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724B1 - 제직중 원형직기틀 정지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제직중 원형직기틀 정지시키는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724B1
KR830002724B1 KR1019790002906A KR790002906A KR830002724B1 KR 830002724 B1 KR830002724 B1 KR 830002724B1 KR 1019790002906 A KR1019790002906 A KR 1019790002906A KR 790002906 A KR790002906 A KR 790002906A KR 830002724 B1 KR830002724 B1 KR 830002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loom
drum
circular
weav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443A (ko
Inventor
소오이찌 도리이
Original Assignee
도리이소오이찌
가부시끼가이샤 도리이 뎃고오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리이소오이찌, 가부시끼가이샤 도리이 뎃고오쇼 filed Critical 도리이소오이찌
Priority to KR101979000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724B1/ko
Publication of KR83000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7/00Circular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직중 원형직기틀 정지시키는 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갖춘 원형직기의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에 나타낸 원형직기의 주요부분의 단면도.
제 3도는 제 1도에 나타낸 원형직기의 개구형성 장치의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포함된 제 1도에 나타낸 원형직기에 사용된 북의 측면도.
제5도는 제 4도에 나타낸 v-v선의 부분단면도로 북의 정면도.
제 6도는 제 4도에 나타낸 북에 설치되고 위사 절단을 탐지하는 제 1탐지 치의 측면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라 북에 설치되어 소모된 실꾸러미를 탐지하는 제 2탐지 장치의 정면도.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각 부재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나타내는 장치의 평면도.
제 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전기회로의 도면.
본 발명은 대직물(袋織物)을 제직하는 원형직기, 특히 원형직기의 북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사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탐지하는 장치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원형직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직중 북안의 보빈상에 형성된 실꾸러미로부터 송출되는 위사의 비정상적인 상태 때문에 원형직기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장치를 이하에서부터 제직중 원형직기를 정지시키는 장치로 부르기로한다.
원형 직기에서 북은 원형의 북길을 따라 움직이고, 북에서 송출된 위사는 북이 도달하기 전에 형성되는 개구속에 연속 삽입되고, 경사와 교직하여 대직물을 제직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의 통상의 원형직기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위사의 절단시 또는 북에 있는 보빈 상의 실꾸러미가 전부 사용되었을 때 북이 원형직기의 북길을 따라 움직여도 연속되는 개구속으로의 위사의 삽입은 중단된다. 따라서, 연속되는 개구속으로의 위사 삽입 중단은 위사가 없 는 대직물을 만들어 결과적으로 기계게 조작자가 제직 작업을 계속 감시할 필요가 있었다. 다시 말하면 상술한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원형직기에 의한 대직물 생산에 대한 합리화를 방해하고 있는데 이 합리화에는 기계 조작자의 수 및 생산비의 감소가 포함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형직기의 제직 잡억중 위사 절단이나 북안의 보빈 상의 실꾸러미가 전부 사용된 것을 감지하는 몇가지 안이 최근 실행되어 왔다. 예를들면, 오스트리아의 스타링거사(Starlinger & co.)에서 제조한 원형 직기는 북안의 보빈상의 실이 사용되는 것을 탐지하는 광전 장치가 이용되었다. 이 장치는 원형직기에 설치되어 북길을 따라 밝은 빛을 방출하는 광선 방출 장치와 위사가 소모된 보빈의 표면으로부터 반사가 가능한 광전지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예로는 포르투갈의 이. 디. 페레이리나 앤든 이마오(E.D. Ferreirinna & Irmao)에 의해 제조된 원형직기로써 이 직기는 스타링거사에서 제조한 원형직기에 사용된 장치와 유사한 광전 장치가 사용되었다. 제직중 위사 절단을 탐지하기 위해 기계적 탐지 장치가 북추진 장치위에 설치되어 위사가 연속적인 개구에 삽입되지 않는 상태를 탐지할 수 있고, 위사 절단을 탐지하면 이 탐지 장치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가 동력원에 전달되어 원형직기의 정지 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술한 장치에 대해 행해진 연구와 본 발명의 경험에 근거하여 볼때 상술한 장치들은 복잡하고, 작동 기능이 불안정하며, 신뢰성이 불확실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북안의 보빈상의 실꾸러미로 부터 송출된 위사의 비정상적인 상태로부터 야기되는 상술한 중대한 문제점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직중 탐지장치가 북안의 보빈상의 실의 소모 또는 위사절단을 탐지하였을때 원형직기를 정지시키는 실용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직기의 자동정지 장치는 북안의 보빈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사의 비정상적인 상태 또는 결점을 탐지하는 장치 및 원형직기의 구동모터에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장치, 상술한 탐지 장치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전력공급 중단 장치로 전달하는 장치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북안의 보빈상의 실꾸러미로부터 송출되는 위사의 소모 및 절단과 같은 위사의 결점을 탐지하는 장치가 북에 설치되고, 상술한 탐지 장치에서 발생한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가 일부는 북위에 장치되고 일부는 원형직기에 설치되어 원형직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전기적 장치에 상술한 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탐지 장치는 위사의 절단을 탐지하는 제 1탐지장치 및 위사의 끝부분이 북안의 보빈상에서 빠져 나가기 전에 위사의 소모를 탐지하는 제 2탐지 장치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제 1, 제 2 탐지장치는 북위에 설치된다.
