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114Y1 -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 - Google Patents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114Y1
KR830002114Y1 KR2019790003973U KR790003973U KR830002114Y1 KR 830002114 Y1 KR830002114 Y1 KR 830002114Y1 KR 2019790003973 U KR2019790003973 U KR 2019790003973U KR 790003973 U KR790003973 U KR 790003973U KR 830002114 Y1 KR830002114 Y1 KR 830002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ece
push button
locking
spr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790003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169U (ko
Inventor
기요가즈 고이께
Original Assignee
반쇼오야 준이찌
에누 에스케이 워어너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쇼오야 준이찌, 에누 에스케이 워어너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반쇼오야 준이찌
Priority to KR2019790003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114Y1/ko
Publication of KR8300001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15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누르기 버튼의 이면을 표시하는 누르기 버튼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상카버의 내면을 표시하는 카버의 사시도.
제4a도 제4b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누르기 버튼을 생략한 중앙 종단면도.
제5a도와 제5b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횡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실시예의 상부카버의 내부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8a도-제8c도는 제6도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레버와 돌출편 가이드를 생략한 부분 중앙 종단면도.
제9a도와 제9b도는 제6도의 실시예의 레버의 작용을 설명하는 정면도.
본 고안은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에 관하여서는 이때까지 많은 것이 제안되여 왔었다.
그리고 이들의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는 어느것이나 계지면과 계지편을 계지하기 위한 걸리는 장치로 되어 있으며 이 걸리는 장치는 통상 기본부재와 기본부재내에 설치된 부세수단에 의하여 계지편을 계지하는 방향으로 부세하게 되는 걸리는 부재와 이 걸리는 부재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수단과, 이들의 전부재를 포위하여 지지하는 카버수단으로 구성되여 있다.
이들 벅클 조립체에 있어서 여러가지 부재를 기본과 카버와의 사이에 서로 적절히 또한 조작하기 쉬운 벅클 조립체가 되도록 조립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각 부품의 형상이 복잡함과 동시에 그 구조상 각 부품을 별도로 하나하나 손으로 조립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가산되며, 제품의 모양과 균형도 무시할 수 없으며, 그 조작성도 좋지 못하였다.
더욱이 이들의 벅클 조립체에 있어서 걸리는 부재를 이에 직접적으로 계합한 누르기 버턴과 같은 조작수단으로 작동하기 위한 누르기 버턴의 배치위치는 걸리는 부재의 근방에 제한되며, 이 결과로 손가락등으로 조작되는 누르는 버턴의 노출면을 조작성이 우수한 위치에 가져오는 자유도가 어느정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걸리는 부재의 작동방법은 누르는 버턴에 가하여 지는 힘이 그대로 사용되기 때문에 버클 조립체의 해리성의 점에 있어서도 충분하지 못하였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일의 목적은 각 부품의 형상이 간단하며 제작이 용이하고, 그리고 전체의 조립작업이 순서있게 이루어 지며, 수동으로 조립하는 것도 단순작업으로 끝이나며, 또한 자동 작업으로서도 제조 가능한 조작하기 쉬운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2의 목적은, 걸리는 부재와 누르는 버튼의 사이에 레버부재를 개재시킴으로서 누르는 버튼의 위치의 자유도를 증가시키고, 조작성 및 해리성이 우수한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도 내지 제5도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의 걸리는 장치는 전체로서 부호(1)로 표시되어 있다.
걸리는 장치(1)는 거의 직사각형의 하카버(2)와 상카버(3)가 있으며, 이들의 상하부 카버(3)(2)는 쌍방 조합이 되여서 상자형태가 되며 내부에는 이하의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실(5)을 형성하고 있다.
상하부 커버(3)(2)는 전방(제1도 좌방)으 측벽(7)(6)에는 각각 절결홈(7a)(6a)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부 카버(3)(2)가 조합되었을 때에 이들 절결홈(7a)(6a)은 실(5)에 연결하는 계지편(13)의 삽입구(8)를 형성한다.
