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211B1 -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211B1
KR830001211B1 KR1019790003417A KR790003417A KR830001211B1 KR 830001211 B1 KR830001211 B1 KR 830001211B1 KR 1019790003417 A KR1019790003417 A KR 1019790003417A KR 790003417 A KR790003417 A KR 790003417A KR 830001211 B1 KR830001211 B1 KR 83000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dimethoxy
acid
pyrrolidinylmethyl
methylsulfamoylbenz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203A (ko
Inventor
토미네트 미첼
퍼로트 쟉끄
Original Assignee
지. 삐에뜨르
쏘시에떼 드' 에티드 시앙티휘크스에 엥디스트리엘 드 일-드-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 삐에뜨르, 쏘시에떼 드' 에티드 시앙티휘크스에 엥디스트리엘 드 일-드-프랑스 filed Critical 지. 삐에뜨르
Priority to KR1019790003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211B1/ko
Publication of KR830001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부뇨로계(Lower urinary apparatus) 질병치료에 유용한 다음 일반식(1)의 신규 베라트라미드(Veratramide) 즉,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1)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 4가 암모늄염, 산화물 및 좌선성 우선성 이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일반식(1)의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2)의 화합물을 1-메틸-2-아미노메틸피롤리딘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2
식중, X는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기 또는 반응성산 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는 기이다.
출발물질중, 반응성 산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는 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펜틸 및 이소펜틸에스테르와 같은 저급알킬, 에스테르, 메톡시메틸에스테르, 시아노메틸에스테르 치환 또는 비치환방향족 에스테르 및 N-하이드록시이미드에스테르와 같은 반응성 산유도체, 산아지드, 산하이드라지드, 대칭무수물 예컨대 카복실산에스테르와 할로포름산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된 바와 같은 혼합무수물, 트리아졸리드, 테트라아졸리드 및 특히 이미다졸리드와 같은 아졸리드, 치환된 W-트리할로아세토페논, 치환된 α-옥소벤젠아세토니트릴, 헥치환된 벤즈아미드 또는 기타 당량체, 또는 다음 일반식(3)의 화합물(2,3-디에톡시-5-메틸설파모일벤조산 및 이속사졸륨염으로부터 제조된)을 형성할 수 있는 기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kpo00003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반응유도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아민을 반응성 유도체의 형태로 반응시킬 수 있다. 예컨대, 포스포러스클로라이드, 포스포러스옥시클로라이드, 디알킬 또는 디아릴오르토페닐렌클로로포스파이트, 알킬 또는 아릴디클로로포스파이트 또는 1-메틸-2-아미노메틸-피롤리딘이소티오시아네이트 또는 대칭 또는 비대칭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설파이드 또는 N,N'-비스-(1-메틸-2-피롤리디닐메틸)-우레아 또는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엔아민 또는 기타 당량체와의 아민반응생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반응성 유도체는 원위치 또는 예비분리 후에 산과 반응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반응성 유도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실리콘 테트라클로라이드, 인산무수물 또는 디싸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와 같은 카보디이미드, 또는 메톡시아세틸렌 또는 에톡시아세틸렌과 같은 알콕시아세틸렌과 같은 축합제의 존재하에 유리산과 유리아민을 반응시킬 수 있다.
아미드화반응은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임의로 이온교환수지하에 수행될 수 있다.
아미드화반응에 대한 불활성인 용매로서 사용된 시스템은 예컨대 알코올, 폴리올, 벤젠, 톨루엔, 디옥산, 클로로포름,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등이다. 용매는 또한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과량아민의 형태일 수 있다. 아미드화중에 반응화합물을 상술된 용매의 비점까지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은, 산부가염을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유기산 또는 염산, 취화수소산, 황산, 인산, 옥살산, 아세트산, 주석산, 구연산 및 메탄-설폰산과 반응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은 4가 암모늄염을 제조하기 위하여 알킬할라이드 또는 설페이트와 반응시킬 수 있다. 또한, 예컨대 N-산화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과산화수소 및 이산화망간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산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성능과 사용에 있어서 다음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
1단계 : 2,3-디메톡시-5-클로로설포닐벤조산
교반기, 냉각기 및 온도계가 장치된 둥근저부 플라스크에 1,620cm3의 클로로설폰산을 주입한 후 온도를 10-15℃로 유지하면서 164g의 2,3-디메톡시벤조산을 일부씩 가하였다. 온도를 다시 상승시킨 후에, 혼합물을 22-28℃에서 4분동안 교반하고, 상온으로 유지하였다.
