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646B1 - 섬유질 맷트의 열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섬유질 맷트의 열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646B1
KR840000646B1 KR7801739A KR780001739A KR840000646B1 KR 840000646 B1 KR840000646 B1 KR 840000646B1 KR 7801739 A KR7801739 A KR 7801739A KR 780001739 A KR780001739 A KR 780001739A KR 840000646 B1 KR840000646 B1 KR 840000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conveyor
high pressure
gas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빠띠게이-르 짱아
부케 엠·스랑소와
Original Assignee
조오지 오스틴
쎙-꼬벵 앵드스뜨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오지 오스틴, 쎙-꼬벵 앵드스뜨르 filed Critical 조오지 오스틴
Priority to KR780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using liquids, gas or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섬유질 맷트의 열처리 장치
제1a도 및 제1b도는 양방(兩方)을 하나로 하여 열처리 즉 경화하기 위한 제 1시스템으로 되는 열풍순환 박스의 연속된 여섯쌍과, 더우기 국부적인 고압매니폴드의 두쌍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한쌍이 제1의 저압순환 박스의 최후의 두개의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2시스템과를 구체화하고 있는 맷트경과로(硬化爐)의 직사각형 방향의 횡단면도.
제1c도는 제1b도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도이나, 두쌍의 고압 즉 제 2순환 박스가 저압순환 박스의 쌍중의 한쌍내에 둘러쌓여 있는 또 다른 실시상태를 표시한 도.
제2도는 제1a도의 절단선 2-2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의 열풍순환 박스의 쌍중의 한쌍을 통하여 정취한 확대 횡단면도.
제3도는 제1도 즉, 고압 매니폴드의 한쌍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2도의 직사각형 방향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제1b 도의 절단선 4-4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절단하였고 제 2의 고압순환 박스의 한쌍을 통하는 횡단면을 표시한 제 2도, 제 3도와 동일한 도.
제5도는 고압공기 순환 시스템의 변경상태를 표시한 제4도보다 작은 부분도.
본 발명은 섬유질 맷트의 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섬유질 절연맷트 특히 유리 또는 유사한 광물질 섬유로 제조된 맷트를 제조할시, 투공된 작용 콘베이어상에 섬유를 퇴적하여 사용의 섬유를 퇴적하는 콘베이어의 플라이트(flight)밑에 설치된 흡입 박스의 보조로 맷트를 최초로 형성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또한 콘베이어상에서 맷트를 제조하기 전이나 또는 그 작업공정중에 이 섬유상에 섬유 결합제를 퇴적시키는 것도 통상적이었으며 이와같은 결합제는 접착성을 가지며 이를테면 용액으로서 또는 물과 같은 증발성액체 중에 현탁한 것으로서 이섬유상에 분산된 페놀포름알데하이드 수지와 같은 열 경화성 수지와 같이 열에 의해 경화되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 콘베이어 상의 섬유의 비교적 루우즈(loose)한 섬유층 즉, 블라켓트는 후에 통상적으로 맷트경화로하고 일컫는 로에 이송되어 이로를 통하여 이 맷트는 상호에 간격을 둔 관계를 갖게 하여 대항하고 있으며, 형성하는 맷트의 두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인접한 플라이트를 갖는 한쌍의 무단 콘 베이어를 포함하여 종종 구성되어 있는 투공되 부속의 콘베이어 수단에 의하여 이용된다. 이화 같은 맷트는 맷트경화로내의 이쌍의 콘에이어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압축의 정도에 따라서 크거나 작은 밀집한 것으로 된다.
맷트가로를 통과하는 동안에 그것이 열처리를 받아 섬유 결합제의 경화가 행하여져서 이것에 의하여 맷트가 소망하는 두께로 안정된다.
