 하부 시일(33)은 상부시일이다. 또 (ℓ)은 축수윤활유의 순환루우트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서는 선동 파쇄체(20)에 도시한 F의 파쇄부하(負荷)가 작용하면 통상에서는 주축(15)을 통하여 힘(F)에 의한 모멘트가 작용하여 주축 축수(16)에 편접을 발생시키는 것이나 상기 구성에서는 주축축수(16)의 편접현상이 F에 의한 모멘트 M1이 편심구동통(8) 위에 직접 설치한 구면수좌(23)를 개재하는 역 모멘트 M2의 발생에 의해서 상쇄되므로서 전혀 생기지 않는 이치이고, 이점 종래 형식에서는 구면수(球面受)는 있는 것이나 이것이 주축(15)위에 있었기 때문에 하등 축수의 편접의 해소로 되지 않었든 것이다.
그러나 파쇄부하 F자체는 편심구동통(8)을 통하여 그의 외주에 작용할 뿐이며 이 경우 축수는 종래와 같이 1개소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상하로 크게 떨어진 상부, 하부 양축수(10)(11)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축수(10)(11)에 대한 편심구동통(8)의 축 흔들림은 극히 근소량으로 되어서 축수의 편접이 생기는 일도 없으며 더우기 반력은 상부의 a뿐만 아니라 하부에 떨어진 개소에 b로서 작용하므로 각 축수부 자체에 가해지는 압력은 매우 작아지고 따라서 각 축수(10)(11)에는 가벼운 힘이 면으로 접지(接支)된 형태로 되어 국마적인 마멸(摩滅)현상은 이제는 생기지 않게 된다. 이렇게해서 선동을 위한 축수계통을 전체에 걸쳐서 편접등으로 부터 지킬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으며 따라서 상기 구성을 하였으므로 코운 크러셔의 축수계통의 내구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더우기 종래 불가능 하였든 승강식의 채용에 의해 언제라도 자유로히 파쇄실 출구극간의 조절을 할 수가 있어 자동제어 운전이 자재롭게 된 것이다.

Claims (1)

  1. 선동파쇄체가 상부에 있어서 자유이며 하부측에 있어서만 지지된 코운형 크러셔에 있어서, 크러셔 저부내에 있어서 구동피니온(5)에 맞물리는 종동기어(6)에 대하여 선동파쇄체(20)에 선동을 부여하기 위한 편심구동통(8)을, 토오크 전달가능한 태세를 유지하면서 승강 조절자재로 하고 또한 이 편심구동통(8)을, 크러셔 고정 프레임(1)의 상하에 설치한 축수부를 통하여 지지시키는 동시에 선동 파쇄체(20)의 주축(15)을 삽지(揷支)한 편심구동통(8)의 정부와 선동파쇄체(20)의 저부간에 구면축수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운형 크러셔의 축수장치.
KR1019800004405A 1980-11-17 1980-11-17 코운형(cone型)크러셔(crusher)의 축수장치 KR840001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405A KR840001103B1 (ko) 1980-11-17 1980-11-17 코운형(cone型)크러셔(crusher)의 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405A KR840001103B1 (ko) 1980-11-17 1980-11-17 코운형(cone型)크러셔(crusher)의 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934A KR830003934A (ko) 1983-06-30
KR840001103B1 true KR840001103B1 (ko) 1984-08-06

Family

ID=19218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405A KR840001103B1 (ko) 1980-11-17 1980-11-17 코운형(cone型)크러셔(crusher)의 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1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934A (ko) 198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22232B1 (en) Cone crusher
US4787563A (en) Bearing system for cone type crusher
EP1771251A1 (en) Hydraulically adjustable cone crusher
US5152468A (en) Gyratory crusher
US4512525A (en) Cone type rock crusher and bearing arrangement therefor
US5312053A (en) Cone crusher with adjustable stroke
JPH0124546B2 (ko)
KR840001103B1 (ko) 코운형(cone型)크러셔(crusher)의 축수장치
US5996915A (en) Vibrating cone crusher
JPH0134095B2 (ko)
US4895311A (en) Supporting structure for the crushing head of a cone crusher
US945806A (en) Gyratory crusher.
US3788569A (en) Crusher with hydraulically adjusted rotary assembly for supporting and gyrating a conical head
KR870001273B1 (ko) 코운형 파쇄기의 베어링 지지구조
EP0682562A1 (en) Crusher apparatus
US3109600A (en) Gyratory crusher assembly
JP2001162185A (ja) 慣性円錐破砕機の球面シール装置
US6565025B2 (en) Gyratory crusher bearing retainer system
GB2053728A (en) Roller mill
SU1114460A1 (ru) Конусна инерционна дробилка
US3339852A (en) Gyroscopic crusher of shallow height
AU6033694A (en) Crusher apparatus
JPS632106Y2 (ko)
US1584697A (en) Gyratory crusher
JPH0524365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