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843Y1 - 인조석 판재 - Google Patents

인조석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843Y1
KR840000843Y1 KR2019810008826U KR810008826U KR840000843Y1 KR 840000843 Y1 KR840000843 Y1 KR 840000843Y1 KR 2019810008826 U KR2019810008826 U KR 2019810008826U KR 810008826 U KR810008826 U KR 810008826U KR 840000843 Y1 KR840000843 Y1 KR 840000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one
stone powder
pattern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8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규
Original Assignee
장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규 filed Critical 장성규
Priority to KR2019810008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8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9/00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조석 판재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한 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절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심체 1' : 콘크리트체
2 : 석분용액층 3 : 무늬층
4 : 성형틀 5 : 목각
6 : 합판
본 고안은 가구용천판, 벽재 및 천정판등 각종 건축용 자재에 이용되는 인조석 판재에 있어서 표면에 형성시킨 무늬를 기심체의 표면에 걸쳐 형성되게 하므로서 자연석에 가까운 입체무늬를 나타내고 마모되거나 충격에 의하여도 무늬모양이 변형되지 않는 내구성이 좋은 석판재를 제공코자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종래에는 열경화성 수지로 투명막을 형성한내에 천연색으로 된 연한 빛깔의 암석미립자를 표면석문층으로 형성하고 그 저면에 짙은색의 암석분말을 이면석문층으로 기재의 상면에 살포적층하므로서 짙은색으로 된 이면석 문층의 석문이 표면석문층과 투명막을 통하여 투사되어 입체적으로 표축되게한 입체무늬의 인조 대리석이 있으나 이것은 천연색의 석문이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다른 점은 있으나 투명막으로서 기재와 결착 형성하여 석분을 보호하고 있으므로 투명막이 마모되거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면 내부의 석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해리되고 분산되므로서 사용가지를 상실하는 등 내구성이 없으며 다량의 석분량으로 인하여 하중이 무거워 사용처가 극히 제한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마불과 같은 인조석 판재가 나오고 있으나 이것은 전체를 다량의 석분과 수지용액 및 안료를 혼련하여 결착성형한 것이므로 하중이 매우 무거워 가구용천판, 벽판재 및 천정판으로는 사용하기가 불가능하고 성형틀속에 수지안료를 넣고 수지용액과 혼합하여 무늬를 형성한 것이므로 수지용액속에 안료가 혼합되어 무늬가 선명하지 못한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수지용액속에 석분의 혼성비를 줄이는 동시 목형틀이나 콘크리트체를 기심체로 조합하여 하중을 가볍게 하고 안료는 석분이 혼합된 수지용액속에 적하하되 혼합하지 않고 소망하는 무늬모양대로 적하하므로서 기심체의 상면에서 용액층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무늬가 형성되게 하므로서 종래의 결점을 일소한 것인데 첨부도면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소량의 석분과 다량의 폴리에스텔수지 및 원하는 바탕 색상의 안료를 혼합하여서 된 석분용액층(2)에 있어서 폴리에스텔수지와 석분의 혼합액 소량에 소망하는 무늬색상의 안료를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액을 기심체(1)에 도포하기 전의 전기한 석분용액층(2)상에 교반하지 않는 조건아래 가늘고 둥글게 적하하여 이것을 기심체(1)상에 나열식으로 적하하므로서 무늬층(3)이 석분용액층(2)의 표층에서 심층까지 일체로 연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인조석 판재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는 콘크리트체이고 4는 성형틀이며 5는 목각 6은 합판이다.
본 고안에 있어 기심체(1)는 목각(5)의 외주면에 합판(6)을 부설하여서 되거나 콘크리트체(1')로서 되며 석분용액층(2)은 다량의 폴리에스텔수지와 325멧슈이상의 고운 분말로 된 석분 및 안료로서 구성되고 폴리에스텔수지와 석분은 5 : 1의 배합비율로서 혼련한 것이다. 그리고 무늬층(3)은 소량의 안료가 석분용액층(2)속에 적하된 상태로 표층에서 심층까지 일정한 무늬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기심체(1)보다 크게 형성한 성형틀(4)의 내부에 이형제를 도착하여 소망하는 형상의 기심체(1)를 내장하고 흔들리지 않도록 저면을 테이프로 고정한다. 그다음 폴리에스텔수지와 석분 및 바탕색상의 안료를 배합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기심체(1)에 도포하기전의 성분용액층(2)을 준비하여 폴리에스텔수지와 석분의 혼합액 소량을 별도로 준비하여 그속에 무늬층(3)을 형성하는 색상의 안료를 혼합한 후 전기한 도포전의 석분용액층(2)상에 교반하지 않는 조건아래 가늘고 둥글게 나이테식으로 적하하여 이것을 기심체(1)상에 일열로 나열하여 적하하면 무늬층(3)이 형성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모든 안료는 수지보다 비중이 무거워 극히 묽은 용액에서는 쉬이 가라앉게 되므로 석분용액층(2)을 적당한 상태의 농도를 유지하면서 전술한 작업을 실시하면 무늬층(3)은 석분용액층(2)을 형성한 혼합용액과 혼합되지 않고 표면에 형성된 극히 자연스러운 무늬모양대로 석분용액층(2)의 표층에서 심층까지 일체로 연결되어 있게되며 적하작업이 완료되면 성형틀(4)을 전후 좌우로 진동시켜 고루 퍼지게한 후 경화되기 전후에 성형틀(4)을 제거하면 자연석에 가까운 소망하는 형상의 인조석 판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작업과 무늬층(3)의 무늬가 표면에 선명하게 표출되도록 석분용액층(2)속에 침투되기 위해서는 기심체(1)의 건조상태가 좋아야되고 도포하는 작업장의 실내온도를 18°-20℃가 유지되도록 온도조절을 철저히하여 저온에서 수지가 뻑뻑하여 무늬층(3)의 안료가 침투하지 않거나 고온에서 수지가 너무 묽어 무늬층(3)의 안료가 가라앉게 되는 것을 방지해야만 된다.
무늬층(3)을 형성한 석분용액층(2)은 기심체(1)속에 흡착되어 경화되므로서 강력하게 접착이 되어 서로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아니하고 무늬층(3)은 표면에 형성된 모양대로 석분용액층(2)의 내면에 동일하게 형성되므로서 표면이 마모되어 적층율이 다 없어지지 않는 이상 처음과 동일한 무늬모양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며 그 두께 및 크기는 혼합용액과 안료의 양 및 기심체(1)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면 원하는대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소량의 석분을 혼합하므로 제품이 매우 가벼웁고 무늬층(3)은 석분용액층(2)상에 혼합되지 않고 무늬모양을 적하하여 나타낸 것이므로 선명하고 사용할수록 윤택이 나며 두께와 무늬를 소망대로 조절할 수 있어 벽판재, 천정판재 등의 건축자재 및 가구용 천판재에 이용하면 천연석을 연마한것처럼 보이고 내구력이 좋아 상품가치가 좋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심체(1)상에 소량의 석분과 다량의 폴리에스텔수지 및 안료를 혼합한 석분용액층(2)을 적층한 것에 있어서 무늬층(3)을 석분용액층(2)의 표층에서 심층까지 일체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 판재.
KR2019810008826U 1981-12-21 1981-12-21 인조석 판재 KR840000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826U KR840000843Y1 (ko) 1981-12-21 1981-12-21 인조석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826U KR840000843Y1 (ko) 1981-12-21 1981-12-21 인조석 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43Y1 true KR840000843Y1 (ko) 1984-05-22

