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944B1 - 노폐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노폐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944B1
KR840000944B1 KR1019800004895A KR800004895A KR840000944B1 KR 840000944 B1 KR840000944 B1 KR 840000944B1 KR 1019800004895 A KR1019800004895 A KR 1019800004895A KR 800004895 A KR800004895 A KR 800004895A KR 840000944 B1 KR840000944 B1 KR 840000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te
pressure
air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164A (ko
Inventor
홉 톤 스몰 스튜아트
Original Assignee
홉 톤 스몰 스튜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홉 톤 스몰 스튜아트 filed Critical 홉 톤 스몰 스튜아트
Priority to KR101980000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944B1/ko
Publication of KR83000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노폐물 처리장치
제1도는 1개의 탱크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계통도.
제2도는 3개의 탱크를 구비하고 1개의 통기구를 통해 동시에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계통도.
제3도는 제2실시예를 변형하여 통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계통도.
제4도는 3개의 탱크가 층을 이루면서 순차적인 감압이 유지되도록 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계통도.
제5도는 1개의 탱크로 되고 부폐된 하수의 흡출탱크를 별도로 구비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계통도.
제6도는 3개의 탱크를 구비하고 각 탱크마다 하수의 흡출탱크가 구비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계통도이다.
본 발명은 수세식 화장실등에 연결하여 노폐물을 진공상태하에서 제거시키는 노폐물 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특히 주공급수관이 없는 가정용 화장실에 널리 이용되어지며, 진공상태하에서 노폐물을 제거하므로서 변기를 씻기위한 물만으로 충분하게 되므로 진공세척식 화장실 시스템에서는 수세식화장실 시스템에서 소요되는 물의 약 10%만이 쓰여지게 된다.
통상적으로 진공세척식 화장실에서 나가는 노폐물은 진공펌프가 부착된 밀봉탱크로 들어가 여기서 저장되게 되는데 이때 탱크는 노폐물의 수면위로 진공상태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밀봉되어져야 하므로 6개월간격의 주기적으로 운송용 탱크등을 사용하여 밀봉탱크를 비워야만 하였다.
노폐물이 밀봉탱크내에 있는 동안은 혐기적으로 숙성 부폐하게 되므로 밀봉탱크를 비우는 동안 심한 악취가 나게되고 더구나 노폐물 수집탱크는 이를 비울때까지 다수의 가정에서 나오는 노폐물을 저장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크기로 되어야 한다.
찌꺼기를 산화 부패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는 바 이러한 방법은 6,000-20,000㎎/1의 부유물을 갖는 제1,2차 정화찌꺼기 및 노폐물 정화조와 구덩이에서 제거한 물질 또는 동물의 분뇨들에 대하여 행하여 지게 된다.
진공세척식 화장실을 세척하기 위하여 필요한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출펌프를 사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펌프에 있어서는 산소를 포함하는 유체가 빠른 속도로 펌프를 거쳐 지나가게 되므로 노폐물이 통과하는 수집탱크 내에서 산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화장실을 세척할 때 노폐물이 펌프를 지나가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압력수두를 요하게되고 감압된 압력하에서 노폐물을 수집하기 위하여 수집탱크내와 펌프호출구축의 압력이 순환되어야 하며, 대기압하에서도 노폐물 수집탱크가 악취를 발할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펌프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유체로서 물을 사용하는 것은 진공세척식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정확한 장소에는 잠깐 동안만이 물이 가해지게되며 펌프속에 있는 노폐물에 물을 가하게되면 용량이 큰 수집탱크나 값비싼 재순환장치를 요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한 경우와 같이 이러한 장치들은 수집된 노폐물을 펌프를 통하여 압력이 가해진 유체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재순화시킬때 필요로 하게 된다. 배수펌프장치는 영국특허 제1,429,370호 및 제1,502,552호 및 미국특허 제3,620,371호에 기술되어 있으나 그 어느것이나 노폐물이 펌프를 통과하여야 한다.
