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946Y1 - 목걸이용 착탈식 걸쇠 - Google Patents

목걸이용 착탈식 걸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946Y1
KR840000946Y1 KR2019800006646U KR800006646U KR840000946Y1 KR 840000946 Y1 KR840000946 Y1 KR 840000946Y1 KR 2019800006646 U KR2019800006646 U KR 2019800006646U KR 800006646 U KR800006646 U KR 800006646U KR 840000946 Y1 KR840000946 Y1 KR 840000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clasp
wall structure
necklace
wall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6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628U (ko
Inventor
제이. 모네트 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로울러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제이. 모네트 에드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울러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제이. 모네트 에드워드 filed Critical 로울러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to KR2019800006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946Y1/ko
Publication of KR830000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4B99/005Turn-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목걸이용 착탈식 걸쇠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착탈식 걸쇠를 목걸이에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걸쇠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 걸쇠의 일부 분해도.
제4도는 제2도 걸쇠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요성 협지구의 단면도.
제5도는 쇄정 핀을 일부분으로서 포함하도록 변형된, 제2도 걸쇠의 부분 단면도.
제6도는 쇄정 핀을 포함하고 있는 축봉부를 제거한, 제5도 걸쇠의 단부도.
제7도는 쇄정 핀을 포함하는 축봉부의 단부도.
제8도는 제6도의 8-8선을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제6도 걸쇠 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걸쇠의 또 다른 양호한 형태를 도시한 제2도와 유사한 도면.
본 고안은 착탈식 걸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면 목걸이용 걸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견고할 뿐만 아니라 착탈이 용이한 목걸이용 걸쇠, 즉 더듬거리는 일이 없이 혼자서 조작할 수 있는 걸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걸쇠들은 손으로 파지하기 곤란한 소형 부품으로 만들어져 있고 사용시에는 복잡한 조작을 요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들을 해소한 착탈식 걸쇠에 관한 것이다.
착탈식 연결구는 종래에도 사용되었다. 그 일예는 1972년 9월 12일 에릭슨(Erickson)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 689, 962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요구부가 형성된 축봉을 플랜지가 있는 고리와 결합시키는 착탈식 버튼형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고리는 다른 방법으로는 지지되지 않으며, 본 고안에서와 같은 착탈식 연결구를 제공하지 못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특히 목걸이나 기타 보석 제품용으로 적합한 착탈식 걸쇠가 제공되는데, 이 걸쇠에서는 가요성 재료의 웨브로 구성된 협지구가 강성 동체내에 지지되어 있다. 웨브는 개구된 동체 단부에 인접하여 통공이 개구되며, 동체는 협지구와 더불어 제1 걸쇠부를 형성한다. 일단에 소정 크기로 확대된 두부가 형성된 강성 재료의 축봉은 제2걸쇠부를 형성한다. 두부의 크기는 2개의 걸쇠부를 착탈 가능하게 상호 연결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결합력을 가하여 웨브의 통공을 넓히면서 통과할 수 있고 소정의 분리력을 가할 때에만 통공으로부터 철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 걸쇠부는 장식적인 형태로 만들수 있으며, 가요성 재료의 협지구는 강성 동체내에 지지시켜서 완전히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2개의 걸쇠부는 용이하게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예를들어, 협지부 재료로서 고강도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고, 협지구를 전체적으로 관상체로 만들어서, 축봉의 확대된 두부와 결합하며 양단부 중간에 위치한 횡단부를 웨브상으로 하여 줌으로써, 협지구의 크기를 변화시켜서 2개의 걸쇠부를 상호 결합 및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변화시킬 수 있다. 걸쇠부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쇄정 핀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를 보면, 목걸이(10)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의 단부는 착탈식 걸쇠(1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걸쇠는 목걸이의 단부가 부착되는 제1걸쇠부(13) 및 제2걸쇠부(16)으로 구성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쇠부(13)은 강성 동체(14a)로 구성되는데, 이 동체는 금속이나 기타 유사한 적절한 강성재료로 되는 것이 유리하다. 동체(14a)는 예를들어 원통형 관상체이며, 일단부(14b)는 폐쇄되고 이것의 대향단부(14c)는 개방되어 있다. 동체의 단부(14b)의 벽에는 용접 또는 일체 성형등의 간편한 방법에 의해서 고리(14d)가 부착된다. 고리(14d)는 제1도에 도시된 목걸이 줄의 일단에 연결된다.
