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236B1 - 좌석벨트용 이중 가속도 감응식 긴급 세정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좌석벨트용 이중 가속도 감응식 긴급 세정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236B1
KR830002236B1 KR1019800002069A KR800002069A KR830002236B1 KR 830002236 B1 KR830002236 B1 KR 830002236B1 KR 1019800002069 A KR1019800002069 A KR 1019800002069A KR 800002069 A KR800002069 A KR 800002069A KR 830002236 B1 KR830002236 B1 KR 830002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eel
plate
inertia wheel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516A (ko
Inventor
쥬우이찌로오 다까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다까다 고오조오
쥬우이찌로오 다까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다까다 고오조오, 쥬우이찌로오 다까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다까다 고오조오
Priority to KR101980000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236B1/ko
Publication of KR83000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좌석벨트용 이중 가속도 감응식 긴급 세정 권취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이중 안전제어장치가 감겨져 있지 않은 상태를 보이는 견인기와 릴과 프레임의 중앙부분을 잘라낸 횡단면도.
제3a도, 제3b도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관성휠의 캠부분과 계지판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벨트릴이 억지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보인 예의 견인기가 억지되지 않은 상태의 릴과 프레임의 중앙 부분을 절개한 횡단면도.
제7도는 제5도와 제6도에 도시한 축 프레임부재의 게지면부의 형태를 보이는 일부 절개 사시도.
제8도는 제5도 내지 제7도에서 도시한 계지판의 돌기부의 일부 절개 정면도.
제9a도, 제9b도는 제5도 내지 제8도에서 도시한 계지판과 관성휠의 캠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제10도는 제어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리쳇트 조립체의 외관도.
제11도는 걸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라쳇트 부분의 외관도.
제12a도는 제5도 내지 제1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관성휠이 밸브가 빠져 나오는 방향에 대하여 관성휠을 캡의 일단부에 걸리게 하는 라쳇트 치의 일부 절개도.
제12b도는 제5도 내지 제12a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어 구조에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구성된 라쳇트 치의 도식.
제13도는 제5도로부터 제12b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관성 탐지 장치의 일부 절개 단면도.
제14도는 제5도로부터 제13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견인기의 계지 부분을 보인 일부 절개 단면도.
본 발명은 탑승자를 보호하는 밸트시스템에 사용되는 벨트 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시에는 릴로부터 밸트를 풀어낼 수 있고 차체가 충돌하거나 전복될 때 비롯되는 속도의 갑작스런 변화가 생길때는 그를 억지하는 소위 비상 억지형식에 관한 것이다. 이미 발표된 비상 억지식 권취 장치들은 차가 충돌, 전복 혹은 급정지 할때 승객이 앞으로 밀리게 되어 생기는 벨트의 급작스런 빠져나옴에 의존하여 작동되는 것이다.
이런 형식의 권취 장치는 일반적으로 릴이 비교적 천천히 돌때는 릴과 더불어 회전하고, 벨트가 급히 빠져나올 때는 그 속도가 감소하는 관성힐이 장치되어 있다.
관성휠은 선정된 회전비 상에서 벨트릴과 관성휠과의 사이에 관렬되는 위치에 지지되어 조력하는 스프링과 연통되며, 선정된 회전비를 초과하면 관성휠의 회전관성력은 관성휠과 밸트릴의 사이에서 감소되고, 관성휠에 연합되는 그런 종류의 구조는 회전에 대한 밸트휠의 억지에 의해 관성휠의 회전을 감소에 의존한다.
이런 종류의 벨트 권취장치는 탑승자가 비교적 느린속도로 전방으로 밀려갈때 밸트가 풀려지는 릴을 억지하게 되는 정도의 고감도의 구조가 요구되며, 그 결과 걸어 잠그는 과정에서 승객이 벨트를 약간 당기기만해도 밸트가 풀려나오는 것을 억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마찬가지로 감응구조에 의해 비롯되는 억지작용은 억지상태와 풀릴 수 있는 상태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벨트를 움직이는 수동식 벨트 시스템의 작동에 따라 발생할 것이다.
벨트가 비교적 빠르게 빠져 나오지 않을때 권취장치가 억지작용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요구되지 않은 억지작용의 불합리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관성구조의 감도를 필히 줄여 있다.
일반적으로 벨트 감응식 권취장치는 0.7g이나 그 이상의 가속도에 의해 승객이 앞으로 밀릴때만 억지작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내용의 벨트 감응식 권취 장치는 벨트가 급속한 권취뿐만 아니라 추형 장치와 같은 차체의 급작스런 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관성 감응 장치에 의하여 억지되는 권취 장치의 개발을 유도하며, 또는 관성 감응 장치 자체를 더욱 확실히 하도록 유도한다.
벨트 권취 시스템과 관성감응장치에 다같이 사용되는 소위 이중 안전 억지 시스템의 여러가지 형식은 릴을 억지하도록 제안되고 상품화되어 있다.
