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330Y1 - 전기 코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330Y1
KR830001330Y1 KR2019830005364U KR830005364U KR830001330Y1 KR 830001330 Y1 KR830001330 Y1 KR 830001330Y1 KR 2019830005364 U KR2019830005364 U KR 2019830005364U KR 830005364 U KR830005364 U KR 830005364U KR 830001330 Y1 KR830001330 Y1 KR 830001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contact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5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먼드 스털 죤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에이 엔 리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00001646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3816A/ko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에이 엔 리이디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to KR2019830005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0End pieces terminating in a needle point or analogous contact for penetra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코넥터
제1도는 긴장 제거 탭을 각각 가지고 있고 코넥터 하우징내에 미리 부하되어 배치되는 여러개의 접점들을 가진 본 고안 코넥터의 사시도.
제2도는 접점들이 하우징내의 완전히 착좌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각개 절연 와이어와 단자가 삽입된 후의 제1도 코넥터의 사시도.
제3도는 접점들이 코넥터 하우징내 대해 그들의 미리 부하된 상태에 있는 본 고안의 다른 코넥터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절연 와이어가 삽입되고 코넥터 하우징내 완전히 착좌된 후의 제3도의 코넥터의 사시도.
제5도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단자의 사시도.
제6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단자의 사시도.
제7도는 단자의 미리 부하된 제1접점측의 저부를 나타내는 제3도의 선 7-7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단자를 수용하는 개구를 나타내는 제4도의 하우징(28)의 단부도.
제9도는 단자를 수용하는 개구를 나타내는 제2도의 하우징(14)의 단부도.
제10도는 코넥터 하우징내에 미리 부하되어 배치된 제6도에 도시된 단자의 부분 단면 사시도.
제11도는 절연 와이어의 절연물을 관통한 후 코넥터 하우징내에 완전히 착좌된 제6도 단자의 부분 단면 사시도.
제12도는 코넥터 하우징내 미리 부하되어 배치된 제5도 단자의 부분 단면 사시도.
제13도는 코넥터내에 완전히 착좌된 제5도에 도시된 단자의 부분 단면 사시도.
제14도는 제7도에 도시된 절연물 관통 접점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단부도이다.
본 고안은 다른 회로 엘레멘트에의 다수의 분리된 와이어들의 전기적 연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양단의 접덤을 가지고 있고, 적어도 일단에 절연 하우징내로의 삽입후 절연 와이어를 관통할 수 있는 한쌍의 절연물 관통 접점을 가진 다수의 단자들을 가지고 있는 코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분리된 와이어(discrete wire), 리본와이어 및 동축 케이블의 집단 단자(mass termination)에 대한 많은 개발이 행해져 왔다. 그러한 많은 개발은 절연물을 관통하여 와이어 심부에 접촉하는 절연물 관통 접점을 포함한다. 분리된 와이어들을 터미네이팅(terminating)하는 분야에서, 그러한 와이어들 터이네이팅하는 보다 편리하고 저렴한 방법이 아직도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분리된 와이어들을 집단 터미네이팅하는 보다 편리하고 저렴한 수단을 제공함에 의해 그러한 필요성을 해결한다.
본 고안은 분리된 와이어들을 집단 터미네이팅하는 저렴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 와이어들은 집단 터미네이팅이 행해질 수 있을 때까지 코넥터에 의해 편리하게 보지된다. 더우기, 긴장 제거(strainrelief)를 위한 코넥터내 별도 부품의 필요가 제거된다. 이러한 목적들은 와이어가 코넥터 하우징내 착좌(着座)될 때 절연물을 관통하여 와이어에 접촉하는 한쌍의 절연물 관통 접점의 사용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양호한 형태, 그들의 구조, 작동방법은 첨부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본 고안을 그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단자(12)의 제1접점단부(10)이 미리 부하(preload)된 상태로 절연하우징(14)로 부터 돌출하여 있고, 분리된 절연 와이(16)은 한쌍의 절연물 관통 접점(18)에 의해 관통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단자(12)의 제1접점 단부(10)은 절연물 관통 접점(18)위에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긴장제거부(20)을 가지고 있다. 그 제1접점단부는 분리된 절연 와이어(16)을 수용하기 위한, 접점(18)에 인접하여 있는 요부(凹部)(22)를 가지고 있다. 와이어(16)이 그 요부(22)내에 삽입되고, 다음, 단자(12)가 하우징(14)내로 압입되어 절연물을 관통하여 접점(18)의 살(time)들 사이 슬로토내에 그 와이어를 보지시킨다.
