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829B1 - Electronic type air fuel ratio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Google Patents

Electronic type air fuel ratio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829B1
KR840000829B1 KR1019800001960A KR800001960A KR840000829B1 KR 840000829 B1 KR840000829 B1 KR 840000829B1 KR 1019800001960 A KR1019800001960 A KR 1019800001960A KR 800001960 A KR800001960 A KR 800001960A KR 840000829 B1 KR840000829 B1 KR 840000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ccelerator
fuel
control
fuel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2994A (en
Inventor
오사무 아베
세이지 수다
도시오 후루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요시야마 히로기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0000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829B1/en
Publication of KR830002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9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63B1/063Bulbous b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An electronic type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use in gasoline engines comprises an accelerator; a part to detect the manipulation angle of the accelerator; a shunt conduit that bypasses a throttle valve; an air bypass valve exposed in the shunt conduit which controls the flow rate of bypass air; and a control circuit. The control circuit responds to the output of the accelerator manipulation angle detector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the air bypass valve. This ensures that the air/fuel ratio is controlled very accurately when the air flow rate is low.

Description

전자식 공연비 제어장치Electronic air-fuel ratio control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공연비 제어장치의 1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air-fuel ratio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공연비 제어장치를 6기통 엔진에 대한 응용예로서, (a), (b), (c), (d)는 작동을 나타낸 타임챠트.2 i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six-cylinder engine using the air-fuel ratio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 wherein (a), (b), (c) and (d) are time charts showing operation.

제3도 (a) 및 (b)는 드로틀 밸브 및 에어바이패스, 브의 작동을 나타낸 설명도.3 (a) and 3 (b)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a throttle valve, an air bypass, and a valve;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량의 계산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air flow rate calcul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수온에 대한 바이팔스공기유량의 특성도.6 is a characteristic diagram of the bypass air flow rate with respect to the water temperature.

제7도는 드로틀 개방도와 엔진 속도와의 관계에 대한 바이패스 공기유량의 특성도.7 is a characteristic diagram of bypass air flow rat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rottle opening and engine speed.

제8도는 수온에 대한 목표회전수의 특성도.8 is a characteristic diagram of target rotation speed with respect to water temperature.

제9도는 제5도의 프로우챠트에 있어서의 스탭(534)의 상세한 프로그램을 나타낸 플로우챠트.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detailed program of the staff 534 in the prochart of FIG.

제10도는 제1도에 나타낸 에어솔레노이드(43)를 제어하는 회로의 블럭도.FIG. 10 is a block diagram of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air solenoid 43 shown in FIG.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여비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11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high filt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가솔린 기관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자식 공연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oline eng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air-fuel ratio control device.

엔진에는 연룔르 분사하여 공기와 혼합하기 위한 기화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종래의 기화기는 소정의 공연비를 얻기 위한 장치가 기계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최근에는 특히, 배기가스의 매연을 줄이도록 그 부가장치가 설치되어 복잡화되고 있다. 이와같이 기화기가 기계적으로 복잡화되는 것은 공연비 제어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켜, 고정밀도의 제어를 유지하기 위한 조정(매칭 : matching)을 매우 어렵게 하고 있다.The engine is equipped with a carburetor for mixing with air by spraying continuously, the conventional carburetor is configured so that the device for obtaining a predetermined air-fuel ratio is mechanically controlled, but in recent years, the addition of so as to reduce the exhaust fumes The device is being installed and complicated. The mechanical complexity of the vaporizer reduces the reliability of the air-fuel ratio control and makes it very difficult to adjust (matching) to maintain high precision control.

따라서 오늘날의 엔진 제어에 있어서, 종래의 기계적인 기화기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고정밀도의 공연비 제어를 어렵게 하고 있다.Therefore, in today's engine control, since a conventional mechanical vaporizer is used as it is, high precision air-fuel ratio control is difficult.

또한 최근 엔진의 제어장치에 마이크로 컴퓨터가 이용되고 있는데, 마이크로 컴류터는 기화기의 공연비 제어에 대단히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microcomputers have recently been used to control engines, and microcomputers can be extremely useful for controlling the air-fuel ratio of a carburetor.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유량이 적을때 매우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공연비를 정밀하게 제허하는 전자식 공연비 제어장치를 제공하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air-fuel ratio control device for precisely granting the air-fuel ratio by controlling very precisely when the air flow rate is low.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속기와, 상기 가수기의 조작각도를 검출하는 장치와, 드로틀밸브의 바이패스통로와, 이 바이패스통로에 설치되어 바이패스 공기유량을 제어하는 에어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가속기 조작각도 검출장치에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이 에어 바이패스 밸브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등을 구비한 전자식 공연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celerator, an apparatus for detecting an operation angle of the hydrophilic machine, a bypass passage of a throttle valve, and an air bypass installed in the bypass passage to control the bypass air flow rate. An electronic performance control device including a valve and a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of the air bypass valve based on an output from the accelerator operation angle detection device.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공연비 제어장치의 1 실시예를 나타낸느 도면으로서, 드로틀 챔버(12)에는 그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유량을 제어하도록 드로틀 밸브(1 4)가 회동 자재로 설치되고, 이 드로틀 밸브(14)의 드로틀 밸브로드(16)에는드로틀 밸브(14)를 회동시키는 조절레버(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절레버(18)는 드로틀밸브 로드(16)를 중심으로 하여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드로틀 챔버(12)의 본체부에 설최된 스프링(20)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air-fuel ratio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rottle chamber 12, a throttle valve 14 is installed with a rotating material to control the flow of air sucked into the throttle chamber 12, The throttle valve rod 16 of the throttle valve 14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lever 18 for rotating the throttle valve 14. The control lever 18 is formed in an arc shape centering on the throttle valve rod 16, and a force is appli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a spring 20 arranged in the main body of the throttle chamber 12.