상하부 카버(3)(2)의 전후에 연장된 측벽(3a)(2b)의 전방부에는 누르기 버턴 조작용의 개구(11)가 형성되기 위한 절결홈(10a)(9a)이 형성되여 있다.
상하카버(3)(2)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기본부재(14)의 지지면으로서의 수평부재(3c)(2c) 및 대부(臺部)(3d)가 형성되여 있으며 거기에 기본부재가 재치되여 있다. 기본부재(14)는 한장의 금속판(14)을 절곡하여 형성한 두장의 평행 평면판(14a)(14b)으로서 형성되며 이들의 평행 평면판(14a)(14b)의 사이에는 연결부품(18)의 삽입용 간격(15)이 형성되여 있다.
따라서 기본부재(14)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였을 때 간격(15)은 그 전방부의 계지편 삽입구(8)에 연통될 수 있게 되여 있고 또 간격(15)의 뚜께는 계지편(13)을 받아들여서 안내하는데에 충분한 것으로 되여있다.
기본부재(14)의 평행평면판(14a)(14b)의 후방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정열되여 있는 구명(16)이 형성되여 있으며 이 구멍(16)에 간격(15)내에 삽입된 차체등의 연결부품(18)의 구멍(18a)이 정열되며 거기에 리벳(19)이 박혀져 있다.
이 기본부재(14)의 차체드으이 접촉방법은 예시적인 것이며, 기타 직물포, 플랙시불 와이어 철판등에 의한 방법도 가능하다.
기본부재(14)의 상부 평행평면판(14b)의 전방부에는 가로방향으로 평행된 두 개의 걸리는 부재 안내용의 사각형 구멍(20)(21)이 천설되여 있으며 이들의 사각형 구멍(20)(21)의 후방, 평행펑면판(14b)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박판 스프링(30)의 수직부(31)가 간섭하지 아니하고 삽입되는 사각형 구멍(22)이 천설되여 있다.
한편 기본부재 하부 평행평면판(14a)의 이상 3개의 사각형 구멍(20)(21)(22)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이들 3개의 사각형 구멍(20)(21)(22)이 연통되게 사각 형상의 구멍(23)이 형성되여 있다.
이들의 구멍내에는 상하로 접동가능하게 걸리는 부재(25)가 삽입되여 있다.
걸리는 부재(25)는 상하에 연장도는 양측부(26)(27)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8)가 U자 형상으로 되여 있으며 그리고 여기에서 하부카버(2)의 내면상에 고설된 박판 스프링(30)에 의하여 상향의 탄력이 부여되여 있다.
박판스프링(30)은 계지편(13)의 밀어내는 작용을 담당하는 거의 수직이며, 상층으로 절곡된 수직부(31)와 걸리는 부재(25)에 힘을 가하는 것으로서 거의 수평이고 이층으로 절곡된 수평부(32)가 있다.
박판 스프링(30)의 수평부(32)의 하측에는 구멍(32a)이 형성되여 있으며 이 구멍(32a)과 하카버(2) 내면상의 돌기(4a)가 합차게 되며 이 돌기(4a)의 양측을 전후에 연장되는 양돌기(4b)(4c)의 사이에는 박판 스프링(30)의 수평부(32)의 하층에 삽입되기 때문에 박판(30)은 하부카버(2)내면상에 고설되여 있다.
또한 수직부(31)에는 상하카버(3)(2)가 합칠때 상카버(3d)의 대부(3e)에 천설된 요부(25)에 그 절곡부에 있어서 삽입되게 되여 있다.
걸리는 부재(25)의 양각부는 좌우 양측부(26)(27)에 연속하여 상향으로 돌출된 걸리는 부(29a)(29b)로 되여 있다. 걸리는 부(29a)(29b)는 다같이 전방 경사 캠부와 후방수직 계지부로 되여 있다.
