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693Y1 - 현악기용 전자석(電磁石) 픽업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전자석(電磁石) 픽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693Y1
KR840000693Y1 KR2019840001812U KR840001812U KR840000693Y1 KR 840000693 Y1 KR840000693 Y1 KR 840000693Y1 KR 2019840001812 U KR2019840001812 U KR 2019840001812U KR 840001812 U KR840001812 U KR 840001812U KR 840000693 Y1 KR840000693 Y1 KR 8400006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ieces
pickup
pole
strings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1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오 펜더 클라렌스
Original Assignee
레오 펜더 클라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050,438 external-priority patent/US4220069A/en
Application filed by 레오 펜더 클라렌스 filed Critical 레오 펜더 클라렌스
Priority to KR2019840001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6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6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1Details of pick-up assembl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91Plectrum or pick sensing, e.g. for detection of string striking or pluc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현악기용 전자석(電磁石) 픽업
제1도는 본 고안을 부합시키는 전자기타의 평면도.
제2 내지 제5도는 종래 기술에 의해 구성된 전자석 픽업의 확대 사시도로서 일부 단면도.
제6 내지 7도는 본 고안 기술에 의해 구성된 전자석 픽업의 확대 사시도로서 일부 단면도.
본 고안은 현악기용 전자석(電磁石) 픽업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자기 픽업보다 훨씬 강하고 더 한정된 자계를 갖는 전자석 픽업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더 넓게는 전기 현악기 종류에 관한 것이며, 이는 뜯거나 튕겨줌에 의해 몸체와 네크 양단에 걸쳐 신장된 다수의 현들이 진동되도록 구비한 전기 기타 또는 유사한 악기에 특히 적용할 수 있다.
그러한 전기 기타 또는 유사한 전기 악기로부터 출력을 유도하기 위해, 그 악기는 권선된 도전코일을 갖는 다수의 자기소자(극편들)로 구성되는 전자석 픽업을 보통 갖추고 있다. 보통 하나의 그러한 극편은 그 악기의 각 현 바로 밑에 배치된다. 그 현들은 강철과 같은 자화가능한 물질로 구성되며 그러므로 극편들의 자속선들에 대한 도전통로부가 된다. 따라서, 어떤 현들이 진동하게 되면, 이것은 연관된 극편들의 자계의 교란요인이 된다. 이것은, 도전코일내에 전압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이 전압은 적당히 증폭되어 확성기 장치에 전달된다.
과거에는 극편들이 2개의 기본방식중 하나로 자화되었다. 하나의 통상의 방법은 영구자석재료로부터 각 극편을 형성하는 것이며 또는 자화기능 재료를 영구히 자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미국 특허 제3,236,930호와 제3,962,946호에 의해 예시되어 있다. 여러 이유들 때문에 연철과 같은 비자화 금속 재료로 극편들을 제조하고, 극편들은 제조하고, 득편들을 통하여 자계를 발생시키도록 별도의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예를 들면 세라믹 자석과 같은 영구자석 재료로부터 제조된 막대자석을 사용할때, 단일극편을 영구 자화시키는 것보다 다수의 자화되지 않은 금속극편들로서 사용하는 단일 막대자석을 제공하는 것이 때론 덜 비싸다.
어쨌든, 막대자석을 비자화된 극편들로서 사용될때 북극 또는 남극중 어느 하나가 보통 현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들 근처에 극편들의 양측면과 맞물리도록 자석을 위치시키는 것을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실용문제 때문에, 막대자석은 각 극편의 측면과 선접촉을 하며, 자석의 자속선들은 막대자석으로부터 극편들내로 통과함에 있어 각도 90도의 방향으로 변한다. 때때로, 단일 막대자석은 제1 및 제2픽업조립체들을 갖는 픽업용 2열의 극편들간에 위치된다. 또 다른 경우에는 한쌍의 막대자석은 단일 픽업조립체를 갖는 픽업내의 일렬의 극편의 상반(Opposite) 측면들상에 위치된다.