이러한 이중 안전벨트 권취 장치의 예로는 미국특허 제3,958,744호 제4,109,881호와 제3,897,024호에 명시되어 있으며, 제3,897,024호는 본 발명의 양수인이 등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화된 이중 안전벨트 권취 장치들은 기능적인 면에서 적당하다고 판단되고 있다.
그러나 그것들은 문제의 특수한 것에 의존하며, 부분품이 비교적 많이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게다가 제작비가 많이들고 지나치게 크고 중량이 무거운 등 불리한 점이 많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이중 안전벨트 제어 권취 장치는 소수의 부품으로서 가볍고 작은 크기로, 염가로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0.3g 이하의 가속도 하에서도 억제작동이 가능할 정도로 감도가 높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제어 벨트 시스템은 공간이 떨어진 측부요소로 구성된 프레임이 있고, 릴이 측부요소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릴 샤프트 일부가 한쪽 프레임 축부요소 밖으로 연장되어 있고, 릴의 회전에 연동되도록 측부요소와 인접한 샤프트 부분에 플렌지가 끼워진다.
플랜지에는 수개의 계지홈이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계지판은 후렌지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축부분에 끼워지고, 릴 후렌지의 계지홈의 축방향같은 크기로 원주를 따라 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릴 플렌지가 인접해 있는 프레임 측부요소는 계지판의 걸림쇠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동되면 그와 조화되는 계지견부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쇠가 계지견부에 결속되면, 밸트릴에 있는 계지판과 플랜지는 프레임 측부 요소에 억지되어 벨트가 풀려나오는 방향으로의 릴의 회전을 방지한다.
계지스프링은 계지판을 릴 플랜지에서 밀어내고, 측부프레임 요소에 대해 계지판의 외측에 인접하여 축부분에 끼어진 칼라에 끼워져 있는 관성휠과 계지판의 회전과, 축상에서의 움직임을 위해 관성휠에 계지판을 결속시킨다.
관성휠과 계지판에는 걸림쇠와 관성휠 스프링에 의해 걸리게 되고,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접속하게 형성되며, 관성휠에 비레하여 벨트가 풀리는 방향으로 계지판이 회전할때, 즉 관성휠의 회전이 계지판 회전에 지연될 때는 서로 떨어지는 작동캠과 캠공이 형성되어 있다. 캠형부속은 권취장치 프레임에 착설되고 관성휠의 외측에 인전하도록 벽부분을 갖고 있다.
관성휠과 컵 일단부에는 캠에 의하여 관성휠의 외향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황에서 선택적으로 결속되고, 결속된 때는 밸트의 풀리는 방향으로의 관성휠의 회전을 방지하는 억지라쳇트 휠이 있다. 관성휠 스프링은 관성휠을 컵 일단부로부터 떨어지도록 계지판 방향으로 밀어댄다.
따라서 계지스프링과 관성휠 스프링은 프레임 축부요소에 있는 계지견부에 걸림쇠가 계지되지 않은 채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계지판과 관성휠을 서로 대하는 방향으로 밀어준다.
밸트가 풀리는 방향으로의 릴에 가속도가 걸리면 관성휠은 계지판 아래로 지연되고 외측으로 캡운동하여 캠을 억지하며, 계지판이 관성휠로부터 떨어지고 측부프레임 방향으로 캠운동하고, 측부프레임에 있는 계지견부에 걸림쇠가 걸리게 되어 종국적으로 벨트릴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벨트의 신속한 권취에 의하여 억지되는 상기 구조에 덧붙혀 기술하면, 권취 장치에는 어느 방향으로든지 권취장치 속도의 갑작스런 변화에 응하여 관성휠의 회전이 중지되는 관성 감응 장치가 포함된다. 관성장치에 의존하는 관성휠의 회전의 정지는 계지판의 돌기부가 릴을 프레임에 억지하고 벨트가 당겨지는 방향으로의 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릴의 풀리는 방향으로의 경미한 회전하는 상태에서 관성휠과 계지판이 서로 떨어지도록 캠작용하는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로는 관성감응 장치는 포올에 의하여 결속되는 벨트의 캠리는 방향에 견부를 갖인 관성휠의 횡단 라쳇트 치 계열 중의 하나에 선택적으로 계지되는 포올을 포함한다.
축형식이나 다른 관성 감응 요소는 관성휠의 라쳇트 치와 포올이 계지되기 위한 권취 장치 속도의 갑작스런 변화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 장치에는 다음의 특성이 포함되는 것이 요구된다.
1. 관성휠 스프링 힘은 계지스프링보다 탄력이 약하기 때문에 계지판이 관성휠과 일체로 벨트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될때 단지 릴의 회전을 억지하도록 계지요소를 내부로 캠작용하여 작동하는 억지작용의 다음에 계지라쳇트치에 의하여 캡부분을 계지하기 위하여 관성휠이 제일 먼저 밀려 나온다.
