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378B1 - 환등기 - Google Patents

환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378B1
KR830001378B1 KR1019790003487A KR790003487A KR830001378B1 KR 830001378 B1 KR830001378 B1 KR 830001378B1 KR 1019790003487 A KR1019790003487 A KR 1019790003487A KR 790003487 A KR790003487 A KR 790003487A KR 830001378 B1 KR830001378 B1 KR 830001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exchange
picture
hold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585A (ko
Inventor
악케레트 페터
Original Assignee
페터 헬프링, 페터악케레트
리친페스트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터 헬프링, 페터악케레트, 리친페스트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페터 헬프링, 페터악케레트
Priority to KR101979000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378B1/ko
Publication of KR830001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환등기
제 1 도는 교환매거진 삽입중의 본 발명에 따른 환등기의 사시도.
제 2 도는 교환매거진을 왕복시켜 그림을 교환하는 것을 도시하는 제 1 도와 같은 사시도.
제 3 도는 환등기의 평면도.
제 4 도는 다른 교환매거진의 규격에 맞추어 호울더를 조절하는 상태도.
제 5도 및제 6도는 서로 다른 규격의 교환매거진을 삽입시킨 제 4 도의 호울더의 도시도.
제 7 도는 호울더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종단면도.
제 8 도는 환등기의 한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변형 세부도.
제10도는 제 8 도 환등기의 평면도.
제11도 내지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도시도.
제16도 내지 제18도는 교환매거진내의 그림을 확대시켜 볼 수 있는 조명식 확대투시기의 도시도.
제19도 내지 제21도는 교환매거진 호울더에 관한 환등기의 작용 요소들과, 교환작용 및 호울더의 회전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
제21(a)도는 제21도의 변형예의 도시도.
제22도는 회전가능 호울더에 대하여 정지교환장치를 가진 환등기의 사시도.
제22(a)도는 제22도 환등기에 관련한 개략도.
제23도는 교환매거진 호울더의 단면도.
제24도는 교환매거진의 측면도.
제25도는 교환매거진을 삽입시킨 호울더의 사시도.
제26도는 교환매거진과 교환장치와의 사이에 가능한 커플링의 도시도.
제27도는 가능한 커플링중 1예에 대한 2가지 변형예의 도시도.
제28도는 2가지의 가능한 자동 왕복 기구의 도시도.
제29도는 왕복기구의 일부 확대 측면도.
제30도 내지 제32도는 다른 가능한 왕복기구의 도시도.
제33도는 제28도의 교환장치용의 여러가지 형태를 가진 교환매거진의 도시도.
제34도는 일정왕복 교환장치용의 여러가지 형태를 가진 교환매거진의 도시도.
제35도는 다른 형태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
제36도는 제35도의 36-36선 단면도.
제37도는 제35도의 37-37선 단면도.
제38도는 교환 및 회전구동기의 평면도.
제39도는 교환 및 회전구동기의 측단면도.
제40도는 교환 및 회전구동기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
제41도는 교환 및 회전구동기의 제 2 실시예의 측단면도.
제42도는 제40도 및 제41도 실시예의 구동기와 교환상자 사이의 커플링장치의 확대도시도.
제43도는 교환 및 회전구동기의 제 3 실시예의 평면도.
제44도는 교환 및 회전구동기의 제 3 실시예의 측면도.
제45도는 특히 정 4 각형 그림용으로 매우 소형으로 제작가능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46도는 회전 원반 주연부에서 지지시킨 호울더를 가진 실시예의 도시도.
제47도는 제46도의 장치용 교환장치의 도시도.
제48도는 제47도의 화살표 48방향에서 본 정면도.
제49도는 교환매거진 삽입용 플랩장치를 가진 실시예의 사시도.
제50도는 제49도의 종단면 도시도.
제51도는 교환동작을 위한 왕복운동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마스크장치의 평면도.
제52도는 제51도의 화살표 52방향에서 본 도면.
제53도는 모우터 작동식 교환용의 커플링 장치의 도시도.
제54도는 제53도의 평면도.
제55도는 호울더와 동시에 움직이는 환등기의 비임경로중의 격막장치의 정면도.
제56도는 제55도 장치의 측단면도.
제57도는 제40도 내지 제42도와 유사한 교환구동기의 사시도.
제58도는 구동장치에 인접한 환등기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제57도의 58-58선의 수직단면도.
제59도는 호울더내로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교환매거진의 사시도.
제60도는 호울더내의 걸쇠장치의 단면도.
제61도 및 제62도는 제59 및 60도의 변형예의 도시도.
제63도는 제62도의 정지핀의 확대단면도.
제64도 및 제65도는 제59 및 60도의 다른 변형예의 도시도.
제66도는 제65도와 같은 것으로 교환매거진을 적당하게 삽입시킨 상태의 도시도.
제67도는 교환매거진이 잘못 삽입된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 제64도내지 제66도 장치의 도시도.
제68도는 본 발명의 이론에 따라 작동하는 복사기의 사시도.
제69도는 제68도 복사기의 평면도.
제70도는 제68도 복사기의 수직단면 도시도.
제71도 내지 제72도는 제69 및 70도와 유사한 제 2 실시예의 복사기의 도시도.
제73도 내지 제74도는 각각 제 68 및 70도와 유사한 제 3 실시예의 복사기의 도시도.
본 발명은 환등기 또는 일반적으로 상을 투영시켜서 직접 보거나 또는 재생시킬 목적으로 불투명 그림이 상부조명에 노출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그림"이란 용어는 사진인쇄물과 같은 그러한 시이트 부재상에 물리적으로 구현된 시각정보를 말하는 것이며, 또한 "상"이란 용어는 스크린이나 판상에 광학적으로 투영시킨 시각정보의 상을 말한다. 또한 화면이란 용어는 사용시에 상의 촛점이 맞추어지는 투영기(환등기)내의 평면을 말하는데, 이 평면은 유리판과 같은 그러한 면에 의해 물리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기술될 것이다.
상부조명 투영기 또는 "환등기"는 10여년동안 공지되어 왔다. 투영될 그림은 강력한 광원에 의해 조명을 받게 되고, 그 상은 반사경장치나 투영기에 의해 스크린, 판, 또는 벽상에 형성된다. 종래의 환등기에서, 그림은 환등기의 화면 위에 또는 그 아래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투영후에는 그림은 손으로 교환되는데 이와같은 취급은 어렵고 복잡하다.
그러므로, 그림 교환작업을 기계화한 것을 이미 시도되었다. DE-PS 162 085는 그림이 구획실내에 쌓여져서 폐쇄된 운반체인에 의해 화면으로부터 수집용기로 각각 이송되는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이 환등기는 영사기에서 사용할 수 있게끔 된 것이다. DE-OS 2128 117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드럼에 감긴 그림들이 투영되거나 또는 카드형 그림들이 화면을 가로지르는 회전식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된다.
첫번째로 언급한 장치에서는, 칫수가 모두 동일한 각각의 그림들은 이송체인에 물려서 화면으로부터 밀어서 이송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두껍고 빳빳하며, 또한 영사기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속도를 가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림은 투영후에 파일내에서 다시 원래의 순서대로 놓여지도록 재배치되어야 한다. 두번째 언급된 장치의 결점은 느슨한 상태의 카드를 처리할 경우 역시 고유한 것으로서, 상기 인용된 공보는 각각의 그림들을 파일로부터 제거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며,이 그림들을 환등기를 통하여 정확한 위치에 어떻게 이송시키는지에 대해서는 기술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결점들을 제거한 장치, 즉 투영될 한 세트의 그림들이 투영순서에 따라 미리 분류된 단위로서 환등기 속으로 삽입된 다음, 아무런 간섭이나 조정없이 투영되고, 마지막으로 그러한 단위로서 제거되며, 그 다음에 다음 셋트가 동일한 방식으로서 처리되는 환등기 또는 조명식 투시기내의 그림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각각의 그림들을 손으로 취급하는 것은 완전히 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다. 교환매거진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하우징 내에서, 하우징의 조망창쪽을 향한 균일한 칫수를 갖는 일단의 그림들은 바이어스장치에 의해서 창쪽으로 압력을 받게된다. 하우징내에서 왕복가능한 상자를 당기면 하우징으로부터 한장의 그림(보통 하우징의 창에 가장 가까이 있는 그림)이 제거되고, 이 그림은 다시 그림더미의 반대쪽으로 인가되므로서 그림이 교환되는데, 이렇게 교환이 된 후에 다음의 그림이 투영되기 위해 화면에 대하여 충분히 압력을 받게 된다.
이와같은 그림확대투시기들은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843/78, 2844/78 2845/78, 2846/78 2873/78 및 2883/78호에 기술되어 있다.