걸리는 부재(25)는 계지면 삽입구(8)에서 평행 평면판(14a)(14b) 사이에 삽입이 되는 계지편(13)의 선단(13a)에 먼저 전방 경사 캠부가 접촉하여 하향으로 눌러서 계지편(13)의 삽입을 허용하고, 계지편 선단(13a)이 통과하여서 절결홈(13b)(13c)이 걸리는 부(29a)(29b)와 상하로 겹치는 위치에 오면, 박판 스프링(30)에 의하여 상승하여 후방 수직계지부에서 계지편(13)을 록 할 수 있게 되여 있다.
따라서 계지편 선단(13a)의 폭은 걸리는 부재(25)의 좌우 양측부(26)(27) 사이보다 좁고, 그리고 절결홈(13b)(13c)의 있는 부분의 폭은 걸리는 부(29a)(29b) 사이의 간격보다 좋다.
상하부 카버(3)(2)의 절결홈(10a)(9a) 및 상부카버(3)의 대부(3d)의 전후에 형성된 공간내에는 누르는 버턴(35)이 내설되여 있다.
누르는 버턴(35)은 조작할 때 손가락등이 눌러 만져지는 사면부(36) 계지편 삽입방향에 거의 직각으로 연장된 평행한 전방다리부(37)와 후방다리부(41)가 있는 사면부(36)는 양절결홈(10a)(9a)으로 형성되는 개구(11)내에 수납된 양다리부(37)(41)는 상카버(3)의 대부(3d)의 전후에 형성된 공간내에 연장되게 되여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누르기 버턴(35)은 흔들리지 아니하고 원활하게 접동할 수 있게 되여 있다.
누르기 버턴(35)을 계지편 삽입방향과 거의 수직으로 외부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때문에 스프링(50)은 직선부(51)에서 완곡각부(52a)(52b)를 지나서 연장된 원형단부(53a)(53b)로 종단하는 두개의 다리부로 되어 있으며, 직선부(51)가 하카버(2)의 절결홈(9a)을 횡단하는 것과 같이 연장된 수평단부(2c)로부터 돌출한 돌출부(2d)의 내측면과 기본부재(14)의 하방 평행평면판(14a)의 절곡된 측단면(14c)과의 사이에 끼워져서 완곡각부(52a)(52b)가 누르기 버턴(35)의 사면부(36)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요부(38)내에 삽입이 됨으로서 누르기 버턴 수세용 스프링(50)은 소정위치에 그 위치가 정하여 진다.
따라서 누르기 버턴(35)을 내방으로 누르면 스프링(50)의 직선부(51)와 양다리부가 겹쳐지게 스프링(50)이 눌려져서 누르기 버턴(35)에 외방에 부세력을 주게 된다.
누르기 버턴(35)에 가해진 힘이 없어지면 누르기 버턴(35)은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그리고 누르기 버턴(35)의 스트로오크는 경면부(36)의 전후에 있는 돌기(39a)(39b)가 상하카버(3)(2)의 절결홈(10a)(9a)의 측벽에 형성된 홈(9b)(9c),(10b),(10c)내에 삽입이 됨으로서 제한되여 있다.
제2도의 도면에 표시함과 같이 누르기 버턴(35)의 전방다리부(37)의 하면에는 걸리는 부재(25)의 양측부(26)(27)의 상단면과 접촉하여 걸리는 부재(25)를 조작하기 위한 누르기 버턴(35)의 접동방항에 경사된 두개의 캠면(37a)(37b)이 형성되여 있다.
이 경사가 된 부분은 누르기 버턴(35)을 누르면 걸리는 부재(25)가 박판스프링(30)의 힘에 대향하여 하방으로 눌러져 누르기 버턴(35)이 원위치로 오게 되면 걸리는 부재(25)가 상방의 원위치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계지편(13)은 전술한 선단부(13a)와 같이 확대 후부가 있으며, 이 확대 후부에는 벨트 연결용의 개구(13d)가 형성되여 있다.