제2도는 하우징(14)내로 압입된 후의 와이어(16)과 단자(12)의 위치를 나타낸다. 와이어(16)의 일단은 개구(15)를 통해 단자(12)위를 지나 하우징(14)로 부터 나와 있고, 그 와이어의 타단은 단자(12)아래로 나와 있다. 그 하부 부분은 코넥터로 부터 하나의 와이어 연결부만을 갖도록 하는 것이 요구될때 하우징(14)의 저부와 같은 수준으로 절단되어도 좋다. 숫(male)핀 (24)가 삽입을 위해 준비된 채로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서, 단자(12)의 개조된 제1접점단부(26)이 미리 부하된 상태로, 개조된 절연 하우징(28)로 부터 돌출되어 있고, 분리된 절연 와이어(16)은 한쌍의 절연물 관통 접점(30)에 의해 관통되지 않은 채로 있다. 접점(30)에 인접한 요부(32)는 와이어(16)을 수용한다. 다음, 단자(12')가 하우징(28)내로 압입되고 와이어의 절연물이 접점(30)에 의해 관통된다. 하우징(28)의 개구(29)는 와이어(16)을 위한 적절한 긴장 제거부를 제공한다.
제4도는 단자(12')위에서 개구(29)를 통해 하우징(28)에서 나와 있고 또한 단자(12')아래로 나와 있는 와이어(16)의 위치를 나타낸다. 단자(12')아래로 나와있는 와이어는, 매 와이어에 대해 하나의 연결만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될때 하우징(28)의 저부와 같은 수준으로 절단될수도 있다. 제2도에서와 같이, 숫 핀(24')가 삽입을 위해 준비된채로 도시되어 있다.
제5도는 긴장 제거부가 없는 한쌍의 접점(30)과 단자(12')를 나타낸다. 각 접점(30)은 착좌될 와이어보다. 약간 좁은 슬로트(34')를 가지고 있다. 절연 와이어가 요부(32)내에 배치된다. 단자가 하우징내로 압입되면 그 와이어는 경사진 개구(35)에 의해 안내되어 슬로트(34')내로 삽입된다. 탭(tap)(36)이 단자의 상부에 수직인 위치로 위로 구부러져 있어 요부(32)의 연부를 보강한다. 브릿지(bridge)(38')가 단자(12')의 제2접점단부(40')와 제1접점 단부(26)을 분리한다. 이 제2접점단부(40')는 점선으로 도시된 단일의 비임 피메일(beam femal)이다. 브릿지(38)의 각측부상의 창(lance)부분 (44)는 하우징내 삽입된 단자(12')를 보지 하는데 사용된다.
제6도에서 단자(12)의 제1접점단부(10)이 접점(18)외에 긴장 제거부(20)을 가지고 있다. 각 접점(18)은 착좌될 와이어 보다 약간 좁은 슬로트(34)를 가지고 있다. 절연된 와이어가 요부(22)내에 배치된다. 단자가 하우징내로 압입될때 와이어는 경사진 개구(35)에 의해 슬로트(34)내로 안내 삽입된다. 긴장 제거부(20)은 절연물에 계합하여 슬로트(34)내 착좌된 와이어상에 긴장(strain)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그 단자에는 제2접촉단부(40)에의 브릿지(38)과 보유 돌기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제6도는핀을 수용하기 위한 표준 2중 비임 접점인 제2접점을 나타낸다.
제7도에, 단자(12')의 제1접점단부(26)의 저부가 요부(32)내의 절연와이어와 함께, 미리 부하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 단자를 하우징(28)내로 압압하면 와이어(16)이 접점(30)들 사이 슬로트(34')내로 압입되어 착좌하게 된다. 단자가 하우징내 완전히 착좌된후 와이어가 지역(33)의 단자저부로 밖으로 나와 있는다. 와이어가 착좌되어 있는 단자는, 제13도에서와 같이 개구(55)내 단자(12')위에서 하우징내와이어가 끼고, 지역(33)내에서 하우징에 와이어가 낌에 의해 정지된다. 또한, 단자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rib)(48)의 단부들에 의해서도 정지된다. 그 리브(48)은 미합중국 특허4,066,316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임(40')에 압축응력을 주도록 작용한다.
제9도는 제1도에서 이용되는 단자를 위한 정지부재(stops)(50) 및 (52)를 나타낸다. 정지부재(52)들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임(40)에 압축 응력을 주도록 작용하는 리브들의 단부들이다.
