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949Y1 - 브러시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브러시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949Y1
KR830001949Y1 KR2019830002224U KR830002224U KR830001949Y1 KR 830001949 Y1 KR830001949 Y1 KR 830001949Y1 KR 2019830002224 U KR2019830002224 U KR 2019830002224U KR 830002224 U KR830002224 U KR 830002224U KR 830001949 Y1 KR830001949 Y1 KR 830001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upport plate
brush support
protruding piec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2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366U (ko
Inventor
다까이찌 마브치
Original Assignee
마브치 모오터 가부시끼 가이샤
마브치 겡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브치 모오터 가부시끼 가이샤, 마브치 겡이찌 filed Critical 마브치 모오터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30002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949Y1/ko
Publication of KR8300003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러시 지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제로서 고려된 브러시 지지장치의 한 예로서, 브러시 지지판에 브러시를 장착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브러시를 브러시 지지판에 장착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브러시 지지판의 한 실시예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브러시 지지판에 브러시를 장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브러시 지지판에 브러시를 장착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의한 브러시 지지판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브러시 지지판에 브러시를 장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절결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부분확대도.
본 고안은 브러시 지지장치, 특치 소형 모터의 정류자편에 대하여 접촉하는 브러시를 탄성력을 가미하여 고정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브러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모터에 있어서, 정류자편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브러시는 전도성 탄성재료 구성된 브러시 지지판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이 브러시 지자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이같은 브러시 지지판을 갖는 브러시 지지장치에 있어서는, 돌출편 자체에 의한 탄성력으로 브러시 헤드를 몰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시 헤드가 손상되기 쉽다. 즉, 브러시 지지판에 대한 브러시 지지수단으로서는 전도성 탄성재로된 브러시 지지판을 절취하여 단면 L자형의 돌출편을 형성하고, 이 돌출편 사이를 벌려 브러시를 삽입하여 상기 돌출편의 모서리사이에 브러시가 끼워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돌출편의 모서리가 취약한 성질을 가진 브러시 접촉면을 침식하여 몰려 있는 브러시 헤드를 손상하게 된다.
한편, 정류자에 대한 브러시의 접촉압력을 경감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더욱 더 브러시 지지판의 두께를 얇게하는 경향에 있고. 이에 부가하여 브러시 지지판 자체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브러시 지지판의 폭을 크게 설계해야하는 경향에 있다. 그러나 브러시의 폭에 비하여 상기 지지판의 폭을 크게 설계해야하는 경향에 있다. 그러나, 브러시의 폭에 비하여 상기 지지판의 폭을 극단적으로 크게 취하는 것은 모터 내부 공간을 고려하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브러시 지지판에 대한 바람직스러운 브러시 물림수단을 고려함과 동시에 브러시 지지판 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고려되지 않으면 안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브러시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하나의 목적은 브러시 지지판의 양 날개에 굽힘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브러시 지지판의 브러시 삽입구멍내에 단면 L자형의 돌출편을 마련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브러시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면 L자형의 돌출편을 장방형으로 형성된 브러시 지지판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각각 마련한 브러시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돌출편 양단에 절결홈을 마련하여 돌출편을 요동이 자유롭게 함과 동시에, 브러시의 몰림압력을 조정가능하게 하는 브러시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1은 브러시(예를들면, 카본 브러시), 2는 브러시 헤드, 3은 브러시 지지판, 4는 브러시 삽입구멍(7)의 주위 모서리로부터 각각 절취하여 형성된 돌출편, 5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 정류자부와 접촉되는 브러시 하단면, 6은 각각의 돌출편(4)에 계합하는 브러시 접촉면, 7은 브러시 헤드(2)가 삽입되는 브러시 삽입구멍, 8은 각각 브러시 지지판(3)을 보강하기 위한 굽힘부를 표시하고 있다. 브러시(1)를 브러시 지지판(3)에 장착할때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하여 브러시(1)를 브러시 지지판(3)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준다. 브러시헤드(2)는 돌출편(4)을 밀어 넓어지는 방향으로 억압하여 돌출편(4)의 탄성력, 즉 원상태로 복귀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브러시 삽입구멍(7)에 삽입된다. 그리하여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1)는 브러시 지지판(3)에 장착된다. 이 장착 공정후에, 브러시(1)는 브러시 접촉면(6)에서 돌출편(4)의 탄성력을 받아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러나, 이 종류의 브러시 지지장치에 있어서는 돌출편(4)에 의한 탄성에 의하여 브러시 헤드를 물어주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시 헤드가 손상되기 쉽다.