결합제의 경화를 실시하는 목적으로 여러가지 방법에 사용되었으나,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맷트를 통하여 가설공기를 통과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이런한 목적을 휘하여 순환 박스 또느 매니폴드(manifold)를 경화로를 통하는 맷트의 공급 통로의 대향하는 측에 쌍으로서 배열하여 설치하는 것이며, 이로에서는 로를 통하는 통로의 다른 대역에서 가하여지는 경화 온도를 조절하도록 일련의 쌍을 통하여 접속적으로 다른 오도조전을 확립하는 데에 제공되었다. 몇 개의 이와 같은 쌍의 순환박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현재까지 계획된 일반적인 방법으로 초의 가열시스템에 의하여 결합제의 경화를 행하는 가열을 위하여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히 본 발명은 맷트의 통로의 대향하는 측면에 비교적 좁은 국부적인 대역에서 조작하는 비교적 소형의 한쌍이상의 매니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의 독립된 가열시스템을 사용하여 그쌍의 매니폴드가 상기 국부적인 대역을 포위하는 대역내에서 중심부가 도달하는 것보다 더욱 높은 온도에서 맷트의 중심부의 온도를 높이는데 충분한 높은 온도와 압력을 갖는 가열가스를 맷트를 통하여 통과시키는 역할을 행하는것을 시도하였다. 더우기, 이 제 2결합제 경화시스템의 가열가스는 맷트의 포층이 최초의 가열시스템에 의하여 이미 경화 및 안정화되어 있는 것과 같은 공급통로의 중앙부가 하류부분에 위치하는 국부 대역에 있어서 맷트를 통과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 맷트의 포층을 최초로 안정화하여 두는 것은 맷트의 섬유를 분산되지 않게 하고 제2가열시스템으로 비교적 높은 압력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거하여 광법위하고 여러가지의 맷트 또는 섬유질 블라킷트의 경화처리에 적합하지만 특히 본 발명은 비교적 조밀한 맷트의 경우, 결합제의 경화처리에 좋다. 이러한 이유는 본 발명의 제2가열 시스템에 사용하는 압력과 온도의 조건이 매우 조밀하고 또 두꺼운 섬유 제품이라 할지라도 그 내부에 열을 빨리 침투하는 것을 촉진하기 때문이며, 또한 제2의 높은 압력공기가 맷트의 포층이 안정된 후에 적용되기 때문에 이와같이 빠른 침투가 섬유를 분산되지 않게 하고 달성되기 때문이다.
이 가열경화시스템이 로를 통하는 통로에 따라 계속적으로 배치되여 쌍으로 된 열풍순환매니폴드 또는 동박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전형적인 설비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2의 가열경화시스템으로서 제1의 시스템인 박스 쌍 가운데의 한쌍의 대역내에 위치되는 비교적 좁은 국부역을 갖는 열풍순환매니폴드의 적어도 부수의 한쌍을 도입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이 설비에 있어서 이 국부 대역내에서 작용하는 제 2의 시스템 열풍이 제1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열풍의 그것보다 더 높은 압력을 갖는 것을 시도하였다. 이 배치에 사용되는 경우 제1의 열풍순환 시스템은 결합제의 경화처리에 필요한 열을 주는 역할을 다할뿌만 아니라 더우기 보다 높은 압력으로 작용하는 제 2의 시스템에서 누출되는 열풍이 외기로 바져나가는것, 즉 손실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도 이용된다.
이 제1과 제2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과 또 제2의 시스템내에서 보다 높은 압력을 사용하는 것으로 제2의 매니폴드의 국부대역에서 경화되는 맷트의 내부에 열이 빨리 침투하는 것이 맷트의 내부 즉, 중심부에 결합제의 경화온도의 도달하는 것을 추진하는데 매우 효과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제의 수지의 발열반응을 시작하는데 충분한 톨은 결합제 경화온도에 빨리 도달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발열반응온도에 도달하는 것은 강화로의 연결되는(대역이 같은 높이의 온도로 유지되어 있지않는 경우에도 결합제의 경화처리가 계속되는 결과로 된다. 따라서 경화작업전체에서 국부적인 하류 경화역에서 제 2의 높은 압력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경화처리를 완성하는 데에 소비되는 전연료의 총제적 경제성에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제1시스템 순환 상자의 국부 대역에 제2시스템의 높은 압력의 매니폴드를 도입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성비로 이 설비가 단락이나 누출을 최소한으로 방지하며 또 맷트를 경화로를 통하여 운반하는 역활을 하는 콘베이어상 수비 또는 다른 퇴적물이 쌓여 있는 경우에 약간의 보호요소가 파괴되는 일없이 자동적으로 거기에 따르는 것 같은 것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것 및 그 외의 목적이나 잇점에 어떻게 하여 달성되는 것인가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아래의 기술로부터 충분히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참조 숫자 6은 콘베이어 설비와 열풍순환 시스템이 배치된 맷트의 경화로의 전체의 밀폐구조를 표시한다.