계지편(13)이 록위치까지 삽입될때 계지편 선단(13a)의 단면은 박판스프링(30)의 수직부(31)에 충접하여 이 수지부(31)를 압축하고(제4c도 참조) 따라서 록해제시에는 계지편(13)은 이 부세력에 의하여 외방향으로 눌려나온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작용을 제4도와 제5도로서 설명하면 제4a도는 해리상태의 계지편(13)과 걸리는 장치(1)를 표시하고 있다.
해리상태에서는 걸리는 부재(25)는 이의 연결부(28)의 하면에 접하여 걸리는 부재(25)를 상방으로 눌려 울리는 박판스프링(30)에 의하여 상방으로 접동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걸리는 부재(25)의 걸리는 부(29a)(29b)는 기본부재의 하방 평행평면판(14)에 천설된 구멍(14a)의 레벨(23)을 넘어서 평행평면판(14a)(14b)사이의 간격(15)의 부분까지 오고 있다.
해리상태에 있는 걸리는 장치(1)는 계지편 삽입구(8)를 지나서 계지편(13)을 넣기 시작한 상태가 제4b도에 표시되여 있다.
계지편(13)이 삽입되기 시작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선단부(13a)가 걸리는 부(29a)(29b)의 전방경사 캠부에 접촉하여 걸리는 부재(25)는 박판 스프링(30)의 수평부(32)의 상층을 하방으로 눌려지면서 하방으로 접동하고 나중에는 계지편 절결부(13b)(13c)가 걸리는 부(29a)(29b)와 상하로 겹치는 위치로 오면 걸리는 부재(25)를 눌러두는 힘이 없어져서 걸리는 부재(25)는 뛰어 올라가 계지편(13)은 걸리는 부(29a)(29b)의 후방 수직 계지부에 의하여 록이된다.
이 록상태가 제4a도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록 상태에서는 계지편(13)을 인출하려고 하여도 그 힘은 걸리는 부재(25)의 폭방향의 재료에 의하여 받아지며 최종적으로는 기본부재(14)에 의하여 받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 구조는 상당히 큰 힘을 받어낼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 에서는 기본부재(14)의 사각형 구멍(20)(21) 사이에 재료가 있기 때문에 계지부(13)가 삽입되어서 계지부(13)의 선단부(13a)가 걸리는 부재(25)에 의하여 상방향의 힘을 받어도 계지편 선단부(13a)는 기본부재(14)의 간격(15)내에서 뛰쳐나오는 일은 없다.
이에 비하여 사각형 구멍(20)(21) 사이의 재료가 없이 사각형 구멍을 하나로 하면 계지편 선단부(13a)가 간격(15)에서 뛰쳐 나올 염려가 있다.
또한 록상태에서는 박판 스프링(30)의 수직부(31)의 단부가 계지편 선단부(13a)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려나서 수직부(32)은 복원력을 축적한 압축된 상태에 있다.
다음 록상태에서 누르기 버턴(35)을 눌러서 해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5a도는 록상태에 있는 걸리는 장치(1)를 표시하며 계지편(13)을 제외하고 있다.
제5a도에서 록상태에 있어서 걸리는 부재(25)의 양측부(26)(27)와 누르기 버턴(35)의 전방 다리부(37)에 형성된 캠면(37a)(37b)와의 위치관계가 명확하여 질것이다.
즉, 록상태에서는 양측부(26)(27)는 캠면(37a)(37b)의 상방에 절결된 부분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걸리는 부재(25)는 상방에 접동한 위치에 있다.
여기서 제5b도와 가타이 계지편(13)을 해리하기 위한 누르기 버턴(35)을 스프링(50)의 힘에 저항하여 계지편 삽입 방향과 수직이며 내방으로 누르면 걸리는 부재(25)의 양측부(29)(27)가 누르기 버턴(35)의 캠면(37a)(37b)에 따라서 하방으로 눌러지게 된다.