이 조절레버(18)에는 트로틀 밸브로드(16)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θN)의 범위를 갖는 긴구멍(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각도(θN)는 가속기(27)으 조작각도에 대하여 지연각도록서 작용한다. 상기 긴구멍(22)에는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작로드(24)가 결합되어 있다. 이 조작로드(24)의 타단은 가속기 링크(26)에 의해 회동되는 드럼 (28)에 연결되어 있다. 드럼(28)과 가속기 링크(26)와는 와이어(29)로서 연결되어 가속기(26) 링크(28)의 시계방향의 회동에 따라 드럼(31)은 화설표(24)로 나타낸 바와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회전력은 조작로드(18)를 거쳐서 조절레버(18)에 전달되지만 조절레버(22)에는 긴구멍(2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로드(28)가 긴구멍(22)의 지연각도(θN)보다 크게 이동한 때 드로틀밸브(14)가회동하면서 드로틀 챔버(12)의 유통공기의 흡입을 허용하게 된다.The adjustment lever 18 is provided with a long hole 22 having a range of a predetermined angle θ N around the throttle valve rod 16. This angle θ N acts as a delay angle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angle of the accelerator 27. The long hole 22 is coupled to the operation rod 24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The other end of this operating rod 24 is connected to a drum 28 that is rotated by an accelerator link 26. The drum 28 and the accelerator link 26 are connected as a wire 29 so that as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accelerator 26 link 28 rotates, the drum 31 clockwise as indicated by the arrow 24. The rotational force is rotated and is transmitted to the adjustment lever 18 via the operation rod 18. However, since the adjustment lever 22 is provided with the long hole 24, the operation rod 28 has a delay angle of the long hole 22. When moving larger than θ N , the throttle valve 14 rotates to allow suction of the flow air of the throttle chamber 12.

상기 드럼(28)에는 가속기링크(26)의 조작각도를 검출하는, 가속기 조작각도 센서(30)가 설치되어 드럼(28)의 회전에 따라 가속기 조작각도 센서(30)는 쎈서로드 (32)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속기 조작각도 센서(30)는 본실시예의 경우, 전위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속기링크(26)의 회동은 드럼(28)을 거쳐 센서로드(32)의 단자로부터 전압을 출력하게 한다.The drum 28 is provided with an accelerator operating angle sensor 30, which detects an operating angle of the accelerator link 26, so that the accelerator operating angle sensor 30 is driven by the rotation of the drum 28. It is designed to rotate around the center. Therefore, the accelerator operation angle sensor 30 is configured as a potentiometer in this embodiment, and the rotation of the accelerator link 26 causes the output of voltage from the terminal of the sensor rod 32 via the drum 28.

드로틀 챔버(12)의 드로틀밸브(14)의 측부에는 트로틀 밸브(14)를 지나는 유통공기의 바이패스통로(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통공기의 바이패스 통로(40)에는 유통공기를 제어하는 에어바이패스 밸브(42)가 설치되는데, 상기 에어바이패스 밸브( 42)의 개폐작동은 에어 솔레노이드(43)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On the side of the throttle valve 14 of the throttle chamber 12, a bypass passage 40 for the distribution air passing through the throttle valve 14 is formed. An air bypass valve 42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ir is provided in the bypass passage 40 of the distribution ai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air bypass valve 42 is controlled by the air solenoid 43. .

드로틀챔버(12)에는 드로틀밸브(14)의 상류측에서 조정의 연료량을 분사하는 연료분사장치(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로분사 장치(44)에는 소정량의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실(46)이 설치되고, 이 연료실(46)의 저면부에는 공급연료(50)를 인도하는 흡입구(48)가 개구되어 있다.The throttle chamber 12 is provided with a fuel injection device 44 for injecting the adjusted fuel amount on the upstream side of the throttle valve 14. The fuel injection device 44 is provided with a fuel chamber 46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fuel, and an inlet 48 for guiding the supply fuel 50 is open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fuel chamber 46. .

연료실(46)의 측부에는 공급연료(50)의 맥동을 제외하고 잉여연료(50A)를 연료탱크로 되돌리는 릴리이프 포오트(52)가 개구되어 있다.A relief port 52 for returning the surplus fuel 50A to the fuel tank is opened at the side of the fuel chamber 46 except for the pulsation of the feed fuel 50.

