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479Y1 - 봉 포 완 구 - Google Patents

봉 포 완 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479Y1
KR830002479Y1 KR2019820005823U KR820005823U KR830002479Y1 KR 830002479 Y1 KR830002479 Y1 KR 830002479Y1 KR 2019820005823 U KR2019820005823 U KR 2019820005823U KR 820005823 U KR820005823 U KR 820005823U KR 830002479 Y1 KR830002479 Y1 KR 830002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on
paw
toy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5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철
권오주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조영철
권오주
김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철, 권오주, 김영태 filed Critical 조영철
Priority to KR2019820005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4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봉 포 완 구
제1도는 본 고안을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본 고안은 봉프완구의 머리부분은 회전이 용이하고, 팔은 벌려지도록 하면서도, 제작시 조립작업이 간편하도록한 봉프완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개발된 봉프완구로는 머리와 집게, 와샤 등을 차례로 상단에 턱과 패킹이 형성된 길다란 지지간에 삽통시킨 다음, 본체를 씌우고 지지간의 하측 끝단을 전곡하여 된 것으로, 머리가 회전되고 팔이 벌려지는 동작은 잘 이루어지나, 지지간의 하측 끝단이 절곡되어 있어 외부로 노출되어 피복이나 피부에 걸리며 길다란 지지간으로 머리와 집게 그리고 와샤 등을 차례로 끼워야 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생산성이 좋지 못하였다.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337호, 공고번호 76-949)
또한 이러한 불편함을 조금 개량한 것이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382호 공고번호 78-1301호인데, 이의 구조는 몸체에 직접 집게를 끼워서 고정시키며, 머리부분 하측에만 통공을 천설하고 몸체상단 중앙에형의 돌기를 돌설하여 이에 머리부분을 삽설토록 하므로서 길다란 지지간을 사용치 않고 머리를 직접형 돌기에 삽설하므로 조립하기가 매우 간편함은 물론 머리도 회전이 잘되고 집게손도 작동이 잘되고 있으나 봉프완구를 사용중 머리부분을 당기면 머리가 쉽게 몸체에서 분리되어 완구자체가 쓸수 없는 상태로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존 봉프완구의 결점들을 보와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머리(2)의 하측으로 지지간(3)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고, 이에 공지의 집게(4)를 삽입한 후 리벳(5)을 끼워 리벳을 압압하거나 지지간 끝단을 열압착하여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은 외피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머리(2)와 지지간(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지지간(3)을 머리(2)에 기우는 공정하나가 줄어들어 조립작업이 간편해지며, 머리(2)가 회전이 자유로우면서도 머리(2)가 빠지거나 분리되는 폐단이 전혀 없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머리(2)의 하측으로 지지간(3)을 일체 돌출 형성하고, 이에 공지의 집게(4)와 리벳(5)을 끼우도록 된 구조의 봉포완구.
KR2019820005823U 1982-07-23 1982-07-23 봉 포 완 구 KR830002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5823U KR830002479Y1 (ko) 1982-07-23 1982-07-23 봉 포 완 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5823U KR830002479Y1 (ko) 1982-07-23 1982-07-23 봉 포 완 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479Y1 true KR830002479Y1 (ko) 1983-12-05

Family

ID=1922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5823U KR830002479Y1 (ko) 1982-07-23 1982-07-23 봉 포 완 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4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2479Y1 (ko) 봉 포 완 구
JPH02133120U (ko)
JPH02108854U (ko)
JPS6337848Y2 (ko)
JPS62191076U (ko)
JPS5890676U (ja) 防水コンセント
JPS5925281Y2 (ja) 吊り下げ具
JPS59181684U (ja) 洗濯機の蓋開閉装置
JPS5832517U (ja) つまみ取付構造
JPH01122188U (ko)
JPH0528212Y2 (ko)
JPS6196714U (ko)
JPH01155623U (ko)
JPS5837895U (ja) 物干し竿の固定具
JPS6327674U (ko)
JPS6337779U (ko)
JPH0334488U (ko)
JPH01158533U (ko)
JPS62128437U (ko)
JPS63106086U (ko)
JPS63136872U (ko)
JPS5871352U (ja) 携帯用鍋
JPS5823560U (ja) 回動制動装置
JPH0229841U (ko)
JPS649981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