2. 캠과 캠공이에는 걸림판이나 관성휠중의 한쪽에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원주에 따라 열을 이루는 캠공이 홈과 관성휠과 다른 걸림판에 경사진 캠선단을 갖는 캠치(齒)가 형성되어 있고, 관성휠의 회전이 벨트가 풀리는 방향으로의 계지판의 회전보다 늦어질때 계지판과 관성휠이 따로 캠작용하는 캠선단과 같이 홈에 끼워지는 캠치가 형성되어 있다.
3. 억지장치에는 상기한 라쳇트 치부분에 있는 견부와 같이 견부가 관성휠과 캡단부의 면에 반대로 작용하고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성된 원주배열을 포함한다.
4. 계지판과 관성휠 사이에 캠구조는 관성휠에 형성된 계지 라쳇트치의 림과 계지판에 형성된 걸림치의 림이 경판과 측벽의 계지견부의 바닥과 사이의 거리와 같은 측방간격만큼 이격되자마자 캠작용이 중지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림과 계지판의 추가적인 약간의 회전이 돌기부의 완전한 계지를 얻기 위해 관성휠이 경판쪽으로 추가적인 측방운동을 초래하지 않는다.
5. 제4항에 상기한 형태의 권취장치는 벨트가 릴에 재치 감길때(계지된 후에)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결림라쳇트와 반대방향으로부터 원주방향과 직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있으며, 관성휠과 카바의 반대면에 림리이스 라쳇치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릴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할때, 릴리이즈 라쳇트치가 계지되어 관성휠이 벨트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중지되며, 계지판과 관성휠의 캠이 억전될 명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추가적인 설명을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제1도부터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간격을 두고 대치된 측벽(24)(26)과 횡벽(22)가 일체로된 프레임(20)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측벽에 천설된 천공(34)(36)에 삽설된 부싱(30)(32)에 삽설된 벨트릴(28)이 측벽(24)(26)의 안에서 회전 자재하게 창설되어 있으며, 승객 보호벨트(B)의 일단이 고착된 벨트릴은 벨트가 감기는 방향으로, 즉, 화살표 W 방향으로 재지판(38)을 포함한 스프링조립체에 의하여 견인력을 받으며, 스파이럴스프링(40)과 캡(42)는 측벽(24)의 외부에 조립되고, 스프링(40)의 내부단에 있는 계지고리(40a)는 릴(28)의 일단에 천설된 홈(28a)에 계지되고 스프링(40)의 외부단에 있는 계지고리(40b)는 캡 내부 원주상에 천설된 홈(42a)에 계지되며, 스프링에는 벨트(B)가 릴(28)의 주에 소요길이 만큼 감기게 하기 위한 예비하중이 걸리며, 벨트가 릴에 항상 감길 수 있는 경향을 갖는 예정 힘이 대비된다.
벨트릴(28)의 일단에 돌설된 축부분(28b)은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릴의 측부분(28b)의 큰 작경부분(28b')에 끼워지는 릴플렌지(44)에 제일 먼저 삽입된다.
플랜지(44)에는 원주에 따라서 등간격으로 속개(6개)의 계지홈(46)이 형성되어있다.
축부분(28b)의 작작 직경부분(28b")에는 플랜지(44)의 외면에 그의 내면이 접하도록 칼라(48)가 끼워진다.
릴플랜지(44)의 외부측에서 작동하는 편의용 스프링(50), 계지판(52), 관성휠(54)와 관성휠스프링(56)은 칼라(48)에 끼워진다. 계지판(52)는 칼라(48)의 스톱플렌지(48a)의 내측에 끼워지며, 계지판(52)이 칼라(48)위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걸림판 중앙천공과 칼라(48)사이에 충분한 틈새를 유지해야 한다. 편의용 스프링(50)은 릴플렌지(44)와 계지판(52)의 사이에 계지판(52)을 칼라(48)의 스톱플렌지(48a)에 대하여 외방으로 밀도록 삽설되어 있다.
계지판(52)에는 원조를 따라 등간격으로 수 개의 돌기(52a)가 축(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수의 돌기(52a)는 릴플렌지(44)에 형성된 홈(46)에 삽입된다.
따라서 계지판(52)은 릴(28)과 릴플렌지(44)와 항상 같이 회전하며, 릴과 프레임(26)에 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관성휠(54)은 칼라(48)의 스톱플렌지(48a)의 원주면상에서 회전과 축방향 운동이 가능토록 설치되어 있다.