전자의 경우는 미국 특허 제2,896,491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후자의 경우는 미국 특허 제2,911,871호와 4,133,243호에 기술되어 있다. 두 장치는 미국 특허 제4,026,178호에 기술되어 있다.
자화된 극편이나 측연부들을 맞물고 있는 하나 이상의 막대자석을 갖는 자화되지 않은 금속극편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므로서 비교적 약한 자계가 방출되며, 그리고 그중 하나는 자속선의 한정된 패턴을 갖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결국, 이러한 형의 픽업조립체를 결합시키는 픽업의 출력은 사람이 좋아하는 만큼 조화가 풍부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이전에는 없었다.
이러한 전자석 픽업들로서 이전에 언급 다른 문제는 전기 기타들이나 기타 비슷한 전기악기들이 전동설비, 모터, 변압기들 등으로부터 강한 자계를 받는 영역내에서 사용되며, 이 자계들은 외부 잡음원으로서 픽업에 의해 감지된다는 것이다. 더우기 그러한 잡음원은 보통 넓은 주파수 범위를 갖는다. 이 자계들은 픽업코일내에 전압을 유발시키며 또한 증폭되어 확성기에 전송되고, 바람직하지 않는 험으로 나타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우해 각각 다수의 자극편과 코일을 가지는 한쌍의 동일한 픽업 조립체가 평행하게 상호 근접하여 간격을 둔 상태의 전기 악기용 픽업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였다. 픽업 조립체들중 하나의 모든 극편들은 현에 아주 인접한 북극들과 현들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진 남극들을 가지는 한편 다른 픽업 조립체의 모든 극편들은 현에 인접한 남극들과 현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북극들을 갖는다.
두 픽업 조립체들의 코일들은 반대방향으로 감기며 두 코일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코일내의 전류흐름의 방향이 자극극성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한 코일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각 현에 대해 나머지 코일의 방향과 반대이다. 그러나 두 코일의 권선들의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현진동의 결과로서 코일내에 유발되는 신호는 부가되며, 출력신호는 코일들내에 유발된 전압의 합이다.
다른 한편, 잡음원으로부터 코일들에 의해 잡힌 신호들은 자계극성에 무관한 전류를 코일내에 발생시키며 따라서 그러한 잡음원은 동위상에 있는 전압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코일들이 반대방향으로 감겨 있기 때문에 이 동위상의 신호들은 삭제되며, 출력신호는 각 코일내에 유도된 잡음원 전압들간의 차이가 된다.
이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험으로서 나타나는 외부원의 잡음이 효화적으로 감소 또는 삭제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러한 장치가 보통 험 제거장치로서 특징되는 것이다.
험제거픽업들이 전기 기타와 기타 유사한 전기 악기에 통상 사용되어 오는 동안 극편들을 자화시키는 기술은 픽업출력이 사람이 좋아하는 만큼 하모닉(harmonic)이 풍부하지 않은 여전히 전술한 바와 같다.
험제거형 픽업내의 이러한 문제는 이전에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픽업에 의해 발생된 자계보다 훨씬 더 강하고 더 한정된 자계를 발생시키는 현악기용 전자석 픽업이 제공되며, 그의 출력은 하모닉이 풍부하고 종래 기술의 픽업출력보다 훨씬 더 좋다. 이것은 각 픽업조립체로서 자화되지 않은 금속극편들과 단일 영구막대자석을 사용하므로서 성취된다.
각 픽업조립체의 막대자석은 정방형이며 이전에 사용된 것에 대해 각도 90도로 자화방향을 갖는다. 즉, 본 막대자석은 상반표면들이 제각기 북극 및 남극을 갖도록 막대자석의 더 좁은 면적 양단에 펼쳐진 자화방향을 갖는다. 이 상반 표면들중 적어도 하나는 평평한 평면이며 현으로부터 떨어진 극편들의 단부들 역시 평평한 평면으로 만들어진다. 막대자석은 극편들의 평평한 평면과 표면접촉되도록 위치된다.