위사에 대한 상술한 탐지 장치들은 상술한 문제점들이 대직물의 품질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기 전에 원형직기의 구동을 신속히 정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원형 직기에 의해 제직된 대직물의 품질 개선에 상당한 공헌을 한다. 더우기 상술한 문제들이 발생했을때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원형직기를 신속히 자동정지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원 한 사람이 조작할 수 있는 원형 직기의 수가 증가되므로 생산비에 포함된 임금이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직중 원형 직기의 자동 정지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직기의 자동 정지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제 1도부터 제 3도까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도에 나타낸 원형 직기(1)에서 개구 형성장치 및 위입 기구를 포함하는 주요부분(4)이 프레임 (9, frame)에 설치되어 있고, 개구 형성 장치 및 위입기구는 제 1동력 전달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주부분(4) 밑에 위치한 전기 모터(5)에 의하여 구동된다. 주부분(4)의 위쪽 프레임(9)에 설치된 대직물 송출장치(8)는 송출 장치(8)에 연결된 제 2동력 전달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 제 2동력 전달 장치는 구동 전달 레버(11)를 통하여 제1동력 전달 장치에 의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송출 장치(8)는 주부분(4)과 동시에 구동된다. 원하는 대진물(2)을 제직하기 위해 필요한 수의 경사(3a)는 주부분(4)의 양측면에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크릴(6,Creel)(제1도에서는 오른쪽에 배치된 하나의 크릴만 나타냈음)에 있고 경사를 공급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다수의 콘(6a,Cone)으로부터 공급되는 경사(3)는 경사 송출 장치를 통하여 주부분(4)으로 공급된다. 원형직기(1)의 주부분(4)에서 제직된 대직물(2)은 송출 장치에 의하여 위로 송출되어 화살표 방향의 권취 장치로 송출된다.
제 1도,제2도,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직기(1)의 주부분(4)는 프레임(9)의 기반(9a)에 고정된 원판형 프레임(16)의 중앙에 고정된 베어링(15, bearing)에 한쌍의 롤 베어링(l7, bearing)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수직축(14), 수직축의 하단에 고정된 홈이 있는 풀리(18), 원판형의 프레임(16)위에 위치한 축(14)에 고정된 원통형의 캠기구(19), 원통형의 캠기구(19)의 환상의 캠 (19a)에 의하여 작동되는 개구형성장치, 축(14)에 고정된 원통형의 캠기구(19) 위쪽의 지지부재(22)에 고정된 4개의 북추진 장치(23), 북(26)의 양쪽에 설치된 2쌍의 앞바퀴 및 뒷바퀴 (26a, 29b)를 유도하는 한쌍의 안내부재(25a, 25b)로 이루어진 환상의 안내장치 (25), 북(26)의 또 다른 안내 장치인 바퀴 (26c)를 유도하기 위해 추(14)위에 회전할수 있도록 지지된 수평의 원판형 안내부재(27), 대직물(2)을 유도하기 위하여 수평의 원판형 안내부재(27)의 끝에 약간의 여유를 두고 지지 아암(24c, arm)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환상의 안내부재(29), 원판평의 프레임(16)에 고정된 8개의 프레임부재(24a), 각 프레임부재(24a)에 고정된 아암(24b) 프레임부재 (24a)에 고정된 환상의 부재(24d)에 있는 다수의 사도(39), 프레임부재(24a)에 고정된 원형 단면을 갖는 환상의 부재(24f)에 부착된 다수의 경사 장력 조정 댄싱 레버(40, dancing lever)로 이루어져 있다.