제1a도와 제1b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로의 하부에 회전하는 지지부재 또는 롤러 7-7은 하측의 두단 콘베이어를 장착하는데 제공되며 그 상하의 주행부 즉 폴라이트는 제 1a도와 제1b 도에 단순히 1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콘베이어 폴라이어 폴라이트는 제 2,3,4 도의 8a과 8b로서 보다 크게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다. 제1a도와 제1b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지지물 즉 롤러 9-9는 제 1a도와 제1b 도에 단순히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상방의 콘베이어에 대하여 마련되어 있으나 그 위와 아래의 플라이트는 제 2,3,4 도에 10 a 과 10 b 로 크게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다. 각콘 베이어는 회전가능하게 상호 연결되여서 13에서 표시하는 궤도에 타기에 적합한 롤러 12를 달고 있는 다수의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맙크는 11 에서 표시하는 횡방향의 리프를 달고 있다. 이 형식의 콘베이어는 취부롤러에 의하여 구동된다.
롤러 9 및 상측 콘에이어용의 궤도 13은 한측의 콘베이어에 대한 상측의 콘베이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호에 연결된 종방향과 횡방향의 부재에서 만들어진 프레임 구조 14상에 취부된다. 이 조절은 15에서 표시하는 스크루우 쟉크(screw jacks)에 의하여 이 기법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행하여져 또 그자체는 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상측의 콘베이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섬유질 맷트의 방향에 면한 이여지는 콘베이어 라이트 8a와 10a 와의 사이에 극간은 만들어지는 제품의 소요되는 밀도 두께를 확립하기 위하여 변경할 수 가 있다.
로의 상측 즉 입구단에 선도로서 16으로 표시한 콘베이어가 마련되어 있고 여기에 도시하고 있는 콘베이어는 맷트 즉 블라킷트를 형성하는 데에 섬유를 집속할 시에 보통 사용되는 것처럼 투공된 콘베이어를 표시하고 있다.
17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 박스는 섬유의 집속을 도우며 또 콘베이어 상에서 그것들을 정규의 위치로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흡입 팬(Suction fans) 17 a 는 이 흡입박스에 연결된다. 섬유질 블라키트 및 맷트의 두께를 졸절하기 때문에 가급적 조절될 수 있는 사이징 롤저 R1-R2로 이송되어 롤 R1-R2에서 롤 부분적으로 사이즈 된 맷트가 이송되어진 후 맷트는 경화로내의 콘베이어 플라이트 사이에 들어간다. 로의 내부의 제 1의 즉, 저압공기 순환 박스가 쌍으로 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1a도와 제1 b는 도시하는 실시상태에서는 6쌍이 이와같은 공기의 박스가 보이고, 이들 쌍의 대역을 일반적으로 기호 A, B, C, D, E, F 로 표시한다. 이들 쌍의 상자는 각각 보통 구형의 박스형의 구조 18과 19를 갖고 이들은 콘베이어 플라이트 8a 또는 10a 쪽으로 향한 측을 제하고 모든 측이 닫쳐져 있다. 각 박스 18은 콘베이어 위의 플라이트 8a 의 하방은 고정구조물에 붙이게 된다. 각 박스19 는 그위치가 조절될 때 상측의 콘베이어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측 콘베이어용의 수직으로 조절되는 프레임 14에 부착하게 된다. 각 박스는 또 처리용 가스의 각 공급닥트 즉, 토출닥트와 연통하는 개구를 마련하고 있어 이 개구는 20예 표시되어 있다. 공급구 즉, 입구와 토출구 즉, 배출구는 각기 정보의 기호 "-""+" 또는 "-"를 달고 있다. 최초의 상의 박스 A내에서는 공급구 20를 포를 통하여 제품이 보내지는 방향에 대하여 이 박스와 상류단예 하부박스 18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쌍의 상부 박스 18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쌍의 상부박스 19 중에서 배출되는 하류단 부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것에 주의해야만 한다. 같은 모양의 버턴이 6에서 표시하는 제 2쌍의 박스 내에서도 반복된다.
