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000B1 - Self convers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 Google Patents

Self convers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000B1
KR840001000B1 KR7701684A KR770001684A KR840001000B1 KR 840001000 B1 KR840001000 B1 KR 840001000B1 KR 7701684 A KR7701684 A KR 7701684A KR 770001684 A KR770001684 A KR 770001684A KR 840001000 B1 KR840001000 B1 KR 840001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screen
horizontal
convergence
electron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1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0478A (en
Inventor
그로스 죠세프
헨리 바트코우 윌리암
Original Assignee
엠 에스 윈타스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 에스 윈타스,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엠 에스 윈타스
Priority to KR770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000B1/en
Publication of KR83000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0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electric field only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This invention concentrates multiplex electron-beams at all the points of a scanning raster without using a dyanmic convergence apparatus. The TV set(10) includes a glass-tube(11) whose front side has a surface panel (12). The inside of the surface panel is coated with red, green, and blue fluorescent elements (13) (13a) (13b).

Description

셀프 콘버징 칼라 이메지 디스플레이 시스템Self Converg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시스템 단면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cross section of a color television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서 설명된 편향 요우크에 의해 발생된 편향자계의 설명도.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deflection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deflection yoke described in FIG.

제3도는 제2도의 편향자계 영향하에서 제1도 시스템의 전자비임의 콘버전스를 설명한 도면.3 illustrates the convergence of the electron beam of the FIG. 1 system under the influence of the deflection magnetic field of FIG.

제4도는 제1도의 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한 토로이드(toroid)형 편향요우크의 권선 분포도.4 is a winding distribution diagram of a toroidal deflection yoke suitable for use in the system of FIG.

제5(a)도는 제1도의 시스템에서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전자총을 표시한 도면이고,FIG. 5 (a) is a view showing an electron gun that can be suitably used in the system of FIG.

제5(b)(c)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해인데, 특히 제5(c)도는 제5(a)도의 구성에 대응한 도해도.Fig. 5 (b) (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c) is a diagram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5 (a).

제6도는 제1도 수상관에 사용하기 적합한 어퍼추어 마스크와 형광체 소자를 도포한 스크린구조.6 is a screen structure in which an aperture mask and a phosphor element are coated for use in the FIG.

본 발명은 다이나믹 콘버전스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전자비임을주사 라스터(raster)의 모든 점에 실제로 집중되게 하는 칼라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color television display system that allows virtually all points of a multi-beam scanning raster to be used without the use of a dynamic convergence device.

오늘날 사용되는 모든 칼라 텔레비전 수상기는, 다수의 전자비임이 그 내부 일측에 배치된 전자총에 의해 발생되어 그 내부 타측에 배치된 다수의 상이한 칼라 형광체를 포함하는 화면으로 주사되는 음극선관을 사용한다. 어퍼추어 그릴(apetrure grill)이나 집속 그릴 같은 어퍼추어 마스크 또는 다른 칼라 선택장치는 화면과 전자총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전자비임이 그들의 해당 칼라형광체위에만 주사되도록 전자비임을 스크린 시킨다. 이 음극선관 외부 주위에 배치된 편향 요우크는 그 화면에 주사된 라스터를 형성하도록 비임들을 수평 및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자계를 발생하게 구동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다이나믹 콘버전스(dynamic convergence)보정을 행할 수 있게 추가로 다른장치를 가질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의 한가지 요구 조건은 비임들이 주사된 라스터상의 모든 점으로 집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All color television receivers used today use cathode ray tubes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 beams are generated by an electron gun disposed on one inner side thereof and scanned onto a screen contain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lor phosphors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reof. An aperture mask or other color selector, such as an aperture grill or focusing grill, is placed between the screen and the electron gun to screen the electron beam so that each electron beam is scanned only on their corresponding color phosphor. The deflection yoke disposed around the outside of the cathode ray tube is driven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that deflects the beam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form a raster scanned on the screen. Such display systems may additionally have other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dynamic convergence correction. One requirement in this display system is that the beams should be concentrated on every point on the scanned raster.

미스 콘버전스(misconvergence)는 화면 그림의 가장자리에 나타나는 색체의 불필요한 플린리(fringe)를 발생시킨다. 미스콘버전스는 적당한 테스트 신호가 수상기에 인가되었을때 라스터상에 나타나는 크로스해치패턴(crosshatch pattern)의 이상적으로 겹쳐진 적, 녹 및 청색의 선들이 분리된 것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Misconvergence causes unwanted fringes of colors that appear on the edges of the picture. Misconvergence can be measured as the ideally overlapping red, green and blue lines of the crosshatch pattern appearing on the raster when the appropriate test signal is applied to the receiver.

수상관의 복 주위에서 비임에 대한 미리 정하여진 배치된 영구자석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라스터 중심에서 비임을 집중시키는 것이 통상의 방법이었다. 화면이 비교적 편평하며, 요우크의 편향중심과 화면 사이의 거리가 이 비임들이 화면 중심으로부터 편향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비임은 이 라스터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로 편향될수록 집중되지 않는다. 또 영상 영역 곡률(image field curvature)이나 비점수차 현상(astig matism)이나 코마(coma)같은 편향 요우크 오차는 부가적인 콘버전스 오차를 유발시킨다.It has been common practice to focus the beam at the center of the raster using a device, such as a permanently placed permanent magnet for the beam, around the abdomen's abdomen. Since the screen is relatively fla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deflection of the yoke and the screen increases as these beams are deflected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the beam is not concentrated as it is deflected from the center of the raster to the edge. In addition, deflection yoke errors such as image field curvature, astigmatism or coma cause additional convergence errors.

종래에는 보통 이 비임들이 그 라스터위에서 주사될 때 이들을 다이나믹하게 집중시키는 장치를 비치하였다. 3개의 전자총을 등변 삼각형의 정점에 배치시킨 델타형 전자총을 이용한 수상관은 전자 콘버전스부분을 사용하는데, 이 전자석은 튜우브의 외부에 위치하여 전자석의 자극이 여자됨에 따라서 그 비임들을 방사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전자석들은 수평 및 수직 주사율에서의 파형에 의해 여자되어 비임이 주사됨에 따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콘버전스 필드를 제공한다. 때로는 수평 주사율 파형이 수직 주사율 파형에서 변조된 것과 같이 수평 및 수직 주사율에서의 파형들을 결합하여 이 결합 파형을 콘버전스 전자석이나 편향요우크 권선에 인가하여 라스터의 구석부분에서 비임의 콘버전스를 개선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Conventionally, these beams usually have a device for dynamically concentrating them as they are injected onto the raster. The water tube using a delta-type gun with three electron guns placed at the vertex of an equilateral triangle uses an electron-convergence part,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tubule and moves the beams in the radial direction as the magnetic poles are excited. Move to. These electromagnets are excited by waveforms at horizontal and vertical refresh rates to provide a convergence field that changes over time as the beam is scanned. Sometimes the horizontal refresh rate waveform is modulated from the vertical refresh rate waveform and combines the waveforms a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efresh rates and applies this combined waveform to the convergence electromagnet or deflection yoke winding to converge the beam at the corners of the raster. Needs to be improved.