제 1도,제2도,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3a)는 크릴(6)로부터 프레임(9)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안내로울러(7, guide roller)와 사도(39)를 통하여 댄싱 레버(40)의 위쪽 끝부분에 있는 급사구(40a)로 보내지고 제 3도에 자세히 나타낸 구조의 개구 형성장치에 의하여 개구가 형성된다. 북 추진기구(23)에 의하여 추진되는 북(26)은 이 개구에 삽입되어 대직물(2)을 제직하고 이 대직물(2)은 직물 안내부재(31)에 의하여 안내되어 수평의 안내부재(27)와 환상의 안내부재(29)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위쪽으로(화살표로 표시된 방향) 송출된다. 그리고 대직물(2)은 송출장치(8) (제1도 참조)를 통하여 권취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권취된다.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를 갖는 원형직기(1)에서 개구 형성장치는 원판형의 프레임(16) 주위의 플랜지(flange) 부분에 고정된 다수의 수직 안내봉(20), 각각의 안내봉(20)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 캠 종동부(從動部)의 지지부재(37), 원통형 캠기구(19)의 주위에 돌출한 캠(19a), 캠종동부의 지지부재(37)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캠(19a)의 상하에서 각각 구름 접촉하는 한쌍의 캠종동부(37a, 37b), 한쌍의 종광틀(45a, 45b)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단 환상의 안내부재(25a) 위에 설치된 종광틀 안내부재(46)(종광틀 안내부재는 하단의 고리모양의 안내부재(25b)에도 설치돼 있는데 제 3도에서는 생략됐음), 종광틀(45a, 45b)을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완전한2개구가1형성되도록 두종광틀(45a, 45b)을 연결하는 벨트(47a, 47b), 원판형의 프레임(16) 주위에 설치된 벨트모양의 안내부재(34b)로 이루어진다.
캠종동부(37a, 37b)가 부착된 지지부재(37)는 핀(37c)에 의하여 벨트(47b)와 연결되기 때문에 지지부(37)의 수직운동에 의하여 종광틀(45a)은 수직운동을 하게 된다. 이 수직 운동은 벨트(47a, 47b)를 통하여 다른 종광틀(45b)에 전달된다. 따라서 종광틀(45a)의 수직운동에 반대되는 수직운동이 종광틀(45b)에 주어진다. 같은 수의 종광철사(48)가 종광틀(45a, 45b)에 고정되고, 종광철사(48)와 같은 수의 수직봉(50)이 환상의 안내장치(25)의 상하 안내부재(25a, 25b)면 사이의 공간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돌출한 캠(19a)표면의 형태는 경사(3)가 각각의 종광철사(48) 사이의 구멍을 통과할때 완전한 개구가 형성되도록 종광틀(45a, 45b)에 대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원통형의 캠기구(19)의 회전에 의하여 평직구조의 개구 형성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종광틀(45a, 45b) 다수의 쌍이 원통형캠기구(19)의 주위에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이 종광틀(45a, 45b) 쌍들은 원통형 캠기구(19)의 회전에 따라 같은 모양의 연속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어, 다수의 북(26)이 지지부재(22)에 있는 각각의 북추진 장치(23)에 의해서 추진되고 동시에 각각의 개구가 형성되면 평직구조의 대직물(2)이 제직된다.
상술한 원형직기에 적용된 원형 직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본 발명장치의 구조 및 기능, 효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북(26)은 각각의 북추진 기구에 의하여 추진되어 환상의 안내부재(25)에 의하여 정의된 원형의 통로를 따라 움직인다. 북(26)이 원형의 통로를 따라 움직일때, 북(26)의 바퀴(26a, 26b)는 대응하는 환상의 안내부재(25a, 25b)위를 구르고 북(26)의 바퀴(26c)는 수평의 원판 안내부재(27) 위를 구른다.