C 로 표시하는 제3의 쌍의 박스에서는, 공급구는 상부 박스 19내에서 상류단에 그리고 배출구는 그쌍의 하부박스에서 하류단에 있다. 제4의 쌍의 박스의 D로 표시하는 대역에서는 공급구와 배출구의 패턴은 A 와 B 의 쌍의 경우와 동일하다.
E 의 쌍의 상자에서는 공급구와 배출구의 배치는 C 대역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F의 쌍에서는 그 배치가 박스 D 의경우와 동일하다. 이들 관계는 경화처리의 행하여지는 방법을 바꾸기 위하여 변경될 수 있는 것을 알수 있다. 또 이 기술에 있어서 공지된 바와 같이 상이한 형태의 두께 및/ 또는 밀도의 제품에 관하여는 상이한 흐름의 조건을 사용할 수가 있다. 더우기 만들어지는 제품의 성질에 응하여 순환박스 및 처리대역의 수를 많게 하거나 적게 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어떤 방시를 통하는 가스류는 필요에 따라 정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고압공기 순화시스템의 구조와 운전을 고찰하기 전에 로 6의 완전 포위체가 닥트 21과 배출환 22를 포함하는 가스배출 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이 환은 로의 내부에서 분리한 가스를 그중에 부유하는 고체를 분리하기 위한 적당한 집진기를 통하여 내여보내고 있는 것에 주의해야만 한다. 로벽 6은 가열가스 순환박스와 매니 폴드와를 포함하는 로의 내부 구성물을 둘러싸는 후우드(hood)를 포함하여 실제로 구성되어 있고, 발생하는 가스누출은 상술한 배출 시스템에 의하여 로의 포위체로부터 회수된다.
제2도는 대역 C의 저압박스를 통하여 절단한 횡단면을 확대측적으로 표시함이 도면에서 가스공급관로 24가 상측의 즉 공급박스 19에 적속하여 배출 닥트 25가 하측의 배출순 환상 18에 접속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날개 (Vanes) 19 a 는 들어오는 가스를 콘베이어의 폭에 이렇게 처리되는 맷트의 폭에 분배하는 역활을 한다. 집속관 25를 통하여 배출된 가스는 버어너 27에 달려 있는 히터 26으로 보내져 이 가스는 환 28에 의하여 히티로부터 당겨져 공급 닥트 24에 보내진다. 이 가스가 열 및 순환 시스템은 저압 상자의 쌍 가운데 한쌍이 상에 대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또는 필요에 따라 개개의 순환시스템도 사용할 수가 있다. 상측의 콘베이어와 그것과 함께 설치되는 부분의 수직의 움직이에 적합시키기 위하여 로벽의 특히 큰 개구 29를 통하여 연장되는 공급 닥트 24와 가용성 밀폐 벨루우(Closure bellow) 30을 공급 닥트와 오븐의 벽사이에 실제상 봉합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더우기 닥트 24는 수직의 움직임에 적합시키도록 슬립조인트( slip joint)갖추고 있다.
고압 가스 순환시스템을 고찰함에 있어 우선 회로로 그 콘베이어 구조의 모종의 특징이 주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콘베이어는 무단 루우프로 되도록 상호디폿트 연결되어 이와같은 하나의 루우프가 각 콘베이어에 설치되어 잇는 "링"로서 되어 잇다. 개개의 링(예를들면 제2도 및 제3도 참조)는 콘베이어 의 폭을 횡단하여 연장하고,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거기에 달려 있는 롤러 12를 갖추고 있고, 또 각링은 (제 2도에 확실히 보이는 바와 같이 ) 콘 베이어의 폭에 걸쳐서 여기저기에 구공되어 있고, 저압공급상 박스 또는 고압 공급 매니폴드에서 콘베이어로 운반되는 맷트를 통하여 거기에도 또하나의 콘베이어의 링에 있는 구멍과 통로를 거쳐 배출함 또는 매니폴드로 가는 가스의 흐름 때문에 링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횡단용 통로를 형성하는 돌출 리프 즉 플렌지 32를 갖추고 있는 대판 31를 갖고 있다.