종래에 3종류의 동일평면상 또는 인-라인(in-line)비임을 발생시키는 전자총이 설치된 칼라 수상관을 가지는 칼라 텔레비전 수상기는 대개 수평 라인에서 위치하고 있다.이때도 비임들은 집중되어야하며, 이를 위해서 전자석 또는 정전적 콘버전스 장치에 적당한 수평 및 수직주사율 파형을 인가시킴으로서 비임을 수평방향에서 다이나믹하게 집중시킬 수 있다. 이 비임들은 편향 요우크에 의해 집중될 수도 있으나, 요우크가 이 목적을 수행하려면 코마 같은 다른 요우크 오차가 보정되어야 한다. 다이나믹 코마 보정에 사용되는 장치는 수평 다이나믹 콘버전스 장치를 소거시킴으로서 얻어지는 가격 절감을 무효화시킨다.Conventionally, color television receivers, which have a color receiver which is equipped with an electron gun which generates three types of coplanar or in-line beams, are usually located in a horizontal line. By applying suitable horizontal and vertical scanning waveforms to the electromagnet or electrostatic convergence device, the beam can be dynamically concent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se beams may be concentrated by deflected yokes, but other yoke errors, such as commas, must be corrected for the yok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device used for dynamic coma correction negates the cost savings obtained by eliminating the horizontal dynamic convergence device.

코마와 미스콘버전스의 불필요한 효과는 요우크으 편향 평면에서 인-라인 비임들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킴으로서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전자총의 인접한 비임 형성 요소들 간의 간격을 감소시킴으로서 성립될 수 있다. 편향 평면에서 인-라인 비임들이 더 가까이 있을수록 어퍼추어 마스크에서의 비임의 통과는 더 적어져야 하는데, 이는 화면에 프린트 되어있는 형광채소자와 형광 스포트 사이의 스크린 공차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Unnecessary effects of coma and misconvergence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spacing between in-line beams in the yoke deflection plane. This can be accomplished by reducing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beam forming elements of the electron gun. The closer the in-line beams are in the deflection plane, the smaller the passage of the beam in the aperture mask is to maintain the screen tolerance between the fluorescent element and the fluorescent spot printed on the screen.

비교적 적은 분리도를 가지는 인-라인 전자 비임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의해서 콘버전스가 적당하고 허용가능한 양의 코마가 생성될 수 있을지라도, 화면이 보통의 시청조건하에서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충분히 명료하지 않는다면 그 결과는 받아들일 수 없다.Although a reasonable and acceptable amount of coma can be produced by a system using in-line electron beams with relatively low separation, if the screen is not clear enough to view comfortably under normal viewing conditions, The result is unacceptable.

본 발명은 목적은 다이나믹 콘버전스와 코마 보정 장치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화면의 휘도가 상업상 허용가능한 칼라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lor television display system which does not require dynamic convergence and coma correction devices and whose screen brightness is commercially acceptable.

본 발명에 의한 칼라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3개의 수평 인-라인 비임을 발생시키는 전자총을 가지는 칼라 텔레비전 수상관과, 이 비임을 스크린 시키기위해 다수의 개구부를 형성한 칼라 선택전극과, 화면에 도포시킨 다수의 상이한 칼라 형광체 소자들을 포함하고 있다.The color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lor television receiver having an electron gun generating three horizontal in-line beams, a color selection electrode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 screening the beam, and a plurality of applied to the screen. Of different color phosphor elements.

이 전자총은 3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최소한 1개의 공통비임 형성 전극을 포함한다. 수상관의 외부 주위에는 편향 요우크를 설치했기 때문에 비임이 화면상의 라스터를 주사한다. 이 요우크의 편향 권선은 네가티브 수평등방성 비점수차 현상과 포지티브 수직 등방성 비점수차 형상을 성립시키도록 선정된다. 이는 라스터의 수평축에 따라서는 비임을 언더콘버지시키고 그의 수직축에 따라서는 비임을 오버콘버지시킴으로서 라스터의 모든 점에서 실제적으로 집중되게 한다.The electron gun includes at least one common beam forming electrode with three openings. Because the deflection yoke was installed around the outside of the water pipe, the beam scans the raster on the screen. The yoke's deflection winding is chosen to establish a negative horizontal isotropic astigmatism and a positive vertical isotropic astigmatism shape. This causes the beam to be underconverged along the horizontal axis and overconverber the beam along its vertical axis, thereby substantially concentrating on all points of the raster.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하면, 수상관의 화면은 상이한 3개의 형광체가 인접하여 구성된 형광체 스트립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화면에 사용되는 칼라 선택 전극은 형광체 스트립들과 동일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슬릿트 어퍼추어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더 많은 전자들이 해당 형광질 스트립을 여기시키어 더 많은 광출력을 발생시키게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of the receiving tube is composed of phosphor strips formed by adjacent three different phosphors. The color selection electrode used for this screen contains a number of slit apertures that extend in line with the phosphor strips, allowing more electrons to excite the phosphor strip to generate more light outpu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총은 3전자비임중 2외측 비임의 통로 주위에 설치되는 자석 차폐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 gun includes magnetic shielding means installed around a passage of two outer beams of the three electron beams.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칼라 텔레비전 수상기(10)는 배기된 유리관(11)을 포함하며, 이 유리관의 전면은 표면판(12)을 가지며 이 표면판의 내면은 다수의 적색, 녹색 및 청색 형솽체소자 (13)(13a)(13b)가 도포되어 있다. 이 튜우브내에서 이 형광체 소자들에 인접해서 다수의 개구부(15)를 포함하는 어퍼추어마스크(14)가 위치하고 있다.In FIG. 1 the color television receiver 10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n evacuated glass tube 11, the front side of which has a surface plate 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urface plate having a number of red, green and blue colors. The phosphor elements 13, 13a and 13b are coated. In the tubing is located an aperture mask 14 comprising a plurality of openings 15 adjacent the phosphor elements.

개구부(15)는 이 개구부를 통한 전자비임이 단지 그들의 해당 칼라 형광체 소자에만 충돌하도록 배열(registration)되어 있다.The openings 15 are arranged such that the electron beams through these openings impinge only on their corresponding color phosphor elements.