매거진 내에 들어 있는 그림들은 모두 동일한 칫수를 갖지만, 환등기내의 호울더는 칫수가 서로 다른 매거진도 삽입시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될 수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로는, 상자를 왕복시키는 것이 호울더내에 삽입된 매거진과 함께 수동으로도 할 수 있지만,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환등기 또는 추가의 장치에 모우터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등기는 근본적으로 두가지 공지된 디자인상에서 구별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 상기 두가지 디자인은 공지된 완전양화교환투영기(diapositive exchange projectors)와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교환장치는 환등기 자체에만 이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환등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도 아니지만, 그림더미를 수용해서 저장하는 매거진내에 제공된다. 얼핏보면 이것은 비경제적인 것처럼 보일런지 모른다. 그러나, 환등기에 일체로된 교환장치는 실제로 먼지보호, 온도감도, 마오와 균열에 대한 내식성, 및 기타 여러가지 관점에서 볼때 상당히 복잡한 요구조건들을 충족시키지 않으면 안되지만, 상기한 바와같은 그러한 교환매거진은 극히 경제적인 방식으로서 최신재료와 현대식 제조방식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있다. 한편, 매거진내에 들어있는 교환장치는 그림이나 기타 정보기재물들을 동일한 순서로 연속하여 매거진내에서 직접 볼 수 있게끔 해준다. 예를들면 투영을 하기전 그림들의 적당한 방향을 점검하거나 또는 회의 준비시에 그림들의 방향에 주의를 하지 않고 또한 환등기나 투영기가 준비작업용으로 사용할 필요없이 그림교환작업을 수회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므로 환등기용 교환매거진은 그림들을 순서정연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해주며 환등기의 외부에서 그림들을 볼 수 있게끔 해준다. 이러한 해결책은 이미 존재하는 환등기류를 근소한 노력으로도 변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말한다면, 상이 형성되고 환등기의 일부를 매트스크린판으로 형성하며 그 뒷쪽으로부터 조명을 받게되는 투영스크린 대신에, 재생장치를 또한 환등기의 상형성부에 배치하여 각각의 그림더미를 자동으로 복사할 수도 있다. 이 장치는 또한 같은 방식으로 조명식 투시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당한 세부적인 설명과 유리한 특징들은 이하에서 간략하게 기술될 것이다.
각 매거진은 같은 칫수의 그림들을 지닌다. 그러나, 매거진 그 자체는 여러가지 칫수로 하여 서로 다른 칫수의 그림들을 담을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이러한 착상은 특히 사진류에 적용할 수 있지만 사진류에 대한 서로 다른 칫수의 수효는 비교적 적다. 그러므로, 양호하게는, 환등기는 칫수가 서로 다른 매거진이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다른수정이 없이도 투영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칫수의 그림이 투영될 때 투영된 상은 추가로 조치를 취하지 않는한 그림의 칫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광학기구 및 투영스크린 또는 매트스크린판의 칫수는 우선 가장 큰 매거진의 칫수에 적합하게끔 하고, 작은 칫수의 매거진을 삽입할 때는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매거진의 칫수를 면밀히 검사하여 작은 그림도 최대의 크기로 투영시키기 위해 광학기구가 교환될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 투영스크린 또는 매트스크린판은 정사각형으로 설계하고, 정사각형의 변의 길이는 투영될 상의 최대변 길이에 맞춘다.
그러한 스크린 또는 매트스크린판에 대해서, 정사각형이 아닌 상은 높이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투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매거진에서는 적어도 몇번은 가로방향의 그림들과 세로방향의 그림들이 서로 엇갈리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서 환등기는 원격으로 조정하므로서 높이방향에서 길이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장치를 갖게 될 것이다. 또한, 이와 반대로 교환상자 및 모우터구동장치를 포함하는 매거진을 회전시키거나, 환등기의 투영부분 전체를 회전시키거나, 심지어는 광학장치에 의해 각각 90°씩 상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투영시킬 그림들에 암호나 부호를 표시하거나 그러한 기호들을 환등기 내의 투영시킬 매거진의 외부에 표시하여 높이 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로 자동으로 전환시킬 수가 있다.
그림교환장치가 매거진내에 장치되므로, 교환동작(수동으로 교환상자를 교환)시에는 적어도 매거진 부분만은 투영중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환등기내의 매거진의 위치에 관계없이 높이방향 또는 가로방향용 회전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환등기에 모우터 구동장치를 제공하여 교환상자를 작동시키게끔 한다. 이때, 환등기의 다른 부분에 관련하여 매거진을 회전시키므로서 높이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위치가 변한다면, 적어도 둘 이상의 90°오프세트 위치에서, 양호하게는 4가지의 모든 가능한 위치에서도 교환동작을 할 수있도록 모우터 구동장치를 설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한 기능들은 원격조정으로도 가능하다.
투영시킬 그림을 화면의 평면내에서 항상 같은 높이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림은 매거진내의 압력판에 의해 압력을 받게된다.
이 압력장치는 매거진내의 그림더미의 높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되며, 그림을 교환할 때에는 압력을 이완시켜서 가능한한 그림을 최대로 보호해주게 된다.
교환동작시, 매거진의 교환상자는 매거진 자체를 끌어당겨 환등기 내에서 견고하게 결합하게 해주므로서 교환동작중 화면방향으로나 화면에 평행한 방향으로도 그 위치를 바꾸지 않게된다. 여기서 제공된 결합장치는 키이의 동작에 의해, 결국은 원격조정에 의해서 해탈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매거진은 삽입중 바이어스된 스프링에 의해 튀어나오게끔 설계된다.
칫수가 다른 그림의 교환과 이에 따른 매거진의 교환시, 환등기의 결합장치는 매거진의 크기에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결합장치는 투영시킬 그림에 가지런히 놓인 화면부분이 투영되지 못하도록 하는 격막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매거진에는, 투영하지 않고 그림들을 직접 보기 위하여, 예를들면 투명 플라스틱으로 만든 투명원판의 창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환등기는 매거진의 삽입시(양호하게는 손으로 밀어서 삽입할 때) 상기 원판을 밀거나 툭쳐서 투영시킬 그림들이 양호한 광학특성을 가지며 환등기의 화면을 형성하는 유리판에 직접 접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매거진의 플라스틱창에 생긴 긁힌흔적은 투영된 상에 더이상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그림에는 매거진의 외부에 또는 양호하게는 매거진 자체내에 음향정보와 함께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 그러한 정보를 재현시키기 위하여 환등기에는 음향재생장치가 설치되며, 그림교환 및 음향정보교환은 매거진의 교환상자의 작동에 의해 양호하게 작동된다. 음향정보의 재생은 원격조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특징들은 비교적 소형의, 간단하고도 저렴한 조명식 투시기에서 뿐만 아니라, 복잡한 반자동 또는 완전자동의 환등기에서도 별도로 또는 조합시켜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환등기는 일체로된 매트스크린판을 가지거나, 또는 대형투영판상에 투영시키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이들 두가지 기능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매거진은 모우터 구동장치에 의해 교환되는 것이 양호하지만, 그림들을 매거진호울더의 어떠한 회전 위치에서도 교환할 수 있게끔 된 설계는 일반적으로 구조가 복잡한 대형장치를 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모우터의 구동장치를 환등기의 하우징내에 정지시켜서 그 호울더의 한 적당한 회전위치에서만 매거진에 연결시켜 줄 수 있게 한다면 상당히 간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적당한 회전위치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이유로 일반적으로 가로방향 투영위치가 된다. 이러한 설계는 특히 사진인쇄물과 함께 사용하게끔 된 것이다.
경험에 따르면 거의 예외없이 가로방향의 그림들은 모두 같은 방향을 가진다. 왜냐하면 사진은 카메라를 뒤집어서 사용할 하등의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높이방향의 사진에 대해서는 카메라가 오른쪽이나 왼쪽방향으로 약 1/4회전 선회하는데, 오른쪽 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높이방향의 그림들은 카메라를 비정상적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가로방향의 그림들보다 더 드물다. 정 4각형에 대해서는 가로방향의 그림들에 관련하여 상술한 설명이 적용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인쇄회사로부터 이미 분배된 카세트에서, 대부분의 그림들(즉, 정 4각향 및 가로방향의 그림들)은 공통의 "정확한"방향으로 놓여지고, 또한 대부분의 높이 방향의 그림들(오른쪽 방향의 것)은 제2의 공통의 "정확한"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호울더에 끼울 카세트나 매거진의 각각의 설계에 따라 매거진을 회전시키지 않고도 그림교환작업을 거의 모두 행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그림교환시에 이러한적당한 위치에서만큼은 불필요한 조작상의 손실이 일어나지 않으며, 또한 그림을 적당한 위치로 되돌려주는 그림교환작업을 위한 위치(하나 또는 다른 높이방향의 위치)가 필요하지 않게된다. 사용자가 매거진내의 모든 높이방향의 그림들을 정확하게 투영시키기 위한 두개의 방향중 하나만 선택해야 한다면, 두개의 매거진회전 위치가 필요하게 된다. 한가지 적당한 위치는 그림교환이 가능한 위치(가로방향 투영위치)이고, 또 하나의 위치는 이것에 대하여 90°회전시킨 높이방향의 위치이다. 소수의 왼쪽방향의 그림들만 그 높이방향의 그림들로부터 재분류되어야 하는 반면에 다른 그림들은 모두 인쇄회사에 의해 투영할 수 있도록 분류될 것이다.