이 릴리이프 포오트(52)에는 공급연료(50)의 압력변동을 흡수하는 릴리이프 밸브(54)가 설치되어 있는데, 릴리이프 밸브(54)는 스프링(56)에 의해 닫혀져 있어 공급연료(50)의 압력이 스프링(56)에 가해진 힘을 초과한 경우에, 릴리이프밸브(54)는 연려져 잉여연료(50A)가 릴리이프 포오트(52)를 통해 연료탱크로 되돌아 오도록 되어 있다.The relief port 52 is provided with a relief valve 54 for absorbing pressure fluctuations of the supply fuel 50. The relief valve 54 is closed by a spring 56 so that the supply fuel 50 is closed. In the case where the pressure of) exceeds the force applied to the spring 56, the relief valve 54 is softened so that the surplus fuel 50A is returned to the fuel tank through the relief port 52.

연료실(46)에는 연료를 인도허는 주 통로(58)가 개구되어 있느데, 이 주통로( 58)에는 연료실(46)의 출구 근방에 유통 연료의 땅을 규제하는 오리피스(61)가 형성되어 있고, 중도부에는 연료의 유통을 제어하는 연료분사 제어밸브(62)가 설치되어 있다.A main passage 58 for guiding fuel is opened in the fuel chamber 46. An orifice 61 is formed in the main passage 58 to regulate the land of the circulating fuel near the outlet of the fuel chamber 46. In the middle part, a fuel injection control valve 62 for controlling the flow of fuel is provided.

이 연료분사제어밸브(62)는 연료솔레노이드(64)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며, 연료 솔레노이드(64)의 작동이 주기적으로 행해지돌고 되어 있어 연료분사제어밸브(62)으 일정주기동안에 밸브가 열리는 시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주 통로(58)의 드로트챔버(12)의 출구측에는 노즐(66)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노즐(66)은 파이프의 일측면부에 분사구(68)가 여러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분사되는 연료의 분무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소규모의 벤츄리(69)내에 설치되어 있다.The fuel injection control valve 62 is controlled by the fuel solenoid 64, and the operation of the fuel solenoid 64 is performed periodically so that the fuel injection control valve 62 is ope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To control. The nozzle 66 is provided at the outlet side of the draw chamber 12 of the main passage 58, and the nozzle 66 ha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68 formed at one side of the pipe, In order to improve the spraying, it is installed in a small venturi 69.

드로틀챔버(12)의 노즐(66)의 측부에는 노즐(66)를지나서 공기를 유통시키는 바이피스 통로(7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바이패스 통로(70)에는 공기유량에서 엔진의 토오크를 간접적으로 검출하도록 한 공기유량 센서(7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유량센서(72)는 공기 유량을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것으로서, 드로틀챔버(2)내의 공기유량에 대한 신호를 전압으로 취출한다.The side of the nozzle 66 of the throttle chamber 12 is provided with a bypass piece passage 70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through the nozzle 66. The bypass passage 70 indirectly adjusts the torque of the engine in the air flow rate. An air flow rate sensor 72 is provided so as to be detected. The air flow rate sensor 72 electrically detects the air flow rate, and extracts a signal for the air flow rate in the throttle chamber 2 as a voltage.

엔진의 토오크는 엔진의 회전수와 부압의 함수로서 결정되므로, 공기유량센서( 72)의 검출공기유량은 간접적으로 엔진 토오크를 검출하기 때문에, 공기유량센서(72)는 토오크를 검출장치로 구성되어있다.Since the torque of the engine is determined as a function of the engine speed and the negative pressure, since the detected air flow rate of the air flow sensor 72 indirectly detects the engine torque, the air flow sensor 72 is configured with a torque detection device. have.

또, 드로틀 밸브(14)의 하측류의 드로틀 챔버(2)에는 드로틀 밸브(14)를 지나 연료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구멍(75)이 개구되어 있고, 이 바이패스 구멍(75)은 흡입구 (48)로 개구되어 저속시연료공급 통로(74)와 연톤된다.In addition, a bypass hole 75 for supplying fuel passing through the throttle valve 14 is opened in the throttle chamber 2 downstream of the throttle valve 14, and the bypass hole 75 is an inlet 48. Is opened) and is softened with the low speed fuel supply passage 74.

이 바이패스 구멍(75)의 개방도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사로서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opening of the bypass hole 75 is adjusted as a screw.

에어 솔레노이드(43) 및 연료솔레노이드(64)의 구동제어는 제어회로(100)의 제어출력에 따라 행해진다. 즉, 제어회로(100)는 마이크로 컴류터등의 제어수단으로 구서되고, 공기유량센서(72)의 검출출력 및 기관상태센서(200)에서의 검출출력 예컨대, 축전지 전압, 엔진의 냉각수온, 대기압, 회전수, 산소(O2)량, 부압, 대기온 등이 기억된제어회로(100)는 소정의 제어출력을 발생하는데, 이 제어출력은 에어솔레노이드(43 ) 및 연료솔레노이드(64)에 입력된다.The drive control of the air solenoid 43 and the fuel solenoid 64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utput of the control circuit 100. That is, the control circuit 100 is designed as a control means such as a microcomputer, and the like, the detection output of the air flow sensor 72 and the detection output of the engine state sensor 200, for example, the battery voltage,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of the engine, atmospheric pressure The control circuit 100, which stores the rotation speed, the oxygen (O 2 ) amount, the negative pressure, the atmospheric temperature, and the like, generates a predetermined control output, which is input to the air solenoid 43 and the fuel solenoid 64. do.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공연비 제어장치를 6기통 엔진에 사용한 경우의 동작의 1 예를 나타낸나임챠트이다.2 is a age 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when the air-fuel ratio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 is used for a six-cylinder engine.