Family

ID=1922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826U KR840000843Y1 (ko) 1981-12-21 1981-12-21 인조석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8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71B1 (ko) * 2000-08-18 2003-05-28 전재석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71B1 (ko) * 2000-08-18 2003-05-28 전재석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2264A (en) Self-reinforced plastic articles with core envelopment
US5185192A (en) Ornamental pre-cast terrazzo panels with integral inlay design
US5047187A (en) Method of making ornamental pre-cast terrazzo panels with integral inlay design
US5766728A (en) Transfer mat for patterning a concrete surface with cement coated particles
KR840000843Y1 (ko) 인조석 판재
IE45857B1 (en) Moulding compositions comprising glass particles and a polymeric binder
US4339362A (en) Hardening composition containing cellulose powder, latex, magnesite and magnesium chloride
KR100385771B1 (ko)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US2950206A (en) Finishing mortars
US226547A (en) Composition of matter
US837165A (en) Finishing the faces of concrete blocks.
JPH0339556Y2 (ko)
JP3251353B2 (ja) 筒状高密度人造石とその製造方法
KR940005072B1 (ko) 인조석과 그 제조방법
KR870000180B1 (ko) 패(貝)자개를 소재로한 인조자개판의 제조방법
JPS63239051A (ja) 人造大理石
JPH02116545A (ja) 石材調建築素材の製造方法
US860744A (en) Artificial stone.
US651657A (en) Process of making artificial stone.
JPH0634103Y2 (ja) 建築用板材
JPS6045042B2 (ja) 模造大理石とその製造方法
KR800000832Y1 (ko) 인조 대리석
JPS6228422Y2 (ko)
GB1592346A (en) Moulding compositions comprising glass particles and a polymeric binder
US13116A (en) Thomas hodg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