따라서 변기나 기타의 곳으로부터 수거된 노폐물의 부패를 조절할 수 있고 배설물의 수집 및 분리처리가 필요없게 하거나 적어도 수거빈도를 줄일 수 있게하는 통상적 형태의 노폐물 처리장치의 요구가 바람직하며, 수거탱크가 진공으로 유지되게 한 진공시스템으로부터 노폐물을 수거하기 위해 이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장치를 간단히 변형 수정하므로서 상기의 요구를 이룰 수 있고, 상기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장치내에 압력강하를 유지시키므로서 수거된 노폐물을 처리할 수 있게하며 놀랍게도 강하된 압력하에서도 산소이동이 감소되지 않거나 극소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치는 노폐물의 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한개씩 있는 탱크와 상기 탱크내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폐물 유입구가 탱크내에 있는 노폐물의 높이(수두)보다 높은곳에 있고 탱크내부의 노폐물 윗부분이 압력강하가 되게 하므로서 노폐물이 노폐물 유입구를 통하여 흡입되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탱크를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하는 공기 유입구를 갖추고 있으므로 탱크내의 노폐물이 산화되어 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노폐물은 압력강하(감압)로 인하여 탱크로 흡입되며, 이것은 통상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변기를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변기와 처리장치 사이의 파이프에 설치한 밸브를 열어주므로서 처리되어지게 되고, 탱크내에 있는 노폐물은 공기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공기에 의해 산화되어지게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노폐물 역시 혼합 및 분리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시스템은 분출펌프 시스템과 관련된 제결점을 해결하며, 상기 펌프를 변경하지 않고도 수거탱크를 가지는 현존의 진공세척 시스템을 이용하여 노폐물을 산화처리와 혼합 및 마모시킬 수 있게 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부패는 정상압이나 외기압하에서 이루어지게되고 정화조내의 배설물들을 만일 정화조가 감압하에 있다면 공기 흡입구를 통한 공기 누출로 흡입된 공기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정화조가외 기압과 같을 때에는 공기는 가압하에서 배기되어져야 하고 이때 한대의 펌프로도 유입구 압력을 낮추거나 외기압에 비해 높은 압력이 되도록 공기를 탱크내로 주입시킬 수가 있으며 혹시 필요한 경우에는 같은 목적을 위해 2대의 펌프를 쓸수도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오물처리장치는 진공상태를 깨뜨리지 않고서 찌꺼기와 물을 분리하거나 분리하지 않고 바깥으로 계속적으로 배출하기에 필요한 정도로 물과 찌꺼기를 충분히 산화시키도록 완전한 진공장치로 설계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펌프를 시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압력감지장치를 사용하면서 진공펌프를 간헐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연속작동보다 더욱 복잡하고 더 많은 유지보수를 요하였다. 더우기 작동되지 않는 동안 수시로 변동하는 압력에도 감내할 수 있도록 펌프를 설계되어져야 하므로 이때문에 체크밸브와 같은 보호장치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서,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는
첫째, 진공펌프장치의 작동이 연속적인 점,
둘째, 펌프시스템이 수집될 노폐물의 산화처리를 위한 잠수식 통기장치의 동시 작동과 함께 진공하수시스템의 작동 및 노폐물 수집을 위해 필요한 진공상태를 만드는 역활을 겸하고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또한, 잠수식통기장치는 공기유입구에 일정압의 진공-릴리이프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수동 또는 기타의 다른 조절이 필요없이 둘 또는 그 이상의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게 자동조절된다는 점도 장점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원하는 경우와 액체의 혼합물을 분리시키지 않고 처분하기에 적합하고 매우 잘 처리 할 수 있게하는 연속처리조를 설치하는데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진동 하수시스템과 연결되어 작동되는 종래의 오물처리장치와 관련시켜 볼때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되는 노폐물은 부피가 매우 작아서 경제적으로나 실제적으로 적당한 정도보다 더 장기의 정화기간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므로 찌꺼기 분리단계를 거치지 않고 혼합액에 그대로를 정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분리되지 않고 정화된 오물의 생화학적 산소요구도(BOD)는 일련의 정화단계를 거치게 함으로써 배출에 적합할 정도의 수준에 이르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정화단계를 둠으로써 새로 주입된 오물이 그 다음단계에서 일부 정화된 오물 및 마지막 단계에서 완숙된 오물과 섞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내부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차이가 커짐에 따라 기포형성 및 통기가 증진되며 액체의 밑부분에서의 기포형성에 있어서 내부압력이 기포형성 지점의 정체수압보다 약간 높을 때 기포가 없어진다.