제1a도와 제1b 도의 실시상태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고압매니폴드시스템 HP 1 은 저압박수 E 의 쌍과 함께 되여 있고, 이 고압시스템과 저압삭스 E의 쌍과는 제3도에 확대한 긴쪽 방향의 단면이며, 또 제4도는 확대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제1b도와 제3도에서 고압매니폴드시스템은 본래 저압박스보다 적어서 고압매니 폴드시스템이 저압 박스내에 놓여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압공급 매니폴드는 33에 표시되여 있고, 제3도와 제4도를 대로 하여 이 매니폴드는 프랑이트 10a 의 위에서 콘베이어의, 또 처리는 맷트의폭 가득히 채워, 그러나 맷트의 보내지는 통로의 상류와 하류 방향으로 비교적 좁은 치수의 폭으로 넓혀지고 있는 것에 주의해야만 한다. 공급닥트 34는 고압공급 매니폴드에 연결되어 있고, 이 닥트는 로벽의 특히 큰 개구부를 통하고 이 개구부는 가요성 밸로우시일(flexible bellow seal)36 으로 닫쳐져있다. 닥트 34는 수직의 움직임에 적합한 슬립조인트 34a를 갖추고 있다. 고압공급 매니폴드의 내부에는 날개 37이 고압가스를 콘베이어의 폭을 덮고 확실히 분배되도록 설치되여 있다. 고압배출 매니폴드 38은 하측 콘베이어의 프라이트 8a의 아래에 설치되여 있고, 이 매니폴드는 고압가스를 그것이 처리되는 맷트를 통과한 후 배출하기 때문에 닥트 39에 연결되여 있다. 닥트 39는 끌어드린 가스를 버어너 41을 갖는 히터 40에 보내여 거기에서 가스는 그것을 공급닥트 34에 재순환하는 팬(fan) 42에 의하여 흡인된다.
저압시스템의 경우와 같이 고압닥트와 히터 40과 팬 42와를 포함하는 순환시스템은 고압시스템의 한 이상에 사용할 수가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개개의 히터나 팬을 상이한 고압시스템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분배날개 37은 공급매니폴드 33내에 설치는 되여 있으나, 이들은 배출 매니폴드 38내에 필요치 않고, 가급적이면 거기에는 없는 편이 좋다.
제5도는 순환시스템내의 고압가스를 가열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히터의 또하나의 형식을 표시한다. 이 겨우는 43에서 개략적으로 표시한 열전달 장치가 매니폴드 39내에 팬 또는 블로워(blower) 42를 통하는 가스의 통로의 전방에 도입된다. 제 5도는 또 고압공급 및 배출 매티폴드 33.38의 또 하나의 배치도 표시하고 있고, 이 도면에서는 공급매니폴드 33은 처리하는 맷트의 아래에 놓여져, 배출 매니폴드 38은 맷트의 위에 놓여 있다.
고압시스템에서는 빅적 고압의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스 누출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때문에 특별한 시일(seal)장치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장치의 예를 제3도에 표시하였다. 도면에서 상측의 공급매니폴드 33의 양측에 지지 구조 44가 설치되여 그것이 매니폴드 33의 양측에 한개씩 놓여 있는 한쌍의 벽부재 45를 장치하는 역활을 하고 있는 것을 볼수 있다. 이들 벽부재의 각각의 46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피폿트로 고정시켜서 그것이 콘베이어 플라이트 10a의 상면에서 휘둘여진다. 즉 상방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푯트 46과 반대측의 점에서 벽부재 45는 그하방으로의 움직임을 한정하는 역활을 하고 따라서 그것이 콘베이어 플라이트 10a의 상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하는 스톱 즉 돌출부 47과 같이 작용하는 플랜지를 갖추고 있다. 이들 벽부재 45의 각각은 콘베이어의 전폭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흠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이들 벽부재가 평탄한 하면을 갖고 또 그들은 콘베이어 프랑이트 10 a 의 상면에 근접하여 장치하고, 그 때문에 고압 매니폴 시스템에 사용되는 고압가스의 어떤 기방향의 흐름 즉 누출을 방지하는 시일 작용을 갖도록 짜여져 있다. 각 벽부재 45가 보통의 운전 위치에 있는 전형적인 설비에서는 벽부재는 플라이트 10a 의 상면에서 수 mm 의 오더(order)예를 들면 약 3 내지 5mm의 간격을 둔다.
