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753B1 - 손톱 손질 장치 - Google Patents

손톱 손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753B1
KR830001753B1 KR1019790002392A KR790002392A KR830001753B1 KR 830001753 B1 KR830001753 B1 KR 830001753B1 KR 1019790002392 A KR1019790002392 A KR 1019790002392A KR 790002392 A KR790002392 A KR 790002392A KR 830001753 B1 KR830001753 B1 KR 830001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manicure
unit
casing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882A (ko
Inventor
디 · 부리안 폴
Original Assignee
도니닉 엠 · 메자펠
브리스톨-마이어스 컴페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니닉 엠 · 메자펠, 브리스톨-마이어스 컴페니 filed Critical 도니닉 엠 · 메자펠
Priority to KR101979000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753B1/ko
Publication of KR830000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Landscapes

  • Knitting Machin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손톱 손질 장치
제1도는 바람직한 형태의 손톱 표피 압압기의 부분 절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일부의 확대도로서 캠 치(齒) 형상을 보여주는 측면도.
제3도는 제1도 압압기의 각종 가동 부품들의 반경방향 상호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절제 단부도.
제4도는 손가락의 손톱 표피부에 사용되는 상태의 표피 압압기의 사시도.
본 발명은 손톱 손질을 위한 매니큐어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식 매니큐어 유니트의 회전운동을 적합한 압압 부재의 유연하고 짧은 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 손톱 표피(cuticle)를 밀어내어 손톱을 손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매니큐어 유니트에 장착될 수 있는 효과적인 표피 압압기 또는 표피-압압기 부착구를 제공하고 위한 다양한 시도가 행해져 왔다. 이들은 수동으로 표피를 밀어내는 통상의 오랜지막대(orange stick)로부터 진동식 혹은 회전식 동력시스템과 함께 사용하는 좀더 복잡한 기구에까지 여러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동식 매니큐어 유니트에 관한 기술경향의 관점과, 특히 비교적 익숙치 못한 사람에게도 적합한 휴대용 밧데리 작동 매니큐어 유니트의 요구의 관점에서, 전동식 유니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쉽게 결합되거나 혹은 교환될 수 있고 익숙치 못한 사람에 의해서도 피해 또는 고통스러운 결과 없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표피 압압기가 요구되어 왔다.
미국특허 제1,988,581호와 미국특허 제2,008,920호는 표피 계합부재에 왕복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판형 또는 테이블형 동력 유니트의 회전운동을 전환시키기 위한 부착구를 기술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1,988,581호는 손도구가 설치된 긴 와이어를 왕복운동시키는 회전식 동력유니트를 사용하는 판형 매니큐어 유니트를 기술하고 있다. 그 손도구는 그의 흠속에 삽입할 수 있는 다양한 매니큐어 기구의 생크(shank)를 수용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 기구는 손도구내의 공구 계합 슬라이드 왕복 운동체에 의한 진동운동에 의해 표피에 작용되는 표피 계합 오렌지막대를 가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2,008,920호는 회전식 마찰유니트를 포함하고 회전력이 각종 매니큐어 기구와 함께 사용되는 손도구에 주어지는 전동식 매니큐어 유니트를 기술하고 있다. 또한 손도구에 주어지는 회전력을 표피 압압부재에 사용할 수 있는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내부 캠을 갖는 전환유니트가 기술되어 있다. 그 전환유니트는 캠 표면의 적극계합을 유지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피 계합 시스템들은 대형이고 값비싼 매니큐어 장치에만 적합하게 되어 있다. 유사한 장치가 또한 미국특허 제2,033,552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표피 압압막대에 왕복운동을 주기 위해 손도구내 격막을 이용한다.
좀 더 소형이며 편리한 형태의 매니큐어 유니트와 관련하여 이용되는 진동식 및 왕복형태의 수동 유니트인 표피 압압기구가 미국특허 제1,719,063호 및 1,719,064호(진동구동을 이용)와 미국특허 제2,880,737호에 기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2,880,737호는 회전운동을 표피 압압기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워엄 구동기구를 이용한다.
그러나 최근래에 매니큐어 기술이 밧데리 작동식이고 자체수용식의 매니큐어 유니트로 발전되었고, 그러한 유니트에서 발톱 및 손톱 손질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극히 편리한 유니트로서 손톱을 긁어내고 다듬기 위해 각종 회전 기구들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유니트는 한손으로 작동 및 조절이 가능하며, 이러한 조절을 가능케 하도록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볍게 되어 있다.