제10도에 하우징(14)내의 포켓트(pocket)(54)가 도시되어 있다. 절연된 와이어가 관통될 때(제11도)참조), 와이어는 그 포켓(54)내에 끼게되고 단자의 전진이 정지된다. 긴장 제거부(20)는 절연된 와이어(16)이 당겨질때 연결부에 어떤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단자(12')에서, 하우징에 적덜한 긴장 제거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12도에서 하우징(28)내의 포켓트(55)는 와이어를 파지하고, 접점(30)이 절연물을 관통하는 것을 돕는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의 저부에서 나와있는 와이어는 하우징 개구(33)(제7도)내에 끼어, 와이어의 착좌후 단자가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4도는 제7도의 접점과 비교되는 접점 슬로트폭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슬로트(57)은 와이어 심부의 직경과 동일하고, 절연물을 관통하는 날카로운 연부(59)를 가지고 있다. 단자(10")는 슬로트(57)에 날카로운 연부(59)가 형성되고 슬로트(56)의 폭쪽으로 감소하는 반경부(60)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압단(壓斷 : stamp)된다. 슬로트(56)은 슬로트(57)과 와이어 직경보다 폭이 약간 작다.
전단(剪斷)이 행해지기전 절연물이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게하기 위해 2가지 폭크기가 절연물 관통 접점(10")에 사용된다. 이러한 접점들의 구조는 접점 살(contact tine)에의 수직력을 감소시키며, 더우기, 와이어 심부에서 파여져 떨어지는 금속의 양을 감소시킨다.
본 고안의 코넥터에 이용되는 부전도성 하우징은 나일론, 폴리 카보네이트 또는 유리함유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을 사용하여 완전 자동 사출성형기에서 성형될 수 있다. 단자는 초강도 황동 합금, 인-청동 합금 또는 동-니켈-주석 합금을 압단(壓斷)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 단자들은 상술한 합금들중의 한 합금의 단일의 스트립(strip)으로 부터 고속 순차이송 다이(progressive die)에서 압단되어 제조할 수도 있다.

Claims (1)

  1. 중간 브릿지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1 및 제2접점 단부들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접점 단부가, 떨어져 있고 슬로트가 형성된 한쌍의 절연물 관통 접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접점 단부가 다른 전기회로의 접점 엘레멘트들과 맞물리는 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브릿지는 절연 와이어가 접근하도록 상기 제1접점 에 인접한 지역에서 요부(凹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물 관통 접점의 슬로트가 상기 브릿지의 상기 요부에 인접한 와이어 입구와 그 요부내로의 개구를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단자.
KR2019830005364U 1980-04-23 1983-06-18 전기 코넥터 KR830001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5364U KR830001330Y1 (ko) 1980-04-23 1983-06-18 전기 코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646A KR830003816A (ko) 1980-04-23 1980-04-23 전기 코넥터
KR2019830005364U KR830001330Y1 (ko) 1980-04-23 1983-06-18 전기 코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646A Division KR830003816A (ko) 1980-04-23 1980-04-23 전기 코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330Y1 true KR830001330Y1 (ko) 1983-08-01

Family

ID=2662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5364U KR830001330Y1 (ko) 1980-04-23 1983-06-18 전기 코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3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4320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s for terminating cords
US3950065A (en) Connecting device having integral conductor retaining means
RU1801237C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кабел
US3877773A (en) Double-ended conductor-in-slot connecting device
US3395381A (en) Crimpable connecting device for flat conductor cable
US3845455A (en) Tubular conductor-in-slot connecting device
US4211462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on cords with improved locking means
US4444449A (en) Electrical connector
EP0398560A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4527852A (en) Multigaug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contacts therefor
US4035049A (en) Universal solderless termination system
US4253722A (en) Insulation pierce-type connector for ribbon cable
US4114975A (en) Displation type electrical connector
US3609642A (en) Wire terminals
KR870001865B1 (ko) 리브 케이지형 단자
US4652071A (en) Cable terminal connector with insulation displacing terminals
US4607905A (en) Modular plug
US4749365A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US4232927A (en) Electrical connector
US4133596A (en) Electrical connector
US4653831A (en) Connector housing
US5807133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4124265A (en) Quick slide connector
US4370009A (en) Slotted plate terminal renewable as spade terminal
US4125311A (en) Insulation-piercing contact member and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