동체(14a)내에 배치되어 지지된 것은 가요성 재료로된 협지구(18)이다. 협지구(18)역시 관상체이며 관상형 동체(14a)내에 배치되어 동체의 내벽과 접하게 된다. 이 협지구는 통공(18b)가 형성된 횡방향 웨브(18a)를 포함한다. 제4도에는 협지구(18)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횡방향 웨브(18a)와 통공(18b)가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횡방향 웨브(18a)는 협지구(18)양단부의 중간부에 배치되고,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는 동체(14a)의 개구단(14c)이 인접한 협지구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동체의 개구단은 동체(14a)내에 협지구(18)을 보유할 수 있도록(14e, 제2도 및 제3도 참조)에서와 같이 형철(型鐵)로 만곡될 수 있다. 동체(14a)와 협지구(18)은 함께 제1걸쇠부(13)을 형성한다.
협지구(18)은 예를들어 쇼어 에이 경도(Shore A durometer)가 50내지 75인고강도 실리콘 고무로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한 것은 반복 사용시에 마모, 인열 또는 기타 변형되는 일이 없이 여러번 만곡 사용이 가능한 고유연성, 고강도의 재료이다.
제2걸쇠부(16)은 제2도 및 제3도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걸쇠부는 금속과 같은 강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그 일단에 소정 크기의 두부(16b)가 형성된 축봉(16a)를 포함한다. 두부(16b)는 도시된 바와같이 그 선단부가 뾰족하게 되어 있어서 가요성 웨브(18a)의 통공(18b)를 통과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축봉(16a)는 확대부(16c)를 포함하는데, 이는 웨브(18a)의 두께(t)보다 약간 더 큰 간격만큼 상기 두부(16b)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확대부(16c)의 직경은 동체의 개구단(14c)에 인접한 협지구(18)의 단부의 내경보다는 약간 작다. 이것은 확대부(16c)가 협지구에 안치되고 필수적으로 협지구의 단부내에 안치될 수 있게 한다.
제2걸쇠부(16)은 확대부(16c)에 인접한 종단부(16d)에서 끝난다. 종단부(16d)의 직경 또는 외측 칫수는 동체(14a)의 직경 또는 외측 칫수와 거의 동일하므로, 2개의 걸쇠부(13) 및 (16)이 외관상 균일한 직경 또는 칫수를 나타내어 양 걸쇠부가 함께 단일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종단부(16d)에는 고리(16e)가 부착되는데, 이는 동체(14a)에 부착된 고리(14d)와 유사하며, 목걸이를 줄의 타단에 연결된다.
사용시에, 제1도 및 제2도 걸쇠부(13) 및 (16)은 통공(18b)를 통해 두부(16b)를 압입시킴으로써 서로 결합된다. 웨브(18a)는 소정의 결합력을 가할때 상기 두부가 통공을 통하여 압입될 수 있도록 충분히 만곡된다. 2개의 걸쇠부는, 소정의 분리력을 가하여 상기 두부(16b)를 통공(18b)를 통하여 다시 압압하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고강도 실리콘 고무와 같은 적당한 가요성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파열 또는 마모되는 일이 없이 만곡 작용이 수천번 행해질 수 있다. 형태가 관상으로 되어 있고 중간 웨브를 가진 가요성 협지구를 사용함으로써, 웨브가 충분히 만곡되어 확대된 두부(16b)를 통공(18b)을 통해 유연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2개의 걸쇠부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는 협지구를 형성하는 재료의 경도 및 계수 등의 특성과 제4도의 t, d1 및 d2와 같은 칫수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들어, 2그램 내지 5파운드의 걸쇠 결합력 및 분리력이 재료 특성 및 칫수에 따라 얻어질 수 있다.