자석과 극편들간에 양호한 표면접촉을 제공하므로서 그리고 자속선들이 막대자속으로부터 극편들내로 모가난 각도의 방향변동없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현들 근처의 극편들 단부들은 종전의 것들보다 훨씬 더 강하게 자화되고, 훨씬 강한 자계를 발생시키고 그리고 훨씬 더 한정된다. 그 결과는 본 고안의 원리에 의해 구성된 전자석 픽업으로부터 우수한 출력이 된다.
약술하면, 본 고안의 원리에 의해 구성된 전기악기용 픽업 조립체는 그 악기의 현과 작동적으로 관련된 자화되지 않은 다수의 자화가능 극편들, 그 극편들은 평행이 현의 평면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극편들, 현들의 평면에 아주 인접하여 있는 모든 극편들의 제1단부들, 평평한 평면의 극편들의 제2단부들, 북극인 제1표면과 남극인 반대쪽 제2표면을 갖는 장방형 막대자석, 평평한 평면인 적어도 하나의 상반표면들, 모든 극편들의 제2단부들과 표면접촉 상태로 위치되어 있는 막대자석, 그리고 극편들 둘레에 권선된 코일장치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픽업은 두개의 픽업조립체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한 자석의 제1표면은 한 픽업조립체의 모든 극편들의 제2단부들과 표면 접촉상태로 위치되며, 다른 자석의 제2표면은 다른 픽업조립체의 모든 극편들의 제2단부들과 표면접촉상태로 위치되어 있다. 개량된 결과는 그러한 조건하에서, 금속유지기가 제1막대자석의 제2표면과 제2막대자석의 제1표면과 접촉상태로 위치될 경우 성취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비교적 약한 자계와 부주의하게 한정된 자계선들의 패턴들을 갖는 현악기용 전자석 픽업들에 연관된 문제점들을 해결해 주는데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장방형 막대자석과 조합하여 자화되지 않은 자화가능 극편들의 신규한 장치의 제공에 의해 조제점들을 해결해 주는데 있다. 얻어지는 장점은 비교적 강한 자계를 갖는 픽업의 설치에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자속선의 잘 한정된 패턴을 갖게 해주며 또한 출력이 하모닉에서 풍부한 픽업에 있다.
본 고안의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는 양호한 실시예로부터 숙련된 자에 의해 충분히 이해된 것이다. 여러 도면에서 동일번호는 동일부품을 나타낸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몸체(11), 넥크부(12) 및 헤드(9)로 내포하는 전기 기타(10)내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해되어 있다. 헤드(9)와 몸체(11)에 연결된 브리지 조립체(13)간에는 몸체(11)의 면에 평행한 단일 평면에 늘어져 있는 다수의 현들(14 내지 19)이 신장되어 있다. 현들(14 내지 19)은 강철과 같은 자화가능 재료로 구성되며 종래 방식으로 직경이 정해져 있다.
기타(10)로부터의 출력을 유도하기 위해, 기타는 본 고안의 주체가 되는 전자석 픽업(20)을 갖추고 있다. 튕겨줌으로서 현(14 내지 19)이 진동하면 픽업(20)내에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신호는 적당히 증폭되어 확성기에 전달된다.
픽업(20)은 기본톤과 하모닉간을 감지하기에 바람직한 상호관계에 의해 몸체(11)상의 여러 세로방향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우기, 기타(10)는동일한 다수의 픽업들(20)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픽업들이 내포되면, 스위치가 증폭장치로 그 신호를 도통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픽업들을 선택하도록 설치된다.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현악기용 전자석 픽업의 극편들을 자화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2도는 종래에 공지된 일반형을 갖는 픽업(20A)을 나타낸다. 특히, 픽업(20A)은 일반적으로 현(14 내지 19)의 평면에 수직이며 서로 인접하여 평행하게 간격을 둔 위치로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동일한 극편들(21 내지 26)을 포함하는 단일 픽업조립체를 포함한다.