각각의 북(26)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후 하나의 북(26)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4도와 제 5도를 참조하면 북(26)은 슈우(60. shoe)로부터 위로 돌출한 한쌍의 브래킷(61a, 61b : bracket)을 갖고 있는 프레임슈우(60), 프레임슈우의 양쪽에 길이 방향으로 슈우(60)와 일정한 거리를 가지고 있는 한쌍의 안내철사(60a), 추축핀(62)에 의해 프레임슈우(66)의 상단 끝부분에 부착된 레버(64), 추축핀(63)에 의하여 브래킷(61b)의 상단 끝부분에 부착되어 추축핀(66)에 의하여 레버(64)와 연결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버(65)로 이루어진다. 북(26)에 의해 보빈(70)에 형성된 실꾸러미(7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브래킷(61a, 61b)에 설치된 한쌍의 물림부재 (72), 물림부재(72)의 하나는 브래킷(61b)에 들어가며 브래킷(61b)과 물림부재(72) 사이에 배치된 나선형의 팽창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장치에 의하여 항상브래킷(61a)쪽으로 힘을 받는다. 바퀴(26c)는 레버(64c)의 끝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북(26)에서 사도(65a)가 레버(65)에 형성되고, 제 6도를 참조하면 제 1탐지 장치(68)의 본체(68a)는 핀(67)에 의하여 레버(65)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 되어 있다. 탐지장치(68)는 본체(68a)로부터 위로 돌출한 사도(68b)를 가지고 있다. 탐지장치(68)는 핀(67)에 설치된 나선형의 스프링(68c)에 의하여 제6도에서 항상 화살표 z방향으로 회전력을 받는다. 반면에, 레버(65)는 제 1탐지장치(68)의 요소인 정지장치(68d) 가지고 있는데 이 정지장치(68d)의 정지핀(68e)은 본체(68a)가 화살표 z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을 제한 하는 위치에서 레버(65)에 고정되어 있다. 정지장치(68d)의 본체는 폴리올레핀수지(Polyorefine resin)와 같은 절연제로 만들어지고, 핀(68d)는 철선으로 만들어지며, 탐지장치(68)의 본제(68a)를 포함하여 북(26)의 요소들은 전기전도성이 있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다시 제4도,제5도,제6도와 상술한 원형직기를 참조하면, 실꾸러미(71)에서 송출된 위사(3b)는 먼저 안내 철사(60a)를 통과하고 사도(65a)를 통과하여 제 1탐지장치(65)의 사도(68a)를 통과하고 안내바퀴(26c)를 거쳐서 북(26)으로부터 나온다. 정상적인 제직작업에서, 위사(3b)는 항상 제 4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송출되기 때문에 적절한 장력이 위사(3b)에 가해진다. 그 결과 제 1탐지장치(58)의 본제(68a)는 항상 제 5도에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게 되어서 제 1탐지 장치(68)의 본체(68a)는 핀(68e)과 접촉할 수 없다. 그러나 위사(3b)가 절단되면 위사(3b)의 장력이 0이 되기 때문에 제 1탐지 장치(68)의 본체(68a)는 핀(68e)쪽으로 회전하여 핀(68e)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 1탐지 장치(68)는 후에 설명되는 원형직기의 전기적 정지 장치 회로의 일부로 이용할 수 있는 점멸 스위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탐지장치(68)의 변형으로서 이른바 리미트스위치(limit switch)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체(68a)의 기능은 리미트 스위치의 탐지부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탐지 장치를 나타내는 제5도와 제7도를 참조하면 제 2탐지장치(80)(제 4도에 표시됨)는 브래킷(61a, 61b)들 사이의 위치에 프레임 슈우(60)으로 부터 돌출한 한쌍의 브래킷(60b, 제 4도)이 핀(82)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브러쉬 홀더(81), 브러쉬 홀더(81)에 붙어 핀(82)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보조아암(83), 브러쉬 홀더(81)의 한쪽 끝에 붙은 다수의 브러쉬(84), 한쪽끝을 보조 아암(83)의 끝에 고정되고 프레임슈우(60)에 이동할 수 있게 고정된 장력조절장치(86)에 다른쪽 끝이 고정된 스프링(85)으로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브리쉬(84)는 전기적인 도체로 만들어지고 브러쉬홀더(81)는 프라스틱 수지와 같은 절연물질로 만들어진다. 