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659B1 - 파스너용 고강도 앵카조립체 - Google Patents

파스너용 고강도 앵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659B1
KR830001659B1 KR1019790003429A KR790003429A KR830001659B1 KR 830001659 B1 KR830001659 B1 KR 830001659B1 KR 1019790003429 A KR1019790003429 A KR 1019790003429A KR 790003429 A KR790003429 A KR 790003429A KR 830001659 B1 KR830001659 B1 KR 830001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anchor assembly
wall
coll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525A (ko
Inventor
윌리압 맥쉐리 토마스
핸리 갈휠드 나타니알
Original Assignee
엔. 에취. 갈휠드
메카니칼 프라스틱스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에취. 갈휠드, 메카니칼 프라스틱스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엔. 에취. 갈휠드
Priority to KR1019790003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659B1/ko
Publication of KR830001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Dow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스너용 고강도 앵카조립체
제1a도, 제1b도 및 제1c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앵카조립체의 제 1 실시형태를 각각 보인 분해사시도, 부분사시도 및 측면도.
제2a도와 제2b도는 본 발명 제 2 실시형태의 부분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사시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각 사시도.
본 발명은 스크류 볼트 등과 같은 기다란 파스너(fastener) 부재와 함께 중공형벽에 피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한 개선된 블라인드 앵카링(blind anchoring)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국 특허 제4,075,924호(1978년 2월 28일자 Thomas McSherry) 외에 기술된 형태의 개선된 앵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특허 문헌에는 한쌍의 가요성인 기다란 각부(脚部)와 각부의 단부에 인접하여 결합된 기다란 앵카부재로 구성된 앵카조립체가 기술되어 있다. 각부는 앵카부내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다. 이 각부는 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앵카부재를 탄성적으로 편향되게 하는 횡방향 만곡 단부와 같은 탄성수단을 갖는다.
실제로 가요성 각부는 앵카부재가 각부축으로 경사져 앵카부재를 벽 또는 천정의 구멍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만곡된다. 그리고 각부의 횡방향 만곡단부는 앵카부재를 그 횡방향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편향되고, 적당한 칼라수단이 앵카와 칼라사이의 벽을 협지토록 각부를 따라 밀어 올려진다.
이 앵카조립체는 여러모로 유용한 반면에 각부에 만곡단부와 같은 탄성 편향수단의 존재와 각부를 위한 가요성의 필요로 각부에 유효한 최대강도를 제한하는 경우가 있다.
다른 형태의 앵카조립체가 미국 특허 제4,043,245호(1977년 8월 23일자 Stanley Kaplan)에 기술되어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각부가 앵카부재의 협소부를 가로질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으며, 각 각부는 천공된 플랜지내로 삽입된 트러니언(trunnion)을 통하여 앵카부재의 일측에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결점은 각 각부가 단지 일측부에서만 앵카부재에 지지되는 것이다. 구멍에 삽입된 트러니언은 힘이 없으므로 만약 이를 당기면 각부가 빠져 나오고 만다. 더우기 앵카 부재의 협소부를 가로질른 각부의 간격은 앵카의 최소크기를 제한하며 벽에 보다 큰 구멍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측부가 없는 벽에 의하여 제한된 구멍내에 기다란 파스너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개선된 앵카조립체를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기다란 각부 부재, 각부 부재의 인접한 한쌍의 단부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 대향 단부 부분에서 각부에 연결되는 천공된 앵카부재와 엥카부재와의 사이에 벽부분을 협지하기 위하여 각부에 착설된 칼라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의 개선점은 각 각부에 양측에서 앵카부재로부터 플랜지를 종방향으로 맞추거나 앵카의 협소부분을 가로질러 착설하기 위한 그들의 횡방향측을 따라 정렬되는 연결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는 각 구성부품을 분리하여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앵카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이 앵카 조립체(10)는 한쌍의 기다란 직립각부(11)로 구성된다. 이 각부(11)는 비록 저 강도 장치용으로는 탄력적이기는 하나 비교적 견고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같은 탄성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각부(11)에는 다수의 톱니(12)로 구성된 대향 톱니면이 형성되어 있다.
각부의 하단부(13)는 브릿치(bridge)(14)로 연결되어 있고 견인링(15)이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부의 고정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브릿지와 함께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각부(11)의 상측단(16)에는 각 각부의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연결주(17)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들 연결주는 각부를 체널부재(channel member)(18)에 연결되게 한다.
체널부재(18)는 강철판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체널형의 단면형태인 중간판체(19)와 이로부터 하향 연장된 플랜지(20)를 자진다. 이 플랜지는 중간판체로부터 직각으로 만곡되어 있으나 90°보다 작은 각도, 예를들어 80°의 각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앵카부재는 플랜지가 중간판체에 수직일 때보다 압축력에 대한 저항이 더욱 크다.