상기 용액을 분쇄된 얼름 600g을 함유하는 둥근저부 플라스크에 적가한 후 0°-5℃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외부 냉각시켰다. 형성된 침전을 흡인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공기 건조시켰더니 207g의 2,3-디메톡시-5-클로로설포닐벤조산이 얻어졌다(융점 155-156℃, 수율 92%).
2단계 : 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조산
교반기 및 온도계가 장치된 둥근저부 플라스크에 200g의 33%메틸아민 수용액을 주입한 후 98.5g의 2,3-디메톡시-5-클로로설포닐벤조산을 0-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일부씩 가하였다.
온도를 다시 상승시킨 후 이 혼합물을 1.7
Figure kpo00004
의 분쇄된 얼음위에 주입하였다. 용액을 여과하고 130cm3의 농염산으로 처리하였다. 형성된 결정을 흡인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50℃에서 건조시켰더니 83g의 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조산이 얻어졌다(융점 164-165℃, 수율 84%).
3단계 : 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조에이트
냉각기가 장치된 둥근저부 플라스크에 310cm3의 메틸알코올을 주입한 후 냉각시키면서 15.5g의 93%황산을 일부씩 주입하고, 최종적으로 76g의 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조산을 가하였다.
6시간동안 환류시킨 후, 이 용액을 냉각시키고 20g의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3
Figure kpo00005
의 물에 주입하였다. 형성된 결정을 흡인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공기 건조시켰더니 76g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조에이트가 얻어졌다(융점 76℃, 수율 95%)
4단계 :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
교반기, 온도계가 장치된 둥근저부 플라스크에 95g의 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조에이트 및 443cm3의 에틸렌글리콜을 90℃까지 가열하면서 주입하였다.
이 혼합물을 50℃까지 냉각시키고 45g의 1-메틸-2-아미노메틸피롤리딘을 가하였다. 이 용액을 50℃에서 교반하고 이 온도로 수시각동안 유지하였다. 용액을 물 1.8
Figure kpo00006
로 흡수시키고, 50cm3의 농염산으로 산성화하였다. 산용액을 여과한 후 73cm3의 20% 암모니아로 처리하였다. 형성된 결정을 흡인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50℃에서 건조시켰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통과시켜서 정제한 후 이소프로필알코올중의 염기로 재결정시켰더니 66g의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가 얻어졌다(융점 120-121℃ 수율 54%).
[실시예 2]
좌선성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
2
Figure kpo00007
용량의 둥근저부 플라스크에 170g의 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조에이트 및 850cc의 에틸렌글리콜을 주입하였다.
이 혼합물을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60℃로 가열한 후, 50℃로 냉각시켰다. 80g의 좌선성 1-메틸-2-아미노메틸피롤리딘을 가하고, 시료가 희석산에 용해될 때까지 이 용액을 50℃로 유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3.5
Figure kpo00008
의 물에 흡수시켰다. 형성된 결정을 흡인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40℃에서 건조시켰다. 제조된 150g의 염기를 500cm3의 무수알코올에 용해시킨 후 155cm3의 염산성 알코올용액을 가하였다. 용액을 가열하고 베지타블블랙(Vegetable black)을 가한 후에 여과하였다. 냉각시킨 후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침전을 흡인여과하고 무수알코올로 세척하여 50℃에서 건조시켰다.
141g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융점 156-158℃)를 얻어서, 이를 423cm3의 물에 용해시킨 후 제조된 용액을 베지타블블랙의 존재하에 여과시키고, 염기를 35cm3의 20% 암모니아를 가하여 침전시켰다. 형성된 침전을 흡인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50℃에서 건조시켰더니 108.5g의 좌선성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조아미드가 얻어졌다(융점 111-112℃ 수율 49.5%
Figure kpo00009
디메틸포름아미드용액중에서 -38°).