(A)는 크랭크 회전각도에 대한 기준펄스의 분포상태를 타나내며, (B)는 통상시의 연료 솔레노이드(64)의 구동주기 즉, 크랭크회전각도에 대한 연료분사장치(44)의 분사주기를 나타내고 있다.(A) shows the distribution state of the reference pulse with respect to the crank rotation angle, and (B) shows the driving cycle of the fuel solenoid 64 in normal times, that is, the injection cycle of the fuel injection device 44 with respect to the crank rotation angle. It is shown.

따라서, B1, B2, B3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연료의 분사는 간헐적으로 행해지지만, 그것들이 주기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일정한 분사가 이루어진다. 반대로, 가속을 위해 (C)에 나타낸 바와같이, 공기 유량(Qa)이 증가했다고 가정한다면, 이것에 응동하여 (D)의 D2로 나타낸 바와같이 크랭크 회전각도에 대하여 분사주기기 짧게되지만, 분사되는 연료량이 증대되게 한다. 이러한 응답은 매우 신속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능률이 양호한 제어상태가 얻어진다.Therefore, as shown by B 1 , B 2 , and B 3 , the injection of fuel is performed intermittently, but since they are performed periodically, the overall injection is uniform. Conversely, assuming that the air flow rate Q a has increased, as shown in (C) for acceleration, in response to this, the injection period becomes shorter for the crank rotation angle as indicated by D 2 of (D), The amount of fuel injected is increased. This response is very fast, resulting in a well-controlled state of control.

D3는 연료의 분사 시간이 B3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동시에 소정의 공연비를 얻기 위하여 에어바이패스 밸브(42)의 구동에 제어된다.D 3 is the injection time of the fuel larger than B 3. At the same time, it is controlled to drive the air bypass valve 42 to obtain a predetermined air-fuel ratio.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흡입공기량(Qa)으로서 간접적으로 토오크를 검출하여 공연비를 얻기 위한 필요연료량이 분사되며, 또한 에어 솔레노이드(43)로 제어하므로 에어바이패스 밸브(42)가 개폐되면서, 유통공기의 바이패스 밸브(40)가 개폐되면서, 유통공기의 바이패스 통로(4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유량을 제어하여 공연비를 고정밀도로 유지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fuel required to indirectly detect the torque as the intake air amount Q a to obtain the air-fuel ratio is injected, and also controlled by the air solenoid 43, so that the air bypass valve 42 is opened and closed, While the bypass valve 40 is opened and closed, it controls the air flow rate sucked through the bypass passage 40 of the distribution air to maintain the air-fuel ratio with high accuracy.

그다음 연료의분사는 주기적으로 행해지고 간헐 분사되면서 전체적으로는 일정하게 분사되므로 엔진의 회전은 원활하게 이행되고 주행성이 좋아진다.Then, the fuel is sprayed periodically and intermittently injecting, and the spraying of the engine is smoothly carried out and the driving performance is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토오크를 간접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공기유량 센서(72)가 설치되어 있으나, 공기 유량센서(72)의 출력대신에 부압센서의 검출부압을 사용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flow sensor 72 is provided to indirectly detect the torque. However,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detection negative pressure of the negative pressure sensor instead of the output of the air flow sensor 72.

또한, 토오크를 간접적으로 검출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분사연료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torque indirectly and to control the amount of injected fuel based on this.

제3도는 가속기 조작각도(θ)에 대한 흡입공기 유량(Qa)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도에 있어서, (B)는 는 가속기 조작각도(θ)에 대한 가속기 조작각도 센서의 출력( B1) 및 드로틀 밸브의 열림각도(B2)를 나타내고 있다. 즉, 가속기 조작각도 센서(30)의 출력은 가속기 조작각도(θ)에 대해 비례관계에 있고, 드로틀 밸브(14)의 열림각도( B2)는 조절레버(18)의 긴구멍(22)의 각도(QN) 즉, 지연각도를 경과한 후의 각도와 비례관계에 있다. 이것에 대하여, (A)는 드로틀 챔버(12)의 흡입공기 유량(Qa)을 타나내고 가속기 조작각도(Qa)가 θN에 이를 때까지는에너바이 패스 밸브(42)의조작범위로서 흡입공기유량(Qa)이 얻어지고 가속기 조작각도(θ)가 θN에서는 드로틀 밸브 유량에 대해 유통공기의 바이패스통로에서의 바이패스 공기 유량이 가해진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intake air flow rate Q a with respect to the accelerator operation angle θ. The method of claim 3, (B) is a shows an opening angle (B 2) of the output (B 1) and the throttle valve on the accelerator operation angle sensor for the accelerator operation angle (θ). That is, the output of the accelerator operation angle sensor 30 is proportional to the accelerator operation angle θ, and the opening angle B 2 of the throttle valve 14 is determined by the long hole 22 of the adjustment lever 18. It is in proportion to the angle Q N , that is, the angle after the delay angle has passed. On the contrary, (A) shows the suction air flow rate Q a of the throttle chamber 12 and suctions it as the operating range of the energy bypass valve 42 until the accelerator operation angle Q a reaches θ N. When the air flow rate Q a is obtained and the accelerator operation angle θ is θ N , the bypass air flow rate in the bypass passage of the flow air is applied to the throttle valve flow rate.