극편들(21 내지 26)을 보통 한쌍의 절연지지판들(27)에 의해 이 위치에서 유지된다. 가는 도선의 다수 권회에 의해 형성된 코일(28)은 극편들(21 내지 26) 둘레에 감겨진다. 코일(28)내의 도선은 바니스 또는 락카와 같은 것으로 절연되며, 극편들(21 내지 26), 지지판(27), 그리고 코일(28)을 포함하는 모든 조립체는 보통 바니스 또는 락카에 담겨진다.
제2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극편들(21 내지 26)은 각각 자화되어 그 극편들이 동일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배열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북극은 현(14 내지 19)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남극은 현(14 내지 19)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위치된다. 극편들(21 내지 26)의 방위는 역으로 될 수 있다. 그러한 픽업(20A)의 각 극편에 대한 자속선들은 (29)로 도시된 바와 같다.
자계를 강하게 하고 좀더 명확한 패턴의 자속선을 갖는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제2도의 실시예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될 수 있다. 즉, 제3도는형의 긴 금속유지기(30)를 부가한 이외에 픽업(20A)와 동일한 픽업(20B)를 도시한다. 극편들(21 내지 26)과 코일(28)은 유지기(30)의 기부(31)와 접촉되어 있는 현(14 내지 19)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극편들(21 내지 26)의 단부들을 갖는 유지기(30)내에 위치된다. 그렇게 수정하면, 각 극편에 대한 자속선들은 (32)로서 나타나며 현들(14 내지 19)에 인접한 극편들(21 내지 26)의 단부로부터 유지기(30)의 자유단부들(33 및 34)까지 펼쳐져 있다.
제1 및 제2픽업 조립체를 부합시키는 픽업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다. 여기서, 각각은 제2도에 도시된 픽업조립체(20A)와 동일하다.
앞에서 충분히 설명된 바와 같이, 그러한 픽업은 험제거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두개의 픽업조립체는 그들의 극편들의 방위가 역전된 상태에서 상호 인접하여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된다. 결국, 자계는 픽업조립체 근처의 극편들간에 있게 되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기를 요하지 않는다.
여러 이유들중, 이미 충분히 설명되었던 몇가지 이유들 때문에, 금속(자화가능)재료로 만들어지지만 개별적인 극편들이 비자화되는 픽업을 제공하고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개별적인 막대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단일 픽업조립체를 갖는 픽업내에서, 이것은 보통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해진다.
특히 제4도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일반형태를 갖는 픽업(20C)을 나타낸다. 픽업(20C)은 일반적으로 현(14 내지 19)의 평면에 수직으로 서로 상호 근접하여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동일한 극편들(41 내지 46)을 포함하는 단일 픽업조립체를 구비한다. 극편들(41 내지 46)은 보통 한쌍의 절연지지판(47)에 의해 이 위치에 유지된다. 가는 도선의 다수권회들로 형성된 코일(48)은 극편들(41 내지 46)둘레에 감긴다. 코일(48)내의 도선은 절연되며 모든 조립체는 적당한 바니스 또는 락카내에 담긴다.
제4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극편들(41 내지 46)은 철과 같은 비자화된 자화가능 재료로부터 제조되며 자계는 한쌍의 동일한 장방형 막대자석(49)에 의해 발생된다. 여기서, 각 자석은 그의 횡단면의 더 넓은 면적 양단에 펼쳐진 자화방향을 갖는다. 자석들(49)은 현들(14 내지 19)로부터 떨어진 단부들 근처의 극편들(41 내지 46)의 상반측면들을 접하는 동일전극들 여기서는 북극전극들을 갖는 극편들(41 내지 46)의 상반측면들상에 위치된다. 두 자석들(49)의 방위는 역전될 수 있다. 어쨌든, 이것은 북극들이 현들(14 내지 19)에 근접한 극편들(41 내지 46)의 단부들에서 존재하게 해준다. 각 극편들(41 내지 46)에 대한 자속선들은 (50)으로 도시된 바와 같다.