유리관(11)의 외측 나팔형 부분에는 편향 요우크(17)가 있으며, 이 요우크는 도시되지 않은 적당한 전원에 의해서 가동되어 자계를 발생시키며 이 자계는 그 전자비임들을 편향시키어 그 화면에다 주사된 라스터를 형성시킨다. 편향되어 화면에 도달되는 비임이 퍼지기 시작하는 편향 평면 C는 요우크 축의 중간에서 이 측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다.The outer trumpet-shaped portion of the glass tube 11 has a deflection yoke 17, which is operated by a suitable power source, not shown,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which is deflected to the electron beams and scanned onto the screen. Form the studs. The deflection plane C, where the beam which deflects and reaches the screen, begins to spread, is located perpendicular to this side in the middle of the yoke axis.

편향 요우크(17)의 더 상세한 설명은 제3도 또는 제4도와 관련되어 상술한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flection yoke 17 i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or 4.

유리관(11)의 목 부분에서 편향 요우크(17)의 뒤편에 스태릭 콘버전스 어셈블리(static convergence assembly)(18)가 위치한다. 이 스태릭 콘버전스 어셈블리(1 8)는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자석을 가지고 있어서 전자비임으 일직선 배열에서의 오차를 보상하며 전자 비임들잉 편양되지 않을때 이 비임들을 그 화면의 중심에 집중되게 한다.At the neck of the glass tube 11 is located a static convergence assembly 18 behind the deflection yoke 17. The static convergence assembly 18 has a magnet that can move its position to compensate for errors in the alignment of the electron beam and to focus the beam at the center of the screen when the electron beams are not biased. To be.

인-라인 전자총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스태틱 콘버전스 부분은 로버트 엘. 바이빈의 미합중국 특허출원서(RCA 65707)“자속조정구조”에 설명되어 있다. 비임 콘버전스 어샘볼티(18)의 후측에는 종래의 구조를 가지는 비임 순화장치(19)가 위치하는데, 이는 비임이 그들의 그들의 해당 칼라 협광체 소자에 착륙하게하는 역할을 한다.Suitable static convergence parts that can be used with in-line guns are Robert L. It is described in Baibin's US patent application (RCA 65707) “Self-adjustment Structure”. Behind the beam convergence assembly 18 is a beam purifier 19 having a conventional structure, which serves to allow the beams to land on their corresponding collar narrower elements.

편양 요우크(17)의 전자총(16)은, 제1도에 표시된 장치의 구성부분의 설명에 이에서 후에 설명하겠지만, 비임을 다이나믹하게 집중시키거나 코마효과를 보정하기 위한 부기적인 장치를 사용하는 일이없어, 전자비임이 주사 라스터상의 모든점에 있어서 만족할만한 상대로 집중되도록 협동한다.The electron gun 16 of the knitted yoke 17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device shown in FIG. 1, but using a supplementary device for dynamically concentrating the beam or correcting coma effects. There is no work, and the electron beams cooperate to focus on satisfactory opponents at all points on the scanning raster.

제2도에는 제1도의 편양 요우크에 의해서 생성된 편양자계가 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수평 및 수직 자계의 불균일성은 이 튜우브의 축에 따르는 여러 지점에서 변동될 수 있으나, 이 자계의 전체 효과는 제2도에 보인 것과 같다. 1쌍의 수평 편양 코일들에 의해서 생성되는 수평 편양 자계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실선 자속선(21)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 자계는 핀쿠션(pincushion)형상이며, 이 자속선은 도면의 중심에서 볼 때 볼록면을 이륜다. 이 수평 편양 자계는 전제 비임의 네가리브 수평 동방성 비점 수차(isotropicastigmatism)를 발생시킨다.FIG. 2 shows the polarization field generated by the yoke of FIG. 1 where the non-uniformity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agnetic fields can vary at various points along the axis of this tube, but the overall effect of this magnetic field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horizontal polarization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air of horizontal polarization coils is indicated as a solid magnetic flux line 21 extending vertically. This magnetic field has a pincushion shape, and this magnetic flux line is convex on the convex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center of the drawing. This horizontally polarized magnetic field produces a negative horizontal isotropicastigmatism of the entire beam.

편양요우크(17)의 1쌍의 수직 편양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수직 편양 자계는 자속선(22)으로서 표시된다. 이 수직 편양자계는 배털(barrel)형상이며, 도면의 중심에서 볼때 오목면을 이륜다. 이 수직편양 자계는 비임의 포지티브 수직동방성 비점 수차를 발생시킨다. 상술한 편양자계를 발생시키는 목적은 제3도와 관련해서 설명된다.The vertically polarized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air of vertically polarized coils of the knitted yoke 17 is represented as a magnetic flux line 22. This vertically polarized field has a barrel shape and has two concave surfaces when viewed from the center of the drawing. This vertically polarized magnetic field produces a positive perpendicular orthotropic astigmatism of the beam. The purpose of generating the deflection field described above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제3도는 제2도의 편양 자계의 영양한에서 제1도에 표시한 시스템의 전자비임의 큰버전스를 예시해 주고 있다. 제3(a)도는 각각 녹, 척 및 청색의 비임(20a)(20b) 및 (20c)가 요우크의 편양 평면(제1도의 평면C)에 나타날 때 이들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한다. 제3(b)도는 주사 타스터의 구석부분에서 또한 수직 및 수평 편양 축(25)(26)에서의 비임의 큰버전스 상태를 확대에서 표시한 것이다. 각 전자 비임은 특정한 색체를 이룬 몇개의 형광체 소자를 동시에 비춘다. 이 협광체 소자는 물론 서로 분리되어 있는데, 이는 표면판 여러영역에서 전체비임의 큰버전스를 예시하는 제3(b)도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FIG. 3 illustrates a large version of the electron beam of the system shown in FIG. 1 at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magnetic field of FIG. FIG. 3 (a) shows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green, chuck, and blue beams 20a, 20b and 20c, respectively, as they appear in the yoke's plane of plane (plane C in FIG. 1). FIG. 3 (b) shows, in magnification, the large version of the beam at the corners of the scanning master and also 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eflection axes 25 and 26. Each electron beam simultaneously illuminates several phosphor elements of a particular color. These narrower elements are of cours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3 (b), which illustrates the large version of the total beam in the various areas of the surface plate.

이 라스터의 중심에서는 녹, 적 및 청색의 비임들이 집중되어 있다.At the center of this raster are concentrated green, red and blue beams.