관성휠스프링(56)은 리테어너플렌지(48b)에 의하여 칼라(48)의 외측에 권설되어 관성휠을 계지판(52)쪽으로 밀고 있다.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성휠(54)에는 계지판(52)에 천설된 제1캠부(52b)에 맞도록 되고, 원주를 따라 등간격이며 축방향으로 돌출된 제2캠부(54a)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2캠부(54a)의 경사부(54')는 관성휠(54)에 대하여 계지판(52)이 벨트가 풀리는 방향( 제3a도, 제3b도의 U자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캠부(54a)가 제1캠부(52b)에서 활동 이탈되어 계지판(52)와 관성휠(54)이 독립운동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벨트(B)가 승객에 의해서든 느슨한 상태로 벨트를 당겨서 빼는 수동식에 의하든 혹은 비상시에 승객이 앞으로 밀려서 벨트가 당겨지는 것에 의하든지 시스템의 설계사양이나 0.7g정도의 가속도보다 작은 크기로 벨트가 당겨질 때와 마찬가지로 릴(28), 릴플렌지(44)와 계지판(52)은 벨트가 풀리는 방향(화살표U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계지판(52)은 프레임측벽(26)의 외부면과 돌기(52a)가 간격을 유지하여 계지판(52)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프레임 측벽(26)의 외측에 장설되어 있고, 관성휠(54)은 프레임 측벽(26)의 외측에 장착되어 계지조립체를 덮어 씌우고 있는 카바(58)의 경판(58a)에 대해 내부에 장설되어 있어서 벨트가 풀리는 방향으로의 낮은 가속도 상태하에서 편의용스프링(50)과 휠스프링(56)은 계지판(52)과 관성휠(554)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며, 제2도에 도시한 위치에 그들을 삽설시킨다.
벨트릴(28)이 풀리는 방향으로 0.7g 이상의 가속도를 받을 때 관성휠(54)의 관성은 관성휠의 회전이 계지판(52)과 릴(28)의 회전보다 늦어지도록 한다.
그렇게 되면 관성휠(54)에 돌설된 제2캠부(54a)는 계지판(52)에 제1캠부(52b)의캠이면에 대하여 작동하여, 관성휠(54)와 계지판(52)을 축방향으로 서로 떨어지게 움직인다.
제2도는 걸리지 않은 상태이고 제4도는 걸린 상태로서 이 두 도면을 비교하여 보면, 벨트 권취 장치 작동 상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관성휠(54)에 돌설된 제2캠부(54a)와 계지판(52)에 천설된 제1캠부(52b)에서의 최초 캠작용은 관성휠(54)을 카바(58)의 경판(58a)쪽로으 움직인다.
이러한 관성휠(54)의 운동은 관성휠(54)의 외측면에 형성된 라쳇트치일(60)과 카바(58)의 경판(58a)의 내면에 형성된 보조 라쳇트치(62)가 결속되어 벨트가 풀리는 방향(U자 화살표방향)으로 관성휠(54)가 회전함을 억지한다.
관성휠의 회전이 정지되면 관성휠의 제2캠부(54a)와 계지판(52)에 천설된 제1캠부(52b)와의 캠작용과 편의용스프링(50)의 팽창력에 의하여 계지판(52)이 프레임 측벽(26)쪽으로 이동되고, 결국 측벽(26)에 천설되고 계지판(52)의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계지복속개의 계지견부(64)에 돌기(52a)가 삽입된다.
상기한 억지작용 조립체의 연쇄적인 작용과 움직임으로 부터 이뤄지는 억지작용과 레지스터(Register)가 확실하게 되기 위하여 캠치와 캠홈의 형상과 위치와 라쳇트 치(60)(62)의 위치는 측벽에 천설된 계지견부(64)의 위치와 상용되어야 한다. 돌기(52a)와 계지견부(64)가 결속되면 벨트가 풀리는 방향으로의 계지판(52)의 회전이 억지된다. 돌기(52a)가 릴플렌지(44)에 형성된 계지견부(46)에 결속되므로 벨트가 견인되는(풀리는)방향으로의 벨트릴(28)의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벨트(B)가 벨트릴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이 억지되고, 승탑자가 전방으로 밀려가는 것을 재치하게 된다.
상기한 식으로 권취 장치는 억지하게되는 벨트의 힘이 배제되면, 상기의 억지구조 조립체의 연쇄적인 작용과 반대방향인 W방향으로, 즉 감기는 방향으로 스프링(40)의 영향을 받아서 벨트가 약간 감기게 된다.
플렌지(44)가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판(52)도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돌기(52a)의 팁은 후레임측벽(26)의 면에 대해 기울어져 어서 스프링(50)의 계지판의 외측으로 추출함을 용이하게 한다.
또 계지판(52)이 감기는 방향(W방향)으로 회전하며 계지판(52)에 천설된 제1캠부(52b)로 부터 돌기(54a)의 캠면이 빠지고, 제2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스프링(56)에 의해 관성휠(54)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 간다.
이리하여 보통 가속도 상태에서 벨트가 자유로이 당겨져 나오게 되는 비억지 상태로 걸림 구조가 환원되며, 상기한 방식으로 비상사태에 대비하게 된다.
벨트의 급속한 가속과 릴(28)의 신속한 회전가속도에 의하여 억지되는 데에 덧붙혀서 제1도-제4도에서 실레처럼 차체의 가속도, 엄밀히 말하자면 관성감응장치가 장착된 차체부분의 가속도에 의하여 작동되는 관성감응 장치를 병용하도록 되어있다.