본 고안은 상기 브러시 지지수단이 돌출편의 모서리에 의해 탄성적으로 물려있는 데다 물려있는 브러시가 취약한 성질을 가진 재질로 되어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돌출편을 적극적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구성함과 동시에 브러시 지지판의 양 날개에 마련된 굽힘부의 탄성변형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려고 한 것이다.
이하 제4도 내지 제7도에 따라서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도 내지 제7도에 있어서, 3'는 브러시 지지판으로서 전도성 탄성재로 구성된 것이고, 4'는 각각 단면 L자형의 돌출편, 9는 각 돌출편(4')의 만곡부, 10은 각각 돌출편(4')의 양단에 형성된 절결험, 11은 각 돌출편(4')의 굽힘부, 12는 각 돌출편(4')의 기저부, 13은 굽힘부 (8)에 발생한 탄성변형부, 그외의 부호는 제1도 내지 제3도의 부호에 대응함을 각각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정류자에 대한 브러시(1)의 접촉 압력을 경감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더욱더 브러시 지지판(3')의 두께를 얇게하는 경향에 있고, 이에 부가하여 브러시 지지판(3')자체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브러시 지지판(3')의 폭을 크게 설계해야 하는 경향에 있다. 그러나, 브러시(1)의 폭에 비하여 상기 브러시 지지판(3')의 폭을 극단적으로 크게 취하는 것은 모터내부 공간을 고려하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 지지판(3') (제1도 내지 제3도의 경우, 3)의 양냘개에 굽힘부(8)가 형성된다. 상기 굽힘부(8)는 적어도 브러시(1)를 지지하는 범위에 마련하면 되며, 브러시 지지판(3,3')의 도시되지 않은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마련하는 것이 반드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즉, 브러시 지지판(3,3')에 있어서의 굽힘부(8)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정류자에 대한 브러시(1)의 접촉압력에 영향이 미침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돌출편(4')을 구성하는 굽힘부(11)와 기저부(12)와의 길이 ℓ(제7도 참조)는 브러시 지지판(3')의 두께 t (환언하면, 돌출편(4')의 두께 t)의 대략 수배정도이다.
이로 인해 돌출편 자체가 갖는 탄성력을 이용하는 것은 브러시(1)의 헤드(2)를 손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고안에서는 제4도 및 제5도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4')의 양단에 절결홈(10)을 마련하여 돌출편(4')이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구성한다. 즉, 돌출편 자체의 탄성력을 원인으로하여 양 날개에 마련된 굽힘부(8)의 탄성 변형을 일으키도록 한다. 브러시 지지판(3')에 브러시(1)를 장착시킴에 있어, 브러시 지지판(3')과 브러시(1)를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하고, 브러시(1)를 브러시 지지판(3')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준다. 그러면 브러시 헤드(2)는 돌출편(4')의 기저부(12)를 밀어 넓어지는 방향으로 억압하여, 굽힘부(8)의 탄성 변형을 촉진시키며 브러시 삽입구멍(7)에 삽입되어진다. 이 장착공정시에 있어서, 브러시(1)는 브러시 접촉면(6)과 돌출편(4')의 굽힘부(11)가 접촉관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삽입된다. 그리고 브러시(1)가 장착된 브러시 지지판(3')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형상을 가지며, 굽힘부(8)가 상기 브러시(1)의 삽입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넓어지려는 탄성변형을 받아, 상기 굽힘부(8)의 탄성 력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또한 이경우, 굽힘부(8)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홈(10)이 예를들면 굽힘부(8)에 도달할수 있도록 배치된다. 물론, 절결홈(10)의 들어간 깊이는 굽힘부(8)의 변형에 의해서 발생하는 탄성력의 강도를 원하는 값으로 하기위해 이용되며, (가)브러시 지지판(3') 자체의 두께 t나, (나)굽힘부(8)의 높이등에 의해 적합하게 결정된다. 즉 상기 (가), (나)의 조건에 의해서는 절결홈(10)의 들어간 깊이가 반드시 굽힘부(8)까지 도달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역으로 절결홈(10)의 들어간 깊이가 굽힘부(8)의 다리부를 절취하는 상태로 끼워넣을 필요가 생길때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4도 및 제5도의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굽힘부(8)의 탄성변형이 상기 브러시 지지를 위한 지지력에 도움을 주는 작용을 하는데는 변함이 없다.