이 중심 큰번전스는 전자층의 구조와 스태릭 콘버전스 어샘블리(18)의 작용에 의해 성립된 전자 비임들의 일직선 정열(alignment)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평 편향 축(16)에서는 녹, 적 및 청 비임들은 언디큰버전스되어 있으며 즉 수평축을 따라서 그 비임들이 분리되어 있으며, 이 분리순서는 제3(a)도에 있는 편양 평면에서의 비임들의 순서와 동일하다.This central large shift is achieved by the alignment of the electron beams established by the structure of the electron layer and the action of the static convergence assembly 18. On the horizontal deflection axis 16, the green, red and blue beams are undevolved, i.e. the beams are separated along the horizontal axis, the order of separation being the order of the beams in the plane of deflection in Figure 3 (a). Is the same as

이 상태는 그 수평축을 따라 라스터의 양단에 존재한다. 이 수평출 양단에에서의 비임의 언더 큰버전스는 라스터의 중심으로 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감소된다. 이 수평 비임의 언더큰버전스는 제2도에 보인 수평 편양 자계에 의해 발생된다.This state exists at both ends of the raster along its horizontal axis. Underbeam of the beam at both ends of this level is reduced as a function of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raster. Underversion of this horizontal beam is generated by the horizontal polarization magnetic field shown in FIG.

제3(b)도의 수직 축(25)의 양측에서는 적, 녹 및 청 비임이 오버 큰버전스되어 있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즉 청 및 녹색비임이 어떤 지점에서 교차되어 형광체 소자가 있는 표면판에서는 이들 청, 녹 비임은 요우크의 편양 평면에서의 위치에 비해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게 된다.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axis 25 of FIG. 3 (b), the red, green, and blue beams are marked as over-verified, i.e., in the surface plate where the fluorescent and blue beams intersect at some point, These blue and green beams are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yoke in comparison to their positions in the planar plane.

수직축에 따른 이 비임들의 오버콘버전스는 라스터의 중심으로부터 거리의 함수로서 감소되며 이는 또 제2도에 보인 수직 편양 자계에 의해 발생된다.Overconvergence of these beams along the vertical axis is reduced as a function of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raster, which is also caused by the vertically polarized magnetic field shown in FIG.

비임들의 이 콘버전스 상태는 편양 요우크로 하여금 어느정도의 네가티브 수평 동발성 비점 수차 현상과 어느정도의 포지티브 수직 동방성 비점수차 현상을 나타내도록 설계함으로서 유도되는 결과이다. 비임이 수직축을 따라서 오버 콘버전스되고, 또 수평축을 따라서 언디큰버전스되는 집중 상태를 설명해왔지만 이들 축에 연하는 미스콘버전스의 다른 상태가 라스터 전체에 걸쳐서 허용 가능한 집중상태로 만드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This convergence state of the beams is the result of designing the biasing yoke to exhibit some negative horizontal homogeneous astigmatism and some positive vertical isotropic astigmatism. Although the beam has been described for overconverging along the vertical axis and undeconverging along the horizontal axis, other states of misconvergence connected to these axes can be used to make an acceptable concentration throughout the raster. Be aware that it can be.

평향 코일들에서 비점수차 현상을 비례 균형 시킴으로서 전자비임들은 제3(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라스터의 다른 모든 점에서 뿐만 아니라 구석부분에서도 실제적으로 집중되게 할 수 있음이 위에서 설명되었다. 다음에 제3(b)도의 라스터의 상우출 구성에 표시된 코오니 콘버전스는 청, 녹비임이 적색비임에 비해 수직방향으로 약간씩 차이(offset)가 있음을 보여준다. 상좌측 구석에서는 청, 녹 비임이 우측 구석에 보인것과는 반대로 그 적색 비임에 대해 위치 차이를 가지고 있다. 라스터상에서의 이효과는“트램”(trap)으로서 알러져 있으며 이 조건하에서 이 라스터들은 그 전체형상이 직사각형 모양에서 약간 의형된 부동변 사각형 모양을 이룬다. 종래에는, 편양측에 따라서 비임의 큰버전스를 이상적으로 발생시키지만 구석뿐야에서는 허용될 수 없는 정도의 큰 트램을 발생시키는 라인 포커스(line-focus)요우크를 제작 사용하는데, 이 코오니 큰버전스 상태는 비임의 비교 큰 수직 차이뿐만 아니라 수평측이에 의해서도 특성이 주어진다.By proportionally balancing the astigmatism in the deflection coils,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electron beams can be practically concentrated at the corners as well as at all other points of the raster, as shown in Figure 3 (b). Next, the Coney convergence shown in the raster's upper and lower constitutions of FIG. 3 (b) shows that the blue and green beams have a slight off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compared to the red beams. In the upper left corner, the blue and green beams have different positions for the red beams as opposed to the ones in the right corner. This effect on rasters is known as a "tram" and under these conditions, these rasters form a floating-side rectangular shape whose overall shape is slightly shaped from a rectangular shape. Conventionally, line-focus yokes are used to produce a large traverse of the beam ideally depending on the lateral side, but to generate a large tram that is unacceptable only in the corners. The switch state is characterized by the horizontal side as well as the large vertical difference between the beams.

이상적인 라인 포커스 요우크는 네가티브 수평 등방성 비접 수차 현상과 포지티브 수직 등방성 비점 수차 현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식의 비점 수차 현상은 수평 및 수직 편향축에 따라서 3개의 수평인-라인 비임들의 콘버전스를 유시키는데 필요하다. 이축상 콘버전스 조건은 라스터의 구석에 까기 연장 성입괴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라스터의 모든 점에서 비임으 콘버전스를 이상적으로 성립시킬 수 있다. 실제적으로, 이 이상적인 라인 포커스 조건은 화면 대각선 길이가 14인치(약 35.56㎝)나 그 이하인 수상관에서만 가능할 수 있음이 실증되었다. 그 이상의 화면 대각선 길이를 가지는 수상관에서는 라인 포커스 조건은 실현되지 않으며 그리고 제3(b)도의 트랩 조건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으로서 이 트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비점 수차 현상이 수직 및 수평 편향코일들 사이에서 비례균형 시켜야 하는데 이는 라스터의 모든 점에서 실제적인 콘버전스 조건이 성립되도록 도체 권선 분호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deal line focus yoke has negative horizontal isotropic aberration and positive vertical isotropic astigmatism. This type of astigmatism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convergence of three horizontal in-line beams alo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axes. Biaxial convergence conditions can lead to prolonged cornering of the raster and thus ideally achieve beam convergence at all points of the raster. In practice,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is ideal line focus condition may only be possible in a water tube with a screen diagonal length of 14 inches (about 35.56 cm) or less. The line focus condition is not realized in the picture tube having a larger screen diagonal length, and the trap condition of FIG. 3 (b) is generated. In the presence of this trap 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astigmatism must be proportionally balanced betwee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eflection coils, so that the conductors are established so that practical convergence conditions are established at all points of the raster. This can be done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winding division.