각 그림이 교환된 후 호울더가 상기한 양호한 위치로 되돌아간다면 이것은 결점이 아니라 오히려 사용자에게 유익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러한 양호한 위치, 즉 회전에 관련하여 고정된 위치에 대해서만 모우터구동장치를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것은 설계상의 어려운 점들을 경감시켜준다. 한가지 어려운 점은 안정을 요하는 소형의 부품들을 가지고 작업하는 것이다.
모우터구동장치는 호울더와 함께 회전하는 부품이 없어서 하우징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가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에게 유리하며 제작비용 또한 경감된다.
물론, 매거진을 투영평면에 대하여 정확히 위치시켜서 뒤집힌 상이 발생하지 않게끔 호울더내로 끼워야 한다.
다시 말하면, 한손에는 매거진을 들고 다른손에는 호울더를 들고 8가지의 가능한 매거진의 위치중의 하나에 결합시켜야 한다.
대부분의 사진인쇄물은 3가지 규격, 즉 9cm×9cm, 9cm×11.5cm, 9cm×13cm의 규격을 가진다. 각각의 규격은 다른 방식의 매거진 교환작업을 요한다. 정상적으로는 각각의 그림규격에 대하여 그 칫수에 적당한 장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작비용은 생산량의 증가에 따라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매거진이나 교환구동장치를 어떤 수만큼 규격에 맞도록 제작하거나, 환등기를 더이상 수정하지 않고 어댑터 장치를 교환하므로서 조립될 수 있게끔 설계해주는 것이 양호하다. 이것은 또한 소매상의 재고량 보유에 대해서도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환등기의 다른 여러가지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환등기 하우징(3)에는 촛점조정장치(15)를 지니는 투영기(1)가 설비된다. 매거진호울더(2)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360°까지 하우징(3)에 대하여 회전할 수가 있으며, 그림매거진(17)용 삽입구(16)를 포함한다. 매거진(17)은 제 1 도의 화살표(18)방향으로 밀어넣어져서, 환등기의 매거진호울더(2)내에서 그 하우징(4)에 꼭끼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제 2 도에는 매거진이 삽입된 슬라이더(7)를 그 손잡이(6)를 잡고 호울더내에 끼워져 있는 매거진하우징(4)의 밖으로 당기고 또한 그림을 교환하기 위해 다시 밀어넣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그림더미(8)를 넣기 위한 슬라이더(7)의 개구는 상향으로 개방되고, 필요할 경우 재거하거나 또는 다른 것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각각의 교환시 마지막으로 투영된 그림이 상부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끔 하는것이 유리하다. 호울더(2)의 회전에 대해, 환등기하우징(3)은 핸들(5)에서 지지되며, 또한 환등기가 테이블 등의 위에 올려놓기에 너무 무겁지 않는한 슬라이더의 왕복시에는 계속 지지될 수 있다. 물론 호울더(2)의 회전중에도 위에서 아래로 삽입된 그림들을 호울더(2)가 180°회전한 후에도 정확하게 투영된다. 마찬가지로, 높이방향 및 가로방향 사이의 교환이 가능하다.
슬라이더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대신에 전기모우터를 가지는 구동장치를 환등기에 장치하여 이 구동장치를 원격으로 조종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구동장치는 하우징(3)에 대하여 호울더(2)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반대로, 호울더(2)의 회전운동을 모우터구동식으로 하고, 필요하다면 원격으로도 조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일단 삽입시킨 매거진은 투영광학장치(1)에 대한 위치에서 유지되어 상을 투영스크린상의 동일위치에서 항상 투영시키게끔 한다. 또한, 교환매거진의 하우징(4) 위에는 투명한 창을 설치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창은 투영광학장치(환등기내의 반사경)쪽으로 향하여 그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매거진 하우징(4)내의 스프링에 의해 그림들은 투명창에 밀착되고, 투영광학장치(1)의 촛점이 일단 적당하게 조종이 되면 매거진 하우징내의 모든 그림들에 대하여 촛점이 적당하게 유지되며, 매거진을 교환할때에는 대개의 경우 근소한 공차만 허용하게 된다. 매거진하우징(4)의 투명창을 그림지지수단으로 사용한다면 환등기를 화면의 평면에서 개방시킬 수가 있다.
또한, 호울더의 실내에 다수의 매거진들을 제공하여 그림들을 프로그램에 따라 차례로 투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대신에, 다수의 매거진 교환장치가 환등기의 하나의 실내에 조립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그림을 확인하거나 그림을 신속하게 접근시켜주는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환등기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매거진호울더에 대한 상세한 것은 제 4 도에서 제7도를 참조로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대개는 서로 다른 여러가지 그림 칫수들이 가능하기 때문에, 호울더는 각각의 매거진칫수에 자동으로 맞게끔 설계되어야 한다. 예를들면 사진인쇄물들은 대개 9cm×9cm, 9cm×11.5cm, 또는 9cm×13cm의 칫수를 갖는데 이와같은 사진인쇄물의 칫수에 맞는 매거진들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사진인쇄물들도 여러가지의 규격들이 있는데, 다른 규격들도 보편화될 것인지는 단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 4 도에서 제7도에 도시된 호울더는 주어진 띠폭(band width)내에서 매거진의 어떤 칫수에도 일치하게끔 설계한다. 호울더는 두개의 측면 다이어프램(9, 10)을 포함하는데, 이들 다이어프램(9,10)의 하부에서 매거진하우징(4)을 화살표(21)방향으로 채널(도시되지 않음)속으로 밀어넣게 되면 상기 다이어프램(9,10)은 화살표(20)방향으로 바이어스 스프링에 대하여 각각 밀려난다. 횡단 다이어프램(11)은 매거진이 횡단 다이어프램(11)의 채널내로 삽입되면 바이어스 스프링(22)에 대하여 뒤로 밀린다. 제 5 도와 제6도에는 칫수가 서로 다른 두개의 매거진의 위치와 그에 따른 다이어프램(9,10,11)의 위치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제 6 도에는 또한 매거진하우징(4)의 잠금요홈(23)에 잠금레버(14)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잠금요홈(23)은 칫수가 서로 다른 매거진에서 항상 이 위치에서, 즉 구획실(16)의 앞쪽벽(24)으로 부터 같은 간격만큼 떨어져서 형성된다. 잠금레버(14)가 이탈되면 매거진은 스프링(22) 또는 다른 보조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밖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양호하게는, 호울더와 매거진을 칫수가 서로 다른 모든 매거진들이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잠금요홈(23)의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다.
제 7 도에는 투영시 그 하부에 그림을 가진 창부분만 투영되고 매거진의 프레임에 대한 상은 형성되지 않도록, 다이어프램의 덮개부분(12)이 매거진의 조망판(25)에 형성된 프레임(13)의 위에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4도,제5도 및 6도에 횡단다이어프램(11)의 매거진쪽을 향한 단부에 펠트(felt)로 양호하게 만들어진 스트립(28)이 제공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펠트스트립(28)은 매거진의 호울더상에서 환등기에 구비된 유리판에 접하여 매거진 교환시에 유리판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 사실상 광원에서 나오는 높은 열때문에 이 유리판을 냄각시켜주는 것이 필요한데, 이것은 광원에 대해서도 필요하다. 이와같은 냄각은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의 반대편의 표면으로부터 행한다.
제 8 도에 도시된 환등기는 두개의 주요부분으로 구성된다. 쪽, 발(32)의 위에서 지지되는 투영기 하우징(30)과, 핀(3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가 있고 상기 하우징(30)의 하부에 배치된 호울더 조립체(36)로 구성된다. 핀(34)은 발(32)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지지판(38)위에 형성된다. 투영기 하우징(30)은 정사각형의 형상(제10도 참조)을 가지며 호울더조립체(36)는 두개의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발사이의 공간내에 끼워져서 완전히 360°회전할 수가 있다.
