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296B1 - 수역오탁물(水域汚濁物) 회수선 - Google Patents

수역오탁물(水域汚濁物) 회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296B1
KR830001296B1 KR7803043A KR780003043A KR830001296B1 KR 830001296 B1 KR830001296 B1 KR 830001296B1 KR 7803043 A KR7803043 A KR 7803043A KR 780003043 A KR780003043 A KR 780003043A KR 830001296 B1 KR830001296 B1 KR 830001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ll
liquid
floating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133A (ko
Inventor
다쓰오 오꾸다
Original Assignee
다쓰오 오꾸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쓰오 오꾸다 filed Critical 다쓰오 오꾸다
Priority to KR7803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296B1/ko
Publication of KR83000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역오탁물(水域汚濁物) 회수선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역오탁물 회수선에 의한 유출유의 회수 작업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역오탁물 회수선의 부분 단면평면도,
제3도는 중간형상 부유물 분리 수집장치를 제거한 후의 제2도의 선 Ⅲ -Ⅲ 에 따른 요부 단면측면도,
제4도는 중간형상 부유물 분리수집 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선 Ⅴ -Ⅴ에 따른 부분단면 요부 전면도,
제6도는 소파(消波 ) 장치를 제외한 후의 제3도와 같은 부분 단면 요부측면도,
제7도는 제2도의 선 Ⅶ -Ⅶ에 따른 부분 단면 요부측면도,
제8도는 제7도와는 다른 상태에 있는, 제7도와 유사한 부분 단면 요부측면도,
제9도는 제6도의 선 Ⅸ -Ⅸ 에 따른 요부 평단면도.
본 발명은 수면 아래 최적의 심도까지의 물을 선체 안으로 끌어들여 도입된 물중, 주로 하층의 물을 분사추진기에 도입시켜 분사하므로서 추력을 얻음과 동시에 주로 상층의 물속에 혼입되어 있는 부유물을 연속적으로 분리 수집하여 회수토록한 수역오탁물 회수선에 관한 것이다.
해양이나 항만, 호수, 하천등의 수역에 있어서의 각종 부유오탁물은, 환경파괴, 수질의 열등화 수산자원의 감실등과 같은 여러가지 형태의 공해를 초래한다.
근년, 수역에 있어서의 공해의 발생빈도가 급증하고 있지만, 그 대부분의 경우가 각종 부유오탁물에 기인하고 있다. 그러나, 수역에 있어서의 부유오탁물의 방제기술은 아직까지 확립되어 있지않다. 예를들면 기름회수선등에 의해 기름등의 부유물을 회수하는 데는 기동성이 높고, 또 현장에 있어서의 고도의 작업성과 안정성이 우수한 가혹한 조건을 만족시킬만한 것이 아니면 안되고, 나아가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름등의 부유물의 회수작업은 부유물을 확실히 회수하기 위하여 저속(1-2노트 정도)의 주행이 요구되는 반면 유사시에는 기름회수선은 가급적 신속히 유출 기름현장에 도달할 수 있는 정도의 고속항행이 가능한 저장유조를 구비한 선박이 아니면 안되고, 또, 해안앞바다 등의 원격지에 정박시켜서 거기서 회수작업을 안전하게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와 설비를 구비한 선박이 아니면 안되고, 또한, 기름의 회수작업은 유탁(油濁 )해역에서 장시간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도 생각되며 또한 유출기름은 위험물이므로 선체 및 회수장치는 구조상 방폭등의 안정을 보유하지 아니하면 안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곤란성이 있다할지라도, 각종 부유오락물에 의한 수역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물론, 이미 수역에서 발생된 각종 부유오락물을, 그 수역의 환경조건이나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신속히, 그리고 안전하고도 확실히 회수하기 위한 기술을 확립하는 것은 작금에 있어서의 긴급을 요하는 과제이다.