제4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벽두께 d2는 d1보다 더 크다. 두께 d1은 일반적으로 2개의 걸쇠부(13) 및 (16)을 서로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결정하고, 두께 d2는 일반적으로 걸쇠부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을 결정한다. 따라서 결합력은 분리력보다 더 작게 된다.
제5도에는 쇄정 기구를 가진 변형된 걸쇠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핀(20)은 축봉의 일부를 형성한다. 동체의 형철로 만곡된 단부(14e')는 (14f)에서와 같이 요구부가 형성되어, 걸쇠부가 서로 결합될때 핀(20)이 만곡 단부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를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다음에, 축봉 부재(16)을 동체(14a)에 대하여 비틀어 돌리게 되면, 핀(20)이 플랜지(14e')아래에 끼이게 되므로, 2개의 걸쇠부가 분리되는 일이 방지된다. 다만 축봉(16)을 더욱 돌려서 핀(20)과 플랜지 요구부(14f)를 다시 정렬시킬 때에만 걸쇠부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필요할 경우에는, 플랜지(14e')를(14g, 제6도 및 제8도)에서와 같이 굴곡시켜서, 걸쇠부 결합시에 그 사이에 쇄정 핀(20)을 유지시키는 이랑(14h, 제8도)를 형성시킬 수 있다. 제5도 및 제8도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관상 협지구(18)의 단부는 쇄정 핀(20)을 플랜지(14e')의 저면쪽으로 적절히 압압시킨다. 따라서, 걸쇠부를 처음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대략 90°로 비틀어 돌리게 되면, 쇄정핀(20)이 이랑(14h)사이에 쇄정 위치에 고정되어, 확실히 쇄정 효과를 주게 된다.
제9도를 보면, 현재로서 바람직한 걸쇠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걸쇠는 제2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며, 본질적으로 협지구(18')만 바뀐 것이다[축봉 부재(16')는 약간 변형되었다]. 특히, 협지구(18')와 동체(14a')의 크기는 동체(14a')의 내면(24)와 협지구(18')의 외면(26)사이에 근소한 공간(22)가 있도록 정해진다. 협지구의 벽두께는 제9도의 웨브(18a')의 좌측에 위치한 부분(28)에서는 일정하고 웨브(18')의 우측에 위치한 부분(30)에서는 두껍게 되어 있다. 벽두께는 협지구(18')의 우측 단부로부터 웨브쪽으로 갈수록 두껍게 된다. 걸쇠부(16')는 일부(16-1)이 테이퍼진 것 이외에는 제2도의 걸쇠부(16)과 동일하다. 테이퍼진 부분의 외면은 협지구(18')의 인접면(협지구의 벽두께가 두꺼워지는 부분에 있는 면)에 감합된다.
제9도의 구조는 협지구(18')가 자유롭게 압축되고 만곡되게 한다. 따라서, 걸쇠부(16')를 협지구 내에 삽입하면, 협지구 전체가 압축되고 웨브 부분(18')는 좌측으로 신장 및 만곡되어 확대된 두부(16b')가 협지구의 공동 부분(32)내로 삽입되어 쇄정되게 한다. 협지구가 동체(14a')를 구성하는 금속제 보유 컵에 꼭끼이지 않고 또 공간(22)가 있기 때문에, 확대된 두부(16')가 공동내로 삽입되는 것이 쉽게 달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두부를 공동으로부터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분리력보다 상당히 작은 힘으로도 행해진다. 웨브 부분(18a')의 두께와 벽두께가 증가되는 요입면부(30)의 두께가 분리력을 결정한다. 두부(16')가 분리될때에, 공동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운동은 협지구를 압축시키게 되어 요입면부(30)의 고무재료의 압축력을 증가시킨다. 협지구의 만곡은 두부(16')가 공동내로 삽입될 때보다 더욱 제한된다. 이렇게하여 결합력과 분리력이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제9도에서, 협지구(18')는 그 양 단부에서만 하우징(14a')에 의해 접촉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공간(22)와 더불어, 전술한 만곡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예의 또 다른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들어, 중간 웨브(18a 또는 18a')의 양편에 있는 협지구(18 또는 18')의 벽두께에 차이를 두는 것이 적합하나, 이들 두께를 동등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웨브(18a 또는 18a')를 간단한 원판으로 할 수도 있다.