가장 편리한 현대식 매니큐어 유니트가 본 발명자의 미국특허출원 제683,854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출원에 설명된 유니트는 이 유니트를 사용할 때 도려내어짐, 갈라짐 혹은 기타 우발적인 사고등의 불의의 재해를 막기 위해 커다란 공구의 작동속도를 매우 느리게 하기 위해 낮은 호전속도로 대직경 매니큐어 기구를 구동시키는 간결한 밧데리 구동식 기구이다.
이러한 매니큐어 유니트에 의해 성취되는 잇점과 유용성은 그들의 목적에 성공적이고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유니트의 균형과 유용성을 필연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종래의 표피압압 유니트와 부착구는 특히 매니큐어 기술의 최신의 진보에 관련하여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못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장치는 유니트에 취부하기 위한 장착부를 갖는 케이싱과 압압부재의 회전을 허용하지 않고 왕복운동만을 허용하는 구멍을 통하여 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비회전표피압압부재로서 구성된다. 상기 압압부재는 매니큐어유니트의 회전출력 부재에 맞물리는데 적합하게된 회전 전달기구에 설치된 링형태의 캠치와 정렬되어 있는 링형상의 캠치를 포함한다. 그 캠치들은 압압부재에 종방향의 압력이 작동될때 외에는 서로간에 맞물림으로부터 벗어난 채 그 캠치들을 유지하기 위한 압축 가능한 재료로 된 중간링에 의해 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링은 반대편 캠치들 사이에 배출될 수 있는 적절한 윤활제를 함유할 수 있는 다공질물질로서 형성되며, 캠치로부터 외부로 윤활제가 흐르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억제부재로서 밀폐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식 매니큐어 유니트에 신속 설치 가능한 표피압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운동을 압압부재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회전식 매니큐어 유니트에 신속 설치될 수 있는 자체 내장식 표피 압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압압부재에 높은 주파수이지만 저폭의 왕복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회전운동을 압압부재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자체 내장식 수단은 가지고 회전 매니큐어 유니트에 신속 설치될 수 있는 표피 압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목표물에 접촉하며 장치의 종방향 내측으로 압압부재가 압축될때까지, 대향캠들의 분리를 유지키 위한 바이어싱 부재와, 회전 운동을 압압부재의 고주파수이지만 저폭의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힌 자체 내장식 다중 캠 구동 수단을 갖는 회전식 매니큐어 유니트를 위한 표피 압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상의 대향된 캠치들이 매니큐어 유니트의 회전운동으로부터 왕복운동을 제공하고 캠치에 배출되기 위한 윤환제로 포함하는 다공성물질로된 환상의 탄성부재에 의해 맞물림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구성으로된, 회전 매니큐어 유니트에의 표피 압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표피압압기는 본인의 상기 미국특허출원 제683,854호에 기술된 매니큐어 유니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그 압압기는 그가 사용될 특정형상의 매니큐어 유니트에 사용될 수 있도록 장착 및 구동부품을 적절히 개조함으로서, 다른 회전형 매니큐어 유니트와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 표피 압압기는 보통 원통형의 부분(2)와 끝이 가는 전방부분(3)을 갖는 케이싱(1)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부분은 그의 작은 단부부분(5)에 계란형구멍(4)을 가지고 있다. 구멍(4)은 케이싱의 외부에 돌출하도록 압압 부재(6)의 계란형 주(主) 부분을 비교적 느슨하게 수용한다. 케이싱속에서 압압부재(6)은 그 부재의 길이와 케이싱의 축에 직각으로 연장된 횡 플랜지(7)를 가지고 있다. 그 플랜지의 전방표면(8)은 케이싱에 대해 약간 의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로 되어 있다. 모서리(9)는 전방 케이싱벽과의 사이에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재의 내부는 그의 길이를 따라서 보어(10)을 가지도록 중공으로 되어있고, 플랜지(7)의 앞쪽으로 뻗어있는 원통형 보어(11)을 가진다. 그 원통형 보어(11)은 플랜지(7)의 중심선상에 위치된다.