반사경(40)의 상부에는 송풍채널(44)이 갖추어진 방사상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기(4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광원(46)주위의 냉각공기를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투영기 하우징의 하부를 형성하는 유리판(50)과 삽입된 매거진(17) 사이의 공간(48)으로부터도 공기를 배출시킨다. 공기는 간극(52)과 호울더의 펠트스트립(54)에 의해(또는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잡한 밀봉(54')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지나가게 된다. 이러한 밀봉수단은 주위의 광선도 동시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광원의 작동시간은 스위치의 온-오프 횟수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그림교환사 광원을 소동시키는 것은 피해야 한다. 종래의 환등기에서는 각각의 그림들에 대하여 매번 상당한 점멸을 행해왔다. 본 발명에 따른 환등기에서는 그림교환시에도 연속하여 그림을 볼 수가 있기 때문에 이와같은 문제는 별로 심각하지 않다. 그러나, 교환순간에 촛점이 맞추어지지 않은 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매거진 교환상자와 함께 차단판을 설치하는 것(또는 상자나 가속된 구동장치에 의해 상을 이동시키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차단판은 그림을 교환할 때 투영이 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차단판은 또한 매거진이 필요한 회전(가로방향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동)을 할 경우 상이 투영스크린에 나타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마지막으로 차단판의 개방은 적당한 횟수의 그림교환시에, 적당한 조절장치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11도에는 일체로된 투영스크린위에 투영하는 환등기의 광학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매거진(300)의 조망창에 배치시킨 그림을 램프(301)로 조명하고 또한 반사기(302)와 거울(303)에 의해조명도를 높여준다. 대물렌즈(304)는 상을 임의의 비율로 확대시켜서 스크린(305)위에 투영시킨다. 이 장치는 하우징(306)내에 제공된다.
제12도에는 일체로된 스크린이나 별도로 설치된 판위에 선택적으로 투영하는 광학적인 윈리가 도시되어 있다 .매거진(300)내의 그림을 조명하는 것은 제11도와 비슷하다. 대물렌즈(307)는 두가지의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질 수있다. 그 하나는 스크린위에 투영시키기 위한 고정위치이고, 다른 하나는 판위에 투영시키기 위한 조정할 수 있는 위치이다 .거울(308)도 원하는 투영방식에 따라 그 위치를 바꾸어야 한다.
제13도에는 제12도와 같은 광학적인 원리가 되시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스크린에 대한 그림(300)의 위치만 수정되었다. 매거진(300)내의 그림을 조명하는 것은 제11도와 유사하며, 대물렌즈(309)의 이동과 거울(310)의 회전을 제12도와 유사한 방법으로행 한다.
거울(310)의 한쪽면은 확산 투영을 위하여 평면으로 형성하고 그 반대쪽면은 오목거울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거울은 스크린 위에 투영시키기 위한 것으로 촛점거리를 감소시켜준다.
제14도 및 제15도에는 매거진내의 최상부 그림을 스크린이나 판위에 선택적으로 투영시키기 위한 다른 광학적인 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도 그림을 조명하는 것은 제11도와 유사하다.
원하는 투영방식에 따라서 광학장치(311)를 세로축에 배치시킨다. 최고위치(제14도)에서는 대물렌즈가 스크린위에 상을 투영시킨다. 다른 위치에서는 광선경로가 거울(313)과 대물렌즈(314)를 거쳐서 투영판에 이르게 된다. 대물렌즈(314)는 환등기와 투영판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거울에 관하여 그 공간에서 조정가능하다.
제16도내지 제18도에는 사진인쇄물 매거진 내의 최상부 그림을 확대시켜서 볼 수 있도록한 투시장치의 디자인을 도시하였다. 확대투시기 하우징(315)은 매거진(316)삽입용 슬로트형 개구부와, 상자인출시에 고정된채로 있도록 스냅장치(317)에 의하여 결합되는 매거진하우징을 갖도록 설계한다. 확대투시기는 또한 반사경(319)의 도움을 받아서 매거진내의 최상부 그림을 조명하는 하나 이상의 램프(318)와, 그림의 확대투시를 위한 렌즈(320)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테이블상에 세우기 위하여, 접을 수있는 지지장치(321)를 구비시킨다. 조명장치는 키이(322)에 의하여 점등시킨다.
제19도 내지 제21도에 교환운동과 회전운동을 시키는 장치를 포함하여 환등기의 벽쪽에서 매거진호울더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매거진(339)은 환응기하우징(338)에 의하여 차단된 장치내에서 매거진의 각 개구부(341)내로 끼워지는 2개의 핀(340)상에 고정된다. 이 끼움핀(340)들은 그 단부가 탄성적이며 두껍게 되어 있어서 매거진을 확실히 고정하여 유지시키도록 한다.
핀(340)들은 슬로트(343)를 따라서 배치되는 방사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342)내에 배치된다. 핀(340)들은 매거진 맞은편의 안내트랙(344)에서 안내된다.
모우터(345)가 구동휘일(346)을 거쳐서 트랙원판(347)을 회전시키고 그에 평행하게 배치된 슬로트 원판(348)은 정지상태를 유지하면, 슬라이더(342)와 끼움핀(340)들은 방사상 외향으로 이동하여 매거진(339)을 개방시킬 것이다. 즉, 그것들은 교환상자를 외향으로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핀돌출부(348')가 타원형 트랙의 절반축선에 달하면 곧, 슬라이더(342)와 끼움핀(340)이 다시금 방사상 내향으로 움직이고 매거진(339)이 다시 닫히게 될 것이다. 다시말하면 그림교환이 행해진 것이다.
슬로트원판(348)은 피보트식으로 저어널시키고 솔레노이드 또는 당김줄(350)에 의하여 작동되는 멈춤쇠(439)에 의하여 잠기거나 풀리게 된다.
그림이 뒤집혀서 삽입되었거나 높이 방향 및 가로방향 그림들의 상이한 투시위치 때문에 매거진(339)이 회전되면, 슬로트원판(348)을 멈춤쇠(349)에 의하여 해탈시켜서 매거진을 모우터(345)에 의하여 구동시킨 트랙원판(347)과 함께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러므로, 매거진 교환운동은 발생하하지 않을 것이다.
2개의 회전원판(347,348)은 매거진의 측면창(352)에서 최상부 그림을 환등기 광학장치를 위하여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심개구부(351)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원판들을 그 외주부(353)에서 지탱시킨다. 이를 위하여 각각 3개의 로울러(354)들이 제공된다.
슬라이더(343)는 작은 칫수를 가진 카세트들을 끼움핀(340)에 의하여 고정시키도록 설계한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더는 제 2 의 핀(355)을 중심의 밖에서 지지되는 원판중심 가까이에 배치시키고 핀과 타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도록 하여 약 180°선회시킨다. 왕복행정(타원형 홈(344)의 절반)은 소형매거진의 치수를 초과하는 대형치수의 매거진에 크기를 맞추고, 제 2 의 핀(355)은 공행정이로 드로(356)에 인하여 발생하도록 장치시킨다. 왕복운동을 슬라이더가 로드단(357)에 접할 때에만 작동될 것이다.
소형 매거진과 결합되는 슬라이더의 표면(358)은 방사방향으로 다시 밀때에 핀(355)의 선회를 방지한다
제19도 내지 제21도에는 회전중에 있는 원판(347)과 정지위치에 있는 원환(358)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매거진은 일부 개방된다. 제20(a)도에는 역위치, 즉 소형매거진을 수납하기 위한 위치에 있는 핀지지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제22도에는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한 환등기의 한가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투영 광학장치(130)는 사용자의 조작 키이보오드(132)를 장치한 환등기하우징(131)의 좁은 앞벽에 위치한다. 키이보오드는 통상적인 TV 세트용의 것과 같이 원격조종식으로 끌어낼 수도 있다. 키이보오드는 통상적인 전원개폐스위치와, 그림교환작동용 W-키이와, 가로방향 투영으로부터 높이방향 투영으로 전환시키는 H-키이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상부 표면 부근에는 매거진 삽입구획실(133)을 설치한다. 작동을 하지 않을 때에는, 구획실을 덮개로 덮어서 먼지로부터 보호시킨다. 제22(a)도에는 투영반사경(129)과 삽입 및 교환중의 매거진의 위치를 도시하였다.
양호하게는, 매거진은 그 창이 투영광학장치의 광학측에 평행으로 연장하도록 하우징에 배치시킨다. 그이유는 이 디자인에서는 오직 하나의 반사경만 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매거진을 측면에서 삽입시키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삽입구획실은 하우징에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시킨 플랩으로 할 수도 있고, 또는 개방하였을 때 이 매거진호울더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뚜껑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제22도의 환등기하우징은 그 길이와 폭에 있어서 최소치수를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깊이는 그 교환운동 및 그에 필요한 왕복행정방향으로 매거진의 길이를 적어도 약간은 초과하여야 하며, 폭은 그 회전을 허용하도록 매거진의 대각선 크기와 적어도 같아야 한다. 더욱 소형구조를 설계할 경우에는, 교환동작이나 회전시에 부품들을 하우징에서 피보트시키도록 해야한다. 명백한 이유로 폐쇄디자인이 적당하다. 만약에 장치를 여러가지 규격의 매거진용으로 사용할 수있도록 할 경우에는, 물론 상기와 같은 사항들을 최대규격에 적용한다 .그러나, 호울더는 미리 결정된 폭(예를들면 9cm의 폭을 가진 그림용으로)을 가져야 하지만, 그림을 매거진 길이에 무관하게 정렬하기 때문에 매거진은 여러가지 길이(예를들면 각각 9cm, 11.5cm 및 13cm길이의 그림용으로)를 가질 수도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호울더가 매거진의 창의 중심에 대하여 정열시킨 핀(13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간단한 디자인이긴 하지만 매거진에 관하여 후부에 배치한 핀을 개재시킨 회전구동장치의 커플링은 큰 공간을 요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호울더에 환상플랜지를 구비시켜서 회전구동장치를 그 주변부상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 경우, 호울더(139)는 매거진을 한("정확한")방향만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H-형을 갖는다. 이것은 매거진이 그 두께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한 안내요구부(136)를 가지므로 확실해진다. 상기 요구부는 삽입정지구(136')를 갖는다. 삽입정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만입부(136)를 안내요구부 바닥에 혀성시켜서 잠금용 멈춤쇠(137)를 결합시키고, 예를들면 제어자석(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호울더(139)내의 측면웨브(138)는 요구부(135)에 배치한다.