Claims (1)

  1. 일단이 개구된 강성 동체 및 이 동체내에 지지된 협지구와, 일단에 확대된 두부를 가진 강성 재료의 축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협지구는 상기 동체의 개구단에 인접하여 하나의 통공을 가진 가요성 재료의 웨브를 포함하며, 상기 동체와 협지구는 제1걸쇠부를 구성하고, 상기 축봉은 제2걸쇠부를 구성하며, 상기 확대된 두부의 크기는 소정의 결합력을 가할때 상기 통공을 넓히면서 내부에 삽통되고 소정의 분리력을 가할때에만 그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양 걸쇠부를 착탈식으로 서로 결합시키게 되는 목걸이용 착탈식 걸쇠에 있어서, 상기 협지구는 인열 강도가 높고 굴곡 수명이 긴 신장성 있는 재료로 되어 있고, 상기 웨브에 가까운 단부로부터 상기 웨브쪽으로 갈수록 벽두께가 두꺼워지며, 상기 웨브는 이 웨브와 동일한 재료로 된 벽 구조물에 황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벽 구조물의 양 단부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벽 구조물의 타단보다 더 두꺼운 벽 두께의 단부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벽 구조물의 벽두께는 상기 웨브의 타측에서 보다 상기 웨브의 일측에서 더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착탈식 걸쇠.
KR2019800006646U 1980-10-18 1980-10-18 목걸이용 착탈식 걸쇠 KR840000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6646U KR840000946Y1 (ko) 1980-10-18 1980-10-18 목걸이용 착탈식 걸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6646U KR840000946Y1 (ko) 1980-10-18 1980-10-18 목걸이용 착탈식 걸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28U KR830000628U (ko) 1983-08-03
KR840000946Y1 true KR840000946Y1 (ko) 1984-06-14

Family

ID=7214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6646U KR840000946Y1 (ko) 1980-10-18 1980-10-18 목걸이용 착탈식 걸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9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623B1 (ko) * 2020-04-14 2020-12-03 김도훈 장신구 연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623B1 (ko) * 2020-04-14 2020-12-03 김도훈 장신구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28U (ko) 198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6679A (en) Releasable clasp for a necklace or the like
US5146437A (en) Watch with removable bracelet
JP3631678B2 (ja) 各々が一般に球状の形状を有する次々の要素で構成される装飾チェーン
US6041479A (en) Clasp with protruding element for jewelry items
US7878024B2 (en) Earring
USRE37365E1 (en) Clasp mechanism
US6073316A (en) Watchstrap clasp
US4935996A (en) Combination hinge and clasp for jewelry
KR840000946Y1 (ko) 목걸이용 착탈식 걸쇠
KR20000070099A (ko) 3중 접철부를 갖춘 잠금부재
US5433088A (en) Snap-on earring clasp
WO2016095291A1 (zh) 互换式扭钉首饰锁扣
US5351505A (en) Fastener for jewelry
US5459909A (en) Separable clasp
US4665595A (en) Clasp with interchangeable ornament
US6381814B1 (en) Clasp with plug for items of gold and fashion jewellery such as bracelets, necklaces and similar
EP0589601A1 (en) Fitting for ball chains
JPS61143004A (ja) 腕輪用ヒンジ
JPH0125565B2 (ko)
JP2691211B2 (ja) 装身具用チェーン
JP3254438B2 (ja) ピアスにおける抜け止め装置
GB2084640A (en) Releasable clasp for a necklace or the like
US11006707B2 (en) String-type jewelry having snap-fit segments
EP4140353A1 (en) Safety fastener for jewellery
US5983462A (en) Extensible jewelry cl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