(A)에 있어서, A1은 공기유량의 제어범위를 나타내고, 이 제어범위는 드로틀 밸브 유량(A2)과, 드로틀밸브유량에 유통공기의 바이패스 통로(40)의 바이패스 공기유량을 합한값(A3)사이에 존재한다.In (A), A 1 represents a control range of the air flow rate, which is a sum of the throttle valve flow rate A 2 and the throttle valve flow rate plus the bypass air flow rate of the bypass passage 40 of the distribution air. It is between the values A 3 .

공기류량(Qa)은 드로틀 밸브(14) 및 에어바이패스밸브(42)가 다 같이 닫혀져 있을때의 유동유량 즉, 드로틀챔버(12)에서 각각의 밸브(14), (42)를 통해 유통하는 공기량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제어회로(100)의 구성을 제4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The air flow rate Q a flows through the valves 14 and 42 in the flow rate when the throttle valve 14 and the air bypass valve 42 are closed together, that is, the throttle chamber 12. Air volume is shown.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circuit 100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CPU(102)는 디지탈 연산처리를 행하는 중앙 처리장치이고, ROM(104)는 제어프로그램 및 고정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한 기억소자이며, RAM (106)은 독출 및 기입가능한 기억소자이다. 이들 CPU (102), ROM(104) 및 RAM (106)은 각각 버스(1 08)에 의하여 상호 접속됨과 동시에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110)의 입출력회로(112 )에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인터페이스회로(110)는 각종 센서의 검출출력을 수신하며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제어출력을 발생시킨다. 즉, 축전지 전압(VB), 엔진의 냉각수온도(TW), 공기온도(TA), 조정신호(VR), 가속기 조작각도(θTH) 및 산소( O2)의 기관 상태센서(200)의 검출출력이 멀티플래서(MPX)(114)에 입력되고, 이들의 각 센서출력은 버스(116)를 통해 입력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회로(110)의 입출력회로(112)에서의 재어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아날로그 디시탈변환기(ADC1) (118)에 인가되고 이 변환기(118)에서 디지탈값으로 변환하여 입출력회로(112)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입출력회로(112)에는 공기유량센서(72)의 공기유량(Qa)의 출력이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ADC2) (120)에서 디지탈값으로 변환된 후 입출력회로(112)에 입력됨과 동시에 시동스위치의 온, 오프 출력(DI1), 기준 크랭크각도 신호(PI1) 및 위치펄스신호(PI2)가 개별적으로 입력된다. 입출력회로(112)는 이들의 각 센서출력을 받아서 CPU(102 )에 보내고 또, CPU(102)에서의 제어신호르 연료 솔레노이드(64), 에어솔레노이드 (43), 점화코일(124), 연료펌프(126)에 보낸다.The CPU 102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digital arithmetic processing, the ROM 104 i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control programs and fixed data, and the RAM 106 is a storage device that can be read and written. These CPUs 102, ROM 104, and RAM 10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us 108 and ar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circuit 112 of the input / output interface circuit 110, respectively. The input / output interface circuit 110 receives detection outputs of various sensors and generates a predetermined control output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That is, the engine state sensor of the battery voltage (V B ), the coolant temperature (T W ) of the engine, the air temperature (T A ), the adjustment signal (V R ), the operating angle of the accelerator (θ TH ) and oxygen (O 2 ) The detection output of the 200 is input to the multiplexer (MPX) 114, and each of these sensor outputs is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input / output circuit 112 of the input / output interface circuit 110 input through the bus 116. It is selected and applied to the analog digital converter (ADC 1 ) 118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value by the converter 118 is input to the input and output circuit 112. The output of the air flow Q a of the air flow sensor 72 is input to the input / output circuit 112 after being converted into a digital value by the analog digital converter (ADC 2 ) 120. At the same time, the on and off outputs DI 1 , the reference crank angle signal PI 1 and the position pulse signal PI 2 of the start switch are input separately. The input / output circuit 112 receives these sensor outputs and sends them to the CPU 102.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PU 102 is a fuel solenoid 64, an air solenoid 43, an ignition coil 124, and a fuel pump. Send to 126.

그리고 본실시예에 있어서, 조정신호(VR)와는 가변 저항등에 의한 제어량을 조정하는 조정신호 입력을 의미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justment signal V R means an adjustment signal input for adjusting a control amount by a variable resistor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공기유량센서(72) 및 기관상태센서(200)의 각 검출출력(VB, TW, TA, VR및 θTH)이 제어회로(100)에 기액되고, CPU (102)가 소정의 제아프로그램에 따라서 연산처리하여 공연비가 구해지고, 이것에 근거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회로(110)의 입출력회로(112)로 부터의 제어출력이 연솔레이드(64) 및 예외 솔레노이드(43)에 입력된다.Since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output (V B , T W , T A , V R and θ TH ) of the air flow sensor 72 and the engine state sensor 200 is gas-liquid in the control circuit 100, the CPU ( 102 calculates the air-fuel ratio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program, and based on this, the control output from the input / output circuit 112 of the input / output interface circuit 110 is the soft sole 64 and the exception solenoid 43. Is entered.