따라서 걸리는 부(29a)(29b)의 후방 수직계지부가 계지편(13)의 하면에서 아래로 내려갔을때 재빨리 박판 스프링(30)의 수직부(31)보다 외방으로 힘을 가하여서 계지편(13)을 계지하는 것이 없어져서 계지편(13)은 외방으로 뛰쳐 나온다.
이렇게 하여 다시 제4a도의 상태로 돌아간다. 계속하여 본 실시예의 조립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하방커버(2)의 내면상에 형성된 돌기(4b)(4c) 사이에 박판스프링(30)이 재치된다.
다음 누르기 버턴 부세용 스프링(50)의 소정의 위치로 놓은 후 연결부품(18)이 결합되며, 그리고 걸리는 부재(25)가 하방에서 구멍(23)과 사각형 구멍(20)(21)에 들어간 기본부재(14)가 하방카버(2)의 지지면(2e) 및 누르기 버턴 부세용 스프링(50)의 직선부(51)를 지지부로 하여 하방카버(2)에 결합이 된다.
이때에 박판스프링(30)의 수직부(31)이 사각형 구멍(22)에서 상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누르기 버턴(35)의 요부(38)가 스프링(50)의 원형단(53a)(53b)과 잘 계합되어 돌기(39a)(39b)가 하방카버(2)의 절결홈(9a)의 홈(9b)(9c)내에 들어가며 그리고 전방 다리부(37)의 캠면(37a)(37b)이 걸리는 부재(25)의 양측부(26)(27)상에 재치되며 누르고 버턴(35)이 놓이게 된다.
최후로 상방카버(3)가 하방 카버(2)에 맞추어지고 고정이 된다.
여기서 조립완료가 되지만, 이 설명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부품을 실질적으로 재치만 함으로서 조립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기타의 특징을 설명하면 박판스프링(30)이 걸리는 부재 밀어올리는 작업과 계지편 밀어내는 작용을 담당할 수 있는 비교적 단순한 일체적인 스프링이기 때문에 부품수가 감소되어 조립이 간단한 됨과 동시에 이 스프링(30)의 형상을 본 실시예와 같이하면 계지편 접동방향에 거의 일치하는 방향의 계지편 압출력을 계지편에 작용시킬 수가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박판 스프링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하방카버(3)(2)에 의하여 형성된 실(5)의 후부공간에는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거기에서 록상태를 알리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등이 취부되는 등 취부품을 위한 공간확보가 어려움 없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제6도 내지 제9도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시이트 벨트용 벅틀 조립체의 걸리는 장치는 전체로서 부호(101)로 표시된다.
걸리는 장치(101)는 하방카버(102)와 상방카버(103)가 있으며 이들 상하방카버(103)(102)는 쌍방이 조합이 되여서 내부에 이하의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실(105)을 형성하고 있다.
상하방카버(103)(102)의 전방(제6도 좌방)의 측벽(107a)(106b)에는 각각 절결홈(107a)(10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방카버(103)(102)가 조합되었을 때 이들의 절결홈(107a)(106b)은 중공실(105)에 연속하는 계지편 삽입용 개구(108)을 형성한다.
상하방카버(103)(102)의 전후에 연장된 측벽(103a)(103b_(102a)(102b)은 각각 돌출된 측벽(103b)(102b)의 전방부재에는 누르기 버턴 조작용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결홈(110a)(109a)이 형성되여 있다.
이 개구는 계지편 삽입용 개구에 대하여 경사지게 열려서 상하카버(103)(102)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기본부재(114)의 지지면으로서의 수평단부(103c)(102c)이 형성되여 있으며 거기에는 기본부재(114)가 재치된다.
기본부재(114)는 한장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두장의 평행평면판(114a)(114b)으로 성립되며 이들의 평면판간에는 계지편 삽입용 간격(115)이 형성되여 있다.
따라서 긱본부재가 소정위치에 고정되었을 때 간격(115)은 그 전단부엔 계지부 삽입용 개구(108)에 연속함과 동시에 간격(115)의 두께는 계지편(113)을 받아들여서 안내를 하는데 충분한 것이다.