부유오탁물은, 일반적으로, 캔 종류나 유목등의 거칠고 큰형상의 부유물과, 해파리나 감귤이라든가, 수면상에 유출된 기름을 흡착시키기 위해 살포된 흡착면(綿)이나 흡착맷트, 기타 합성수지제의 시이트의 중간형상 부유물과, 미소한 먼지등이나 유출기름등의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로 분류해서 생각할 수 있다. 이들부유오탁물은 수면상 혹은 주로 수면근방의 수중에 편재해서 부유하고 있으며, 이들 부유오탁물 중 거칠고 큰 형상의 부유물의 회수는, 각종 방법에 의해 비교적 쉽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중간형상 부유물과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의 회수는 반드시 용이한 것은 아니며, 특히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에 의한 수역의 오탁은 현저한 것으로, 오염된 수역은 확대되기 쉽고, 오염된 수역이 확대됨에 따라, 부유물의 회수작업은 비약적으로 그 곤란성을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름등의 수역오탁물을 회수하는 데에 필요한 본질적 난문제를 해소하며, 액체 부유물을, 그가 부유되어 있는 수역의 풍파등의 환경조건이나 그 액체부유물 자체의 확산성층상태에 관계없이 신속하고도 능률적이며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는 회수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수역오탁물 회수선(1)의 사용양태의 일예가 표시되어있다. 이 제1도에 표시된 수역오탁물 회수선(1)의 사용양태는 해상에 기름이 유출되어 있는 경우를 가상하고 있으며, 오일 팬스(fence) (9)에 의해서 둘러쌓인 수역내에 서유출유를 수집하여 회수하는 수역오탁물 회수선(1)은,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부자(浮子 ) (3)이 취부되어 있는 호오스(2) 및 케이블(6)에 의하여 오탁물 수용선(4)에 연결되어 있다. 수역오탁물 회수선(1)에 의해 수집된유출유는 그회수선 내에 수용된 펌프에 의해 가압되어 호오스(2)를 거쳐서 오탁물수용선 (4) 오탁물수집조 (7)내로 보내진다. 케이블(6)은 오탁물 수집선(4)에 탑재된 전원장치(5)에 접속되어 있으며 수역오탁물 회수선(1)의 추진기, 조타장치, 펌프등을 구동하는 데에 필요한 전력은 이 전원장치(5)에서 케이블(6)을 통하여 보내진다 수역오탁물 회수선(1)은 오탁물 수용선(4)상에서 원격 조종되도록 되어있으며 이를 위한 지령신호는 무선에의하거나, 또 케이블(6) 또는 이 케이블과 병설된 별도의 통신용 케이블을 통하여 보내진다.
수역오탁물 회수선(1)은 제1도 중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오탁물 회수선(4)상에 탑제되어 오탁수역까지 운반할 수 있으며, 오탁물 수용선(4)가 오탁수역에 도착했을 때에 수역오탁물 회수선(1)은 오탁물 수용선상의 크레인(8)에 의해 그 오탁물 수집선상으로부터 수면위로 내려진다. 그리고 오탁물 회수작업이 끝나면 수역오탁물 회수선(1)은 크레인(8)을 이용하여 다시 오탁물수용선(4)상에 탑재되어 그 오탁물 수용선에 의해 운반된다.
제1도에 표시된 수역오탁물 회수선(1)은 본 발명의 수역오탁물 회수선의 일예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역오탁물 회수선을 원격조종하는 대신에 수역오탁물 회수선상에 작업원이 송선하여 직접 조종할 수 있도로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역오탁물 회수선에 원동기를 탑재하거나 오탁물 수용조를 설치함으로서, 수역오탁물 회수선을 오탁물역까지 자체적으로 향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2-9도에는 제1도와 수역오탁물 회수선(1)의 구체적인 구조의 1에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선체(10)의 좌현부에는 부력안정용 부자(11)이 취부수단(13,13')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취부됨과 동시에 우현부에는 부력안정용부자(12)가 취부수단(14,1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취부되어있다. 각 부자(11,12)는 선체(10)의 종방향 중심선에 관하여 좌우 대칭 형상을 갖고, 서로 협동하여 선체의 부력안정에 도울이 되고 있다. 선체(10)의 후단중앙부에는 수집된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을 선체의 후단부에 접속된호오스(2)를 통하여 압송펌프를 수용하기 위한 펌프실(15)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펌프실의 좌우에 인접하여 1쌍의 추진기실(16,16')이 설치되어 있다. 선체(10)의 종방향 중심선상에는 앞쪽에서부터 순서대로 전면 중앙의 부자를 겸한 격벽(17), 선체안정실(18),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 수집실(19)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격벽(17), 선체안정실(18),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 수집실(19)의 좌우 양측에는 선체(10)의 종방향 중심선에 관하여 좌우 대칭상태로서 그 선체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1쌍의 도수실(導水室) (20,20')이 설치 되어있다.
특히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격벽(17), 선체안정실(18) 및 좌우의 각 도수실(20,2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판(床板)(23)상에 설치되어 있으나,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19)의 저부는 상판(23)보다도 하방의 선저까지 달하여있다. 그리고 상판(23)의 전방부와 선저와의 사이에는 요동감쇄 수조(水槽)(21)이 형성되어 있다. 도수실(20,20')의 상판(23)의 중앙저부에 추력발생용물 취입관(46,46')이 개구해 있으며 상판(23)의 후방부는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19)의 좌우측벽에 있는 유입구(72,73')에통해있다.