이 발명의 장치에서 정체수압이 낮아짐에 따라 일정량의 공기에 대해 기포발생량이 증가하여 산소이동 표면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물에 연화된 주방이 노폐물, 목욕탕 또는 샤워장과 같은 곳의 적절한 노폐물 저장소와 연결하여 사용되는 진공하수장치에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진공수세식 변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이 발명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바로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는 처리장치를 정화조내의 배설물층상단에 저압을 유지시키도록 진공펌프를 계속해서 작동시키고, 이와 연결된 변기를 수세할 때는 탱크 흡입구의 밸브를 열어서 변기로부터의 배설물이 흡입구를 통해 탱크내로 흡입시킨다. 일정압력의 진공 릴리이프밸브와 잠수식 통기장치를 가진 공기유입구가 공기를 오물속으로 통과시켜 주므로써 오물층 상단의 진공상태의 영향을 받아, 혼합, 마모 및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준다.
일반적으로 고상노폐물과 액상노폐물용의 배출구를 설치한 단일수거 정화탱크에는 고상노폐물의 배출구는 탱크 바닥 가까이에 액상물이 배출구는 탱크상부에 가까운곳에 밸브장치를 부착하여 설치한다. 적어도 액체배출구 밸브는 원할경우 적당한 높이의 대롱으로 바꾸어 설치할 수 도 있는데 그것을 넘쳐 흐른 액체는 다른 탱크로 배출되어 그곳에서 산화 또는 형기적으로 다시 정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오물은 밸브를 통해 배출하기전에는 진공상태를 깨뜨릴 필요가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밤동안에 일어나게할 수 있고 사용되는 관련 노폐물이 거의 없을 때 상기 시스템은 세척작용을 뒤로 미루게 할 수도 있으며, 일단 노폐물이 제거되면 진공펌프가 재작동되어 진다.
진공펌프에 의해 계속되는 진공상태는 탱크내의 액체물이 일정량에 달하고 진공압력(진공도)가 설정치에 달하면 공기흡입구상에 설치된 릴리이프밸브가 자동적으로 개방되어져 진공상태를 깨뜨리고 공기가 주입되어져 탱크내의 액체에 대한 흐름을 야기 시킨다.
특히 대형장치에서는 하나의 탱크내에 분리간막이를 설치하는 등의 노폐물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동심구획 즉 다수의 분리탱크나 분리단계를 제공하므로서 통기로를 연장하는 것이 때로는 바람직하다. 이때에 공기는 대기증으로 배출되기전에 하나 또는 여러개 탱크를 경유하게되며, 첫번째 구획이 축적된 오물로 충만되면 새로운 오물이 유입될 경우 유입량만큼의 일부 또는 완전히 산화된 노폐물이 다음 구획으로 이동되어 정화가 계속되게 된다. 이리하여 마지막 구획으로 이동된 노폐물은 n번째의 단계(n : 구획)의 노폐물로서 본 처리장치에서 배출되는 물의 전화도를 구획수에 상응하여 향상되어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정화탱크에 부가된 노폐물은 즉시 배출되지 않게되며 이같은 처리장치에서는 한단계에서 다음단계로 고상물질을 이동시키는 장치를 가지고 있어서 이 처리장치내에 있는 물질을 분할 또는 분리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정화 탱크로부터의 노폐물의 배출 또는 한 탱크에서 다른 탱크로의 노폐물을 이송시키는 것은 정체수압차를 이용할 수도 있고 때로는 적극적인 방법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여러 정화탱크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장치는 앞에서 기술한 첫번째의 실시예처럼 1차 정화단계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유지하면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련의 탱크군은 각 탱크별로 순차적으로 감압도가 점점 작아지도록 하여 마지막 탱크에서 거의 대기압과 같게 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이같은 장치에서 오물은 한 탱크에서 다음 탱크에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마지막 탱크는 거의 대기압 상태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흐름이 계속적으로 진행되어 액체는 계속적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 장치의 마지막 단계의 밸브없는 대롱의 높이는 일치단계 그것보다 아주 작게할 수도 있다.