매거진 프레임 부재들의 교환운동을 행하는데는 여러가지 가능한 수단이 있다. 하나는 한 프레임부재를 호울더내에 정지시키고 다른 것을 이동시키는 것이고, 또 하나는 호울더를 정지시키고 프레임부재들을 각각 1/2 행정만큼 그에 관하여 이동시키는 것이며, 다른 또 하나는 각각의 이동시킨 프레임부재와 함께 호울더의 해당부품들이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호울더를 정지시키고 프레임부재들을 그에 관하여 대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적당한데, 그 이유는 그렇게 하면 투영위치에서 매거진을 환등기 하우징내의 적당한 조명위치에 둘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양 프레임부재를 모우터 구동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개구(140)를 각각 갖는 것을 도시하였다.
우선 제26도를 참조하면 매거진에 모우터구동장치를 연결하는데 대한 여러가지 가능성들을 검토한다. 제23도에서의 제 1 프레임부재(다음의 "하우징"에 있는)를 141로 나타내었고, 제 2 프레임부재(다음의 "드로이"에 있는)를 142로 나타내었다. 비록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하우징내에서 드로어를 안내시키고 하우징의 형태에 드로어를 부합시키는 것은 적당한 것이다. 모우터 구동장치가 작동하는 드로어의 부분만큼은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론상, 드로어의 창측(a)과 후측(b)표면, 그 앞벽(c)과 그 측연부(d)를 생각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은 하우징용으로로 적용된다. 만약에 프레스식 접속커플링을 척(chuck)형태로 한다면, 각각 2가지 반대편위치는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따라서 드로어는 고압에 견디어낼 수 있어야 한다. 포지티브 커플링용 접속 커플링을 선정한다면, 창쪽으로 면한 표면은 불리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큰 공간을 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앞벽이나 후측면형 접속이 적당하다. 제27도에는 앞벽형 접속(c)에 대한 두가지 예를 도시하였다. 도면의 좌측부에서, 이중 후크(143)는(예를들면 제어자석에 의하여) 후크(143)를 탄성 만곡시키므로서 해탈가능하도록 충분히 큰 4각형 개구부(144)를 통하여 접속되고, 도면의 우측부에서는 이중앵커(145)가 앞면 개구부(146)내로 접속되는데, 상기 앵커는 화살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므로서 해탈 가능하다.
그러나, 핀에 의한 커플링이 적당하다. 핀은 간단하고 공간 절약적인 디자인을 위하여, 또 간편한 방법으로 여러가지 다른 왕복행정에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개구(140)내로 연결시킨다.
이것은 제28도에 도시되었다. 링크(147)는 핀(148)에 의해 구멍내로 접속되고, 최대매거진 규격에 맞는 치수로 하여 왕복행정을 하는 레버(149)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중간 접속고리(150)는 과도한 행정에 대비한 것이다. 링크(147)와 레버(149)는 서로에 대하여 미끄러지면서 이동(도면의 우측부분)할 수 있거나, 선회(도면의 좌측부분)할 수 있다. 이렇게 제공된 탄성 커플링은 제조 공차를 평형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행정을 규격에 따라서 다르게 할 경우에는, 제29도에 도시한 디자인을 선정할 수도있다. 돌출부(152)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는 링크(147)에 배치시키고 레버(149)에는 왕복행정방향 전환용 스위치(151)를 설치한다. 레버(150)는 드로어와 하우징 사이의 마찰력에 의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교환시에 발생하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견고하게, 그러나 그 바깥쪽단의 위치에 드로어가 도달할시에 흐력을 발생하는 호울더의 보유력에 대해서는 탄성을 가지도록 하는 크기로 한다.
제 30도 및 제31도에는 자석식 커플링이 도시되어 있다. 링크(153)는 어떤 경우에는 최대행정을 하고 링크상에 장치한 자석(154)은 드로어의 앞벽(제31도)이나 뒷벽(제30도)에 있는 연철부재(155)에 작용한다. 자력은 드로어와 하우징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기에는 충분히 크지만, 전체 매거진을 호울더에서 끌어내거나 매거진에 손상을 줄만큼 크지는 않다. 왕복행정전환은 제28도와 유사하다.
제32도에 의하면, 왕복행정 전환스위치(151)는 하우징에서 드로어가 빠져나오는 행정이 끝날 때 정지스위치와 연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작동부재(156)에 의하여 교대로 작동한다.
제33도에는 접속개구들을 서로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도면의 중심에 대하여 도식적으로 배치한 서로 다른 규격을 가진 3개의 매거진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3개의 다른 매거진들은 제28도의 커플링장치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커플링은 어떤 경우에도 교환동작시에 협착되도록 하는 편향토오크나 적어도 마찰력이 하우징 및 드로어에 작용하지 않도록, 매거진폭을 가로지르는 드로오와 하우징의 중심에서 적절히 행해짐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하나는 매거진 자체에서 접속점들이 한 왕복행정에 적응하도록 설계된다는 조건으로, 공차문제가 중요하지 않을 경우에 가장 큰 매거진에 칫수를 맞춘 주어진 불변행정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한가지 실시예를 제34도에 도시하였다. 가장 긴 매거진(11a)만 접속개구(160)를 가지며, 두개의 작은 매거진(113b,113c)는 각각 접속 슬로트(162 164)를 갖는다. 이 접속슬로트들은 매거진(113a)의 행정에 대하여 각각의 절반행정에 해당하는 길이를 찾는다. 각각의 공행정은 드로어를 당기고 미는 순간에 발생할 것이다.
한편, 다른 지점에서 다른 크기를 갖는 커플링의 위치 및 매거진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교환구동장치는 저속기어식 링크와 연결하며 수동식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모우터 구동장치를 당기는 동작용으로나 미는 동작용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운동방향들중의 한 방향은 모우터에 의한 다른 방향으로의 운동시에 압력을 받게되는 스프링에 의하여 행할 수도 있다.
커플링 또는 접속은 다른 방법으로 조종할 수도 있다. 커플링은 매거진 삽입시에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그것을 키이"교환"작용으로 행할 수도 있고 다음에 즉시 해탈시킬 수 있으며, 또는 매거진을 한가지 투영위치(양호하게는 높이 방향위치)로 삽입할 수 있고, 호울더를 회전시키므로서 교환구동장치와의 연결을 행할 수 있다. 작동중에 방향전환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해탈 및 재연결이 이루어진다.
지금까지는 모든 매거진들이 같은 폭을 가지며 그에 따라서 호울더에 일치시키는 것을 생각하였다. 그러나, 삽입마스크에 의하여 작은 폭에도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제35도 내지 제37도에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경우 감소시킨 길이의 웨브(166)들을 가진 호울더(139)를 제35도에서 다시 볼 수 있다. 매거진이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 조명용 회로를 차단시키는 스위치용 제어봉(167)을 그 저어널 베어링 허브(134)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시킨다.
마스크(168)는 호울더내로 끼우며, 마스크의 단부위치는 정지구(169)로 형성시킨다. 두꺼운 측면 브래킷트(170)에는 나선스프링(171)들을 내장시키는데, 이 스프링들은 웨브(166)의 압력하에서 압축된다. 스프링의 바이어스는 잠금장치의 해탈시에 마스크를 송출시키는데 기여한다. 잠금장치는 플라스틱마스크와 일체로 형성시킨 탄성설부(resilient tonque) (172)로 되는데, 상기 탄성설부는 호울더의 연부(173)후부에서 결합하여 잠금부재로 작용하는 것이다.
마스크의 후면은 매거진을 요소(174,167)에 연결시킬 수있도록 개방된다. 웨브(138')들은 마스크내에서 매거진의 위치를 결정시키는데 기여한다. 그러나, 이 경우 정렬용 만입부(136)는 유효하지 못한데, 그 이유는 브래킷트(170)에 의하여 덮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호울더가 매거진의 후부에서 접속되고, 그곳에 있는 정렬 만입부(도시되지 않음)내로 떨어지는 정렬핀(174)을 갖는다. 이 정렬핀은 매거진의 제거를 위하여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해탈될 수 있거나, 매거진 송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마스크는 그 측면들중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개방된다.