여기에 서술된 실제적인 콘버전스는 상업용으로 용인될 수 있는 콘버전스 조건을 표시한다. 소정의 텔레비전 수상기 제작에서 이 수상기의 디자인 명세상 미스콘버전스 한계를 설정하는 것이 상례이다. 이 미스콘버전스를 될 수 있는한 제로값에 가까이 유지시켜야할 필요가 있는데, 실제상 제작 오차에 의해 제로 미스 콘버전스는 불가능하다. 예를들어 어떤 제작자의 디자인 한계에 의하면, 주사된 라스터의 가장자리에서 1/2(약 1.27㎝)인치 거리에서 측정된 비임의 미스콘버전스는 15인치(약 38㎝)의 화면 대각선 길이를 가지는 수상곤에서 50밀(약 1.6mm)이하가 되어야 한다. 이 디자인 한계는 큰 화면에 대해서는 증가될 수 있으며 25인치(63.5㎝)대각선 화면을 가지는 수상관에서 약 62밀(약 1.6mm)이 될 수 있다. 실제사에 있어서, 상술한 제작오차들, 특히 칼라 수상기 및 요우크 오차는 각 수상기마다 콘버전스 오차의 분포를 성립시킨다. 어떤 수상기는 50밀(약 1.6)디자인 한계보다 훨씬 적은 오차를 가질 수도 있으며, 한편 동일한 부분품과 동일한 제작과정을 거쳐서 제작된 다른 수상기는 더 큰 미스콘버전스를 가질 수도 있다. 실제 판매된 수상기중에는 125밀(약 3.18mm)이상의 미스콘버전스 오차를 가지는 것도 발견되었다. 여기에 사용된 실제적 콘버전스는 125밀(약 3.18mm)이하의 미스 콘버전스를 의미한다. 비임들의 미스콘버전스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적당한 테스트 시호가 인가될때 화면에 나타나는 크로스해치 패턴의 이상적으로 겹쳐진 적, 청 및 녹 주사선의 분리에 의해 관측될 수 있다. 요우크와 수상관에서의 제작 오차는, 특히 이들이 분적당히 조립된 경우 0.125인치(약 3.18mm)이상의 콘버 전스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나, 이 상태는 흔히 발생되지는 않으며, 이는 본 발명이 적절히 사용되지 않았으므로 발생되는 결과이다.The actual convergence described herein indicates a convergence condition that can be tolerated commercially. It is common to set a misconvergence limit in the design specification of this receiver in the production of a given television receiver. It is necessary to keep this misconvergence as close to zero as possible. In practice, zero misconvergence is impossible due to manufacturing error.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design limitations, the beam's misconvergence measured at a half inch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scanned raster has a screen diagonal length of 15 inches (about 38 cm). It should be less than 50 mils (approximately 1.6 mm) from the water. This design limit can be increased for large screens and can be about 62 mils (about 1.6 mm) in a water tube with a 25 inch (63.5 cm) diagonal screen. In real history, the manufacturing error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color receiver and yoke errors, establish the distribution of convergence errors for each receiver. Some receivers may have much less error than the 50-mil (about 1.6) design limit, while other receivers manufactured through the same parts and the same manufacturing process may have larger misconvergence. It was found that the actual commercially available water receiver had a misconvergence error of more than 125 mils (about 3.18 mm). The actual convergence used here means a miss convergence of less than 125 mils (about 3.18 mm). The misconvergence of the beams can be observed by the separation of the ideally overlapping red, blue and green scan lines of the crosshatch pattern appearing on the screen when a suitable test signal is applied to the television receiver. Fabrication errors in yokes and water pipes can cause convergence errors of more than 0.125 inches (about 3.18 mm), especially if they are assembled properly, but this condition is not common, which is wh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ppropriately. The result is not generated.

여기에 설명되었고 또 윌리암 에취 바르코우의 미국 특허출원서(RCA 60857)“인-라인 전자총에 사용된 편향 요우크”에서 설명된 편향 요우크는 수평 및 수직 편향 권선 사이에서 비점 수차현상을 배분함으로서 라스터의 모든 지점에서 비임의 실제적인 콘비전스를 성립시킨다.The deflection yoke described here and described in William Ech Barkow's U.S. Patent Application (RCA 60857) "Bias Yokes Used in In-Line Electron Guns" provides a raster by distributing astigmatism betwe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windings. At all points in the beam, the true convolution of the beam is established.

제4도에 표시된 토로이드(toroid)형 편향 요우크의 권선분포는 제3(c)도에 표시된 콘버전스 특성을 발생시키는데 적합하며, 이 요우크는 1쌍의 수직 편향 코일을 이루는 도선들(31)과 1쌍의 수평편향 코일을 이루는 도체들(32)로서 구성되며 이 도체들은 페라이트 코아(30)주위에서 토로이드(원추곡선회전면)형으로 권선되어 있다. 이의 귀환도체들은 페라이트 코아(30)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The winding distribution of the toroidal deflection yoke shown in FIG. 4 is suitable for generating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shown in FIG. 3 (c), and the yoke is connected to the conductors forming a pair of vertical deflection coils. 31) and a pair of horizontal deflection coils are formed as conductors 32, which are wound around a ferrite core 30 in the form of a toroid (conical curved surface). Its return conductors are located outside of the ferrite core 30.

제5(a)도에서 전자총(16)은 3개의 캐소우드(35a),(35b) 및 (35c)를 가지며, 이 캐소우드들은 3개의 전자비임을 발생시킨다. 이 캐소우드들에 의해 방출된 전자는 G1'전극(36)과 G2전극(37)과 G3전극(38) 및 G4전극(39)에 의해 차례로 가속되고 비임으로 형성되어 접속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 캐소우드들과 다른 전극들은 이들에 분착되어 있는 적당한 초자비이딩 스트립(beading strips)에 의해 각기 상대적위치에 유지되어 있다.In FIG. 5 (a), the electron gun 16 has three cathodes 35a, 35b and 35c, which generate three electron beams. Electrons emitted by these cathodes are sequentially accelerated by the G 1electrode 36, the G 2 electrode 37, the G 3 electrode 38, and the G 4 electrode 39, formed into a beam, and connected. Although not shown, these cathodes and other electrodes are held in relative positions, respectively, by suitable beading strips attached to them.