플랜지(7)의 후면에는 다수의 캠치(cam teeth), 즉 톱니(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치들은 보어(11)과 동심의 링으로 대칭으로 분포되고 보어(11)과 치사이 중간에서 플렌지(7)상에 편편한 견부(13)을 형성하도록 그 보어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 플랜지는 그의 외주에 원형 외부 플랜지 연부(14)를 제공키 위하여 외부 치들의 링 외측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다.
원통형 보어(11)은 전동부재(16)의 원통형 전방 연장부(15)를 헐겁게 수용하며, 그 전동부재(16)은 횡격벽(19)의 베어링 보어(18)내에 수용되는 후향연장 원통형 슬리이브(17)를 통하여 케이싱의 원통형 부분(2)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전방부분(15)와 슬리이브(17)은 각각 원통형 보어(11)과 베어링 보어(18)내에 회전식으로 장착됨으로써 전동 부재(16)를 위한 회전축을 형성한다.
전동부재(16)는 다수의 톱니, 즉 구동 캠치(21)을 가진 횡 플랜지(20)를 가지고 있고, 그 캠치들은 전방연장부(15)와 동심의 링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플랜지(7)의 치(12)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전동부재의 치(21)은 탄력성의 링(23)이 헐겁게 설치될 홈(22)를 제공하기 위해 전방 연장부로부터 플랜지(20)상에서 외측으로 떨어져 있다. 플랜지(20)의 최외측 부분은 톱니를 둘러싸고 압압부재의 외측 플랜지 연부(14)에 근접위치하는데 충분한 거리만큼 전방으로 연장된 스커트(skirt) 부분(14)를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외부플랜지 연부(14) 및 스커트 부분(24)는 스커트 내에 형성되는 체임버를 위한 원형의 조인트 또는 밀폐부를 형성한다.
전동부재 플랜지(20)는 그의 후방표면에, 서로간에 그리고 슬리이브(17)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1쌍의 동심 환상 리브(rib)(25, 26)을 가지고 있으며, 그 리브들은 베어링 보어(18)을 통하여 케이싱의 내부로 외부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라비린스 시일(labyrinth seal)을 형성하기 위해 격벽(19)상의 환상리브(27, 28)와 결합된다.
제2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바람직한 형태의 톱니, 즉 치(12) 및 (20)은 각각 첨단부(31) 및 (32)와 완만한 경사부(29) 및 (30)을 가지고 있다. 첨단부(31) 및 (32)는 그 첨단부들에 의해 강요되는 왕복동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압압부재가 급격이 철회되도록 하기 위하여 캠 작용 표면을 제공하는 급경사표면(33) 및 (34)를 가지고 있다.
그 치들은 각 링에 동일수의 치들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각 링에 12개의 치들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특정 매니큐어 유니트의 회전속도에 관련된 선택으로서 치의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압압기는 표피조직에 고통없이 홈을 형성하기 위해 약 1미리리터의 폭으로 초당 60회 가량의 왕복운동 속도로 압압부재를 왕복운동시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하는 바에 따라, 치들이 맞물러서 그들이 차지하고 있는 환상 영역 주위에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는한, 치 링들중 하나는 다른 링의 치의 수보다 적은수의 치를 가질 수 있다.
탄력성 링(23)은 대향된 캠 링의 치를 위한 적절한 윤환제가 들어있는 개방 구멍을 가진 다공성 합성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러한 물질의 탄성을 또는 바이어싱(biasing) 효과는 압압부재상에의 축력이 없을 때는, 서로 대향된 캠 링들이 분리상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면 족하고, 캠 작동을 개시하는데 있어서 최소의 힘이 요구되도록 표피에 대한 압압부재의 가벼운 압력에 의해 아주 쉽게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부재(16)은 그의 중심부에, 회전식 매니큐어 유니트의 구동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6각형보어(35)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동력 커플링 장치가 특정 매니큐어 유니트에 적합하도록 전동부재(16)에 이용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하우징의 원통형부분은 매니큐어 유니트 부분과 결합되기 위한 장착돌출부(36)을 가지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른 장작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 유니트는 작동 단부가 구멍(4)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압압부재가 케이싱 속으로 삽입합으로서 조립된다. 전방 연장부(15) 주위에 느슨하게 장착되고 홈(22)에 설치된 탄력성의 링을 갖는 전동부재는 연장부(15)가 압압부재의 원통형 보어내에 수용될 때까지 삽입된다. 다음, 이 조립체는 케이싱내에 격벽(19)를 배치하고 초음파 용접과 같은 적절한 수단으로 고정시킴으로서 완성된다.