[실시예 3]
우선성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
2
Figure kpo00010
의 용량의 둥근저부 플라스크에 170g의 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조에이트 및 850cm3의 에틸렌글리콜을 주입하였다. 혼합물이 용해될 때까지 50℃로 가열한 후 82g의 우선성 1-메틸-2-아미노메틸피롤리딘을 가하였다. 이 용액을 시료가 희석산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50℃로 유지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혼합물을 3.4
Figure kpo00011
의 물 및 80cm3의 농염산에 흡수시켰다. 용액을 베지타블블랙을 가한후에 여과하고 70cm3의 20% 암모니아로 처리하였다. 300g의 탄산칼륨을 가한 후에 형성된 침전을 흡인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건조시켰다. 제조된 180g의 염기를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정제하였더니 133g의 우선성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가 얻어졌다(융점 109-110℃, 수율 61%
Figure kpo00012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중에서 38°, 15').
[실시예 4]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 N-산화물
2
Figure kpo00013
용량의 둥근 플라스크에 261g의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 및 875cm3의 무수에톤올을 주입한 후 142cm3의 110용량 과산화수소를 가하였다. 용액을 수시간동안 45℃로 가열한 후 40℃까지 냉각시켰다.
2g의 이산화망간을 일부씩 가하고 혼합물을 반시간동안 교반하였다. 20g의 베지타블블랙을 가한 후에 여액을 증발시켰다. 얻어진 생성물을 물에 재결정시켰더니 97g의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 N-산화물이 얻어졌다(융점 142℃, 수율 35.5%)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젤라틴캡슐, 정제, 연고, 환약, 과립상 및 주사액 등의 형태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해 불활성인 유당, 마그네슘스테아린산염, 전분, 탈크, 셀룰로오스, 레빌라이트(levilite)알카리금속 라우릴설페이트, 사카로스 등과 같을 물질 및 약제조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선택된 화합물을 연속적인 희석방법으로 전분과 유당과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메틸셀룰로오스로 과립화하였다. 레빌라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린산염 및 탈크를 정제로 압축하기전에 과립상 물질에 가하였다.
메틸셀룰로오스를 예컨대, 에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딘, 전분페이스트, 아라비아검 등과 같은 기타 적당한 과립화제로 대치시킬 수 있다. 전분은 옥수수전분, 카복시메틸아밀라제, 알킬산염, 미정질(微晶質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기타 팽화제(膨化劑)로 대치시킬 수 있다.
주사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염산, 레불린산, 글루콘산 또는 글루코헵톤산 등에 용해시킬 수 있다.
무균적으로 제조된 용액을 방부제를 가한 후에 염화나트륨과 같은 알카리금속 클로라이드로 등장(等張)으로 제조하였다. 방부제 첨가없이 앰플을 질소대기하에 충전하여 100℃에서 30분간 살균시켜서 또한 동일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100-300mg의 1일량으로 투여될 수 있는바, 1일량을 150mg으로 조제하였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화합물로부터 통상적으로 얻어지는 제약학적인 조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5]
젤라티캡슐(200mg용량)
Figure kpo00014
[실시예 6]
주사약(2ml용량)
Figure kpo00015
가 될때까지 채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흥미로운 약리학적인 성질을 가지며, 특히 하부뇨로계 질환치료에 유효하다. 본 화합물의 저독성은 부작용의 위험없이 인간의 치료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 화합물의 급성 독성은 스위스산 생쥐에 비경구(정맥내, 복강내, 피하내) 및 경구적으로 투여하여 측정된다.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화합물 1) 및 그의 좌선성 이성체(화합물 2)의 처사량 특정치를 다음 표에 기재하였다.
Figure kpo00016
토끼와 쥐에서의 방광압 측정결과에 대한 작용을 조사하는 본 발명 화합물의 약리학적인 조사를 다음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동물을 펜토바르비탈로 마취시키고 인공호흡시켰다. 왼쪽 외측의 경정맥(頸靜脈)에 조사제품을 정맥내 주사하여 카테테르 삽입하였다. 방광을 복부로부터 끄집어 내어 두개의 요관을 연결하고 두개의 카테테르(catheter)를 장치하는데, 이중 하나는 방광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다른 하나는 방광 충전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토끼에 대해서는 40ml/분, 쥐에 대해서는 5ml/분의 일정한 유속으로 0.9%염수(Salt Water)로 관류(灌流)시켜 방광을 충전시켰다. 관류시키기 전의 방광내 압력과 관류시킨 물의 용량을 측정하였다.