이 전자총(16)은 편향 요우크가 형성하는 편향 자계가 없을때 제1도의 화면의 중심에서 집중되는 3개의 전자비임을 제공한다. 이 집중된 조건을 성립시키는 데는 각 전극들 특히 G3 (38)와 G4 (39)의 다른 전극들에 대한 상대위치의 일직선 정열 및 스페이싱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G4의 곡률과 G3 전극(38)에 관한 어퍼추어의 차이는 콘버전스 통로를 따라 두 양측 비임을 중앙비임으로 유도한다. 이 전극들 전부는 3개의 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로 그 비임이 통과된다. 이렇게 독특한 수직 방향에서 필요한 일직선 정열을 이루도록 정확한 유자총의 구성을 용이하게 한다. 비임 일직선 정열(화면의 중심에서의 콘버전스)에서의 미세한 오차는 전술한 스태틱 콘버전스 부분의 적절한 조저에 의해 보정된다. 전자총은 그의 편향 평면에서 비임들 사이에 250밀(약 6.36mm)이하의 스페이싱을 성립시키도록 선정되어야 한다.This electron gun 16 provides three electron beams concentr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of FIG. 1 when there is no deflection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deflection yoke. In order to establish this concentrated condition, the straight alignment and spacing of the relative positions with respect to each of the electrodes, in particular, the other electrodes of G3 38 and G4 39, becomes an important factor.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vature of G4 and the aperture with respect to the G3 electrode 38 leads to two beams along the convergence path to the center beam. All of these electrodes have three openings through which the beam passes. This facilitates the construction of the correct citron gun to achieve the required alignment in the unique vertical direction. Minor errors in the beam alignment (convergence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 corrected by appropriate measures of the static convergence portion described above. The electron gun should be selected to establish spacing of less than 250 mils (about 6.36 mm) between the beams in its deflection plane.

집중 상태를 성취하기 위해선, 여러 전극들 특히 G3 전극(38) G4 전극(39)의 상호간의 간격에 있어서의 정열이 긴요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concentrated state, alignment in the spacing between the various electrodes, in particular the G3 electrode 38 and the G4 electrode 39, is critical.

제5(a)(b)(c)를 살펴볼때, G4 전극(39)의 어퍼추어들이 G3 전극(38)의어퍼추어 들로 부터 외족으로 오프셋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자 비임에 대한 이러한 오프셋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전자 광학 이론이 원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5(a)도 구성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제5(b)(c)도를“도해적”으로 표시하였다. 제5(b)(c)도는 G3(38). G4 전극(39)과 관련된 전장 및 비임에 대한 그 효과를 예시하고 있다. 이들 비임은 G3 전극(38)의 중심 및 그 등전위선의 도심(cent rode)을 통해 가속됨에 따라 직진로로 부터 편향되지 않는다. 제5(b)도에서 이들 비임은 G4 전극(3 9)의 오프셋된 외쪽의 어퍼추어들을 통해서도 가속되어 G4 전극(39)의 등전위선의 도심을 통하지 않게 된다. 비임들이 등전위선의 접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탈출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외부의 비임들은 안쪽으로 굽혀진다. (집중된다). 제5(c)도에 도시하였듯이, 굽혀진 G4 전극(39)은 비임통로로 부터의 등전위선의 오프셋이 굽혀지지 않은 전그의 오프셋보다도 더 클 수 있으므로, 집중 방향으로의 굽혀지는 비임이 증가하게 한다.Looking at the fifth (a) (b) (c), it can be seen that the apertures of the G4 electrode 39 are offset outward from the apertures of the G3 electrode 38. To account for this offset effect on the electron beam, basic electro-optical theory can be employed. In this regard, to make the construction of FIG. 5 (a) easier to understand, the diagram of FIG. 5 (b) (c) is shown as “pictorial”. 5 (b) (c) is G3 (38). The effect on the electric field and the beam associated with the G4 electrode 39 is illustrated. These beams are not deflected from the straight path as they are accelera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G3 electrode 38 and the center rode of its equipotential line. In FIG. 5 (b) these beams are also accelerated through the offset outer apertures of the G4 electrode 39 so that they do not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equipotential line of the G4 electrode 39. Since the beams tend to escap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of the equipotential line, the outer beams are bent inward. (Focused). As shown in FIG. 5 (c), the curved G4 electrode 39 may have a larger offset of the equipotential line from the non-passage path than the offset of the unbent wire, thereby causing the beam to be bent in the concentrated direction to increase. .

15인치(약 38㎝)이상의 화면 대각선 길이를 가지는 대형 칼라 수상관에서는, 두양측 비임들에 의해 주사된 라스터는 화면에서 중심비임에 의해 주사된 것과 동일한 사이즈가 되도록 코마 보정을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코마는 편향 요우크에 의해 생성되며 이것이 존재하는 경우 화면 크기가 증가할 수록 시청자에게 더 지장이되는 경향이 있다. 이 코마 효과를 고정하기 위하여서는, 닉켈-철 같은 투자성 물질로된 환형 차폐장치(40)(41)를 G4 전극(39)의 출구 구멍 주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차폐장치는 두 양측 비임들을 편향 자계의 일부분으로 부터 보호하여 편향 자계의 효과가 그 비임에 동일하게 주어져 3개의 동일한 사이즈의 라스터가 생성되게 한다. 상술한 형의 전자총은 1972.1.14 출원된 리차드 헨리 휴우스의 미국출원 217,758호“칼라수상기용 인-라인 전자총”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In large color water tubes with screen lengths greater than 15 inches (about 38 cm), the raster injected by the two beams may need to be coma corrected to be the same size as the one scanned by the center beam on the screen. have. Coma is generated by the deflection yoke, and if present, tends to be more disturbing to viewers as the screen size increases. To fix this coma effect, annular shields 40 and 41 made of permeable material such as Nickel-Iron can be placed around the exit hole of the G4 electrode 39. The shield protects both beams from a portion of the deflection field so that the effects of the deflection field are given equally to the beam, resulting in three equally sized rasters. An electron gun of the type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detail in US application 217,758, "In-line electron gun for color receivers" of Richard Henry Hughes, filed January 19, 1972.

편향 요우크는 요우크의 내쪽 표면과 유리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비교적 작은 간격을 갖고 수상관 표면의 바깥부분 주위에 설치되며 이 간격은 약 1/4인치(6.35mm) 또는 그 이하이다. 설명한 형태의 편향 요우크는 비임의 최적 콘버전스를 발생하기 위해 수상관의 측에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질 수 있다. 먼저 스태틱 콘버전스 부분이 라스터의 중심에서 비임의 콘버전스를 성립시키도록 조정되고, 다음에 요우크는 라스터에서 최적의 전체 콘버저느가 이루어질 때까지 수상관 축에 수직으로 이동된다. 그후 요우크는 고정된다.Deflection yokes have a relatively small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yoke and the glass surface and are installed around the outside of the surface of the water pipe, which is about 1/4 inch (6.35 mm) or less. The deflection yoke of the described type can be moved vertically to the side of the water pipe to generate the optimum convergence of the beam. The static convergence portion is first adjusted to establish the beam's convergence at the center of the raster, and then the yoke is moved perpendicular to the water column axis until the optimal total convergence is achieved at the raster. The yoke is then fixed.