요동 감쇄수조(21)은 선저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한쌍의 개구(22,22')를 통하여 외측의 물과 통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7도 및 제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판(23)에 설치된 연통구(24)를 통하여 선체 안정실(18)내에서 상판(23)상에 세워진 기밀통(氣密筒)(25)에 연통되어 있다. 그 기밀통의 상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는 밀폐뚜껑(26)에 의해서 평상시에는 밀폐되어 있다. 따라서 선체(10)을 수상에 떠있게 한 상태에서 밀폐뚜껑(26)을 제거하면 외측물은 선저에 설치되어 있는 개구(22,22')를 통하여 요동감쇄 수조(21)안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그 요동 감쇄수조안으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최적수준의 높이에 달했을 때 밀폐뚜껑(26)에 의해서 기밀통(25)의 상단부의 개구를 밀폐하면 이미 요동감쇄수조(21)안으로 유입되어 있는 물의 수위가 그대로 유지되어 그 수조(21)은 최적량의 물을 유지한 상태에서 선체(10)의 선수부분의 부상을 방지하여 요동감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좌우의 각 도수실(20,20')의 전방은, 선체(10)이 물위에 떠있을때 외측물이 자유롭게 유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각 도수실(20,20')의 전단부에는 각각, 거칠고 큰 형상의 부유물 분리장치(28)이 설치되어있다. 이들 거칠고 큰 부유물 분리장치(28)은 거칠고 큰 형상의 부유물이 각 도수실(20,20')안으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며 격벽(17)에서 전방으로 돌출해서 전단부에 개선 및 예인용 훅크(30)을 갖춘 지지를 체(29)와 선체(10)의 전단연부와의 사이에서 각 도수실(20,20')의 전단개구부를 포위하도록 하여 지지되어 있는 좌우 1쌍의 전면 격자(格子 )(31,31')와 좌우 1쌍의 저부 격자(32,3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전면격자(31,31)및 저부격자(32,32')는 비교적 거친 구멍을 가진 격자이며, 관류(罐類 )나 유목(流木) 등의 거칠고 큰 형상의 부유물만을 격자의 횡지주의 경사에 의해 분리하여 각 도수실(20,20')안으로 유입하지 않도록 배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관류나 유목등의 거칠고 큰 형상의 부유물은 수역오탁물 회수선(1)에 의하지 않고, 다른 적당한 회수수단에 의하여 별도로 회수된다.
거칠고 큰 형상의 부유물 분리장치(28)의 바로뒤에는 유수(流水)심도 조절장치(33)이 설치되어있다. 이유수심도 조절장치는 선체(10)의 종방향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상태로서 각 조수실(20,20')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격벽(17)과 선체(10)의 좌우측벽과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고정된 좌우축지축(34,34')와, 그 축지축에 저단연부가 축지된 좌우 1쌍의 유수심도 조절판(35,35')와, 각 유수심도 조절판(35,35')의 선단연부의 하면부에 각각 고착된 부자(36)및 중추(重錘)(37)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축지축(34,34')보다도 아래쪽의 부분은 물이 전후방향으로 통과하여 흐르지 않도록 횡방향의 분할판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부자(36)의 부력의 크기 및 중추(37)의 중량을 알맞게 선정함으로서 각 유수심도 조절판(35,35')는, 그 조절판의 상면측을 통과하여 흐르는 물의 수위 변동에 따라 각 축지축(34,34')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각 도수실(20,20')내로 유입한 물의 수위변화나 수면의 파동에 관계없이 수면아래 최적의 심도까지의 물만을 능과하게 한다. 각 유수심도 조절판(35,35')의 이같은 기는은 뒤에 서술하는 수중펌프(49,49')의 흡인 수량에 맞통 양의 물을 도입할 수 있도록 도입수량의 조절을 행할 수 있다.
유수심도 조절장치(33)의 바로뒤에는 중간형상 부유물 분리 수집장치(3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간형상부유물 분리수집장치는 선체(10)의 종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완전한 대칭상태로 각 도수실(20,20')마다 설치되어 있고, 각각 1쌍의 손잡이(39,40)및 (39',40')를 상단부에 갖는 사각형틀체(41,41')와 각 사각형틀체(41,41')의 후방에 격벽(17)의 측벽면을 따라 끝이 가능게 형성된 끝이 가는 부유물 유도닥트(42,42')와 유도닥트의 후단부에 접속된 중간형상부유물 수집망(43,43')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 및 제4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끝이 가는 부유물 유도닥트(42,42')의 선체(10)의 종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진 외방측면부에는 상하방향의 보강봉(45)에 의해 보강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된 다수의 부유물 유도닥트(42,42')의 전단개구부는 각 도수실(20,20')의 전체폭에 걸쳐 개구되어 있음과 동시에 후단개구부는 각 도수실의 횡방향 폭에 대하여 상당히 축소된 횡폭을 갖고있는 상태로 중간형상 부유물 수집망(43)(43')의 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해파리나 밀감 또는 기름 흡착면이나 기름 흡착맷트, 의기 타합성수지제 시이트류등의 중간형상 부유물은 끝이가는 부유물 유도닥트(43,42')내에로 유입된 후, 각 부유물 분리판(44)을 따라이동하여 각각 중간형상 부유물 수집망(43,43')내에 수집된다. 이와동시에 중간형상 부유물이 분리된 후의 물은 미소형상 및 액체 부유물을 포함한 상태로, 각 부유물 분리판(44)사이의 간격부 및 중간형상 부유물수집망(43,43')의 망목부를 통과하여 흐른다.