중간 판체에는 볼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기다란 파스너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나선공(21)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플랜지(20)에는 연결주(17)의 돌출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한쌍의 연결공(21A)(21B)이 천설되어 있다. 각 각부의 연결주는 채널부재의 짧은 쪽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두 횡방 플랜지(20)의 각각에 형성된 연결공에 삽입된다. 이러한 연결공의 하나는 연결주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환상 연결공(21A)으로 구성하고 다른 하나는 일측 각부를 타측 각부로부터 멀리하거나 가까이 할 수 있도록 기다란 슬로트(21B)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칼라(22)는 상향연장된 플랜지(24)를 갖는 평면상의 기부(基部)(23)로 구성된다. 이들 플랜지(24)와 기부(23)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재질로 하는 것이 좋다. 직립플랜지(24)에는 대향된 위치에 톱니부재(26)가 형성된 슬로트(slot)(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로트(25)는 칼라(22)와 각부(11)의 조립을 완벽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슬로트(25)를 향하여 각부 부재(11)를 안내하는 테이퍼형 채널(27)과 연통되어 있다.
이 조립체는 제1c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부의 전개정도를 고려하여 탄성 재질의 링과 각부를 사출성형하고, 칼라를 사출성형한 다음 최종 각도보다 약간 작은 각도로 플랜지와 함께 채널부재를 성형함으로서 간단히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채널은 연결주(17)와 정렬된 연결공(21A)(21B)을 가진 앵카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각부의 상측단상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플랜지는 최종 각도로 만곡되어 채널부재의 양측에 각 연결주가 결합되는 것이다.
앵카조립체는 채널부재(18)의 길이보다 작은 크기의 벽에 형성된 구멍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1b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벽에 형성된 구멍에 채널부재(18)를 삽입하는 것은 채널부재가 각부(11)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이 될 때까지 환상의 연결공(21A)에서 연결주에 대하여 연결장치로서 사용되는 채널부재를 회동시키므로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채널부재를 벽의 구멍을 통하여 삽입후 이를 놓아 주면 각부(11)의 스프링탄력에 의하여 채널이 제1c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래의 횡방향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각부(11)에 대하여 칼라(22)를 밀어올려 각부(11)의 톱니(12)와 칼라의 톱니(26)가 결합고정되게 하므러서 앵카 조립체의 취부공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각부를 칼라를 통하여 당기면 벽은 칼라와 채널부재(18)사이에서 효과적으로 협지된다. 각부의 나머지 부분은 잘라 버릴 수 있으며, 파스너는 칼라를 통하여 삽입하고 나사로 부착하므로서 채널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직선상의 각부와 채널의 양측에 연결한 힝방향 연결주의 조합은 앵카 조립체의 부하지지능력을 배가시킨다. 더우기 슬로트형 연결공은 슬로트에서 활동하는 연결주가 벽에 삽입과정중 가요성하여야 할 필요성이 최소한으로 줄어들 수 있으므로 비교적 견고한 각부의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는, 플랜지(20)의 슬로트(21B)를 중간판체(19)에 슬로트를 형성하여 대체할 수 있고 각부가 연결주 대신에 공지의 프러니언연결구로서 이에 활동 가능하게 맞출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비교적 견고한 재질의 각부를 사용할 수 있게 하나 그 연결상태는 연결주의 사용으로 얻어진 것에 미치지 못한다.
제2a도 및 제2b도는 양측 연결공(21A)(21B)이 연결주(17)의 직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a도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제2b도는 벽구멍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상태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 앵카조립체는 일측각부(11)가 하향외측으로 만곡될 수 있도록 일측 연결주(17)에 대하여 회동된다. 대향단부에서 타측 각부(11)에 고정된 각부, 즉 만곡된 일측각부(11)에는 회동에 대한 스프링탄력이 생성되고, 앵카가 구멍을 통과하면 일측 각부(11)에 생성된 탄력으로 앵카가 횡방향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만곡단부형 각부를 이용한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이 구조의 잇점은 앵카를 횡방향의 본래 위치로 복귀되게 하는 탄력이 비교적 큰 곡률반경상에서 생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칼라와 앵카사이에 협지된 후 용이하게 잘라 버릴 수 있는 플리스틸렌과 같은 비교적 깨지기 쉬운 플라스틱재질로서 각부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깨지기 쉬운 재질의 각부는 부가적인 공구 없이도 손으로 예리하게 구부려 잘라낼 수 있는 것이다.
제 3 도는 제 1 도 실시형태의 톱니가 형성된 각부 대신에 평탄한 각부(30)와 제 1 도의 칼라부재 대신에 구멍(32)이 형성된 기부(31)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각부(30)에는 기부(31)와 칼라부재 사이에서 파스너(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벽이 협지될 때에 채널부재(18)의 플랜지(20)사이에서 각부가 절첩될 수 있도록 절결부(33)의 형태로 힌지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실시형태는 응력이 적은 경우에 적합히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천공된 단일 플라스틱봉(40)이 채널부재(18) 대신에 사용되고 이봉(40)이 연결주와 연결공을 이용하는 대신에 최소폭의 접착으로 각부(30)에 취부된 것이 제 3 도와 상이하다. 회동 방지돌기(41)를 기부(30)에 유리하게 배치하거나 또는 다른 기계적인 기술로 취부시킬 수 있다.
이는 제4b도에서 보인 형태로 단일 구조체와 같이 사출함으로서 간편히 제조될 수 있다. 먼저 플라스틱 앵카봉이 약간 벗어난 위치에서 각부 부재와 성형된 후, 봉(40)은 각부에서 회동되고 염 또는 초음파 접착 기술로서 각부에 결합된다.