라스터의 모든 부분에서 비임의 만족한 콘버전스는 위에서 설명한 형태의 요우크의 사용에 의해 본 발명과 같이 성취되며 그 요우크는 적당하게 위치하고, 제5(a)도와 결합하여 설명된 정확한 인-라인 전자총과 결합되었다. 전자총 조합에서 다공 공통 전극의 사용은 그들이 실제적으로 스크린의 중앙에 집중되도록 전자총이 비임의 결정된 일직선 배열을 제공하도록 한다. 요우크의 코일 권선은, 네트(net)편향자계의 불균일, 즉 네가티브 수평 등방형 비점 수차와 포지티브 수직등방형 비점수차가 줄무늬의 모든점에서 비임이 실적적 콘버전스로 부터 떨어지게 야기함이 없이 비임의 편향을 허락하게 선택된다. 특히 비점수차 특성들은 수평축을 따라 비임의 언더 콘버전스(under convergence)를, 수직축을 따라 비임의 오우버 콘버전스(over convergence)를 발생하게 선택된다. 이런 특별한 축위의 콘버전스는 제3b도에 설명된 비임의 실제적인 코오너 콘버전스를 가져온다.The satisfactory convergence of the beam in all parts of the raster is achiev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use of a yoke of the type described above, the yoke being properly positioned and the exact in-line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fifth (a) diagram. Combined with an electron gun. The use of porous common electrodes in the electron gun combination allows the electron gun to provide a determined straight array of beams so that they are actually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The yoke's coil windings are beams without unevenness in the net deflection field, i.e., negative horizontal isotropic aberration and positive vertical isotropic aberration, without causing the beam to fall from the experimental convergence at all points of the stripes. It is chosen to allow deflection of. In particular, the astigmatism characteristics are chosen to produce under convergence of the beam along the horizontal axis and over convergence of the beam along the vertical axis. This particular axis of convergence results in the actual coowner convergence of the beam described in Figure 3b.

코마의 효과 즉 또같이 않은 크기의 사이한 색체 줄무늬는, 전자 비임 사이의스페이스가 증가되고 수상관 화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만약 화면의 대각선 길이가 14인치(35.6㎝)를 넘지않으면 코마를 위한 보정은 필요하지 않다. 수상관화면 대각선이 증가함에 따라 코마의 효과는 비례적으로 증가되며 따라서 제5 (a)도에 기술된 코마 차폐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토로이드형 요우크가 설명되었으나 새들형 코일을 사용하는 적합한 편향 요우크도 사용될 수 있다. 새들형 코일의 코마 특성은 이 코일의 입구부분 및 중간부분에서의 새들형 권선의 분포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새들 코일의 비슷한 비점 수차 현상은 이 편향 콩일의 중간 및 출구 부분에서의 권선분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새들형 요우크의 코마 특성이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제5도에 기술된 코마 차폐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The effect of coma, i.e., non-sized chrominance stripes, increases as the space between the electron beams increases and the picture tube screen size increases. If the diagonal length of the screen does not exceed 14 inches (35.6 cm), no correction for coma is necessary. As the water pipe screen diagonal increases, the effect of the coma increases proportionally,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the coma shielding device described in FIG. 5 (a). Although toroidal yok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suitable deflection yokes using saddle coils may also be used. The coma characteristics of the saddle coil can be controll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saddle winding at the inlet and the middle of the coil. The similar astigmatism of the saddle coil can be controlled by the distribution of windings in the middle and outlet portions of this deflection bean. In some cases the coma shield described in FIG. 5 can be omitted because the coma characteristics of the saddle-shaped yoke can be controlled.

제6도는 제1도의 수상관에 사용하기 적합한 어퍼추어 마스크와 선형의 형광체 소자 스크린 배열을 예시해 주고 있다. 선형 마스크와 형과체의 결합은 도트(전, dot)형의 마스크 스크린배열보다 더 많은 광출력을 제공한다. 제6도에 3서전자비임 (20a), (20b) 및 (20c)는 어퍼추어 마스크(14)에 있는 긴 어퍼추어 슬릿트(15)를 통해서 화면(12)에 도포된 선혀의 적, 청 및 녹형광체소자들에 비추어 진다. 슬릿트 어퍼추어가 수직형광체 소자 라인들과 동일선 상에 있는 이 형태의 결합은 2제5 (a)도에 기술되 수평 인-라인형의 전자총과 함께 유익하게 사용된다. 어퍼추어 마스크(14)에서 긴 슬릿트 어퍼추어(15)는 도트 형광체소자들을 가지는 화면에 사용되는 도트 어퍼추어보다 더 많은 비임을 통과시킨다. 제6도의 긴 슬릿트형 어퍼추어 수직형공체 소자 배열에서 더 많은 마스크전송 결과는 수상관의 광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6 illustrates an aperture mask and linear phosphor element screen arrangement suitable for use in the water tube of FIG. The combination of the linear mask and the mold provides more light output than the dot screen mask array. 3, the three electron beams 20a, 20b, and 20c are red and blue of the line tongue applied to the screen 12 through the long aperture slit 15 in the aperture mask 14. And green phosphor elements. This type of coupling, in which the slit aperture is collinear with the vertical phosphor element lines, is advantageously used with the horizontal in-line electron gun described in FIG. 5 (a). The long slit aperture 15 in the aperture mask 14 passes more beams than the dot aperture used for the screen with dot phosphor elements. More mask transfer results in the long slit aperture vertical hollow element arrangement of FIG. 6 are to increase the light output of the water tube.

델라형 전자총과는 달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라인 전자총은 다이나믹 콘버전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비임 트리오 디스루 우핑(beam trio degrouping) 즉, 비임들이 라스트의 중심으로 부터 편향됨에 따르는 비임 트리오 스페이싱의 확대를 초래하지 않는다. 따라서 형광체 소자들의 인쇄를 위한 렌즈배치(lensing)가 단단하게 된다.Unlike dela guns, the in-line gu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dynamic convergence and thus beam trio degrouping, ie beam trio as the beams are deflected from the center of the last. It does not cause the expansion of the spacing. Therefore, the lens arrangement for printing the phosphor elements becomes hard.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그러한 내부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피일드 왜형이 없음에 의해 화면 가장자리의 개선된 선명도와 콘버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provides improved sharpness and convergence of the screen edges by the absence of the shielded distortion caused by such internal devices.