이들 이동식 시일용 벽부재는 그 시일 부재가 만일 그것들이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가능한 위치에서 다시 콘베이어에 접근하여 통상위치를 점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콘베이어에서 떨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은 이와 같은 장치를 운전하는 경우 누누히 발생하기 쉬운 수지또는 섬욱의 이상 퇴적이 콘베이어 상에 누적하는 경우에 일어나기 쉽다. 벽부재 45가 덩어리 또는 퇴적물에 마주쳤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이동됨으로 이 벽부재가 정규 원전을 위하여 콘베이어의 표면에 매우 접근하여 장치되어 있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이동됨으로 이벽부재가 정규 원전을 위하여 콘베이어의 표면에 매우 접근하여 장치되어 있는 경우일지라도 이 장치에 손상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콘베이어 상에 위치를 점하는 벽부재 45는 수지라던가 섬유질 재료의 퇴적물에 의하여 이동된후, 콘베이어에 매우 접근한 위치로 돌아오도록 중력의 작용으로 자동적으로 움직인다. 흠형의 벽부재 45의 각각의 평탄한 저면의 폭은, 콘베이어내의 움직이는 통로내에서 벽부재에 대한 콘베이어의 리프의 상대적 위치에 관계없이 필요한 시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콘베이어 리프를 통항는 인접한 통로에 적어도 임의의 두개와같은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인 이동식 벽부재 45가 하측의 콘베이어의 플라이트 8 a과 마추어져 있고, 그 벽부재는 콘베이어 플라이트 8a 의 하면에서 상명으로 이동될수 있도록 배치되어, 용수철 49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려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인 피폿트와 한정스톱이 하부부재 48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 콘베이어 플라이트가 고압시스템을 통과하는 경우에 마주치는 장애물의 작용으로 이 하부 부재가 하부로 이동될수 있음으로, 중력대신 용수철이 벽부재 48을 정규운전 위치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벽부재 45, 45, 48, 48 의 각각은 콘베이어가 운반하는 이 물의 영향에 의한 이동 동작을 용이케 하기 위하여, 벽부재의 상류에 50에서 표시한 바와 같은 경사면을 갖추고 있다.
제1b도, 제3,4도에서 고압매니폴드시스템 1에 있어서, 공급매니폴드 33이 콘베이어의 상방이고 또 저압가스공급 접속과 연결되어 있는 저압순환 박스내에 위치하고 있고, 이 고압시스템의 배출매니폴드는 이 저압시스템의 배출상자내에 위치하고 있는것에 주의해야만 한다. 제1b도를 참조하면 저압대역하에서도 고압시스템 HP가 2대 B에 표시한 배치와 역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리하여 제1b도에서 고압을 공급매니폴드 33은 맷트의 아래에서 저압공급박스안에 위치하여, 고압배출 매니폴드 33은 맷트의 상방에서 저압배출박스의 안에 위치한다.
제10도의 또 하나의 배관에서는 두 개의 고압순환 시스템이 저압박스의 단 하나의 쌍 가운데에 장치되어 있는 곳을 표시한다. 이리하여 고압공급 매니폴드 33a, 33b는 제3도에 관련하여 상술한 시일 부재와 같은 중간에 들어서 이동가능의 시일용 벽부재와 줄지은 관계를 가지고 배치되어 잇고, 함께 작용하는 고압배출 매니폴드 38 a, 38 b 와는 제 3도에 관하여 상술한 형식의 두 개의 고압배출 매니폴드의 사이에 놓여있는 이동식 벽부재와 함께 맷트 아래의 저압 배출박스 내에 장치된다. 외측의 이동식 벽부재도 또 이제는 잘 납득되는 방법으로 제1c도의 매니폴드시스템과 협동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루워지는 고압공기 순환시스템 A에서 F의 치리대의 어느 것이라도 공동으로 사용할수 있다고는 하나 이같은 고압순환 시스템을 공급통로의 대체중앙대역의 하류에서 사용되고 또 가급적이면 로의 입구단에서 공급통로의 거리의 적어도 2/3의 곳에 저압순환박스와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제1a 도와 제1b도에 두개의 고압순환시스템이 일반적으로 HP 1와 HP 2로 표시되는 제시의 일 실시상태에서 이것들은 각기 1a도와 제1b도의 실시상테에 있어서 최후의 두개인 저압대 F 내에 배치되어 있다.