좌우 1쌍의 중간형상 부유물 분리수집장치(38)은 각각 선체(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단일체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중간형상 부유물 분리 수집장치(38)을 착탈할 때에는 각각 손잡이(39,40) 또는 (39',40')을 사용하여 선체(10)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각 중간형상 부유물 분리수집장치(38)의 후방의 상판(23)의 부분에는 각각 추력발생용수 취입관(46,46')이 비스듬히 전방 상향으로 개구하여있다. 각 추력발생용수 취입관은 각각 상단개구부에서 여러장의 부유물 분리겸 정류판(47,47)을 가지고 있다. 각 추력발생용수 취입관(46,46')의 하류측은 선체(10)의 전방으로 향하여 있어 요동 감쇄수조(21)내에 설치된 좌우 1쌍의 수중모우터(48,48')에 의해 각각 구동되는 좌우 1쌍의 펌프(49,49')의 흡입구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각 펌프의 배출구에 각각 일단측의 접속된 좌우 1쌍의 선저에서 후방으로 향한 송수관(50,50')은 제3도 및 제9-8도에 표시된 것같이 후방부는 각각 상방으로 굴곡되어 좌우의 추진기실(16,16')내에 설치된 좌우 1쌍의 분사추진기(51,51')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3도 및 제5도에 표시된 것 같이 송수관(50,50')의 후부의 수직부분에는 각각 외측방으로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부(52,52')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개구부 상측에는 각 송수관(50,50')를 거쳐 보내어진 물을 각 개구부(52,52')측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판(53)이 설치되어 있다. 각 송수돤(50,50')의 개구부(52,52')보다도 하방의 부분은 각각 고정부재(54)에 의하여 각 추진기실(16,16')의 하단부에 고정된 분사방향 규제통(55,55')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각 송수관(50,50')와 각 분사방향 규제통(55,55')사이의 환상 간격부내에는, 각각 토오크전달관(57)을 거쳐 구동장치(58)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통(56,56')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된 것과같이 각 분사방향 규제통(55,55')에는 수평면에서 반경방향으로 개구하여 있는 3개의 고정노즐(60,6162) 및 (60',61',6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고정노즐중 1쌍의 고정노즐(60,61')는 각각 외측 횡방으로 향하여 개구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 1쌍의 고정노즐(61,61')은 각각 외측 전방으로 향하여 개구해 있으며, 또 다른 1쌍의 고정노즐(62,62')는 각각 외측 후방으로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또 각 회전통(56,56')에는 각 고정노즐(60,61,62) 및 (60',61'62')와 각 개구부(52.52')가 포함되는 동일 평면내에서 단일의 가동노즐(59,59')가 각각 반경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 1쌍의 각 구동장치(58)의 구동에 의해 각 회전통(56,56')이 서로 독립하여 회전됨에 따라 좌우의 가동노즐(59)는 좌측의 3개의 고정노즐(60,61,62)중 어느 것이든 하나에 분류수를 전향시킴과 동시에 우측의 가동노즐(59')는 우측의 3개의 고정노즐(60',61',62') 중 어느 것이든 하나에 분류수를 전향시킨다.
그리고 예를들면 고정노즐(60,60')로 분류수가 전향되고 있는 동안에는 선체(10)은 정지하여 있지만 고정노즐(61,61')에 분류수가 전향될 때에는 선체(10)은 후진하며, 고정노즐(62,62')에 분류수가 전향될 때에는 선체는 좌선회하고, 고정노즐(52,61')에 분류수가 전향될 때에는 선체는 우선회를 한다. 이리하여, 각 분사추진기(51,51')는 서로 협동 하거나 선체(10)의 소회전 조종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들 분사추진기(51,51')에 있어서는 각 구동장치(58)을 원칙적으로 조작하는 대신에 회전통(56,56')를 적당한 수동기구에 의해 직접 수동회전 시킬 수도 있다.
제2도, 제3도 및 제6도에 표시된 것과같이 각 도수실(20,20')의 후단부에는 각각 1쌍의 소파(消波) 장치(63,64) 및 (63',6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소파장치는 각각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19)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 1쌍의 유입구(73,73')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유입구(73,73')를 통하여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19)내에 유입하려는 물에 대하여 미리 소파하는 역할을 한다.