또한 제4도 내지 제7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상태에 있어서, 예를들면 굽힘부(8)를 형성하지 않고 평탄하게 연장시킨 브러시 지지장치를 고려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경우, 상기 절결홈(10)의 들어간 부분에서 돌출편(4')이 브러시 지지판(3')에 대하여 요동하여 브러시 지지판(2)의 탄성 번형을 이용하는 형태도 있다. 이때, 상기 브러시 지지판(3') 자체의 탄성 변형에 의한 탄성력을 브러시헤드(2)가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약하게하면은, 상기 절결홈(10)의 들어가는 깊이를 매우 깊게할 필요가 생긴다. 이와 같이 하면, 브러시 지지판(3')의 기계적 강도가 그에 수반하여 약화되며, 브러시 지지판(3')의 기계적 강도를 크게하기 위하여 브러시 지지판(3')의 폭을 크게하면 상기 탄성력이 바람직하지 않게 크게되며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에 대해 본 고안의 경우, 상기 굽힘부(8)를 브러시 지지판(3')의 평판부로부터 분리하여 탄성변형을 주게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는 브러시 지지판(3')의 길이 방향에 연하여 L자형을 갖는 돌출편(4')을 절취하여서로 대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제8도 내지 12도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형태의 브러시 지지판(3')의 길이 방향에 연하여 마련된 L자형의 제1 돌출편에 부가하여 브러시 지지판(3')의 폭방향에 연하여 마련된 L자형의 제2돌출편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8도 내지 제12도에 있어서, 14는 브러시 지지판(3')의 폭방향에 제공된 제2돌출편, 15는 제2돌출편(14)의 기선, 16은 제2 돌출편(14)이 접촉하는 브러시 헤드의 접촉면, 17은 절결홈(10)의 각부(角部), 기타부호는 제4도 내지 제7도에 대응한다.
따라서, 브러시 지지판(3')에 브러시(1)를 장착시키면, 브러시 헤드(2)는 제1돌출편(4')의 기저부(12) 및 제2 돌출편(14)을 밀어 넓어지는 방향으로 억압된다. 그리고 브러시(1)는 브러시 삽입구멍(7)에 삽입되므로, 브러시 접촉면(6)과 제1 돌출편(4')의 만곡부(9)가 접촉 관계를 가지며, 따라서 기저부(12)는 비스듬히 올라간 상태로 삽입된다. 이 경우, 브러시 지지판(3')은 굽힘부(8)가 상기 브러시(1)의 삽입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넓혀지도록 탄성변형을 받아, 이 굽힘부(8)가 원상태로 복귀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의해 제1돌출편(4')을 통하여 브러시(1)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굽힘부(8)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결홈(10)이 제공되는 것은 상기 설명한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다. 그리고 상기 절결홈(10)은 장방형에 한정되지 않고, 점선으로 도시한 것 같이 각부(17)는 각을 없애고 둥글게하고, 이에 따라 돌출편의 탄성력을 원하는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절결홈(10)은 제12도에 도시된 사선부분을 제거하여 제2돌출편(14)의 기선(15)을 넘어 더 절취하여도 된다.