만일 영구 막대자석들이 한쌍의 픽업조립체들을 갖는 험제거 픽업내의 자계를 발생시키도록 사용될 경우, 제5도에 도시된 일반형태를 갖는 픽업이 보통 사용된다. 특히, 제5도는 종래에 공지된 일반형태를 갖는 픽업(20D)을 나타낸다. 픽업(20D)은 한쌍의 픽업조립체들(51 및 61)을 나타내며, 픽업조립체(51)는 다수의 동일한 극편들(52 내지 57)을 구비하며 픽업조립체(61)은 다수의 동일한 극편들(62 내지 67)을 구비한다. 극편들(52 내지 57)의 수와 극편들(62 내지 67)의 수는 동일하며 현(14 내지 19)의 수와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극편들(52 내지 57과 62 내지 67)은 현들(14 내지 19)의 면에 수직으로 일렬 정돈되어 있으며, 서로 상호 근접하여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있다. 극편들(52 내지 59와 62 내지 67)은 한쌍의 절연지지판들(58 및 68)에 의해 제위치에서 유지된다. 가는 도선의 다수의 회선들로 형성된 코일들(59 및 69)는 극편들(52 내지 57와 62 내지 67) 둘레에 감긴다.
제5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극편들(52 내지 57와 62 내지 67)은 비자화된 자화가능 재료로부터 제조되며 자계는 그의 횡단면의 더 넓은 면적 양단에 펼쳐진 자화의 방향을 갖는 단일 장방형 막대자석(60)에 의해 발생된다. 자석(60)의 북극은 각 극편들(52 내지 57)의 일측면 연부를 접촉하는 반면, 자석(60)의 남극은 각 극편들(62 내지 67)의 일측연부를 접촉한다. 자석(60)의 방위는 역전될 수 있다. 그러한 형태로 하면, 각 극편들(52 내지 57)은 북극이 되며, 각 극편들(62 내지 67)은 남극이 되어 각쌍의 극편들간의 자속선들은 (70)으로 나타낸 바와 같다.
제2, 3, 4 또는 제5도중의 어느 형태가 사용되는지간에 관계없이, 비교적 약한 자계가 방출되며, 그중 하나는 자속선들의 명확한 패턴을 갖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결국, 이 픽업들의 코일들은 현들(14 내지 19)의 진동에 적당히 응답하지 않으며, 픽업들(20A 내지 26D)의 출력들은 사람이 좋아하는 만큼 하모닉이 풍부하지 못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픽업들(20A 내지 20D)에 의해 발생된 자계보다 훨씬 강하고 더 명확한 자계를 발생시키는 현악기용 전자석 픽업을 제공하며, 그의 출력은 하모닉에 있어 풍부하며, 픽업(20A 내지 20D)와 같은 종래의 픽업들의 출력보다 훨씬 더 좋다. 이것은 비자화된 금속 극편들과 각 픽업조립체에 대한 단일 영구막대자석을 사용하므로서 성취된다. 일반적으로, 각 픽업 조립체의 막대자석은 장방향 횡단면을 가지며 종전에 사용된 것에 대해 각도 90도로 자화방향을 갖는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막대자석은 상반 표면들이 북극 및 남극을 각각 갖도록 그의 횡단면의 더 좁은 면적 양단에 연장되는 자화방향을 갖는다. 이 상반 표면들의 적어도 하나는 평평한 평면이며, 현들(14 내지 19)로부터 떨어진 극편들의 단부들은 평평한 평면으로 또한 제조된다. 자석은 모든 극편들의 평평한 평면과 표면접촉 상태로 평평한 평면으로 위치된다. 결국, 본 고안의 원리에 의해 구성된 전자석 픽업으로부터의 출력은 우수하다.