다음에 상기제어회로(100)에 있어서, 유통공기의 바이패스통로(40)를 통과하는 바이패스 공기류량(QaB) 즉, 에어바이패스 밸브(42)의 제어량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제5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Next, in the control circuit 100, a program for obtaining a control amount of the bypass air flow amount Q a B that passes through the bypass passage 40 of the circulation air, that is, the air bypass valve 42 is shown in FIG. It demonstrates based on.

제5도는 에어바이패스 밸브의 제어플로우챠트이다.5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air bypass valve.

이 플로우차트에서 나타낸 작옹은 50msec∼150msec간의 선택된 주기에서 실행된다.The operation shown in this flowchart is executed at a selected period of 50 msec to 150 msec.

이 실행요구의 설정과 실행은 이미출원안 일본 특허출원 제4-40901 및 54-70067G호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본 발명에 직접 관계된 계산 프로그램에 관해서만 기술한다. 스텝(520)에서 시동 스취치가 온인지 으프인지르 ㄹ판단하여 온인 때 시동중이라고 하여 스텝(524)으로 진행한다. 스텝(524)에서 f1(TW)인 함수는 수온을 인수로 하는 함수로서 제도6에 그 특성을 나타낸다.The setting and execution of this execution request are already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s. 4-40901 and 54-70067G, and only the calculation program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here. In step 520, the start speech is judged to be on or aufzier, and when it is 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24 as if it is starting. In step 524, the function f 1 (T W ) is a function which takes water temperature as an argument, and exhibits its characteristics in scheme 6.

제6도에서 정한 특성에 의해 QaB를 정한다. 실제로는 에 대응하는 에어 솔레노이드(43)의 개방시기가 정해지고, 그 값이 스텝(536)에서 입출력회로(112)에 세트된다. 스텝(520)에서 시동중의 판단이 오프의 경우, 스텝(521)에서 RAM (106)으로부터 가속기 조작각도 데이터(θTH)를 독출한다.Q a B is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set in FIG. In practice, the opening timing of the air solenoid 43 corresponding to is determined, and the value is set in the input / output circuit 112 at step 536. If the judgment during startup is off in step 520, the accelerator operation angle data θ TH is read out from the RAM 106 in step 521.

그리고 이 데이터(θTH)는 멀티플랙서(MPX)(114)를 거쳐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ADC1)(118)에서 디지탈화되어 RAM (106)에 기액된다. 이러한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10msec마다 멀티플랙서(MPX) (114) 및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ADC1)(11 8)가 작동되고 입력(AI5)의 순서에 의해 절환된다.And the data (θ TH) is via a multiplexer (MPX) (114) are digitized in the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1) (118) is liquid in RAM (106). Receiving such data, multiplexer (MPX) 114 and analog digital converter (ADC 1 ) 1118 are activated every 10 msec and are switched by the order of input AI 5 .

따라서, AI1∼AI6까지 모두 입력되는데는 60msec의 시간이 필요하고, θTH는 60mAec의 간격으로 데이터가 기액되어 RAM(106)에 세트되게 된다. 이것에 대한 상세한 것도 일본 특허출원 제54-70067호에 나타내져 있다.Therefore, 60 msec time is required to input all of AI 1 to AI 6 , and θ TH is set to the RAM 106 by gas-liquid data at an interval of 60 mAec. Details of this are also shown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54-70067.

스텝(521)에서 상기 데이터(θTH) : 값은 RAM에 의해 독출하고 스텝(528)에서 이 데이터(θTH)가 고 데이터(θSeT) 보다 큰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θTH가 고정데이터(θSeH)보다 적은 경우 스텝(528)은“Yes”가 된다. 스텝(528)에서“Yes”의 경우는 엔진이 아이들링 상태의 경우이다.The data in step (521) (θ TH): The value read out by the RAM,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larger than the data (θ TH) the high data (θ SeT) at step (528) θ TH is fixed data ( If less than θ SeH ), step 528 becomes “Yes”. In step 528, the case of "Yes" is a case where the engine is in an idling state.

따라서 스텝(530)과 스텝(534)에서 엔진회전속도의 보정을 행한다.Therefore, the engine speed is corrected in steps 530 and 534.

우선, 스텝(530)에서 f3(TW)인 함수에 의해 목표회전수(RN)를 구한다. 수온( TW)에 대한 목표회전수(RN)의 특성은 제8도와 같이된다.First, in step 530, the target rotation speed RN is obtained by a function of f 3 (T W ). The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rotation speed RN with respect to the water temperature T W becomes as shown in FIG.