한편, 브러시 지지판(3')의 폭 방향에 위치한 제2돌출편(14)의 기선(15)은 상기 굽힘부(8)가 외측으로 넓혀지는 탄성 변형에 의해 중앙부가 상방으로 볼록해지는 만곡 변형을 받는다. 이 상태가 점선으로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결과, 제2돌출편(14)은 제11도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브러시(1)측을 누르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상기 제2돌출편(14)의 상변이 브러시헤드(2)의 접촉면(16)을 억압하며, 따라서 브러시에 대한 종방향 및 횡방향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브러시 지지판의 길이 방향에 연하여 그 양날개에 굽힘부를 마련하고, 그위에 상기 굽힘부에 대하여 돌출편을 요동이 자유롭게 함으로서, 브러시를 탄성 지지할대 브러시 헤드에 손상을 주지않는 브러시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브러시 지지판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각각 돌출편을 마련한 다음 각 돌출편 양단에 절결홈을 각각 제공함으로서, 브러시의 탄성지지시에 종방향 및 횡방향의 이동이 없으며, 더구나 탄성지지력의 조정이 가능한 브러시 지지판이 제공될수 있다.

Claims (1)

  1. 브러시 삽입구멍이 형성된 탄성재료로 구성되고, 브러시 헤드를 상기 브러시 삽입구멍에 삽입시켜 브러시를 탄성지지하는 장방형의 브러시 지지판을 구비한 브러시 지지장치에 있어서, 브러시 지지판(3')의 양 날개에 굽힘부(8)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브러시 삽입구멍(7)의 주의 모서리에 단면 ㄴ자형의 돌출편(4')을 설치하고, 이 돌출편(4')의 양단에 절결홈(10)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편(4')이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굽힘부(8)가 탄성 변형을 받으므로서 생기는 탄성력에 의해 브러시 헤드(2)를 상기 돌출편(4')을 통해 탄성적으로 물어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지지장치.
KR2019830002224U 1979-10-08 1983-03-14 브러시 지지장치 KR830001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2224U KR830001949Y1 (ko) 1979-10-08 1983-03-14 브러시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448 1979-10-08
KR2019830002224U KR830001949Y1 (ko) 1979-10-08 1983-03-14 브러시 지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448 Division 1979-10-08 1979-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66U KR830000366U (ko) 1983-04-30
KR830001949Y1 true KR830001949Y1 (ko) 1983-09-27

Family

ID=7016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2224U KR830001949Y1 (ko) 1979-10-08 1983-03-14 브러시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9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66U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838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890003938Y1 (ko)
KR910003908Y1 (ko) 전기 접속기
JPH02501422A (ja) 電気コネクタ
JP3264647B2 (ja) シールド板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4795374A (en) Double sided edge connector
US4547964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printed-circuit board connector
US11196207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protective cover
US4431933A (en) Brush holding device
EP1414113B1 (en)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connecting method
US5199555A (en) Push button switch
US6149468A (en) Card edge connector
KR830001949Y1 (ko) 브러시 지지장치
US6461175B2 (en) IC card connector with grounding terminal member
EP1037226B1 (en) Push switch
US6431898B1 (en) Card connector
JP2000164284A (ja) 端子保持機構
GB1594497A (en) Electrical connector
JPH04269413A (ja) 押釦スイツチ
US3015797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larizing key
US5151046A (en) Electrical terminal which has overstress protection
US5147214A (en) Electrical terminal which has overstress protection
KR830002420Y1 (ko) 브러시 지지장치
US4542582A (en) Relay assemblage and a method of forming same
JPH04148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607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