1차 탱크와 진공펌프를 연결하며, 1차탱크와 2차탱크 사이에는 공기흡입구를 노폐물층 위쪽에서 연결하고, 마찬가지로 연속하여 설치한 각 탱크 사이에도 같은 방법으로 계속 공기흡입구를 연결해서 공기가 마지막 탱크의 노폐물을 지나 흡입구로 흡입되게 하므로서 노폐물은 일련의 탱크에서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고 공기는 그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가게 된다.
한편, 필요할 경우, 노폐물은 탱크에서 탱크로 적극적으로 옮길수도 있고 또한 감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펌프를 몇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각 탱크의 정체압력을 순차적으로 차이지게 하는 것은 여러층으로 된 건물과 마찬가지로 연속적으로 낮은 위치에다 탱크를 설치하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각 정화탱크 사이에 갑물(LOCK)을 설치하여 가스도 함께 제거시키는 방법(가스를 노폐물에 흡수시킬 수도 있음) 또는 한 탱크내에 노폐물이 소정의 높이에 달했을 때 노폐물을 다음 탱크로 이동시키거나 완전히 배출시키는 방법에 따라 감압도가 점차 낮아지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갑문장치는 정화탱크가 하나뿐인 경우에는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가 일련의 탱크군으로 되어 있을 때 각 탱크내가 균일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만일 압력을 감소시키는 장치가 최종 탱크에 연결되어 있다면 한 탱크에서 다음 탱크로 옳겨지거나 일류하는 것을 도와주게 될 것이다.
탱크와 탱크를 연결시키는 파이프는 공기통로가 되거나 오물이 일정높이에 달했을 때의 노폐물 통로가 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탱크의 유출구를 하나의 탱크로부터 다음의 탱크의 통기장치와 연결시키는 구조로 변형할 수도 있으며, 이 통기장치는 일반적으로 오물이나 가스의 통로역활을 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이루어진 노폐물의 정화정도는 액상오물과 고상오물의 이송구 또는 배출구를 별도로 분리시켜 설치할 필요가 없을 정도가 되면 좋을 것이다.
앞에서 기술된 일련의 탱크군으로 이루어진 장치는 여러탱크내의 공기흡입구를 없애서 그 안에서 혐기적 부패가 일어나도록 개조할 수도 있다. 혐기적 부패는 예를 들어 일부 처리된 노폐물의 탈질소화반응과 같은 처리가 적합하다. 이때 일련의 탱크군을 대기압력상태에서 작동되는 여러개의 탱크에서 노폐물처리에 사용되었던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갖도록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앞쪽 탱크가 감압상태 이면 뒤쪽탱크로부터 노폐물을 재순환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서 작동되는 일련의 탱크군은 대기압 상태에서 작동되는 단일 탱크의 경우에 일어나기 마련인 문제를 피할 수 있는데 이것은 통상의 정화장치에서 주어진 노폐물원에 대해 필요로 하는 것보다 적은 공간만으로 가능하며 정화조의 수효에 관계없이 이 장치는 단지 하나의 진공펌프만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점차로 감압도가 적어지는 일련의 탱크군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두가지의 중요한 장점을 갖고 있는 바, 그 첫째는 마지막 탱크가 거의 대기압 상태이기 때문에 노폐물 배출구는 특별한 제어장치가 필요없고, 둘째는 연속적인 산화단계는 마지막 탱크에서 공기가 노폐물에 최대로 함유되게 하므로서 노폐물의 부유도를 마지막 탱크내에 0.5㎏ 정도까지 진공상태를 높일 수 있는 간단한 조치로서도 만족스럽게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활성화된 찌꺼기의 분리장치로도 사용할 수가 있다.