두개의 고압시스템이 단일쌍의 저압박스 내에 끼워지는 경우는, 두개의 고압공급 매니 폴드를 맷트의 같은 쪽에 그리고 가급적 저압공급박스 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 방법이 열손실을 결과로서 수반하는 누출문제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운전조건은 제조되는 맷트의 두께와 밀도, 사용되는 결합제의 조성이나 특성 및 또 결합제의 사용량을 포함하는 많은 인자에 의하여 변경되는 거이다.
그러나 운전조건에 관하여 약간의 일반적인 지침을 이하에 제공한다. 최초에 대역 A 내지 F 내에 포함되는 순환박스 18,19에 의하여 설치되는 저압순환이 가스가 맷트를 통하여 상방으로 가는 약간의 대역을 포함토록 시도한다. 순환박스 18,19를 통하여 순환하는 가스가 다수의 처리 대역을 갖는 맷트경화로의 운전에 있어서 공지인 것처럼 맷트를 사용한 결합제의 특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이한 온도로 되도록 시도한다. 순환박스 18,19 에 공급하는 가스의 적당한 온도범위는, 페놀포름알데히드 결합제와 같은 보통 타일의 섬유결합제를 사용하는 경우 약 150℃에서 약 300℃이다. 설정된 압력조건도 또 변하고, 이것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측정된다. 공급상 내의 압력이나 배출박스내의 압력은 물론 맷트를 통하는 가스의 통과에 수반하는 압력저하 때문에 변화한다. 전형적인 운전조건에서는 저압시스템의 공급상내의 압력 수주 약 5 내지 50mm 의 오더일 것이다.
고압순환시스템에 대하여는 예를들면 하나의 고압시스템 HP 1 이 저압대 E 내에 놓여져 다른 고압시스템 HP 2 가 저압대 F 내에 놓여지 잇는 제 1 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형태에서는 한개 이상의 이와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여 이들 고압시스템 중의 하나가 처리용가스를 어느 방향에 맷트를 통하고 또 하나의 고압시스템이 반대방향으로 맷트를 통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시도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b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아, 고압시스템 HP 1 은 가스를 하방으로 그리고 고압시스템 HP 2는 가스를 화살표로 표시하는 것처럼 상방에 보낸다. 이것은 맷트의 두께 전체에 걸쳐서 처리의 실제상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데에 작용한다.
고압시스템에 사용하는 압력과 온도에 대하여 고압시스템의 온도가 저압시스템의 온도보다 높지 않고 또는 낮은 경우일지라도 저압과 고압의 시스템을 갖는 경화로 안에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약간의 이익을 얻을수 있는 것이 더우기 지적된다. 이 이유는 고압은 저압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맷트내부로 열의 보다 빠른 효과적인 침투가 일어난기 때문이다.
고압시스템은 상당한 범위에 걸쳐 사용되나 일반으로는 적어도 저압시스템의 압력의 수배, 될 수 있으면 적어도 10 내지 20배로 할 것이다. 예컨대 고압시스템의 공급매니지폴드 내의 압력은 수주 약 300내지 600mm 이상이 되어도 무방하다.
저압시스템 내의 공기 온도가 약 150℃ 내지 약 300℃와 같은 전형적인 경우에, 고압시스템의 온도는 될수 있는 한 약 200℃ 내지 약 3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설비에서는 저압순환시스템에 사용되는 가스의전량은 약 30,000 Nm3/h의 양의 가열가스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전형적인 경우, 고압시스템은 약 5,000 Nm3/h의 양의 가열 가스를 사용할 게 될 것이다.