관성감응장치에는 재치좌(66)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65a)과 원추형 측벽으로 구성된 케이싱(65)이 있어 프레임(20)의 측벽(26)에 자착되어 있고, 몸체부(68a)를 형성하며 재치좌(66)에 재치되는 하체부(68b)로 구성되는 질량체가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장치에 예정가속도가 없으면 재치좌(66)의 상면에 꽉차게 그의 하단면이 놓여지는 하체로(68b)가 올려지는 상부에 질량체(68)가 재치된다.
장치에 약 0.3g 정도의 예정가속도가 걸리면 질량체의 관성에 의하여 하체부(68b)의 하면의 환형선단의 어떤 점에 관하여 기울어져 몸체부가 들려진다.
질량체의 상단에 형성된 접시 모양의 캠면(70)은 포올(74)의 하부에 구형캠공이 돌출부(72)에 계지된다.
포올(74)의 일단은 케이싱(65)의 상부구성에 있는 피봇핀(75)에 의하여 장착된다. 따라서 캠면(70)과 캠공이(72)의 캠작용과 질량체(68)의 봇려지는 작동에 의하여 포올이 피붓핀(76)에 대하여 상부로 피붓팅되고, 관성휠(54) 원주면에 형성된 라쳇트치(78)에 포올이 계지면 관성휠(54)의 회동이 방지된다.
또한 벨트B가 당겨지면 계지판이 걸릴 때까지 릴(28)과 계지판(52)이 풀리는 방향(제1호의 U자방향)으로 회전하고, 관성휠(54)의 돌기(54a)는 계지판(52)의 제1캠부(52b)에 작동하여 벨트가 신속히 견인됨에 의존하는 계지구조의 작동이 발생하는 그러한 상태로 계지판과 관성휠이 완전히 떨어지도록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돌기(52a)가 프레임의 측벽(26)에 천설된 계지견부(64)에 끼워지므로 풀리는 방향으로의 릴의 회전을 억지한다.
제5도-제14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례는 제1도에 도시한 실례의 작동형식과 전체구조와 유사하나 단지 좀 더 유리하게 변형과 진보된 것으로 일정간격으로 유지한 측벽(102)(104)과 횡벽(106)이 일체로 U자형을 이루는 프레임(100)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102)(104)에 천설된 천공(114)(116)에 삽설된 부싱(110)(112)에 회전자재하게릴(108)이 끼워지며, 판(118)과 스파이럴스프링(120)과 카바(122)로 구성된 감김 스프링 조립체는 제1도-제4도에 도시한것과 같은 방법으로 측벽(104)의 외측에 장착되어 평시에는 도면에 표시한 W방향으로 벨트(B)가 릴(108)에 감기도록 작용하고, 화살표 U방향으로의 릴의 회전으로부터 벨트(B)가 움추러 들게 한다.
릴(108)에는 축부분(124)이 형성되어 측벽(102)의 외측까지 돌출되며, 축부분(124)에는 릴플렌지(126)가 측벽(102)의 외면에 접하도록 끼워진다.
릴플렌지(126)와 계지판(128)은 인접하여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축부분(124)에 끼워진 슬리브(130)에 끼워지며, 계지스프링(132)로서 플렌지(126)를 외측방향으로 밀도록 되어있다.
계지판(128)에는 플렌지(126)의 주변에 천설계지홈(136)에 부합되게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축방향으로 돌출된 수 개(예 6개)의 돌기(134)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판이 감기는 방향으로든지 풀리는 방향으로든지 플렌지(126)및 릴(108)과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슬리브(130)의 스톱플 지(138)의 좌단에 계지판(128)이 삽입되고, 프레임(100)의 측벽 외면과 돌기(134)의 팁부분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제1도 제4도에 도시한 것을 설명한 바와 같이 계지판(126)이 안쪽으로 캠운동하여 이동되면 프레임측벽(102)에 원형으로 계지견부(140)와 같게 위치된 계열(예, 12개)과 돌기(134)의 팁이 결속된다.
슬리브(130)에 끼워져있는 관성휠(142)는 슬리브(130) 우단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플렌지(145)에 의해 고정되는 관성휠스프링에 의해 계지판(128) 쪽으로 밀리도록 되어있다.
관성휠(142)에는 계지판(128)에 천설된 제1캠부(148)와 부합되며, 계지판(128)이 관성휠(142)에 대하여 풀리는 방향(U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관성휠과 계지판이 서로 떨어질 수 있게 형성된 등간격 원주열을 갖는 제2캠부(146)(예, 6개)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관성휠(142)이 프레임에 대해 외방으로 움직여서 관성휠의 외면에 형성된 수개(예, 12개, 계지견부(140)의 수와 모든 경우에서 같은 수)의 등간격의 라쳇트치(150)가 계지장치 카바(156)의 경판(154)내부에 형성된 계지 라쳇트치(152)(3개면 적당함)에 결속되도록 한다.
또한 계지판(128)이 프레임에 대해 내측으로 이동하면 돌기(134)가 계지견부(140)에 끼워지고, 따라서 견인기 프레임(100)에 계지판(128)이 억지되고, 릴플렌지(126)에 의해 릴의 회전이 중지된다.