좌우 1쌍의 소파장치(63,63')는 각각 전후 1쌍의 지주(65,66) 및 (65',66')를 가지고 있고, 이들 지주와 선체(10)의 측벽과의 사이에는 각각 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배향된 다수의 소파판(67,6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좌우 1쌍의 소파장치(64,64')는 각각 전면부에 소파망(70)을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는 각각 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향된 다수의 소파판(71)에 간격을 두고 소파판(72)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 도수실(20,20')내를 후방까지 흘러들어온, 주로 상층의 물의 일부는 직접 유입구(73,73')에 흘러들어오는 한편, 다른 일부의 물은 각 소파장치(63,63')의 전면개방부(68,68')를 거쳐 각 소파판(67,67')에 의해 소파된 후, 측면 개방부(69,69')를 거쳐 각각 각 유입구(73,73')에 흘러들어 간다. 이때에 좌우 1쌍의 소파장치(64,64')는 각 소파장치(63,63')의 후부에 인접해 있음으로서 각 소파장치(63,63')에 의해 흡수되지 못한 도입실(2,20')의 후벽에 부딪치는 직격파(直擊波)의 에너지를 다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리하여 각 유입구(73,73')에 유입하는 물은 각 소파장치(63,64) 및(63',64')에 의해 미리 소파됨으로서 수면변동이 적은 잔잔한 상태로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19)내에로 흘러 들어온다.
다음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수집장치(89)에 대하여 상술하면, 제2도 및 제6-8도에 표시된 것과같이 미소형상 및 액체 부유물분리 수집실(19)의 후벽면상에는 상하로 향하여 기립하는 상하 수평 운동만으로 규제하는 정지판(74)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이 정지판에는 활접부동틀(滑接浮動
Figure kpo00001
)(75)의 후단부가 수위변동에 응하여 상하방향으로만 활접 이동할 수 있도록 구속 결합되어 있다. 활접부동틀(75)에는 전후 1쌍의부자(76,77)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떨어져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1쌍의 부자(76,77)사이의 위치에서 활접부동틀(75)에는 하방 및 전방의 흡입닥트(99,99') 및 각 연통구(00,100)로 향해 경사진 다수의 부유물 분리겸 정류판(79)의 각 좌우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부유물 분리겸 정류판(79)의 상방측연부에는, 좌우 유입구(73,73')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사부(78,78)가 인접해 있다. 각 부유물 분리겸 정류판(79)의 하단연부에는 보강판(80)이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 부자(76)의 좌우 양단부와 보강판(870)은 각각 좌우 1쌍의 상하방향의 보강판(8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부자(77)의 좌우 양단부와 보강판(80)은, 각각 좌우 1쌍의 상하방향의 보강판(82)로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 유입구(73,73')의 경사부(78,78')의 밑에는 다시 직립 하방부분(83,83')가 형성되어 이 하방부분(83,83')는 상판(23)까지 뻗어있다(제6도).
부자(77)의 상면위에는 좌우 1쌍의 상방후부안내판(84,84')이 기립설치되어 있고, 각 상방 후부안내판(84,84')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접합부에는 상방 중앙안내판(85)의 단연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 상방 중앙안내판(85)는 활접부동틀(75)의 수직 종방향 중심면 내에 포함된 상태로 그 전방단부가 부자(76)까지 달하여 있으며, 그 하단 연부는 각 부유물 분리겸 정류판(79)의 상단연부에 접합되어 있다. 그래서 상방 중앙안내판(85)는 각 부유물 분리겸 정류판(79)의 보강재로서의 역할도 한다.
부자(76)의 상면상에는 서로 협동하여 전방을 향하여 점차 폭이좁은 유로를 형성하는 좌우 1쌍의 상방전방부 안내판(86,86')이 기립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상방전방부 안내판(86,86') 사이에서 부자(76)의 상면상에는 다수의 봉(87)이 횡렬로 기립설치되어 있다.
활접부동틀(75)의 전단부에는 유체심도조절판(88)의 저단연부와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수집장치(89)의 요동수용부(92)의 전단연부가 축지되어 있다. 그 요등수 용부의 후단에는 상기분리 수집실(19)내의 수면에 개구하는 부유물 도입구(92a)가 형성되어 있다. 유체심도조절판(88)의 선단측은 좌우 상방 전방부 안내판(86,86')에 의해 형성된 유도출구측으로 향해져 있으며, 그 하면측에는 부자(90)과 중추(91)이 고정되어있다. 부자(90)의 부력의 크기와 중추(91)의 중량을 알맞게 선정함으로서, 유체심도 조절판(88)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그 주위에 수집된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의 비중차에 의해 저단연부측의 축지부(P)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하고 1쌍의 상방전방부 안내판(86,86')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과한다. 미소형상물 및 액체부유물을 함유한 물을 수위의 변화나 수면의 파동에 관계없이 통과시킨다.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수집장치(89)는 활접부동틀(75)의 전방단부에 선단연부에 축지된 요동 수용부(92)와 이 요동수용부(92)의 좌우 양측벽(101,101')에 고정된 1쌍의 부자(93,93')와 요동수용부(92)의 기부측상단부에는 고정된 수면검지기(95)와, 이 수면검지기(95)로부터 하방으로 매달린 전극단자(96)으로 구성되어 있는 감지수단(S)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수용부(92)의 기단측 아래저부에는, 그 요동수용부안에 집적된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9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에 일단측이 접속된 가요성의 호오스(97)은 다른 단부측에서 펌프실(15)안에 설치되고 배출구가 호오스(2)에 접속되어 있는 펌프(98)의 흡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제7도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같이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19)내의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이 적게되어 물과 거의같은 비중에 있을때에는 요동수용부(92)의 하저부는 대략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극단자(96)의 하단부는 수면에 접속하지 않는다. 그러나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19)내에 물보다 가벼운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이 집적되어 요동수용부(92)상에 집적됨에 따라 그 요동수용부는 선단축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각 부자(93,93')의 부력작용에 의해 하방으로 침하한다. 그리고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동수용부(92)상의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이 일정이상으로 유입 집적되면 전극단자(96)의 하단부가 수면에 접촉함으로서 수준검지기(95)가 작동한다.