마스크가 호울더내에 배치되면 호울더와 함께 회전될 것이다. 그러나, 투영시킬 그림의 주변부는 매거진이 최대치수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것으로 사용될 경우 다른 방법으로 차단시킨다. 그러한 차단은 투영광선경로중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마스크를 사용한 해결방법은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다.
마스크는 또 왕복행정 변환을 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모든 마스크들은 구동장치로부터 볼 수 있었던 바와같이 같은 디자인을 갖지만, 마스크에 끼워지는 매거진에 따라서 같은 왕복행정을 요하며, 이 왕복행정은 말하자면 링크장치에 의하여 감속기어식으로 수행된다. 각 환동기에 가장 공통적인 마스크용 저장실을 설치하는 것이 적당할 것이다.
교환구동장치에 대하여 아래에서 기술되는 3개의 실시예에서는, 매거진 삽입을 "높이방향위치"로 행하지만, 교환은 『가로방향위치"에서 행할 것이다. 매거진 송출용 수단을 여기서는 예시하지 않았으나, 그러한 장치는 청구범위에서 언급할 것이다. 이들은 하우징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다음의 도면들로부터 볼수 있는 바와같이, 필요한 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삽입구획실 반대편에 수용할 수 있다.
제38도에서는 환등기의 하우징(1100)을 볼 수 있다. 하우징(1100)으로부터 중공의 실린더형 허브가 연장하며, 그 내부에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샤프트(1102)가 저어널된다. 이 샤프트는 매거진 호울더(1103)를 지니며 그것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허브 또는 중공 샤프트(1101)의 외벽상에는 풀리(1104)를 역시 저어널시켜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풀리는 한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모우터에 의하여 벨트(1105)를 거쳐서 한방향 및 같은방향으로 회전된다. 모우터는 슬로트포울(slot pole)모우터로 하는 것이 적당한데, 이 모우터는 양호하게는 냉각선풍기용 모우터이다. 풀리(1104)는 중공샤프트(1101)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미끌어지면서 이동할 수있고 나선스프링(1106)에 의하여 제39도에 도시된 위치로 바이어스된다. 예를들면, 화살표(1108)로 지시한 위치에 작용하는 자석스위치에 의하여 교환키이(1107)상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풀리(1104)는 기어휘일(1109)이 각각 돌출편(1110,1111)을 지니는데, 이돌출편들은 교환키이(1108)로 인한 변위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여 기어를 동작시킨다. 기어(1109)는 또한 중공샤프트(1101)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저어널된다. 그 톱니는 랙(1112,1112')과 결합하며, 톱니결합된 각각의 랙은 환등기 하우징(1100)에 견고하게 연결된 레일(1113)에서 미끄러지면서 안내된다. 톱니결합된 각각의 랙은 대칭축방향으로 각을 두고 연장하는 연장부(1114)를 지닌다. 각 연장부(1114)는 교환 키이(1108)와 같이 자석식으로 작동하며 매거진의 각 프레임부재의 결합개구와 결합하는 노브 또는 커플링 핀(1115)을 지닌다. 연장부(1114)와 톱니결합한 랙은 운동할 수가 없는데, 그 이유는 2개의 레일(1113)을 각각 연결하고 있는 금속편(1117)이 각각의 슬로트(1118)를 갖기 때문이다. 1119의 위치에는 단부스위치가 배치되어 교환키이(1108)로부터 솔레노이드 회로를 무력화시키지만, 커플링핀(1115)에 대해서는 영향을 주지 않아서 풀리(1104)가 해탈되고 기어(110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역회전은 외향 이동에 의하여 바이어스된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작용으로 발생한다. 두개의 링크(1121)가 1122의 위치에서 연장부(1114)에서 선회할 수 있게끔 연결되고, 다시 자석 자동식핀 커플링(1123)에 의하여 호울더(1103)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링크들은 호울더의 회전에 기여한다. 1120으로 지시한 바와같이 키이 "H"를 누름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쇄정시켜주면, 풀리(1104)와 기어(1109) 사이의 돌출핀 커플링이 이루어질 것이고, 한편 자석식 커플링(1115, 1123)은 상호 무력화되어 그들중의 어느 하나만 작동될 것이다. 따라서, 1120의 작동시에 모우터 구동장치는 호울더 회전용으로 사용되고, 교환구동장치는 해탈된다. 재설치는 앞에서와 같이 스프링바이어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회로(1108,1123,1120)를 차단하도록 단부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단부스위치(1119)는 1108,1115를 해탈시키도록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한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한개의 링크(1121)로 충분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90°회전이 두방향으로 발생한다.
제40도,제41도 및 제42도에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풀리(120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의 디자인과 기능을 갖지만, 양쪽방향으로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1202방향(화살표)으로 이동할 때에 회전축(1203)과의 커플링이 이루어지는데, 이 회전축(1203)은 매거진(1204)용 호울더(1215)에 고정된다. 화살표 방향(1205)으로 이동할 때에는 기어휘일(1206)과의 커플링이 이루어지는데, 기어휘일은 두개의 기어크라운(1207,1208)과 결합한다. 기어크라운들은 각각 중심을 벗어나서 배치되고 탄성적으로 만곡할 수 있는 핀(1209)을 지니는데, 이 핀은 슬라이더(1211)를 가진 크랭크(1210)를 거쳐서 핀(1212)에 선회할 수 있게끔 연결된다. 슬라이더(1211)들은 두개의 로드(1213)를 따라서 미끄러지면서 안내된다. 각슬라이더(1211)는 매거진 편승캠(1214)을 지닌다. 호울더(1215)의 회전 및 이에 따른 매거진(1204)의 회전시에 캠은 슬로트형 만입부(1217)가 캠상을 올 때까지 바이어스 스프링(1216)에 의하여 압력을 받게되어 캠(1214)이 슬로트(1217)내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더의 왕복운동시에 매거진은 모우터에 의한 구동으로 개폐될 것이다. 크랭크핀(1209)용 바이어스 스프링(1220)은 공차를 해소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규격에 대한 다른 행정도 해결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다. 호울더(1215)는 모우터의 구동에 의해서 또는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기어 변환장치에 의해서 바이어스된 스프링의 힘을 받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위치된다. 호울더(1215)로부터의 매거진(1204)의 방출은 송출키이(1222)를 누르므로써 이루어진다(작동키이(1222')는 제22도에 도시).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제43도 및 제44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와 다른점은 그로부터 니이(knee)형 크랭크 로드(1301)가 슬라이더에 작용하는 두개의 중심을 벗어나 배치된 크랭크핀을 갖는 오직 하나의 편승기(entrainer)를 제공하는 것이다. 크랭크로드는 중심을 벗어난 핀들을 지니는 기어의 베어링을 지나갈 수 없으므로 오직 반 회전만 하게되고, 교환구동 장치의 복귀는 연장시에 바이어스된 인장스프링(1302)의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제44도에서는 교환구동장치와 회전구동장치 사이의 전환용스위치포오크(switch fork)(1303)의 다른 디자인을 볼 수 있다.
제45도에는 소형장치를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가가 도시되어 있다. 작동중지상태에서의 환등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블록(1320)은 환등기가 작동중지중에 있을때 환등기 외형내에 배치될 수 있는 부착안내부재(1321)에 의해서만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안내부재는 교환동작시에 매거진의 프레임부재(1322)를 보호함과 동시에 안내하는데 기여한다.
제46도 내지 제48도에는 환등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호울더는 회전할 수 있는 접시(1330)에 연결되거나 그 일부를 형성한다. 회전가능한 접시는 매거진의 프레임부재를 교환하기 위해 접근할 수있도록 하고, 두개의 로울러(1331)사이에서 통과시킬 공간을 볼 수 있도록 그 주변부에서 4개의 베어링 및 안내로울러(1331)에 의하여 지지된다. 호울더의 회전을 위하여 모우터구동장치가 회전가능접시의 주변부에 제공되고, 한방향으로는 마찰기어(1332)에 의하여 다른 방향으로는 다른 마찰기어(1333)에 의하여 회전된다 양 마찰기어는 톱니결합된 크라운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며 그중 하나는 모우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구동벨트(1334)를 통하여 구동된다. 양마찰기어는 1336의 위치에서 선회할 수 있게끔 지지되는 토글(1335)상에 저어널되기 때문에,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레버연장부(1337)에 압력을 가하므로서 하나의 또는 다른 마찰기어가 회전가능접시와 접속될 수 있는 것이다. 전환조절은 상기 언급한 바와같은 단부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제49도에 그와같은 디자인으로 어떻게 매거진을 삽입하는가를 사시도로 도시하였다. 플랩(1340)은 1341의 위치에서 회전가능접시(1330)에 선회할 수 있게끔 연결된다. 플랩은 외향으로 열려 있으나, 삽입시킨 매거진의 교환동작을 플랩을 닫은후에 행하도록 한다. 회전가능접시는 상기 언급한 로울러에 의해서나 다른 방식으로, 또는 전방베어링에 의하여 보조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제51도 및 제52도에는 교환동작에 대한 왕복행정변환을 마스크(제35도 참조)에 의하여 어떻게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가를 도시하였다.