제5도-제14도에 도시한 권취 장치에는 전체를 나타내는 번호158의 관성 감응 장치가 상술한 바와 같은 관성휠(142)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라쳇트치(160)(예. 12개)에 결속 장동된다.
결국 제5도-제14도에 도시한 권취 장치의 형식과 구조는 전기한 제1도-제4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예와 사실상 같은 것이다. 본 발명의 변형됨과 진보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측벽(26)과 (102)에 천설된 계지견부(64)와 (140)는 측벽(102)의 외면과 수직이며, 릴과 계지판의 풀리는 회전 방향에 대하여 향해 있고 측벽(102)의 면에 경사진 부분(140b)를 포함하는 홈의 밑면이 형성되어 있고, 경사부분(140b)는 풀리는 방향으로의 릴과 계지판의 회전방향으로 막힌 경사캠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34)에는 권취 장치가 억기될 때 릴의 선단이 각 홈의 바닥보다 원주 방향으로 좁은 것을 제외하고는 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계지견부(140)의 측단면과 같은 형상의 릴(134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릴이 벨트감는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치의 릴(134a)과 홈의 바닥부분(140b)에 의하여 캠치가 계지견부(140)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온다.
제8도에 도시되고 제11도를 통해 명백히 알 수 있듯이 리드 선단(134b)과 종동선단(134c)는 계지 요소의 풀리는 방향에 대하여 후면으로 기울어져 있고 릴플렌지(126)의 각개의 홈(136)의 종동선단(136a)과 치(134)의 종동선단(134c) 사이에서 약간의 캠작용되도록 치(134)에 후면 이유가 있어서 측벽(102)에 형성된 홈(140)에 꼭맞게 치(134)가 끼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돌기(134)의 형상은 어떠한 계지작용에도 유리하며, 릴플렌지나 계지판의 어떠한 변위나 변형이 측벽에 천설된 계지홈들에 돌기가 걸리지 않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각 치의 리드 선단과 각 홈(102)의 리드선단 사이에서 감기는 방향으로의 반대 캠작용이 생기면 각치가 홈에 결속되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것도 중요한 사실이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판에 천설된 제1부(148)의 종동부(148a)(풀리는 방향에 대하여)는 계지판의 면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1캠부(148)과 제2캠부(146)가 캠작용할 때 종동부(148a)가 관성휠(142)의 제2캠부(146)에 형성된 캠선단 (146a)과 접촉하므로 마찰없이 작동된다.
제10도에 표시된 길이 L은 제11도에 도시한 억지되 상태에서의 계지판에 돌설된 돌기(134)의 타단으로부터 관성휠의 외측에 돌설된 계지라쳇트(150)까지의 축방향의 거리로 제5도-제14도에 도시한 권취장치에는 그 정밀도가 요구된다.
제1도-제4도에 도시한 권취 장치에서는 부품이나 권취 장치의 수명에 영향을 주는 부분이 공차를 가지고 제작되는 변형 때문에 돌기치(52a)의 팁이 측벽에 형성된 홈(64)의 바닥에 닿게 되면 관성휠의 계치라쳇트치(60)이 카바의 경판(58a)에 형성된 라쳇트치(62)에 꽉차게 결속되는 것이 가능하고, 계지견부와 결속되는 위치에서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풀리는 방향(U방향)으로 릴플렌지와 계지판이 회전하며 돌기와 계지견부와의 결속되는 것을 통해 관성휠의 캠구조와 계지판의 캠구조가 추가적인 캠운동을 하며, 라쳇트치나 캠요소들에 무리가 가고 억지로 걸리는 결과가 초래된다.
제5도-제14도에 도시한 것은 라쳇트치(150)의 팁들이 계지판(128)의 돌기(134)의 팁들로부터 일정거리, 즉 카바의 경판(154)의 내벽과 후레임벽(102)의 계지홈(140)의 좌측벽사이의 거리와 같은 거리를(즉, 제10도에 표시한 L만큼의 거리)유지할 때 관성휠과 계지판 사이의 캠작용되도록 캠치(146)이 설계되어 있어서 전기한 단점을 피할 수 있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린 상태에서 캠치(146)은 캠홈(148)으로부터 계지판(126)의 면에서 짧은 거리를 통해 빠져나온다.
제11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라쳇트치(150)과 (152)의 팁들이 꽉차게 되고 돌기(134)의 팁들이 캠작용 끝에 내부로 밀어지더라도 돌기의 계지선단(134b)가 계지홈(140)의 계지견부(140a)에 계지되기전에 계지판이 약간 추가적으로 회전되야 한다.
약간 회전하는 양은 설계에 고려되어 있으므로 제작 오차를 완화할 수 있고, 고로 작동 신용도를 감소시키지 않고 경제적으로 제작 조립된다. 제2캠부(146)이 제1캠부(148)(제11도)로 부터 이탈되면 제10도에 도시한 억지되지 않은 상태로 환원된다.