수준검지기(95)는 펌프(98)의 구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수준검지기가 작동함에 따라 펌프(98)이 회전되어 요동수용부(92)상에 집적된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은 배출구(94), 호오스(97)을 거쳐 흡입되며 다시 호오스(2)를 거쳐서 압송된다.
이와같이 하여 요동수용부(92)상의 부유물이 펌프(98)에서 배출되면 그 요동수용부는 다시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하저부가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로 복원한다.
제6-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미소현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19)의 하저부에서 전방단부 좌우 양측에는 1쌍의 흡입닥트(00,99')가 개구되어 있으며, 각 흡입닥트(99,99')는 각각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19)의 좌우측벽의 전단하저부에 형성된 연통구(100,100')를 통하여 각각 좌우의 추력발생용수취입관(46,46')에 연통하여 있다.
그리하여, 각 수중모우터(48)에 의해 각 펌프(49)가 회전되면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19)내의 하층의 물은 각 흡입닥트(99,99') 및 연통구(100,100')를 지나서, 각 추력발생용수취입관(46,46')내로 흡입된다. 이에따라, 각 도입실(20,20')에 도입된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과 물은 각 소파장치(63,64) 및 (63',64')에 의해 소파된 뒤에 각 유입구(73,73')를 거쳐서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19)내로 유입한다. 이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내에 있어서는 활접부동틀(75)에 고정된 부유물 분리겸 정류판(79)가 부자(76,77)의 작용에 의해 부동상태로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활접부동틀(75)에 축지된 유체심도조절판(88)이 부자(90)의 작용으로 부동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며, 다시 활접부동틀(75)에 축지된 요동수용부(92)가 부자 (93,93')의 작용으로 부동상태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각 유입구(73,73')를 거쳐 유입한 주로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을 포함하는 물은 각 상방 후부안내판(84,84') 및 상방 중앙안내판85)에 안내되어 부유물 분리겸 정류판(79)의 상방에 달한다. 그리고, 부유물 분리겸 정류판(79)에 달한 물중, 주로 하층의 물은 그 정류판의 상면 및 그 양측의 경사부(78,78')로부터 부유물 분리겸 정류판(79)내로 흘러, 여기에서 정류되어 하방으로 흡인되고, 다시 각 흡입닥트(99,99') 및 각 연통구(100,100')를 거쳐, 각 주력발생용수 취입관(46,46')안으로 흘러들어가 거기에서 각 부유물 분리겸 정류판(47,47')를 거쳐 취입되는 물과 합류한 후에 각 펌프(49,49')로서 가압되어 각 분사추진기(51,51')에 의해 분사됨으로서 추력을 발생한다.
또 부유물 분리겸 정류판(79)의 상방에 달한 물중, 주로 하층의 물에는 미소한 진개류(塵价類)나 유출유 등의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이 비교적 다량으로 부유해 있고, 이들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은 후속의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에 밀리면서 봉(87)의 사이를 통과하여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16)내의 수면층의 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집적된다. 그 수집실(19)내의 수면층이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로서 채워지면, 수면층의 부유물을 함유한 물의 고유비중과, 부자(90) 및 중추(91)를 장치한 유체심도 조절판(88)의 비중과의 차에 의해서 그 유체심도 조절판(88)이 하방으로 회동하여 침하하고 요동수용부(92)의 부유물도입구(92a)를 개방함과 동시에 요동수용부(92)도, 그의 양측에 고정된 1쌍의 부자(93,93')의 작용으로 침하하고,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은 요동수용부(92)상으로 침적된다.
이같이 하여 요동수용부(92)의 침하에 의해서 그 요동수용부상에 집적된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의 용량이 일정한 집적량 이상에 달하면 제8도와같이 전극단자(96)의 하단부가 수중으로 침적하여 이것을 온(ON)하여 수준검지기(95)가 작동하고 펌프(98)이 요동수용부(92)상의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을 호오스(97)을통하여 흡입한후, 호오스(2)를 통해서 예를들면 제1도에 보여진 오탁물수용선(4)의 오탁물수용조(7)로 압송한다.