마스크(1400)의 우측에는 2개의 선회 가능레버(1401,1402)가 각각 1403,1404의 위치에서 저어널된다. 각 레버는 슬로트 개구(1405)와, 그안으로 연장하는 핀(1406)을 포함한다. 각 핀은 안내트랙(1408)에서 마스크에 대하여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1407)상에 장치된다. 스프링(1409)은 양 슬라이더를 서로에 대하여 원래의 위치로 바이어스시킨다.
모우터구동장치의 커플링은 여러지점, 예를들면 1410 및 1411의 위치에서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 각각의 피보트지점(1403,1404)에 따라서 레버의 다른 피보트 각운동이 커플링의 같은 행정시에 발생할 것이다.
이 선회운동은 접속핀(1413)을 지니며 슬라이더(1407)에 장치된 탄성설부(1412)에 의하여 매거진의 프레임부에 전달된다.
제 53도및 제54도에는 마스크에 장치한 행정변환장치를 도시하였다. 매거진의 좁은 측면(1500)에서 연장부(1501)들이 내향으로 바이어스시킨 스프링 조크(spring joke)(1502)말단에서 각각 결합한다.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조크들은 횡단브래킷트(150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매거진(1504)의 프레임부재들에는 브래킷트 및 그에 연결된 스프링조크들의 반대편 외향 운동시에 연장부(1501)들이 그 위에 접하게 되는 정지견부(1505)를 구비시킨다. 그러나, 정지견부(1505)까지는 공행정이 된다. 각 매거진에 대하여 요구되는 행정경로는 매거진 자체에 표시하며, 이는 이하에서 언급될 것이다. 스프링조크의 나머지 부분은 마스크의 만입부(1507)내로 접속되는 잠금돌출부(1506)에 의하여 유지시킨다.
제55도 및 제56도에서는 환등기 하우징(1601)내의 반사경(1600)을 볼 수 있다. 반사경은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방법으로 지지체(1602)에 장치된다. 반사경 반대쪽의 지지체상에는 슬리이브(1604)를 회전가능하게 저어널시키는 베어링 허브(1603)가 있다. 다수의 방사상 스토우크들이 슬리이브로부터 연장하며, 양호하게는 외향으로 연장하는 3개의 스포우크(1605)가 있고 이 스포우크들은 링(1607)상에 톱니결합된 기어크라운(1606)을 지닌다. 링상에는 안내장치(1608,1609)가 허브저어널에 대하여 방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방향전환시에 이동되는 두쌍의 다이어프램(1610,1611)용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높이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전환할 때에 다이어프램들은 그 방사상 위치의 변화없이 링(1607)과 함께 약 90°회전할 것이다. 링회전의 구동은 그 축(1613)이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니언(1612)에 의하여 매거진호울더의 각도와 거의 같은 각도만큼 행해진다.
스포우크들은 최소한 90°의 2배의 각도만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호울더(1602)가 회전을 발해하지 않도록 배치한다.
제57도및 제58도에는 제40 내지 42도의 구성에 따른 교환구동장치를 상세히 도시하였다.
제58도에서는 회전구동장치를 수납하는 환등기의 하우징(1700)부분을 볼 수 있는데, 이 하우징은 매거진 삽입개구부(1702)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 바닥상에는 프레임(1704)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장치한다. 프레임은 대략 U-자형 단면을 가지며 주름(1706)에 의하여 강화시킨 판형금속으로 만들어진다. 하우징에 대하여 가장 내부에 있는 프레임다리(1708)는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끔 매거진호울더(1714)를 저어널시킨 베이링(1710)을 지닌다. 이 베어링과 동축으로 정렬시킨 쌍동이 크랭크샤프트(1716)를 다른 프레임다리(1718)에 회전할 수 있게끔 저어널시키고, 양호하게도 저속기어를 구비한 톱니결합기어장치에 의하여 구동시킨다. 기어장치는 축(1712)을 가진 구동샤프트(도시하지 않음)의 단부에서 피니언(1722)에 의하여 구동시킨다. 프레임다리(1708,1718) 사이의 공간에, 같은 구동축에 의하여 구동되는 매거진 호울더(1714)의 회전용 기어장치가 내장되고 매거진호울더축(1712)에 연결되어 구동기어장치(1720)를 해탈시킬 수 있다. 그러나, 명확한 도시를 위하여 각각의 장치들을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았는데 제40도 내지 제42도가 참고될 것이다.
편승슬라이더(1728,1730)들은 다리(1708)의 슬로트안내장치(1726)내에 슬라이더 가능하게 수용된다. 간단하게 조립하기 위하여, 슬로트 안내장치들은 각각의 슬라이더가 통과하는 확대시킨 개구부를 가진 단부에서 1732의 위치에 제공된다. 매거진 프레임부재(1734,1736)들을 가진슬라이더의 연결 및 해탈은 제57도에 도시한 위치(삽입된 위치인 동시에 높이방향의 위치)로부터 교환위치로 약 90°매거진호울더(1714)의 회전시에 자동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42도의 커플링장치가 제공되지만, 여기서는 도시하지않았다. 쌍동이 크랭크샤프트(1716)의 크랭크(1738)는 랭크(1740,1742)에 의하여 각각 편승 슬라이더(1728,730)에 연결된다. 이 링크들은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도면에서는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프레임 다리(1718)내의 장공(1744)은 링크(1740)의 통과를 허용한다. 물론, 장공(1744)은 슬라이더(1728)의 슬로트 안내장치(1726)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쌍동이 크랭크샤프트(1716)가 한바퀴(360°)회전하게 되면, 편승슬라이더(1728,1730)는 링크(1740,1742)들이 크랭크샤프트(1716)의 축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지점들의 편심에 대하여 두배에 해당하는 행정을 통하여 따로따로 이동되고, 그 다음에 슬라이더들은 다시 서로 접근하여, 한장의 그림 교환작업을 행하도록 한다. 다른 치수를 갖는 매거진에서 요구되는 여러가지 행정에, 이 실시예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미리 정해진 행정을 적용시킬 가능성은 상기 언급하였으므로 되풀이할 필요가 없다.
제59도에는 만입개구(1802)를 구비한 매거진(1800)의 선단부를 도시하였다. 이 만입개구는 매거진의 대칭평면(1804)에 대하여 측면으로 오프세트되고, 매거진호울더(1806)내로 매거진을 잘못 삽입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제60도).
정지레버(1808)와 걸쇠레버(1810)가 매거진호울더에 선회할 수 있게끔 연결된다. 정지레버(1808)는 인장스프링(1812)에 의하여 제60도에 도시한 위치로 바이어스 시켜서 매거진(1800)의 삽입을 막도록 한다. 정지레버는 그 말단에 의하여 걸쇠레버의 절취부(1814)에서 걸리므로서 매거진이 따로 밀려날 수 없도록 한다. 이와반대로, 매거진은 바이어스 스프링(1818)의 바이어스에 대하여 걸쇠레버(1810)를 선회시켜서 정지레버(1808)가 해탈될 수 있도록 걸쇠레버(1810)의 경사진캠면(1816)상에서 작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거진의 필요한 운동은 정지레버(1808)상에 장치된 정지핀(1820)과 그 만입개구(1802)가 정렬될 경우에만 가능해질 것이다. 이러한 가능위치는 제60도에 파선으로 도시하였다. 역으로, 제6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만일 매거진 방향이 잘못될 경우에는 매거진의 앞면이 정지핀과 접하게되어 걸쇠레버는 작용할 수 없도록 한다.
일단 해탈된 정지레버는 매거진호울더 벽내의 구멍(1822)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될 것이며, 또한 겉외레버는 매거진이 호울더에서 완전히 밀리도록하기에 충분하게 될 것이다. 매거진이 동시에 정지레버(1808)는 스프링(1812)의 바이어스로 인하여 끌려가서, 차단위치내로 복귀한 걸쇠레버의 절취부(1814)에 다시 걸리게 될 것이다.