특히, 우선 제6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원리에 의해 구성된 단일 픽업조립체를 내포하는 픽업(20E)을 볼 수 있다. 그 픽업(20E)의 픽업조립체는 현들(14 내지 19)의 평면에 수직하여 서로 상호 근접하여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일렬로 정렬된 다수의 동일한 극편들(71 내지 76)을 포함한다. 극편들(71 내지 76)은 보통 한쌍의 절연지지판(77)에 의해 이 위치에 유치된다. 가는 도선의 다수의권회들로부터 형성된 코일(78)은 극편들(71 내지 76) 둘레에 잠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78)내의 도선은 절연되며 모든 조립체는 적당한 바니스 또는 락카내에 바람직하게 잠긴다.
본 고안의 원리에 의하면, 픽업(20E)의 극편들(71 내지 76)은 철과 같은 자화가능 비자화된 금속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이후 충분히 설명될 이유 때문에, 각 극편들(71 내지 76)은 그 내부 축상공을 갖는 긴 원통형 몸체(79)와 각 몸체(79)의 공내에 위치된 조정나사(80)을 포함한다. 이것은 각 극편들(71 내지 76)과 그의 연관된 현들(14 내지 19)간의 공간을 각각 조정해준다.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픽업(20E)은 영구자석재료 또는 영구 자화된 재료로 제조되는 막대자석(81)을 포함한다. 이 막대자석(81)은 세라믹 자석이면 좋다. 막대자석(81)은 장방형 형태를 가지며 화살표(82)의 방향으로 그의 횡단면의 더 좁은 면적을 가로질러 펼쳐진 자화방향을 갖는다. 따라서, 막대자석(81)의 상반표면들(83 및 84)은 각각 북극과 남극을 한정해준다.
본 고안에 의하면, 현들(14 내지 19)로부터 떨어진 극편들(71 내지 76)의 단부들은 그들이 평평한 평면이 되도록 가공한다. 더우기, 막대자석(81)의 표면(83)은 또한 평평한 평면이다. 막대자석(81)은 극편들(71 내지 76)의 가공된 단부들과 접촉상태의 표면(83)으로 위치된다. 자석(81)과 극편들(71 내지 76)간의 양호한 표면접촉을 해줌으로서, 자속선들은 큰 표면영역 위의 사이를 통과한다. 더우기, 이 자속선들은 각도 방향의 변동없이 자석(81)과 극편들(71 내지 76) 사이로 통과한다.
막대자석(81)의 방위와 위치를 이러한 간단한 변동을 시켜주면, 충분한 결과가 성취된다. 제4도의 형태로부터 제6도의 형태로 변동시키면 현들(14 내지 19) 근처의 극편들(71 내지 76)의 단부들에서 훨씬 더 강한 자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더 강한 자계는 픽업(20A 내지 20D)의 코일들내의 응답을 훨씬 더 명료히 해주고 하모닉이 훨씬 더 풍부한 코일(78) 내의 응답으로 만들어준다.
픽업(20E)은 전술한 소자들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극편들(71 내지 76)의 자계를 더 좋게 한정하기 위해 픽업(20E)은 제3도의 실시예에 관해 전술한 바와같이 유지기(8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유지기(85)로서 각 극편에 대한 자속선들은(86)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된다.