또한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분리수집실(19)의 후단 하저부에는 배수전(2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을 마치고 선체(10)을 달아올렸을때 기밀통(25)의 밀폐뚜껑(26)을 개방함과 동시에 배수전(27)을 떼어내고, 요동 감쇄수조(21)내의 물과 수집실(19)내의 물을 동시에 배수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체(10)의 수면아래 최적심도까지의 물을 선체내의 도수실(20,20')에 도입하고, 다시 그 도입수중주로 상층의 오탁수를 도수실(20,20')에 연설되는 분리수집실(19)에 도입하고, 다시 그 분리수집실(19)내의 액체부유물을 미소형상 및 유체부유물 수집장치(89)에 의하여 분리 회수하도록한 것으로서, 선체(10)의 수평아래 최적의 심도까지의 물에 부유하고 있는 액체부유물을 효율좋게 회수할 수가 있다. 특히 도수실(20,20') 및 분리수집실(19)에 각각 도입되는 물 가운데 주로 하층의 물을 선체(10)에 설치한 분 사방향 가변 분사추진기(51,51')에 분사수로서 흡입공급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도입수에서 분리한 비교적 청정한 물을 선체(10)의 추진력 발생용수로서 유익하게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분사추진(51,51')기의 적절한 조작에 의하여 선체를 정지, 전후진 혹은 좌우 선회의 어떤상태에도 놓을 수가 있는 동시에 그 어느 경우에도 부유물의 회수작업을 지장없이 계속 수행할 수가 있고, 따라서 오염수역이 비교적 좁든가 혹은 평면에서 보아서 특수한 모양을 나타내고 있어도 선체를 회전방경이 작게 이동시키고 혹은 정지상태로유지시키면서 부유물 회수작업을 능률좋게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수집장치(89)는, 분리수집실(19)의 내수면에서 부동(浮動)하고, 그 내수면에 개구하여 있는 부유물 도입구(92a)를 구비한 수용부(92)와, 이 수용부에 축지되고, 부유물 도입구(92a)를 폐쇄하는 상방위치와 그것을 개방하는 하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할 수 있는 유체심도 조절판(88)과 수용부(02)내에 연통되고 거기에 도입된 액체부유물을 흡인하여 외부로 회수할 수 있는 회수용 펌프(98)과 수용부(92)가 액체부유물 유입에 의하여 일정량 칙하하였을때 이것을 감지하여 회수용 펌프(98)을 작동하는감지수단(S)으로 구성되고, 유체심도 조절판(88)은, 그것에 작용하는 부력에 의하여 통상은 상방위치에 유지되고 또 분리수집실(19)내수면의 부유물 체적에 의하여 부력이 소정치 이하로 감소하면 하방위치로 요동할 수 있는 비중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분리수집실(19)내에 계속적으로 도입되는 오탁수중의 액체부유물이이분리수집실의 내수면에 소정두께 이상 체적하는 것을 기다려서, 유체심도 조절판(88)을 하방위치로 요동시켜서 부유물 도입구(92a)를 자동적으로 개방할 수가 있고, 따라서 분리수집실(19)내의 상기 체적부유물층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청정한 해수등을 수용부(92)내로 혼입시킬 염려가 없고, 해면에 액체부유물이 극히얇은 층을 이루고 퍼져나가는 상황하에 있어서도, 수용부(92)내에는 본래 수집할 액체부유물만을 효율좋게 도입할 수가 있다. 더우기 상기 부유물도입구(92a)는 그것의 개방상태에서 수용부(92)와 함께 분리수집실(19)내 수면에 정확하게 추종 이동할 수 있으므로, 선체의 진동, 횡진등에 의하여 분리수집실(19)과 그 내수면과의 사이에 상대변동이 생긴 경우에도 이 내수면의 상기 체적부유물을 정확하게 수용부(92)내로 도입할 수 있고, 그결과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수집장치(89)는, 액체부유물이 부유하고 있는 수역의 풍관등의 환경조건이나 이 부유물 자신의 성층상태와 관계없이, 오탁수중에서 액부유물만을 극히 효율좋게 확실히 분리포집할 수가 있고, 회수효율을 대폭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용부(92)내에 부유물이 소정량유입 체적하는 것을 기다려서 회수용 펌프(98)이 자동적으로 작동되므로 부유물 회수작업중 이 회수용 펌프를 언제나 작동시킬 필요가 없고 그 동력을 절약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고 또한 회수용 펌프(98)의 수동에 의한 귀찮은 절환조작이 일체 생략되고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Claims (1)

  1. 선체(10)내에 설치되고, 그 선체의 전면측으로 개구하여 있는 도수실(20,20')과, 그 도수실의 입구에 설치되고, 이 도수실내에 선체 밖의 수면아래 최적의 심도까지의 물만을 도입시키도록 도입수의 심도조절을 행하는 유수심도 조절장치(33)와, 도수실(20,20')에 나란히 설치되고 그 도수실내에 도입된 물 가운데 주로 상층의 오탁수를 내부에 도입하는 분리수집실(19)과, 선체(10)에 설치되고 도수실(20,20') 및 분리수집실(19)내에 각각 도입된 물 가운데 하층의 물을 흡인할 수 있는 펌프(49,49')를 구비한 공지의 수역오탁물 회수선에 있어서,