다음의 조변수(Parameten)를 조사하였다.
Figure kpo00017
방광압 측정 조사를 다음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첫번째 관류는 안정시킨 후 5분동안 행하였다.
두번째 관류는 첫번째 관류 후 15분동안 행하였다.
세번째 관류는 두번째 관류 후 5분간 행하였다.
토끼에 대해서는 만성 및 급성투여하고 쥐에 대해서는 급성투여하여 조사하였다.
토끼에 대한 조사를 다음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2500±100g의 평균중량을 갖는 10마리의 수컷 토끼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만성 투여조사를 위하여, 2500±100g의 평균중량을 갖는 10마리 수컷토끼에 10mg/kg/일의 투여량으로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를 매일 아침 근육내로 주사하였다. 실험 30분전에 최종적으로 주사하였다.
·급성 투여조사를 위하여 2500±100g의 평균중량을 갖는 10마리 수컷토끼의 두군에 5-50mg/kg의 투여량으로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를 정맥내 투여하였다.
쥐에서의 급성투여 조사를 다음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1) 490±20g의 평균중량을 갖는 10마리의 수컷쥐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2) 480±20g의 평균중량을 갖는 20마리의 수컷쥐에 50-00mg/kg의 투여량으로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를 정맥내 투여하였다.
대조군 및 모든 처리군을 위하여 첫번째 관류를 다음 관류에 대한 표준으로서 사용하였다(각 동물을 대조용으로서 사용하였다).
토끼 및 쥐에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를 급성투여하는 경우에 제품을 첫번째 관류의 종료시에 주사하였다.
다른 두번의 관류전에 15분을 늦추었다(이는 또한 통일한 실험조건을 고수하기 위하여 대조용을 참조하였다). 다음 결과가 밝혀졌다.
-토끼에 있어서
1) 8일동안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를 10mg/kg/일의 비율로 근육내 투여시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 방식으로 조변수가 변화하였다.
2) 첫번째 관류로부터 약 세째번
Figure kpo00018
에서의 감소를 세번째 관류시에 감소되는 대조군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3) 대조용의 관류량과 비교하여 약 반정도 감소하였다. 동일 조변수의 동일지시 및 동일 비율에서의 변화를 5-50mg/kg의 투여량으로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를 급성정맥내 투여한 후 두번째 및 세번째 관류시에 주시하였다.
대조군과 비교된 차이는 매우 현저하며 이를 근거로 하여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는 마취시킨 토끼에서 뇨의 역치(역値)를 저하시키리라고 추측된다.
-쥐에 있어서
토끼와 같은 현상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두번째 및 세번째 관류시, 특히 50mg/kg의 정맥내 투여시에 요의 량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동물에서의 이러한 결과는 종류에 따라 변화하는 방광의 상태를 나타내며 인간에서의 방뇨에 대한 작용을 조사하게 되었다.
인간에서의 가스상(相) 방광암 측정조사는 여러가지 신경학적인 방광의 두 경우에 방광의 내성이 증가됨을 보여준다. 실금(失禁), 요이빈삭(尿意頻數) 및 매우 빈번한 방뇨의 필요등으로 고통받는 34세의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게 본 발명 화합물의 100mg앰플 두개를 근육내 주사하였더니 처리전 80cm3와 비교하여 150cm3용량의 방뇨를 지연시킬 수 있었다. 실금 및 요의빈삭 등의 정신작용에 의한 58세의 뇨로계 질병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100mg앰플 두개를 근육내 주사하였다. 환자는 치료전 200cm3와 비교하여 400cm3방뇨를 필요로 한다. 또한 치료전 15초와 비교하여 2분동안 자발적으로 방뇨를 방지할 수 있었다.
1. 공개조사
200명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두가지 징후를 정체(停滯)시켰다.