기본부재의 평행평면판(114a)(114b)의 후부에는 수직인 방향으로 갖추어진 구멍(116)이 천설되며 이 구멍(116)에 간격(115)내에 삽입된 차체등에의 연결 부재인 철판(118)의 구멍(11a)가 정열되여 있으며 여기에 리벳(119)이 박혀지며 이들의 양부재가 고착되어 있다. 이 기본부재(114)의 차체등에의 접속방법은 예시적인 것이다.
기본부재(114)이 상방 평면판(114b)의 전방부에는 가로방향으로 되여 두개의 걸리는 부재안내용의 거의 사각형 구멍(120)(121)의 바로 후방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박판스프링(130)의 수직부(131)가 간섭하지 아니하고 삽입되는 사각형 구멍(122)이 천설되여 있다.
한편 기본부재에 하방 평면판(114a)의 사상의 3개의 구멍(120)(121)(122)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각각 2개의 구멍(120)(121)은 연통된 형상의 구멍(124)(122)와 같은 구멍(123)이 형성되여 있다.
기본부재(114)의 하방 평면판(114a)의 절곡된 측단면(114c)가 하방카버(102)의 돌기(102d)의 측면에 당접함으로서 기본부재(114)의 중공실(105)내에 의하여 확실히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 돌기(102d)는 상하 카버(103)(102)의 소정의 조합을 확실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걸리는 부재(125)와 박판 스프링(130)은 제1실시예와 같은 것이다.
스프링(130)의 구멍과 하방카버 내면상의 돌기(104a)가 맞추어지며 이 돌기(103a)의 양측을 전후에 연장되는 양돌기(104b)(104c)의 사이의 박판 스프링의 수평부의 하방층이 감입됨으로서 박판 스프링(130)은 소정위치에 고설된다.
누르기 버턴(135)은 상하카버(103)과 (102)의 절결홈(110a)과 (109a)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에서 연장된 중공실내에 삽입되여 있다.
누르기 버턴(135)은 조작시에 손가락이 누를 수 있는 노즐면부(136) 누르기 버턴의 슬라이드 방향에 평행으로 연장된 2개의 다리부(137)(138) 이들 다리부를 연결하는 가교부(139)가 있다.
2개의 다리부(137)(138)의 상면에는 각각 서로 평행한 경사캠면(137a)(138a)가 형성되여 있다.
누르기 버턴(135)은 압축 코일 스프링(50)에 의한 개구의 외방향으로 부세되여 있다.
이 스프링(50)은 그 일단이 누르기 버턴(135)의 돌기(140)의 주위에 있으며 그리고 타단이 하카버(102)의 돌기(111)의 단부벽(111b)상에 있음으로서 소정위체 배치된다.
스프링(150)을 받은 돌기(111)의 자를 (111a)상에 상카버(103)의 돌기(112)가 걸쳐 있으며, 스프링(150)이 홈(111a)에서 뛰쳐 나오지 못하게 되여 있다.
또한 2개의 다리부(137)(138)와 가교부(139)로 포위된 공간내에 하방카버(102)의 돌기(111)가 들어감으로서 누르기 버턴(135)이 개구에서 외방향으로 뛰쳐나오지 못하게 되여 있다.
(141)과 (145)는 본 실시예에 주요부인 레버이다. 레버(141)(145)는 각각 축부(142)(146)긴 아암부의 단부에서 하방에 돌출된 누르기 버턴의 캠면(371a)(138a)와의 계합부(144)(148) 그리고 짧은 아암의 단부에 형성된 걸리는 부재(125)의 양측부 상단과의 계합부(143)(147)이 있다.