감압도가 점차 감소되는 상태가 일련의 탱크군에서 유지되고 있을 때 1차탱크는 극히 높은 진공상태에서 견딜 수 있게 튼튼하여야 하므로 이 1차탱크는 강한 물질로 만들어야 하고, 아주 적은 내부용적을 가져야 한다. 만일 탱크가 분리되어 있으면 1차 탱크는 아주 적은 양의 노폐물을 넣을 수 있을 것이지만 탱크가 집중되어 있으면 첫번째 탱크가 전체장치의 중심부에 있게 되므로 각 탱크내에 동일한 양의 노폐물이 들어있어도 소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이렇게해서 이 장치의 응력을 극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큰 반경 Ra, Rb, Rc를 갖는 세개의 원통형 탱크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각 탱크는 다음과 같을때 동일한 양의 오물을 담을 수 있다.
(Ra)2〓(Rb)2―(Ra)2〓(Rc)2―(Rb)2
본 발명에 의한 일련의 탱크군은 2개, 3개 또는 4개의 탱크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5개를 넘지 않는다.
감압장치로는 한개 이상의 통상적인 진공펌프가 쓰여지나 그밖에 액체흡입구 및 배출구가 달린 용기를 구비하고 있는 간단한 펌프 및 용기내의 액체온도를 변환시키는 장치로 구성된 감압장치로 쓸수 있는 바 이와 같은 펌프는 용기내의 액체를 가열시키면서 작동해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하며, 다음에 액체를 냉각시키면 유입구를 통해 액체가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펌프는 액체가 비연속적으로 유입배출되지만 연속적인 작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여러개의 용기를 병렬로 연결한 다수개의 용기를 설치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펌프는 영국특허 제8034638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다수의 노폐물 배출원이 인접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집단주택지나 선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다수의 변기 또는 기타의 노폐물배출원이 연결되어 있는 본 장치의 진공펌프의 크기는 예를들어 다수의 변기가 동시에 사용될 때에도 수거동작이 순차적으로 일어나므로 수거장치를 설계하므로서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일정기간에 있어서의 진공이나 통기의 작동을 오물배출처의 사용회수에 연동시키므로서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정화조에 활성탄소와 같은 특정물질을 정화탱크에 첨가하므로서 산소흡수 및 산소이동효율을 증진시키고 미생물의 번식을 촉진하여 침전특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가 많다.
또한 예를 들어 화장지를 처리하거나 물에 풀어지게 하는 장치 또는 그밖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노폐물외에 공기도 배출되는데 이는 보통 여과장치를 통하게 된다. 배출된 찌꺼기는 예를 들어 물기가 빠지도록 된 철망이나 플라스틱망위에 채워진 모래층으로 되어있는 찌꺼기 건조대로 이송되고, 건조된 찌꺼기는 직접 정원에다 비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찌꺼기를 물기가 빠지도록 되어있는 여과주머니로 이루어진 주머니형 여과기로 처리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신속히 건조가 되도록 진공펌프에 결합시켜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건조가 끝나면 고형노폐물이 들어있는 주머니는 원하는 바에 따라 처리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장치를 그 구체적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식화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를 들어 아래에 설명하고자 한다. 각 도면에서 오물의 유입과 배출을 흑색화살표(▶)로 표시하고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백색화살표(▷)로 표시한다.
제2도, 제3도, 제4도 및 제6도는 다수의 정화단계로 이루어진 이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설명상 3단계가 나타나 있으나 2단계, 4단계 또는 더 많은 단계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산화단계를 혐기적으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더욱 한 탱크의 노폐물을 그 앞단계의 탱크에 재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만일 오물이 액상과 고상으로 분리되어 처리되지 않는한 액상오물과 고상오물을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 또는 배출시키는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만일 최종탱크에서 전술한 부유분리법을 쓰는 경우에는 최종단계에 진공발생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기설치된 진공펌프를 이용하거나 다른 진공펌프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제1도의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노폐물은 진공펌프(4)에 의하여 탱크내에 유지되고 있는 감압상태의 영향으로 밸브(3)(양변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됨)가 장치된 노폐물유입구(2)를 통하여 변기로부터 정화탱크(1)로 유입된다. 정화탱크의 바닥에 모여진 찌꺼기는, 릴리이프밸브(7)를 가진 공기흡입구(6)를 지나 통기장치(5)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하여 산화가 된다. 펌프(4)에 의해 정화탱크로부터 흡출된 공기는 여과기(8)를 통과하여 탱크에는 경사분리기(9)를 설치할 수도 있고 없어도 된다.