전기적인 도체로 만들어진 브러쉬(84)는 전도성 철사(87)를 통하여 브러쉬 홀더(81)에 고정된 단자(8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구조에서 스프링(85)은 보조아암의 끝부분(83a)을 제 7도의 화살표 X방향으로 잡아 당기기 때문에 브러쉬(84)는 항상 화살표 Y방향의 실꾸러미 쪽으로 힘을 받는다. 이 장치에서 보빈(70)은 전기전도체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실꾸러미(71)의 직경이 줄어들어 보빈(70)에 감겨진 실이 소모되기 전의 상태가 되면 보빈(70)의 표면에 약간의 실이 덮여 있더라도 보빈(70)의 표면부분이 전기전도성이 있는 브러쉬(84)와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말하면 제 2탐지 장치(80)는 제 1탐지장치(68)와 마찬가지로 원형직기의 전기적 정지 장치의 전기회로의 일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점멸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제 2탐지장치(69, 80)로부터 나온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는 이후 제2도,제3도,제4도.제6도,제7도,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3도와 제 4도에 나타낸 것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과 같이 각각의 북(26)은 한쌍의 고리모양의 안내부재(25a, 25b)로 구성되는 고리모양의 안내부재(25)에 의해 정의된 원형의 통로를 따라 움직인다. 수직봉(50)은 안내장치(25)의 바깥쪽에 인접한 위치에서 고리모양의 안내장치(25)와 동심(同心)이 되도록 배열한다.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만들어진 한쌍의 슬라이더(90a,90b)는 북(26)이 위에 언급한 원형의 북길을 따라 움직일때 슬라이더(90a, 90b)가 수직봉(50)위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적절한 간격을 가지고 북에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90a, 90b)의 마찰접촉으로 수직봉(50)의 예기치 않은 마멸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더(90a, 90b)를 만들때 휠 수 있는 탄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 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봉(50)은 원형직기의 축(14)(제 2도 참조)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있는 4개의 연속적인 집단으로 나뉘고, 수직봉(50)의 각 집단에는 한쌍의 수직봉(50)이 환상의 안내장치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봉(50)의 두개의 소집단의 위치는 이 수직봉(50)의 두 소집단 사이의 거리가 슬라이더(90a, 90b) 사이의 거리와 같도록 한다. 제 8도에서 수직봉(50)의 대칭되는 각 집단에서 상술한 소집단의 수직봉(50)을 각각 50a, 50b로 나타낸다. 따라서 수직봉(50)의 각 집단에서 슬라이더(90a)가 수직봉(50a)과 접촉할 때 슬라이더(90b)가 같은 수직봉(50) 집단의 대향하는 수직봉(50b)과 동시에 접촉한다.
제 4도에 나타낸 북(26)에서 연결철사(도시하지 않음)가 제 6도에 나타낸 정지핀에 해당하는 제 1탐지장치(68)의 정지핀(68e)을 슬라이더(90a)에 연결하고 다른 연결철사(도시하지 않음)는 제 7도에서 보인 단자(88)와 대응하는 제 2탐지장치(80)의 단자를 브러쉬(84)에 연결한다. 반면에, 봉(50a, 50b)은 고리 모양의 안내장치(25)(제2도, 제3도 참조)로부터 절연되고 각각 전기전도성이 있는 연결철사를 거쳐서 위에 언급한 정지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걸되어 있다. 제 1탐지장치(68) 또는 제 2탐지장치(86)가 북(26)의 실꾸러미(71)로부터 송출된 위사(3b)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탐지하고 북(26)의 슬라이더 (90a,90b)가 제 8도에 나타나 있는 바된같이 여러쌍의 수직봉 중의 한쌍의 수직봉(50a, 50b)과 접촉하게 되면 제 1탐지 장치(68) 또는 제 2탐지장치(80)로부터 나온 신호는 제 1도에 나타낸 원형 직기의 구동 모터(제 1도에서 구동모터(5))에 전력의 공급을 중지시키는 장치로 전달된다.
상술한 원형직기를 정지시키는 장치에 관한 요소들의 전기적 연결을 제 9도에 나타내었다. 제 9도에 나타낸 전기회로에서, 제 1 탐지장치(68)의 정지핀(68e)을 슬라이 더(90a)에 연결하는 연결철사의 일부는 95a로 나타냈고 제2탐지 장치(80)의 단자(88)를 슬라이더(90a)에 연결하는 연결철사의 일부는 95b로 나타냈으며 이 연결철사(95a,95b)는 슬라이더(90a)에 연결된 연결철사(96)와 연결되어 있다.