본 시스템은 또 미스콘버전스와 코마효과에 대한 다이나믹 보트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미스 콘버전스와 코마효과는 화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므로, 본 발명은 화면 대각선 길이가 23과 25인치 (약 58.4㎝ 및 63.5㎝)인 인-라인 칼라 수상관에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이 셀프 콘버전스 특성은 간단화된 다이나믹 콘버전스 장치로 보정될 수도 있다. 그런 계획은 수상관의 목 부분에 배치되고 선과 피일드 주사 비율중 하나에서만 구동되는 정전 또는 전자 콘버전스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전술한 수평 인-라인 전자총을 가지고 단지 수평 다이나믹 콘버전스 보정장치만을 사용함으로서 비임들이 모든점에서 만족하게 집중되는 라스터를 성립시킬 수 있다.The system also does not require a dynamic boat for misconvergence and coma effects. Since miss convergence and coma effects increase with increasing screen siz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ell with in-line color water tubes with screen diagonal lengths of 23 and 25 inches (about 58.4 cm and 63.5 cm). In this case, however, this self-convergence characteristic may be corrected with a simplified dynamic convergence device. Such a scheme may use electrostatic or electronic convergence devices that are placed in the neck of the receiver and run only at one of the line and feed scan ratios. For example, by using only the horizontal dynamic 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with the horizontal in-line electron gu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raster in which the beams are satisfactorily concentrated at all points.

Claims (1)

배기된 유리 봉압관(11)과, 상이한 3종류의 칼라 형광체 스트라이프가 수직으로 반복적인 패턴을 이루면서 여장된 스크리인(12)과, 상기 스크리인(12)상의 형광체 스트라이프와 정합되게 수직으로 연장된 슬릿트형의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유리 봉입관(11)내의 샤도우 마스크(14)와, 3개의 수평 인-라인 전자 비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스크리인(12)과 반대쪽인 유리 봉입관(11)내의 목 부분에 설치한 전자총(16)으로 구성되어 다이나믹 콘버전스 장치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음극선관과 : 상기 3비임을 상기 스크리인(12)의 중앙부분의 일점으로 집중시키도록 상기 전자총(16)의 목 부분내에 자장를 발생시키게 상기 전자총(16) 주변에 설치한 스태틱 콘버전스 장치(18)와 : 수직 및 수평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비임을 집중시키는 반면 편향시키기 위해, 튜우브의 세로축을 따라 가변하는 불균 일성의 편향자계를 발생시켜 수평축방향에서 비임에 작용하는 순수한 네거티브 등방석 비점수차를 생성하는 수평코일고, 튜우브의 가로축을 따라 불균일성의 편향자계를 발생시켜 수직축 방향에서 비임에 작용하는 순수한 포지티브 등방성 비점 수차를 생성하는 수직 코일을 지닌 편향코일( 17)등으로 구성된 셀프 콘바징 칼라이메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 비임이 방출하는 전자총(16)의 우측 단부로 부터 최소한 2개의 인접 공통전극(G3,G4)을 상기 전자총(16)이 구비하여, 상기 2개의 공통전극(G3,G4)중 1공통 전극(G4)의 3개의 어퍼추어중 외측 2개의 어퍼추어가 인접전극(G3)의 관련 어퍼추어로 부터 외측으로 차이가 진 특징이 있는 셀프콘버징 캘라 이메지 디스플레이 시스템.The evacuated glass sealing tube 11 and the three different kinds of colored phosphor stripes form a vertically repeating pattern, vertically aligned to match the phosphor stripes on the screen 12 and the phosphor stripes on the screen 12. A shadow mask 14 in the glass encapsulation tube 11 having a plurality of elongated slit-shaped openings, and a glass encapsulation tube opposite the screen line 12 to generate three horizontal in-line electron beams. (11) a cathode ray tube composed of an electron gun (16) installed in the neck portion and which does not contain a dynamic convergence device at all: to concentrate the three beams at one point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screen (12). With a static convergence device 18 installed around the electron gun 16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in the neck portion of the electron gun 16: a tube for deflecting while concentrating substantially the beam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 horizontal coil that generates a variable nonuniform deflection magnetic fiel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eam and generates a pure negative isotropic astigmatism that acts on the beam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generates a nonuniform deflection magnetic field along the horizontal axis of the tube. In a self-convey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consisting of a deflection coil (17) with a vertical coil that produces pure positive isotropic astigmatism acting on the beam, at least two from the right end of the electron gun (16) that the electron beam emits. The electron gun 16 includes two adjacent common electrodes G3 and G4 so that the outer two of the three apertures of the common electrode G4 of the two common electrodes G3 and G4 are adjacent to each other. Self-converg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by a difference outward from the relevant apertures of (G3).
KR7701684A 1973-01-10 1977-07-21 Self convers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KR8400010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684A KR840001000B1 (en) 1973-01-10 1977-07-21 Self convers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300023A KR780000686B1 (en) 1973-01-10 1973-01-10 Self-converg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KR7701684A KR840001000B1 (en) 1973-01-10 1977-07-21 Self convers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300023A Division KR780000686B1 (en) 1973-01-10 1973-01-10 Self-converg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78A KR830000478A (en) 1983-03-30
KR840001000B1 true KR840001000B1 (en) 1984-07-13

Family

ID=191987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300023A KR780000686B1 (en) 1973-01-10 1973-01-10 Self-converg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KR7701684A KR840001000B1 (en) 1973-01-10 1977-07-21 Self convers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300023A KR780000686B1 (en) 1973-01-10 1973-01-10 Self-converg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78000068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78A (en) 1983-03-30
KR780000686B1 (en) 197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9163A (en) Electron gun with deflection-synchronized astigmatic screen grid means
FI60086C (en) SJAELVKONVERGERANDE FAERGTELEVISIONSAOTERGIVNINGSSYSTEM
US4057747A (en) In-line plural beam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deflection defocus correcting elements
JPH0427656B2 (en)
US4704565A (en) Dynamically converging electron gun system
US4231009A (en) Deflection yoke with a magnet for reducing sensitivity of convergence to yoke position
US4257024A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US4701678A (en) Electron gun system with dynamic focus and dynamic convergence
US4689525A (en) Color cathode ray tube device
US4523123A (en) Cathode-ray tube having asymmetric slots formed in a screen grid electrode of an inline electron gun
KR920001821B1 (en) Pincushion raster distortion corrector with improved performance
KR100432059B1 (en) Color cathode-ray tube device
JP2537432B2 (en) Beam concentrated compensator
KR840001000B1 (en) Self convers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KR89000487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900000351B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3892996A (en) Self-converging color television display system
FI106893B (en) Color display system containing a self-converging with grid distortion correction equipped deflection unit
FI70097B (en) SJAELVKONVERGERANDE FAERGTELEVISIONSAOTERGIVNINGSANORDNING
US4723094A (en) Color picture device having magnetic pole pieces
FI58232B (en) SJAELVKONVERGERANDE SYSTEM FOER FAERGTELEVISIONSAOTERGIVNING
JPH0367298B2 (en)
JP2859900B2 (en) Color picture tube
KR850001694B1 (en) In-line type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KR100294487B1 (en) Convergence correcting apparatus of color cathode ray 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