제7도에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7도는 한쌍의 동일한 픽업조립체(90 및 100)를 내포하는 험제거픽업(20F)을 나타낸다. 픽업조립체(90)는 다수의 동일한 극편들(19 내지 96)을 포함하며, 픽업조립체(100)는 유사한 다수의 동일한 극편들(101 내지 106)을 포함한다. 극편들(91 내지 96)의 수와 극편들(100 내지 106)의 수는 동일하며 현들(14 내지 19)의 수와 항상 동일하다. 극편들(91 내지 96과 101 내지 106)은 현들(14 내지 19)의 평면에 수직으로 서로 상호 근접하여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일렬로 정열된다. 제6도에 대하여 방금 기술된 바와 같이, 픽업조립체(90 및 100)은 한쌍의 절연지지판들(97 및 107)과 코일들(98 및 108)을 제각기 포함한다.
픽업(20F)의 극편들(91 내지 96와 101 내지 106)은 픽업(20F)의 극편들(71 내지 76)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픽업조립체들(90 및 100)은 막대자석(81)과 역시 동일한 막대자석들(99 및 109)을 제각기 포함한다. 픽업조립체(90 및 100)간의 오직 그 차이는 막대자석(99)이 극편들(91 내지 96)과 접촉되는 북극을 갖고 있으며 막대자석(109)은 극편들(101 내지 106)과 접촉되는 남극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각쌍의 극편들에 대한 자속선들은 (1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되도록 각 극편들(91 내지 96)의 북극과 각 극편들(101 내지 106)의 남극을 제조한다.
본 고안에 의해 극편들(91 내지 96 및 101 내지 106)간의 자계의 강도가 더욱 강하되고 유지기(111)의 추가에 의해 더 좋게 한정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유지기(111)은 픽업조립체들(90과 100) 간에 연장되는 자화가능 비자화된 곳속재료의 판이 좋다. 즉, 유지기(111)의 한 표면(112)은 자석(99)의 남극과 자석(109)의 북극과 표면 접촉되어 있다. 그러한 유지기(111)의 추가로서, 자속선들은 자석(99)의 남극으로부터 자석(109)의 북극으로 잘 한정된 통로 즉 유지기(111)의 몸체를 따라 통과된다. 극편들(91 내지 96과 101 내지 106)의 기부들에서 자계의 탈출을 방지함으로서, 현들(14 내지 19) 근처의 단부에서의 자속선들은 예외도 강하고 잘 한정된다.
방금 설명된 이유와 알려지지 않은 기타 이유들 때문에, 픽업(20F)은 픽업(20F)을 내포하는 모든 기타 알려진 픽업들의 것보다 훨씬 우월한 출력을 제조한다. 그러나, 음악가는 단일 픽업조립체를 내포하는 픽업으로 성취되는 소리를 좋아할 때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픽업(20F)와 같은 픽업을 사용하고 코일들(98) 또는 (108)중 하나를 간단히 단락시키는 것이 양호하다. 다른 방법으로, 픽업(20E)은 유지기(85)가 있고나 없거나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같이, 픽업(20E) 또는 (20F)은 기타(10)의 몸체(11) 내의 적당한 요홈(도시안됨) 내에 장치될 수 있으며 나사(114)에 의해 몸체(11)에 고정되는 캡(113)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기술상 공지된 바와 같이, 나사(114)를 조이고 푸는 것은 모든 극편들(71 내지 76), (91 내지 96), 또는 (101 내지 106) 그리고 현들(14 내지 19)간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픽업(20E) 또는 (20F)의 하향 또는 상향운동을 행하기에 유용할 수 있다.
과거에, 고체상태의 극편들을 사용하고, 막 기술된 바와 같이 모든 극편들과 현들(14 내지 19) 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이것은 비록 그러한 개별적인 조정이 종종 제공되었다손 치더라도 자계가 각 극편의 개별조정을 하기에 충분히 강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고안으로서, 각 극편에 의해 발생된 자계가 너무 강하여 어느 극편들과 어느 현들(14 내지 19) 간지 간격을 약간 조정하므로서 충분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는 극편들(71 내지 76), (91 내지 96과 101 내지 106)이 각 조정나사(80)와 현들(14 내지 19)간의 간격의 개별조정을 허용하도록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되는 것이다.