사용시, 표피압압기를 매니큐어 유니트의 하우징과의 마찰 접촉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간단히 매니큐어 유니트에 결함시킨다. 매니큐어 유니트에 동력이 부여되면, 전동부재가 유니트의 출력축과의 연결에 의해 회전된다.
그러나 압압부재는 탄력성 링(23)의 바이어스(bias)에 의해 연장위치에 유지되고, 그리하여 그의 플랜지의 치(12)는 회전하는 전동부재의 치와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압압부재에 대해 길이쪽으로 약간의 압력이 가해지면, 탄력성 링은 대향하는 치와 맞물리는데 측분하게 찌그러짐으로서, 표피에 대한 압압기 공구가 빠르지만 적은 폭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압압부재는 그의 계란형 부분과 계란형 구멍(4)의 맞물림에 의해서 회전하지 못하게 억제된다.
축방향으로 휘어진 정도의 표피와의 접촉으로부터 압압부재를 제거한 때 탄력성 링의 바이어스가 치들을 분리시켜 전동부재를 압압부재와의 구동결합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따라서, 신규한 표피압압기가 최신형 매니큐어 유니트의 요구와 잇점에 완전히 부응되는 장착 및 사용상의 편이함 및 용이함을 제공해주며, 또한 압압기 팁이 특히 편리하고, 빠르며, 적은폭의 왕복운동을 행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1)

  1. 케이싱, 그 케이싱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동부재 및 상기 케이싱내에 왕복동 가능하게 설치된 손톱 표피 압압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압압부재의 왕복동 축과 정렬된 구멍이 케이싱에 형성되어 그 구멍을 통하여 압압부재의 일부분이 연장되어 있는 회전식 매니큐어 유니트용의 손톱 손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재가 그의 회전축 주위에 대칭으로 배열된 다수의 구동캠 치들을 가지고 있고, 상기 압압부재는 상기 구동 캠 치에 대항하여 배치되고 상기 전동부재의 회전축 주위에 대칭으로 배열된 다수의 폴로어 캠 치, 상기 두동 캠치와 상기 폴로어 캠 치를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게하는 바이어싱 수단, 상기 압압부재가 상기 전동부재와 함께 회전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수단 및 전동부재가 회전식 매니큐어 유니트에 구동 결합되도록 그 매니큐어 유니트에 상기 케이싱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및 구동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손질 장치.
KR1019790002392A 1979-07-18 1979-07-18 손톱 손질 장치 KR830001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392A KR830001753B1 (ko) 1979-07-18 1979-07-18 손톱 손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392A KR830001753B1 (ko) 1979-07-18 1979-07-18 손톱 손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82A KR830000882A (ko) 1983-04-28
KR830001753B1 true KR830001753B1 (ko) 1983-09-03

Family

ID=1921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2392A KR830001753B1 (ko) 1979-07-18 1979-07-18 손톱 손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7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82A (ko) 198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9850A (en) Accessory device for toothbrushes
US4375815A (en) Retractable lancet assembly
CA2302740C (en) Dental handpiece with axial displacement bearing
US4582060A (en) Tattooing tool and needle assembly for use therein
CA2081358A1 (en) Dental tool having rotating and roto-reciprocating motions
KR100188466B1 (en) Device for transplanting small diameter hair grafts
US4199160A (en) Surgical drill chuck
ATE287666T1 (de) Verbesserte chirurgische schneidezange
EP0135327A1 (en) Dental appliance
BR8108841A (pt) Instrumento descartavel para fixacao cirurgica
DK145772B (da) Manicureapparat indeholdende en batteridrevet motor og et manicurevaerktoej
US4636171A (en) Dental polishing tip
US5067836A (en) Lipstick key chain attachment
US4084280A (en) Tooth brush
US3475817A (en) Portable holder for dental tools or the like
KR830001753B1 (ko) 손톱 손질 장치
US4175573A (en) Manicure attachment
US4012841A (en) Device for fixing a dental drill into a rotor
US2351705A (en) Screw driver
ATE116832T1 (de) Nadeleinheit für knocheninnenraum.
US3965569A (en) Cutting apparatus
US3420250A (en) Electric manicurist power handle
US4328819A (en) Vibrating nail trimmer
US2873527A (en) High speed angle hand piece
US3152593A (en) Hair extra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