제8도의 특성에 의해 구해진 목표회전수(RN)를 사용하여 스텝(534)에서 실제의회전수(N)가 목표회전수(RN)로 되도록 QaB를 설정하여 에어바이패스 밸브(42)의 개방도를 정하고, 스텝(536)에서 레지스터에 세트한다.By using the target rotation speed RN obtained by the characteristic of FIG. 8, Q a B is set so that the actual rotation speed N becomes the target rotation speed RN in step 534, so that the air bypass valve 42 The opening degree is determined and set in a register in step 536.

이 스텝(536)의 상세함은 제9도에 나타낸다.The details of this step 536 are shown in FIG.

스텝(538)에서 실제의 회전수(N)를 독출한다.In step 538, the actual rotation speed N is read.

스텝(540)에서 이회전수(N)와 목표회전수(RN)와의 차를 구한다. 이 차가 고정값(NSeT)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이차(

Figure kpo00001
N)가 고정값(NSeT) 보다 큰 경우 스텝(544)으로 진행한다.In step 540,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rotation speed N and the target rotation speed RN is obta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is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fixed value (N SeT ) and the second (
Figure kpo00001
When N) is larger than the fixed value N SeT ,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44.

스텝(544)에서

Figure kpo00002
N 값이 음수인지 또는 양수인지를 판단한다.
Figure kpo00003
N의 값이 양수 즉 RN>N인 때 실제의 엔진회전수(N)를 목표회전수(RN)에 근접시키기 위하여 QaB를 증가시킨다. 이때문에 앞에서 구한 QaB(old)의 값에 일정값(
Figure kpo00004
QaB)를 더한 값이 새로운 QaB(NEW)의 값을 스텝(536)에서 레지스터에 설정한다.In step 544
Figure kpo00002
Determine whether the N value is negative or positive.
Figure kpo00003
When the value of N is positive, that is, RN > N, Q a B is increased to bring the actual engine speed N closer to the target speed RN. Because of this, the value of Q a B (old)
Figure kpo00004
The value obtained by adding Q a B) sets the value of the new Q a B (NEW) to the register at step 536.

스텝(542)에서 |

Figure kpo00005
N|의 값이 고정값보다 적은 경우 앞에서 구한 QaB(old)의 값을 새로운 QaB(NEW)의 값으로 하여 스텝(536)에 세트한다.In step 542 |
Figure kpo00005
If the value of N | is less than the fixed value, the value of Q a B (old) obtained above is set to step 536 as the value of the new Q a B (NEW).

제5도의 스텝(528)에서θTH가 θSeT보다 큰 경우, 가속기가 밟아져 있고, 따라서 드로틀 개방도와 엔진 속도의 관계에서 QaB를 정한다.When θ TH is greater than θ SeT in step 528 of FIG. 5, the accelerator is stepped on, and Q a B is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throttle opening and the engine speed.

그 특성을 제7도에서 나타낸다. 그리고 그 값을 스텝(536)에서 세트한다.The characteristic is shown in FIG. The value is then set in step 536.

제10도는 에어 바이패스 밸브(42)를 제어하는 회로로서 입출력회로(I/O)(11 2) 내에 설치되어 있다.10 is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air bypass valve 42 and is provided in the input / output circuit (I / O) 11 2.

레지스터(802)에는 듀티(duty)인 QaB가 스텝(536)에서 세트된다 주기는 레지스터(806)에 세트되어 있는 고정이다. 계수회로로 구성되는 타이머(804)는 클럭을계수한다. 그 계수값(B)은 레지스터(806)의 값과 비교기(810)에서 비교되고 계수값(B)은 레지스터(806), 비교기(C) 이상이 되면 타이머(804)는 클리어된다.Q a B, which is a duty, is set in the register 802 at step 536. The period is fixed set in the register 806. The timer 804 composed of a counting circuit counts clocks. The count value B is compared in the comparator 810 with the value of the register 806, and the timer 804 is cleared when the count value B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gister 806 and the comparator C.

따라서 타이머(804)는 레지스터(806)의 값(C)에서 정하는 주기로 계수를 반복한다. 또 타이머(804)의 계수값은 레지스터(802)의 값과 비교기(808)에서 비교된다.Therefore, the timer 804 repeats the counting at a period determined by the value C of the register 806. The count value of the timer 804 is also compared in the comparator 808 with the value of the register 802.

이때 레지스터(802)의 값(A)이 타이머(804)의 계수값(B) 보다 큰 조건에서 플립플롭(812)을 세트하고, 값(B)가 값(A) 이상이 되는 조건에서 리세트된다.At this time, the flip-flop 812 is set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alue A of the register 802 is larger than the count value B of the timer 804, and the reset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alue B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alue A. do.

때문에 플립플롭(812)의 세트시간은 레지스터(802)의 값(A)에 의해 정한다. 이 값(A)을 크게 함으로써 플립플롭(812)의 세트시간을 길게 한다.Therefore, the set time of the flip-flop 812 is determined by the value A of the register 802. By increasing this value A, the set time of the flip-flop 812 is lengthened.