고압가스는 저압가스에 비하여 국부적인 비교적 좁은 역에 집중하여 있고 이 국부역은 전형적인 경우에 서는 저압박스에 의하여 설치되는 처리대역의 약 10%를 구성할 정도이다.
온도와 압력은 또 형성되는 맷트의 진행속도에 의하여 또 맷트 경화로 내의 처리 대역의 수에 의하여 변화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압과 저압의 공기 순환시스템의 양방을 사용하는 것은 소정의 결합제의 경화 효과에 대하여 그것이 보다 적은 처리대로, 또 본질상 보다 짧은 전체길이의 경화로에서 달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포함한 약간의 관점에서 특히 효과적이다. 이것은 고압 시스템이 맷트의 내부를 단시간으로 갱화 온도까지 상승시키느데 에 특히 효과가 있다는 사실에 의한 것이다. 또 고압 시스템이 결합제의 온도를 맷트의 중심부에 놓기만 하면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수준에 속히 상승시켜 그 온도는 거기에서 고온 매니폴드의 국부역을 넘은 곳에서조차 보다 용이하게 유지된다는 사실은 유리한 것이다.

Claims (1)

  1. 처리통로를 통과하여 섬유질맷트를 전진시키는 콘베이어 기구와, 상기 통로내에서 맷트의 반대측에 배설되여 처리대역을 형성하는 한쌍의 가스 순환박스와, 상기 순환박스에 각각 연결되여 상기 처리대역내에서 섬유질 맷트를 관통하는 가열가스의 통로로 되여 있는 가스공급 및 배출닥트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 경화성 섬유결합제를 수반하는 섬유질 맷트를 열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환박스내에 위치하여 상기 열처리대역 안에서 그것보다 좁은 국부적 처리대역을 형성하는 있는 한쌍의 공급 및 배출가스의 순환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순환박스의 사이에 섬유질맷트를 관통하는 가스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섬유질 맷트를 관통하는 순환가열 가스와 함께 작용하는 가열가스 순환 시스템과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상기 섬유질 맷트를 열처리하는 장치.
KR7801739A 1978-06-08 1978-06-08 섬유질 맷트의 열처리 장치 KR840000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1739A KR840000646B1 (ko) 1978-06-08 1978-06-08 섬유질 맷트의 열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1739A KR840000646B1 (ko) 1978-06-08 1978-06-08 섬유질 맷트의 열처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992A Division KR820002342B1 (ko) 1982-03-08 1982-03-08 섬유질 맷트의 열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646B1 true KR840000646B1 (ko) 1984-05-09

Family

ID=1920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1739A KR840000646B1 (ko) 1978-06-08 1978-06-08 섬유질 맷트의 열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64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3007A (en) Apparatus for heat treatment of fibrous mats
US47349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mineral fibers
US3437321A (en) Regenerative paint drying system for continuous strip
US4316865A (en) Method for heat treatment of fibrous mats
EP0181653A1 (en) Improvement relating to fluidized bed apparatus
US48317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mineral fibers
US3242527A (en) Oven for curling resin impregnated fibrous mat
IE47077B1 (en) Heat treatment of fibrous mats
JP2005503279A (ja) 石膏プラスタボードを乾燥させるための装置
US4490927A (en) Apparatus for curing fibrous mineral insulation material
US4722681A (en) Infra-red generation
CN112292489B (zh) 空气穿透干燥和粘合系统及方法
KR840000646B1 (ko) 섬유질 맷트의 열처리 장치
KR820002342B1 (ko) 섬유질 맷트의 열처리 방법
US4444558A (en) System for heating broadwise-end portions of metal material
US3976422A (en) Apparatus for reclamation of resinous moulding mixes
US5306140A (en) Infra-red generation
RU214933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катышей
SU1083925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ермообработки агрега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газовым потоком
RU2005829C1 (ru) Агрегат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волок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US5145056A (en) Air bag tensioning device
US1983801A (en) Carbonizer
US4259062A (en) Apparatus for cooling of cement clinker or the like
WO2002023111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heating gas in a gas duct in connection with continuously operated sintering
JPS5827935A (ja) ストリツプの電熱式熱処理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