또한 진공펌프(4)는 계속 가동하고 있으므로 탱크(1) 내부는 항시 진공상태로 지속되어 탱크(1)내의 내용물(노폐물)이 어느일정량을 넘어서게되고 진공상태압력(진공도)이 설정값에 달하게되면 공기흡입구(6)를 막고 있던 릴리이프밸브(7)가 자동적으로 개방되어져 공기흡입구(6)를 열게 된다.
공기흡입구(6)를 통하여 들어온 의기는 탱크(1) 바닥부의 통기장치(5)를 통하여 탱크(1)에 확산되는 순간 탱크내의 진공상태는 깨어지게되면서 공기의 주입에 의한 순간적인 압력증가로 밸브(11)가 오픈되어 공기의 진입에 대한 역작용으로 내용물이 밸브(11)가 장치된 유출구(10)를 통하여 흘러나가며 찌꺼기 제거밸브(13)가 장치된 배출구(12)를 통하여 찌꺼기가 제거된다.
제2도, 제3도는 수평위치의 탱크군(1a, 1b 및 1c)으로 이루어진 장치의 실시예이다.
이들 실시예에서는 제1도와 유사하게 노폐물 유입구(2)와 밸브(3), 통기장치 5a, 5b, 5c), 액상노폐물의 배출구(10)가 있으며, 제2도에는 찌꺼기유출구(12)와 찌꺼기제거밸브(13)가 도시되어 있고 그외에 파이프(16)(17)가 탱크(1a)와 탱크(1b)를 탱크(1c)에 각각 연결시키고 있으며, 진공펌프와 공기여과기로 형성된 공기제거장치는 도면번호 4'에 연결되고, 공기주입구는 일반적으로 도면번호 6'에 위치한다.
제2도, 제3도에 도시된 탱크(1a,1b,1c)의 압력은 모두 같다. 노폐물의 높이는 탱크간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배출구(10)의 높이를 넘지 않는다. 압력감소장치는 공기를 통기장치를 통해 흡입시키나 그 방법은 주 실시예에서 각기 다르다.
제2도에서 공기는 다기판(6a)을 통해서 통기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에 흡입되고 파이프(16)(17)는 단순히 넘쳐흐르는 노폐물이 이송되는 통로의 역할만을 한다. 제3도에서는 탱크(1a)안의 노폐물이 파이프(16)의 높이보다 아래에 있는 동안 탱크(1b)안으로 직접 흡입된 공기가 파이프(16)을 통하여 탱크(1b)로 흡입되고, 탱크(1c)안의 노폐물이 파이프(17)의 높이에 미달하는 동안에 다시 탱크(1a)로 흡입된다.
탱크(b)안의 노폐물층이 파이프(16) 높이에 달할때 노폐물은 위의 공기가 같은 통로를 통해 탱크(1b)로 배출된다.
제3도에는 고상노폐물의 배출구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데, 그 이유는 정화정도에 따라서 고상노폐물의 배출구를 생략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3도의 장치에서 파이프(16)의 유입구에 차단막을 설치하여 정화되지 않은 고상노폐물의 이동을 막을 수 있게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을 것이다.