제61도 내지 제63도에는 매거진이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장치들이 도시되어 있다. 매거진(1900)의 만입개구(1902)들은 매거진 전면에서 대칭평면(1904)에 대하여 오프세트된다. 매거진호울더(1906)는 서로에 대하여 오프세트된 피봇트(1910,1912)를 갖는 다리(1908)를 두개의 좁은 측면에서 가진다. 피봇트들은 정지레버(1914)와 걸쇠레버(1916)를 각각 선회할 수있도록 연결하는 작용을 한다. 정지레버(1914)는 인장스프링(1915)에 의하여 그 쇄정위치로 바이어스된다. 정지레버가 이탈중의 매거진의 반대편에서 접하는 위치에 걸쇠레버를 유지시킨다. 정지편(1920)은 걸쇠레버에 배치되고 스프링(1918)의 바이어스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제63도 참조). 핀은 매거진의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지 않는한 삽입 중의 매거진의 만입개구들내로 결합된다. 적당한 방향은 제62도의 좌측부에 도시하였다. 매거진은 양 레버(1914,1916)에서 밀려서 그 삽입경로를 완성한다. 역으로, 만약에 매거진이 잘못향했다면(제62도의 우측부), 정지핀(1920)은 스프링(1918)이 인장스프링(1916)보다 작기 때문에 걸쇠레버를 통하여 하향으로 핀(1920)이 이동 완료할 때까지 정지레버와 걸쇠레버를 그들의 차단위치에서 유지시키도록 하게된다. 이 경우, 핀(1920)의 하단에서 차단부(1922)는 정지레버(1914)의 자유단 바로 앞에서 연장하여, 레버들의 오프세트된 피봇트 지점들로 인하여 이들이 상호 차단될 수 있게끔 한다. 매거진의 이동시에 레버들은 피봇트된 레버들을 위한 수납공(1926)의 정지단부(1924)에 의하여 한정시킨 그들의 차단위치로 복귀할 것이다.
제64도 내지 제67도에는 매거진(2000)이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시켜주는 다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표시홈(2002)은 방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것은 표시홈(2002)을 2004의 위치에서 표시레버(2006)에 선회할 수 있게끔 연결된 검사레버(2008)는 검사아암(2008)을 갖는데, 이 아암은 매거진이 적당히 향할 경우에는 표시홈(2010)내로 선회될 수 있으며, 매거진은 그 선단부를 옆으로 밀도록된 레버(2002)의 정지아암(2008)과 결합시킬 것이다. 그러나, 만약에 매거진이 삽입전에 잘못향했을 경우에는, 검사레버는(2012) 보유스프링(2008)을 연신시키는 표시레버(2014)에 장력이 작용하도록 될 수 없다. 표시레버(2006)가 정지부재(2016)로 인하여 작은 각도만큼만 선회될 수 있지만, 표시회로의 접촉장치(2018)를 작동시켜서 시각신호나 청각경보를 발하여 사용자에게, 매거진을 철수시켜야 할지 뒤집어야 할지 적절한 방향으로 다시 삽입시켜야 할지를 알려주도록 되는 것이다. 표시 레버의 나머지 부분은 역정지부재(2020)에 의하여 제한된다. 검사레버(2008)의 재설정은 판스프링(2022)에 의하여 행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기본 이론은 직접 눈에 보이도록 된 상뿐만 아니라 두배로 하거나 복사하기 위하여 감광재료상에 투영시킨 상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복사기의 역활을 하는 상부조명 투영기들은 제68도 내지제 74도에 도시하였다.
제68도 내지 제70도에는 제 1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매거진(3001)은 그 장축에서 장치(3003)의 삽입실(3002)내로 삽입된다. 매거진의 최상부 그림은 장치(3003)의 조절창(3004)을 통하여 볼 수 있다. 매거진의 삽입시에, 예를들면 제57도 및 제5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우터교환구동장치의 커플링 요소들은, 키이(3006)를 누를 때에 매거진이 개방되도록 매거진의 프레임부재와 결합된다. 매거진은, 교환상자(3007)철수시에 앞에서 매거진창에 인접시킨 매거진내의 그림더미중의 한장의 그림이 철수시킨 상자내에서 최상부 그림이 되도록 디자인한다. 그러한 매거진들은 상기 언급한 발행물에 기재되어 있다.
키이(3006)는 복사동작을 작동시킨다. 매거진이 개방되면, 드로어내의 최상부 그림이 램프(3008)에 의하여 조명되고, 그 상이 광학장치(3009)를 통하여 감광재료(3010)상에 형성된다. 한 세트의 디지트키이(3005)는 키이(3006)를 누르기전에 복사시킬 매수를 세팅시키도록 한다. 복사가 필요없는 그림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키이(3011)를 눌러서 모우터구동교환장치를 복사를 행하지 않도록 간단하게 작동시킨다. 키이(3012)를 누르면 매거진이 구획실(3002)로부터 송출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된다.
예를들면 인화지와 같은 감광재료는 저장드럼(3013)으로부터 그림 한장폭만큼 철수되어 노출된 다음에 이송드럼(3014)을 거쳐서 현상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이송된다.
제71도 및 제72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복사기부분(3021)을 화살표(3023)방향으로 삽입시킨 매거진(3015)상에서 이동시키도록 이동가능 슬라이더내에 내장시킨 점에서 상기한 실시예들과는 다르다. 여기서 상은 닫혀진 매거진내에 남아있는 그림으로부터 형성된다. 원하는 만큼의 복사매수는 스위치노브(3019)를 적당히 돌려주므로써 세트시킬 수 있다. 선택된 숫자는 검사를 위하여 창(3032)의 위치에서 표시되는데, 이 숫자는 사용자에 의하여 행해진 총 복사매수를 나타낸다. 한편, 판매기의 경우에는 지불될 총비용을 즉시 표시하거나 투입시킨 돈의초과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73도 및 제74도의 실시예에서는 매거진을 그 조링창을 아래쪽으로 돌려서 삽입구획실내로 삽입시킨다. 우선 창에 인접한 그림을 반사경(3037,3038)을 거쳐서 검사매트스트린판(3040)상에 투영시킨다. 선택스위치(3041)는 원하는 복사매수를 세팅시키도록하고, 복사동작은 키이(3042)를 누르므로서 시작된다. 이 동작을 위해, 반사경(3037)이 3043의 위치로 선회 또는 이동하고, 램프(3036)에 의하여 균일하게 조명시킨 그림은 광학장치(3045)에 의하여 감광재료(3046)상에 재현된다. 복사가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키이(304)를 눌러서 그림교환을 간단하게 행한다. 키이(3048)를 누르면 매거진이 복사기로부터 송출된다.
마지막 두개의 디자인에서는 복사시킬 그림의 가장자리를 매거진의 프레임 부분으로 차단시켜서 깨끗한 상을 얻도록 한다. 그러므로 1 : 1의 비율로 복사할 때는, 일종의 틀(Passeprtout)이 복사물상에 나타날 것이다. 이와는 달리, 상기 틀의 칫수에 해당하는 약간 큰 칫수를 선택하여 복사물이 원래의 것과 같은 칫수를 갖도록 한다.

Claims (1)

  1. 시이트형의 그림을 투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시이트형 그림들을 광원맞은편의 환등기 화면쪽을 향하도록 그림매거진(128)내에 제공함과 동시에 그 최상부의 그림을 투영 또는 조망을 위하여 상기 매거진(128)의 창의평면에 평행하게 배치하며, 상기매거진(128)은 제 1 프레임부재(141) 및 제 2 프레임부재(142)로 구성되어서 상기 매거진(128)내의 최상부의 그림이 주기적으로 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창의 평면에 평행하게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환등기는 투영시 상기 프레임부재(141,142)들 중의 하나를 상기 매거진(128)의 창의 평면이 화면에 접하거나 화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그림교환시 상기 프레임부재(141 142)들이 상호 이동할 수 있게끔 해주는 해탈가능한 호울더(139)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등기.
KR1019790003487A 1979-10-11 1979-10-11 환등기 KR830001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487A KR830001378B1 (ko) 1979-10-11 1979-10-11 환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487A KR830001378B1 (ko) 1979-10-11 1979-10-11 환등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585A KR830001585A (ko) 1983-05-17
KR830001378B1 true KR830001378B1 (ko) 1983-07-19

Family

ID=1921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487A KR830001378B1 (ko) 1979-10-11 1979-10-11 환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3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585A (ko) 198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502277A (ja) スライド及びフィルムストリップを取扱う機構
US3320854A (en) Optical apparatus
US4313675A (en) Episcope
KR830001378B1 (ko) 환등기
US3463585A (en) Combination printer-viewer
US4092063A (en) Filmstrip projector
US3592539A (en) Recording apparatus
US3904286A (en) Microfilm reader
US3814514A (en) Microform projection and viewer apparatus
US3679298A (en) Cassette-type microfilm reader
US3672593A (en) Selective scanning control for projection apparatus
WO1980001210A1 (en) Projector
JPS6199130A (ja) 露光光学装置
US4291955A (en) Gravity-feed rotary tray slide projector
US4260247A (en) Instant print slide projector
US3446549A (en) Dual format viewer
US4229084A (en) Transparency cassette and viewer or projector
JPS606826Y2 (ja) リ−ダ−プリンタ−
US5497216A (en) Reader-printer
US4183634A (en) Rear projection viewer having small auxiliary screen
US3242802A (en) Apparatus for holding and moving a strip film in a projector
SU1679461A1 (ru) Диаскопический проектор дл мультипликацион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US3782807A (en) Lens gimbaling and carriage release apparatus
JPS63284540A (ja) マイクロフイルム複製装置
JPS63284537A (ja) マイクロフイルム複製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