이것은 관성휠(142)의 외측면에 형성된 라쳇트치(162)의 경판(154)의 내부에 있는 라쳇트치(164)가 서로 이탈 됨으로써 가능하다.
릴리스치(162)와 (164)는 서로 계지됐을 때 벨트가 풀리는 방향으로의 관성휠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지라쳇트치(150)과 (152)에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라쳇트치(162)와 (164)는 계지라쳇트와 동심인원 주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계지라쳇트치와 위치로부터 미소거리 d만큼 떨어져 원주를 따로 형성되어 있다.
라쳇트치(162)와 (164)가 계지되고 감기는 방향(W방향)의로의 관성휠의 회전을 중단시킬 때까지는 돌기(134)의 팁(134a)과 계지홈(140) 사이에서의 캠작용이 이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돌기(134)가 홈(140)의 계지견부(140a)에 계지되기 위한 거리보다 거리 d가 작아야 한다.
제12a도와 제12b도는 계지라쳇트치(150)과 (152), 릴리스라쳇트치(162)와 (164)의 작동을 보인다. 제5도-제14도에 도시한 권취장치에는 제1도-제14도에 도시한 권취 장치에 장치된 것과 다른 관성감응장치(158)이 장치되어 있다. 관성감응장치(158)은 매우 민감하여 0.3g-0.7g의 가속도 범위에서 작동된다.
관성감응장치(148)에는 케이싱(170)과 상방으로 돌출된 바닥(172)와 구형관성감응질량체(176)이 제치되는 환형좌(庶)로 형성되는 원형플랜지(174)가 형성되어있다.
포올(178)은 천공(184)이 형성된 탐지아암(182)이 그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체(158)의 가속도가 0.3g이하일 때, 즉 질량체(176)이 좌(174)에 재치되는 한은 계지부(184)가 관성휠(142)에 형성된 라쳇트치(16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13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포올의 자체중량에 의해 기울어지게 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붓핀(180)에 의하여 케이스에 경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감가속도가 포함되는 임의 방향으로의 속도 변화에서 발생되는 가속도가 조립체에 작용할 때(0.3g 이상) 질량체(176)는 조립체에 작용하는 지배적인 가속도의 반대방향으로 좌의 상면에서 구르게 된다. 질량체(176)가 임의방향으로 좌의 외부변으로 구르면 포올(178)의 탐지부(182)가 하방으로 눌려지고 포올이 피붓핀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제13도의 쇄선표시 위치로 기울어져서 관성휠(142)의 원주면에 형성된 라쳇트치(160)중의 하나에 계지부가 계지된다.
조립체에 최소 설계치 이상의 가속도가 중단되면 벨트로부터 힘이 배제됨과 아울러 벨트가릴에 조금 재차 감기는 것에 의하여, 또 질량체(178)이 좌로 원상복귀하며, 제13도의 실선 표시 위치로 포올(178)이 환원되므로 권취장치가 억지사태에서 풀려진다. 케이싱의 규격과 포올은 질량체(176)가 탑지한 가속도가 멈춘 후에도 좌에서 원상으로 복귀되지 않는 것을 방지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질량체의 변위량을 좌(174)의 반경보다 다소 작게 함으로서 가능하다.
판성 감응 장치(158)은 좌가 수평선에 대해 다소간 기울어지더라도 질량체가 좌에 재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차의 주차할 때 허용되는 경사도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제5도-제14도에 도시한 권취 장치의 작동상태는 제1도-제4도에 도시한 견인기와 대체로 같으며, 구조와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상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은 수의 부품으로 제작되는 이중 가속도 감응식 긴급 쇄정 권취 장치의 새롭게 개량된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 권취 장치는 크기와 중량이 현재 뿐 아니라 앞으로도 필수적인 경제적인 소형 자동차에 적합하게 제작되었다.
또, 본 억지장치는 현재 알려진 권취 장치와 같이 크고 무거운 주조형처럼 무겁지 않고 플라스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즉 프레임, 릴, 릴플렌지 및 라쳇트판은 물론 강해야하므로 금속으로 제작하고 프레임과 계지판은 무거운 게이지 금속판을 스템프 작업으로 제작할 수 있다.
슬리브, 관성휠과 카바, 질량체를 제외한 관성 잡응장치의 모든 부품은 플라스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구현하는 권취 장치는 복잡한 시간걸리는 조립과정이 없이 하나씩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도시에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형태와 규격에 벗어나지 않는 기술에 의해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모든 변형된 것은 청구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포함하게 된다.