제4도는 제2도, 제3도의 장치와 많은 부분이 동일한 특성을 갖는 장치를 보여주고 있는데, 일련의 탱크군이 세로방향으로 엇갈려있어서 탱크내의 압력이 순차적으로 차이가 있도록 되어있다. 진공펌프(4')는 1차탱크에 연결되고 공기주입구(6')는 마지막 탱크에 연결되어 있어서 오물은 아래로 흐르고 공기는 탱크(1c)로부터 통기장치(5b)로 흐른 다음 탱크(1b)로부터 통기장치(5a)로 흐르게 되어 있다. 다른방법으로를 설리과정 및 처리단계를 달리하며 통기 및 진공형성 조절의 균형을 갖추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진공펌프는 처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5도, 제6도는 감압에 사용되는 장치가 노폐물을 배출시키는데도 사용되는 장치를 도시하고 있고, 제6도의 장치에서는 감압장치가 노폐물을 일련의 탱크군의 하나의 탱크로 이동시키는 데에도 사용된다. 제5도의 장치에서 감압장치(4')는 파이프(18)를 통하여 노폐물층 상부의 공기를 제거하므로써 통기장치(5)로 공기를 유입시켜 노폐물의 산화가 일어나도록 한다. 정화탱크의 노폐물층의 파이프(18)의 하단에 도달할 때 노폐물은 펌프나 그밖의 장치에 의하여 파이프를 통하여 수집탱크(19)로 유입되어 탱크의 유출구(1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같은 원리가 제6도에 도시된 장치의 일련의 탱크군에도 적용되는 바 1차 수집탱크(19a)에 들어온 노폐물이 파이프(16)를 통해 2차 탱크(1b)로 배출되고 2차 수집탱크 (19a)에 수집된 오물은 파이프(17)를 통해 3차 정화탱크(1c)로 배출된다. 제4도의 실시예의 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마지막 단계에서의 압력은 대기압력에 가깝다.
제1도에 도시된 형의 장치에 대해 산소 이동량 측정을 행하고 비교의 목적으로 통기장치를 통해 압력작용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데 콤푸레서가 사용되는 유사한 장치에도 이를 행한 결과, 전자가 후자보다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였으나 산화도가 두가지가 본질적으로 동일하였다.

Claims (1)

  1. 순차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탱크와 압력감소 수단 및 공기유입구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탱크는 노폐물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 상방에 탱크내부로 통하는 노폐물 유입구를 갖추었으며, 탱크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압력감소 수단을 상기 배출구 위치 또는 배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였으며, 공기유입구는 상기 배출구의 하방에 탱크내부로 통하게 설치되었으며, 각 탱크의 배출구는 다음 탱크의 유입구와 연결되고, 각 탱크내의 압력이 점점 감소하여 마지막 탱크내의 압력이 대기압과 같게하는 압력감소수단의 영향으로 노폐물을 처리하고, 산화 부패하게 한 노폐물 처리장치.
KR1019800004895A 1980-12-23 1980-12-23 노폐물 처리장치 KR840000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895A KR840000944B1 (ko) 1980-12-23 1980-12-23 노폐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895A KR840000944B1 (ko) 1980-12-23 1980-12-23 노폐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164A KR830004164A (ko) 1983-07-06
KR840000944B1 true KR840000944B1 (ko) 1984-07-01

Family

ID=1921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895A KR840000944B1 (ko) 1980-12-23 1980-12-23 노폐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9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164A (ko) 198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0040A (en) Method for purifying septic tank effluent
US4104166A (en) Apparatus for purifying septic tank effluent
US3276994A (en) Sewage treatment
AU734141B2 (en) A system for purification of domestic household effluent
EP1245538A1 (en) Apparatus for sewage treatment
EP0031332B1 (en) Waste disposal apparatus
US7147771B2 (en) Effluent treatment system
CN206872639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设备
KR840000944B1 (ko) 노폐물 처리장치
SK283567B6 (sk) Čistiace zariadenie
US3272338A (en) Sewage disposal system
JP2007054789A (ja) 船舶の生活用液体廃棄物処理装置
JP2533612Y2 (ja) グリーストラップ
JP4219110B2 (ja) スカム解消型汚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
FI72955B (fi) Anlaeggning foer avloppsvattenbehandling.
JP3970612B2 (ja) 浄化処理装置および浄化処理方法
CN207699290U (zh) 一种废水好氧生化池
RU2809073C1 (ru) Локальное очис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его биофильтр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локальном очистном устройстве
KR100328338B1 (ko) 폐수용 정화처리장치
JP4346985B2 (ja) 中水装置、排水処理装置
EP0665819A1 (en) Odour controlled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SU94129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0251947Y1 (ko) 분뇨 처리장치
SU1437354A1 (ru) Способ до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примес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AU663235B2 (en) Odour controlled waste water treat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