레버의 축부(142)(146)는 각각 상카버의 축수부(103e)(103f)에 받아 들여지며 그리하여 레버가 적당한 각도 범위에서 중공실(105)내에서 경사지게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상카버(103)의 단턱이 있는 내면부(103d)에 레버(141)(145) 전체가 들어가나, 그 단턱이는 레버의 경사지게 움직여서 운동중에 레버가 상카버(103)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151)은 기본부재(114)의 간격(115)내에 들어간 계지편(131)을 가이드하는 계시편 가이드이다.
계시편 가이드(151)는 기본부재(114)의 전단부와 계합하여 가이드(151)를 소정위치에 고정하는 요부(154a)(154b)(155a)(155b)를 형성한 전방부와 이 전방에서 후방에 연장된 U자 형상부로서 성립한다.
소정위치에 있어서 U자 형상부는 기본부재(114)의 사각형 구멍(122)(123)의 후방에 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좁은 폭의 부분에 대향하는 면(153)이 계시편의 가이드 면이 되며 그리고 넓은 폭의 부분(152)내를 걸리는 부재(125)가 상하로 접동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제8a도와 제9a도는 해이 상태에 있는 걸리는 장치(101)와 레버를 표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걸리는 부재(125)는 박판 스프링(130)에 의하여 상방에 접동된 위치에 있다.
이와 동시에 레버(141)(145)는 짧은 아암의 계합부(143)와 (147)은 밀어올려져서 긴 아암의 계합부(144)(148)를 밀어내리고 있다.
따라서 걸리는 부재(125)와 걸리는 부분 기본부재(114)의 하의 평면판(114a)에 천설된 구멍(124)의 레벨을 넘어서 평행평면판 사이의 간격(115)의 위치까지 오고 있다.
해리상태에 있는 걸리는 장치에 계지편 삽입용 개구(108)를 지나서 계지편(113)을 넣기 시작한 상태가 제8b도에 표시되여 있다.
계지편(113)이 삽입되기 시작하면 걸리는 부재(125)는 하향의 힘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걸리는 부재(125)는 박판 스프링(130)의 힘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접동하며 끝내는 계지편 절결홈이 걸리는 부와 상호로 겹치는 위치에 오면 걸리는 부재(125)를 눌러주는 힘이 없어져서 걸리는 부재(125)는 뛰어 올라서 계지편(113)은 걸리는 부의 후방수직 계지부에 의하여 록이 된다.
이 록상태는 제8c도에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태에서 박판 스프링(130)의 수직부와 단부가 계지편 선단부(113a)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려나서 수직부는 복원력을 축적한 압축된 상태에 있다.
다음 에 상태에서 누르기 버턴(135)을 눌러서 해리상태로 하는 조작을 설명한다.
록 상태에 있는 걸리는 장치(101)에 있어서 누르기 버턴(135)을 누르면 제9b도와 같이 레버(141)(145)의 긴아암과 계합부(144)(148)가 각각 누르기 버턴(135)의 경사캠면137a)(138a)에 의하여 밀려 올려진다.
그러면 짧은 아암의 계합부(143)(147)는 박판 스프링(130)의 힘에 대항하여 걸리는 부재(125)를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따라서 걸리는 부의 후방수직 계지부가 계지편(113)의 하면에서 하로 내려지는 시점에서 박판 스프링(130)와 수직부에서 외방에 부세되여 있는 계지편(113)을 계지하는 것이 없어져서 계지편은 외방으로 뛰쳐 나온다. 이렇게 하여 레버(141)(145)가 걸리는 부재(125)가 원래의 위치에 돌아온 후에 해리상태가 실현한다.
제2실시예는 이미 설명한 제1실시예의 특징에 부가하여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
걸리는 부재 조작수단을 누르기 버턴과 레버부재로 구성됨으로서 누르기 버턴의 조작성 및 해리성이 우수한 벅클 조립체가 일반적으로 실현되는 것은 이미 설명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명확한 것이다.
제2실시예에 의하여 말하면 누르기 버턴 조작용 개구를 계지편 삽입용 개구(108)에 대하여 경사지게 열려있는 위치로 가져오게 되며 이 실시예를 차량의 콘솔복스에 조립 연결하는 경우, 시이트 벨트 장착상태로 누르기 버턴 조작방향이 거의 수직이 되어서 누르기 버턴의 조작성이 향상되고 있다.