그리고 상술한 바와같이 타이머(804)의 계수는 레지스터(806)의 세트값에 딸느 주파수로 반복되므로 플립플롭(812)의 세트출력은 레지스터(806)의 세트 값에 따른 반복주기에 따라 반복 출력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로는 드로틀 밸브 (14)의 상류측의 드로틀챔버(12)내에 분사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와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흡입매니홀드에 연룔르 분사하는 형의 엔진에 있어서도 실시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efficient of the timer 804 is repeated at a frequency that corresponds to the set value of the register 806, the set output of the flip-flop 812 is repeatedly output according to the repetition period according to the set value of the register 806.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ue is injected into the throttle chamber 12 on the upstream side of the throttle valve 1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but is also performed in an engine of the type that continuously injects into the suction manifold. Will be.

이상 설명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의 저유량에는 드로틀밸브를 지나 설치된 유통공기의 바이패스통로 즉, 공기유료로서 에서 바이패스 밸브에 의해 매우 정밀하게 유통공기량이 제어되고 이로 인하여 공연비는 고정밀도로 제어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 flow rate of air is controlled by the bypass valve of the flow air installed through the throttle valve, i.e., the air fuel, by the bypass valve, and thus the air-fuel ratio is precisely controlled. It is controlled.

특히 이와같은 공연비를 얻을 수 있는 것은 공기유량이 애단히 고정밀도로 제어된는 점에서 발진(發振)이 원활하게 되어 주행성을 높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such an air-fuel ratio can be obtained in that the air flow rate is extremely precisely controlled, so that oscillation is smooth and the driving performance is improved.

그리고 제11도는 제1도의 다른 실시예이며 동일부호는 동일작용을 한다.11 is another embodiment of FIG. 1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ct the same.

제1도와 상이점은 노즐(66)이 드로틀 밸브의 상류부가 아니라 그 근방에 연료를 분사하는 것이다. 단, 그 연료를 미립화시킨다는 점에서는 제1도가 우수한다.The difference between FIG. 1 and FIG. 1 is that the nozzle 66 injects fuel near the upstream portion of the throttle valve. However, the first degree is excellent in that the fuel is atomized.

Claims (1)

가속기(25)에는 그의 조작각도를 검출하는 가속기 조작각도 센서(30)를 설치하고, 드로틀 챔버(12)내에는 드로틀밸브(14)의 바이패스 통로(40)를 형성하고, 이 바이패스통로를 지나는 공기유량을 제어하는 에어바이패스 밸브(42)를 구비시켜서, 가속기 조작각도 검출장치의 출력을 제어회로(100)로 공급하게 구성시켜 그 출력에 근거하여 바이패스 밸브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가속기가 소정의 조작각도 이상으로 구성시켜 그 출력에 근거하여 바이패스 밸브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가속기가 소정의 조작각도 이상으로 조작될때 가속기 데이터 조작각도에 근거하여 드로틀 밸브(14)를 개방시키는 연료솔레노이드밸브(64)를 상기의 제어회로에 접속시켜 제어토록한 전자식 공연비 제어장치.The accelerator 25 is provided with an accelerator operation angle sensor 30 for detecting its operation angle, and in the throttle chamber 12, a bypass passage 40 of the throttle valve 14 is formed, and this bypass passage is formed. An air bypass valve 42 for controlling the passing air flow rate, configured to supply the output of the accelerator operation angle detection device to the control circuit 100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of the bypass valve based on the output; The accelerator is configured to a predetermined operating angle or mor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of the bypass valve based on the output, and when the accelerator is operated above the predetermined operating angle, the throttle valve 14 is opened based on the accelerator data operating angle. An electronic air-fuel ratio control device which connects a fuel solenoid valve 64 to the control circuit for control.
KR1019800001960A 1980-05-19 1980-05-19 Electronic type air fuel ratio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8400008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960A KR840000829B1 (en) 1980-05-19 1980-05-19 Electronic type air fuel ratio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960A KR840000829B1 (en) 1980-05-19 1980-05-19 Electronic type air fuel ratio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994A KR830002994A (en) 1983-05-31
KR840000829B1 true KR840000829B1 (en) 1984-06-15

Family

ID=1921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960A KR840000829B1 (en) 1980-05-19 1980-05-19 Electronic type air fuel ratio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82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994A (en) 198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5689A (en) Electronic type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EP0239095B2 (en) 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3899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fuel injection
JPH0363654B2 (en)
US4951647A (en) Engine control apparatus
US4501249A (en)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1155015A (en) Electronic controlled carburetor
US4681077A (en) Air-fuel ratio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840000829B1 (en) Electronic type air fuel ratio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2210229A (en) Mixed fuel injection method
US4628886A (en)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188612B2 (e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95831A (en) Controlling method of pump used for supercharg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296776A (en) Fuel feeder for itnernal combustion engine
US4715349A (en) Air intake side secondary air supply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n improved operation under a small intake air amount
JP2579908B2 (en) Engine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JPH0325619B2 (en)
US4715352A (en) Air intake side secondary air supply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duty ratio control operation
JPS5832929A (en)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JPS6456945A (en) Engine controller
JPS5827882A (en) Fuel controll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532914A (en) Fuel injection device
JP3201646B2 (en) Air-fuel ratio control device
JP4178784B2 (en) Diagnostic apparatus for fuel injection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460746A (en) Air-fuel ratio contro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