-남성 하부 뇨로제 기능적 질환, 특히 전립선증
-여성의 투명한 뇨를 수반하는 방광통
이러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 두가지 조사를 맹목적인 복식공정에 따라 수행하였다.
a) 여 성
참고제품의 부재로 인하여 본 발명 제품의 활성도를 위약(僞藥)과 비교하였다.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의 우수성은 매우 주목할만한 것이다.
Figure kpo00019
b) 남 성
본 조사는 파검 아프리카늄(pygeum africanum)으로부터 추출된 지질스테롤(lipidosterol)착물인 참조제품과 비교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본 제품의 우수성은 매우 주목할만한 것이었다.
Figure kpo00020
상술한 두가지 시도(示度)는 경구치료의 경우를 평가한 것이며 내성이 우수하였다.
본 제품은 미뇨기 또는 산부인과 수술후에 탐침(探針)상에서 골반의 경축(痙縮)의 치료에 대해 근육내 또는 정맥내 투여하여 또한 현저하게 유효함을 알게 되었다.

Claims (1)

  1. 다음 일반식(2)의 화합물을 1-메틸-2-아미노메틸피롤리딘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일반식(1)의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벤즈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1
    식중, X는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기 또는 반응성 산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는 기이다.
KR1019790003417A 1979-10-04 1979-10-04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KR83000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417A KR830001211B1 (ko) 1979-10-04 1979-10-04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417A KR830001211B1 (ko) 1979-10-04 1979-10-04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203A KR830001203A (ko) 1983-04-29
KR830001211B1 true KR830001211B1 (ko) 1983-06-24

Family

ID=1921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417A KR830001211B1 (ko) 1979-10-04 1979-10-04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083B1 (ko) * 2002-04-04 2004-02-18 사명식 돈피를 이용한 다이어트용 스낵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203A (ko) 198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E49701B1 (en) Amides of acyl-carnitines,process for preparing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amides
IE47798B1 (en) Substituted ortho-anisamides,methods of preparing them,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their application as psychotropic agents
EP3290408B1 (en) Carboxylic acid urat1 inhibitor containing diarylmethane structure,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US3639477A (en) Novel propoxyguanidine compounds and means of producing the same
US3932638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ound healing
US3997559A (en) N-acetyl-L-hydroxy-proline zinc salt
EP0186252A2 (en) Use of thiophene compounds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against tumours
US4127671A (en) P-acetamidophenyl diethylaminoacetate
KR830001211B1 (ko) N-(1-메틸-2-피롤리디닐-메틸)-2,3-디메톡시-5-메틸설파모일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JPS5919116B2 (ja) 複素環式化合物の製造法
US4757062A (en) Substituted benzoate ester prodrugs of estrogens
US4364867A (en) N-(1-Methyl-2-pyrrolidinylmethyl)-2,3-dimethoxy-5-methylsulfamoyl benzamide and its derivatives
JPS5914037B2 (ja) イソキノリ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US4277496A (en) Methods of treating mammals suffering from inflammation and pain
US4263316A (en) N-(1-Methyl-2-pyrrolidinylmethyl)-2,3-dimethoxy-5-methylsulfamoyl benzamide and its derivatives, methods of preparing them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treatment of troubles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EP0105458B1 (en) Alpha-aryl-alpha-pyridylalkanoic acid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HU180617B (en) Process for producing 1,2-bis-bracket-nicotinamido-bracket closed-propane,sal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SK695188A3 (en) Enolether amide 1,1-dioxo-6-chloro-4-hydroxy-2-methyl-n-(2- -pyridyl)-2h-thieno (2,3-e)-1,2-thiazine-3-carboxylic acid, method of its production and pharmaceutical agent
US4189499A (en) Lysine 4-allyloxy-3-chlorophenylacetate and method of its preparation
EP0045473B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benzofuran-carboxamide derivative as the active ingredient
US3833605A (en) Substituted 1-carboxamidine-pyrazoles and their acid addition salts
JPH02237928A (ja) 置換ベンズアミドより成る胃の自動運動性増進用薬剤
US3448142A (en) Unsymmetrical djenkolic acid derivatives
EP0381508A2 (en) Use of cinnamamide for relaxing muscle tone
US3968236A (en) 2-Aminomethyl-5-hydroxy-4H-pyran-4-one and derivatives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