Claims (1)

  1. 양 측벽(24)(26)을 보유하는 프레임(20)과, 전기한 양측벽을 관통하는 축부분(28b)을 양단에 구비한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벨트(B)를 말아감는 힘이 부여된 벨트 권취 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한 복수개의 계치홈(46)을 보유하며 한쪽의 측벽(26)외면에 인접되어서 릴의 축부에 감합 고착되는 플랜지(44)와, 그 플랜지의 계지홈에 대응하여서 일측벽(26)에 형성한 복수의 계지견부(64)와, 전기한 플랜지의 외측에서 그 플랜지에 지지되어 플랜지와 일체로 회전하며 플랜지에 근접되는 위치와 떨어지는 위치의 사이를 릴의 축부(28b)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접근함에 있어 플랜지의 계지홈에 안내되어 전기한 계지홈과 계지홈 견부와를 상호 결합하는 내측방향의 복수돌기(52a)와 이 돌기를 전기한 결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캠부(52b)를 외측면에 구비한 계지판(52)과 통상시 이 계지판을 플랜지에서 멀리 떨어지게 이격되는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는 계지판 편의용 스프링(50)과, 전기한 계지판의 외측면에 인접하여서 릴의 축부분에 유감되며 축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내측면에 계지판의 돌기를 전기한 결합방향으로 작동하기 위한 전기한 제1캠부와 함께 작동하는 제2캠부(54a)를 외측면에는 프레임의 측벽(26)에 부착되는 카바(58) 내면의 라쳇트치(62)에 계합 가능한 라쳇트치열(60)을 외주면에는 그 전주면에 걸쳐서 라쳇트치(78)를 각각 설치한 관성 휠(54)과, 스프링 힘이 전기한 계지판의 편의용 스프링보다 약하며 통상의 관성휠을 계지판과 당접하는 위치로 편의하여 전기한 카바의 라쳇트치(62)와 관성 휠의 라쳇트치열(60)이 계합하지 않는 위치로 보전지지하는 관성휠 스프링(56)과, 프레임의 측벽(26)에 설치되며 급격하게 차량의 속도가 변화할 때에 감응하여서 관성휠의 외주면 라쳇트치(78)와 치합해서 관성휠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포올(74)을 구비하여 벨트가 급격히 인출될 때에는 벨트릴의 회전의 지연으로 회전되는 관성휠의 회전지연으로서 또, 차량이 급격히 속도 변화할 때에는 차량 가속도 감응장치의 회전을 정지하는 관성휠과 벨트의 릴과의 회전차이에 의하여 전기한 제1캠부와 제2캠부와의 근소한 상대 위치차이로서 관성휠이 휠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서 카바 한쪽에 이동하고, 그 관성휠의 외면측과 카바내면의 라쳇트치열(60)과 라쳇트치(62)가 계합하여서 관성휠의 힘이 정지하며, 계속되는 벨트 인출에 따라서 벨트릴의 회전으로서 증가하는 제1캠부와 제2캠부의 상대위치 차이로서 계지판이 그 계지판 편의용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서 플랜지쪽으로 이동하고, 계지판의 돌기가 플랜지의 계지홈과 프레임 측판(26)의 계지견부와의 양자를 상호 결합하여서 벨트 인출방향에의 릴 회전을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용 2중 가속도 감응식 긴급 쇠정권취장치.
KR1019800002069A 1980-05-26 1980-05-26 좌석벨트용 이중 가속도 감응식 긴급 세정 권취장치 KR83000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069A KR830002236B1 (ko) 1980-05-26 1980-05-26 좌석벨트용 이중 가속도 감응식 긴급 세정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069A KR830002236B1 (ko) 1980-05-26 1980-05-26 좌석벨트용 이중 가속도 감응식 긴급 세정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16A KR830002516A (ko) 1983-05-30
KR830002236B1 true KR830002236B1 (ko) 1983-10-20

Family

ID=1921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069A KR830002236B1 (ko) 1980-05-26 1980-05-26 좌석벨트용 이중 가속도 감응식 긴급 세정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2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16A (ko) 198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46454A (en) Emergency locking retractor
US4168810A (en) Novel locking mechanism and reel for retractor
US3819126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gear wheel actuated locking means
US3901459A (en) Safety belt retractor locking device
US20060237573A1 (en) Seat belt retractor with improved web sensor
EP0761513A2 (en) Emergency locking seat belt retractor
GB2050146A (en) Inertia-responsive actuating device for locking vehicle seat belt retractors
US3510085A (en) Emergency locking retractor with disabling means
US4583701A (en) Webbing retractor
US4597543A (en) Locking mechanism adapted for use in webbing retractor
US4741491A (en) Reel for vehicle safety belt
US3416747A (en) Automatic locking rotary retracting device
JPH08133011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4568037A (en) Webbing tension device
US4167254A (en) Locking device for vehicle safety seat belts
KR830002236B1 (ko) 좌석벨트용 이중 가속도 감응식 긴급 세정 권취장치
US4687156A (en) Lock mechanism for webbing retractor
US3830444A (en) Safety seat belt assemblies
US4585184A (en) Webbing tension device
US5511741A (en) Web clamping retractor mechanism with swinging housing
US5451009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dual sensitivity
US4065069A (en) Emergency locking retractor
JPH0427717Y2 (ko)
US4381085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reduced spooling
US4531687A (en) Retractor reel for a vehicle safety be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