Claims (1)

  1. 일측면이 없는 벽의 구멍내에 기다란 파스너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다란 적어도 두 개의 각부 상기 각부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 그 대향 단부에서 상기 각부에 결합된 천공형 앵카부재와, 상기 앵카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벽을 협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부에 고정된 칼라부재로 구성되는 형태의 앵카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앵카부재가 한쌍의 연결공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를 갖는 채널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각 각부가 그 상단에 상기 연결공을 통하여 상기 앵카부재의 상기 각 플랜지를 맞추기 위하여 횡방향으로 연결주가 형성된 직선부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용 고강도 앵카조립체.
KR1019790003429A 1979-10-06 1979-10-06 파스너용 고강도 앵카조립체 KR830001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429A KR830001659B1 (ko) 1979-10-06 1979-10-06 파스너용 고강도 앵카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429A KR830001659B1 (ko) 1979-10-06 1979-10-06 파스너용 고강도 앵카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525A KR830001525A (ko) 1983-05-17
KR830001659B1 true KR830001659B1 (ko) 1983-08-22

Family

ID=1921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429A KR830001659B1 (ko) 1979-10-06 1979-10-06 파스너용 고강도 앵카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6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525A (ko) 198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4156A (en) High strength anchor assembly for fastener
US3241797A (en) Fastening strap
US5609435A (en) Connectors for frame bars with T-shaped grooves
US3643989A (en) Dowel for extruded sections of plastics material
KR950701415A (ko) 물품을 고정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서 고정된 한쌍의 물품(a method of attaching articles and a pair of articles fastened by the method)
US3951367A (en) Fastener
RU2187870C2 (ru) Вставной дюбель
IT208781Z2 (it) Morsetto ad espansione per il collegamento di estremita'concorrenti di componenti tubolari, per strutture reticolari ed altro.
KR910015760A (ko) 콘크리트 완성품을 위한 강철편 콘크리트 앵커(anchor)
US3370391A (en) Resilient structural beam
US4509710A (en) Cable clamp
US3254462A (en) Flexed panel wall construction
OA08393A (fr) Dispositif de support d'éléments de couvertures mobiles.
KR830001659B1 (ko) 파스너용 고강도 앵카조립체
US3248840A (en) Fastening device
US4136599A (en) Plastic screw grommet
US4236846A (en) Tube joint
KR960027119A (ko) 케이블 클램프
US4748785A (en) Support member for reinforcing steel
US3163264A (en) Joint for securing structural members
US4337555A (en) Wire gripping device
RU2114329C1 (ru) Дюбель
KR102625518B1 (ko) 방충망 파지장치
GB2179419A (en) Joining planar members at right angles
SU608895A1 (ru) Элемент арк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