    펌프(49,49')에 의하여 흡인된 물을, 분사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가동노즐(59,59')를 통하여 선체(10)로 분사시켜서, 이 선체를 정지, 전후진 및 좌우선회시킬 수 있는 1쌍의 분사추진기(51,51')가 선체의 후부양측에 설치되고, 분리수집실(19)의 내수면에 부유하는 미소형상 및 액체 부유물을 분리 회수하기 위한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수집장치(89)가 분리수집실(19)내에 설치되며, 그 미소형상 및 액체부유물 수집장치(89)는, 분리수집실(19)의 내수면에서 부동(浮動 )하고, 그 내수면에 개구하는 부유물 도입구(92a)를 구비한 수용부(92)와, 이 수용부에 축지되고, 부유물 도입구(92a)를 폐쇄하는 상방위치와 그것을 개방하는 하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할 수 있는 유체심도 조절판(88)과, 수용부(92)내에 연통되고, 거기에 도입된 액체부유물을 흡인하여 외부로 회수할 수 있는 회수용펌프(98)와, 수용부(92)가 액체부유물 유입에 의하여 일정량 침하한때 이것을 감지하여 회수용펌프(98)를 작동시키는 감지수단(S)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체심도조절판(88)은, 그에 작용하는 부력에 의하여 통상은 상기 상방위치에 보유되고, 또 분리수집실(19)내수면의부유물 집적에 의하여 부력이 소정치 이하로 감소하면 상기 하방위치로 요동할 수 있는 비중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역오탁물 회수선.
KR7803043A 1978-10-05 1978-10-05 수역오탁물(水域汚濁物) 회수선 KR830001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043A KR830001296B1 (ko) 1978-10-05 1978-10-05 수역오탁물(水域汚濁物) 회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043A KR830001296B1 (ko) 1978-10-05 1978-10-05 수역오탁물(水域汚濁物) 회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33A KR830000133A (ko) 1983-03-25
KR830001296B1 true KR830001296B1 (ko) 1983-07-06

Family

ID=1920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043A KR830001296B1 (ko) 1978-10-05 1978-10-05 수역오탁물(水域汚濁物) 회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2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963B1 (ko) * 1997-09-24 2001-09-22 나카니시 도시마사 착탈가능한모터를가진치과용핸드피스
KR200480891Y1 (ko) 2015-03-31 2016-07-19 권희숙 다관용 물대 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963B1 (ko) * 1997-09-24 2001-09-22 나카니시 도시마사 착탈가능한모터를가진치과용핸드피스
KR200480891Y1 (ko) 2015-03-31 2016-07-19 권희숙 다관용 물대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33A (ko) 198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11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low density liquids in surface water
KR100329349B1 (ko) 부유물수거선박
US2876903A (en) Oil skimmer and separator vessel
US3731813A (en) Floating debris recovery apparatus
EP3310450B1 (en) Oil-water separator
US37546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oil from surface of the sea
US4305830A (en) Water surface cleaner, method and apparatus
US502298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removal of floating pollutants from a water surface
US3523611A (en) Oil skimming apparatus
US36566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floating pollutants from a body of water
US4133765A (en) Device for retrieving floating pollutants on surface water
US3534858A (en) Pollution control device
KR20220167368A (ko) 부유 기름의 회수 처리 장치
WO1999034894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 low density liquid from a high density liquid
EP3647496B1 (en) System for cleaning heterogeneous sludge deposited in hydraulic facilities
JPH10258793A (ja) 流出油回収装置
WO2009122117A1 (en) Contaminant recovery device for contaminants on watersurface
KR830001296B1 (ko) 수역오탁물(水域汚濁物) 회수선
DE19854317B4 (de) Verfahren zum Entfernen eines auf der Oberfläche einer Flüssigkeit schwimmenden Stoffes
US4614582A (en) Automatic and autonomous floating purifier with rotary belt separation and external radial circulation
KR100285772B1 (ko) 수상 부유물 수거선
US3656623A (en) Liquid separation apparatus
US4379054A (en) Open sea skimmer barge
KR101788606B1 (ko) 선박용 부유기름제거장치
CN212797239U (zh) 一种新型液面浮油收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