누르기 버턴(135)에 가해진 힘은 이 원래의 의하여 증폭되여서 걸리는 부재(124)에 전하여지기 때문에 해리성이 당연히 향상된다.

Claims (1)

  1. 계지편삽입구(8), 누르기 버턴 조작용 개구(11) 및 이 삽입구(8)와 개구(11)에 연통된 실(5)을 형성하는 상하부커버(3)(2)를 포함하는 커버수단, 계지편 삽입구(8)에 삽입된 계지편(13)을 걸기위해 실(5)내에 배치되며, 계지편 삽입구(8)에 계지편(13)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계지편 삽입구(8)와 연통되어 있는 계지편(13)의 안내와 계지편(13) 삽입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안내용의 사각형 구멍(20)(21)이 있는 기본부재(14) 그리고 구멍(20)(21)에 따라 상하로 접동 가능하게 계지편(13)을 안내 배치하며, 계지편(13)을 록 위치에 오도록 하기 위해 계지편(13)을 계지편 삽입구(8)에 삽입할때 걸리는 부재(25)와 안내공 수단을 따라 걸리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계지편(13)과 접촉되는 부분과 삽입된 계지편(13)이 록위치에서 걸리게 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는 걸리는 부재(25) 그리고 걸리는 부재(25)를 록위치로 부세하는 커버 부재내에 배치되는 부세수단을 포함하는 걸리는 수단 그리고, 상하부커버(3)(2)들 사이에 배치되며 누르기 버턴(25)조작 개구에서 커버(3)(2)의 평면과 평행하게 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르기 버턴(35)을 포함하고, 누르기 버턴(35)을 조작할 때 걸리는 부재(25)가 상하로 움직여지도록 하는 한쌍의 캠면(37a)(37b)을 가지는 걸리는 부재(25)의 조작수단등을 포함하는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
KR2019790003973U 1979-07-09 1979-07-09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 KR830002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3973U KR830002114Y1 (ko) 1979-07-09 1979-07-09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3973U KR830002114Y1 (ko) 1979-07-09 1979-07-09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69U KR830000169U (ko) 1983-04-30
KR830002114Y1 true KR830002114Y1 (ko) 1983-10-15

Family

ID=1921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790003973U KR830002114Y1 (ko) 1979-07-09 1979-07-09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1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69U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8567A (en) Buckle assembly for seat belt
US4262396A (en) Buckle assembly for vehicle seat belt
US4810203A (en) Electrical connector
US4382167A (en) Push-button switch
US5670762A (en) Push lock switch with dual function self-biasing slider contact
US3783204A (en) Multiple circuit control pushbutton switch assembly with improved pushbutton actuator latch bar mechanism and movable contacts
US9244480B2 (en) Control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push-button
KR830002114Y1 (ko) 시이트 벨트용 벅클 조립체
US4391023A (en) Buckle arrangement for seat belts
US4095059A (en) Interlocked push-lock push-button switch assembly having conductive muting spring
US5502366A (en) Battery pack coupler for camcorder with sliding lever
US4249053A (en) Push button switch
JPS6222172Y2 (ko)
US4870229A (en) Push-button switch with unlocking prevention assembly
US20220123501A1 (en) Plug connector with latch
JPH026582Y2 (ko)
JPH0334808Y2 (ko)
JP6603379B2 (ja) スライダー構造及びスライダー構造の形成方法
US4122316A (en) Push button switch assembly having independent operator interlock in at least two rows latching at least one operator
JPS5940809Y2 (ja) 安全ベルト用バツクル装置
JP3338894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629882B1 (ko)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S605465Y2 (ja) 操作釦装置
JPS6215943Y2 (ko)
KR970006313Y1 (ko) 전자제품의 밧데리 이탈방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