결론으로, 픽업조립체들(20E 및 20F)은 픽업조립체(20A 내지 20D)와 일반적으로 동일하며, 자석들(81, 99 및 109)의 자기방위와 위치내의 변동이 약간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약간의 변동은 픽업들(20E 및 20F)의 출력들이 종래의 픽업들로서 당면했던 출력들보다 훨씬 더 좋으며 하모닉에서 풍부하고 현저히 개량된 결과를 산출한다.
비록 본 고안은 양호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수정 및 개량이 가능하다는 것을 숙련된 자는 이해할 것이다. 예를들면, 비록 자석들(81, 99 및 109)의 자화의 양호한 방향이 그의 더 좁은 면적들을 가로질러 있다고 언급했지만, 이에 대한 중요한 이유는 픽업들(20E와 20F)의 깊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은 기타(10)의 몸체(11) 내에 요홈의 깊이를 최소화한다. 그러므로, 명백한 것은 자화의 양호한 이 방향은 픽업들(20E와 20F)의 동작에 대해 임계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특정한 도해 실시예들에 의해제한될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현들(14 내지 19)의 단일 평면상에 놓여지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자화되지 않은 금속극편들(71 내지 76)이 상기 현들과 함께 동작적으로 연관되도록 하며, 상기 금속극편의 제1단부가 상기 현의 상기 평면에 근접되도록 하고, 상기 금속극편의 제2단부가 상기 현의 상기 평면으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상태로 되도록 하며, 코일(78)이 상기 금속 극편둘레로 감기도록 구비한 전기 현악기용 픽업 조립체에 있어서, 막대자석(81)의 북극인 제1표면(83)과 남극인 제2표면(84)중의 하나와 상기 극편의 제2단부가 서로 표면 접촉상태로 이루도록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조립체.
KR2019840001812U 1979-06-20 1984-03-05 현악기용 전자석(電磁石) 픽업 KR8400006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1812U KR840000693Y1 (ko) 1979-06-20 1984-03-05 현악기용 전자석(電磁石) 픽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50,438 US4220069A (en) 1979-06-20 1979-06-20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0438 1979-06-20
KR1019800002128 1980-05-29
KR2019840001812U KR840000693Y1 (ko) 1979-06-20 1984-03-05 현악기용 전자석(電磁石) 픽업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128 Division 1979-06-20 1980-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693Y1 true KR840000693Y1 (ko) 1984-04-25

Family

ID=2734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1812U KR840000693Y1 (ko) 1979-06-20 1984-03-05 현악기용 전자석(電磁石) 픽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6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0069A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133243A (en) Electric pickup
US4442749A (en) Electrical pickup for a stringed instrument having ferromagnetic strings
US7227076B2 (en) Advanced magnetic circuit to improve both the solenoidal and magnetic functions of string instrument pickups with co-linear coil assemblies
US2911871A (en) Magnetic pick-up device
US4581974A (en) Humbucking pick-up assembly including an unmagnetized, disassociated coil
US5399802A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372186A (en) Humbucking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525750A (en) Humbucking pickup for electric guitar
US3657461A (en) Single pickup frequency control for stringed instrument
US4026178A (en) 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4524667A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ferromagnetic strings and method
US4501185A (en) Transducer for stringer musical instrument
US4069732A (en) Electric guitar
US3715446A (en) 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389731A (en) Electromagnetic musical pickup using main and auxiliary permanent magnets
US5408043A (en) Electromagnetic musical pickups with central permanent magnets
US5290968A (en) Magnet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EP2633515B1 (en) Low impedance dual coil bifilar magnetic pickup
EP2633516B1 (en) Variable resonant bifilar single coil magnetic pickup
US2683388A (en) Pickup device for stringed instruments
US8969701B1 (en) Musical instrument pickup with field modifier
US20100101399A1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834999A (en) Transducer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5464948A (en) Sensor assembly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4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