반면 제 1탐지 장치(68)의 본체는(68a)는 북(26)의 일부인 레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기 전도체로 만들어진 보빈(70)은 북(26)의 물림부재(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65)와 물림부재(72)는 프레임슈우(60)을 거쳐서 슬라이더(9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1탐지 장치(68)와 제 2탐지 장치(80)는 슬라이더(90a)를 브러쉬(84)에 연결하는 전기회로에 병렬로 연결된 점멸 스위치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원형직기의 구동모터(5)(제 1도 참조)에 전력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정지 장치에 있어서 재래식의 자기계전기(92)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 9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자기 계전기(92)의 입력중의 하나는 전력원(91)을 통하여 한쌍의 수직봉(50a,50b)중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은 위에 언급한 수직봉(50a)의 단자에 직접 연결된다. 반면모터(5)는 제 1탐지장치 및 제 2탐지장치(68,80)에서 수직봉(50a)과 수직봉(50b)를 연결하는 상술한 점멸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자기 계전기(92)의 중계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전력원(9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술한 점멸 스위치중의 어느 하나가 닫히면 즉 제 1탐지 장치와 제 2 탐지장치(68,80)중의 어느 하나가 신호를 낼때 전력원(91)과 모터(5) 사이의 연결은 자기 계전기(92)의 작용 때문에 중단된다. 상술한 장치에서는 전기전도체로 만들어진 보빈(71)이 사용되었다. 그러나)플라스틱 보빈의 사용이 필요하다면 알미늄박과 같은 얇은 금속판으로 플라스틱 보빈을 둘러쌓아 전기전도성이 있는 보빈의 기능과 같게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 1탐지 장치(68) 및 제 2탐지 장치(80)중의 어느 하나를 생략하거나 단지 한쌍의 수직봉(50a.50b)만을 사용하든가 하는 본 발명의 정신에 속하는 상술한 장치의 어떠한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주지하여야 한다.

Claims (1)

  1. 각 북안의 보빈상에 형성된 실꾸러미로부터 송출된 위사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탐지하는 장치, 전력원으로부터 구동모터에 전력공급을 중단시키는 장치 및 각북의 탐지장치가 위사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탐지 했을 때 탐지장치에서 나온 신호를 정지장치 전달하는 장치로 이루어지며, 원형직기의 프레임위에 설치된 환상의 안내 장치에 조성된 원형의 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북을 갖는 원형직기의 직조공정과 원형 직기를 구동하는 모터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장치.
KR1019790002906A 1979-08-25 1979-08-25 제직중 원형직기틀 정지시키는 장치 KR830002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906A KR830002724B1 (ko) 1979-08-25 1979-08-25 제직중 원형직기틀 정지시키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906A KR830002724B1 (ko) 1979-08-25 1979-08-25 제직중 원형직기틀 정지시키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443A KR830001443A (ko) 1983-04-30
KR830002724B1 true KR830002724B1 (ko) 1983-12-09

Family

ID=1921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2906A KR830002724B1 (ko) 1979-08-25 1979-08-25 제직중 원형직기틀 정지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32B1 (ko) * 2010-04-13 2013-06-04 전영호 원형직기의 전동구동식 셔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32B1 (ko) * 2010-04-13 2013-06-04 전영호 원형직기의 전동구동식 셔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443A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1172A (en) Mechanism for stopping a circular loom during weaving operation
US3871413A (en) Shuttle arrangement for a circular loom for a tape yarn
US5056567A (en) Mechanism for guiding shuttles in a circular loom
US5826626A (en) Weft thread monitoring system in a circular loom
RU201076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стовой намотки натуральных или синтетических нитей, подаваемых с большой скоростью
US4424836A (en) Warp tension regulating and warp feed apparatus in circular loom
US4365651A (en) Shuttle utilized for a circular loom
KR830002724B1 (ko) 제직중 원형직기틀 정지시키는 장치
US3521265A (en) Electromagnetic toggle filament tension monitoring device
US3961648A (en) Positive shedding motion device for a circular loom
US4616681A (en) Arrangement for the supervision of weft threads on a circular loom
US3873043A (en) Yarn guide- and monitoring apparatus for a bobbin creel
US3869770A (en) Tight warp detector
US3593752A (en) Loom
US4509562A (en) Circular loom
US4911207A (en) Method for monitoring warp breaks on weaving machines, and a device which uses this method
GB2063316A (en) A mechanism for stopping a circular loom
US4173874A (en) Apparatus on a textile machine for the feeding of yarns, slivers or other fibrillar materials
US5617905A (en) Circular-weaving machine with vertically moving heddles
US3851454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ductors
KR100959360B1 (ko) 동선직입 테이프 제조장치
KR920004051B1 (ko) 원형직기 구동장치
US3353244A (en) Apparatus for detecting high-tension ends in a thread sheet
CS199731B2 (en) Shuttleless weaving looms
US3330007A (en) Lapper stop 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