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898B1 - 직류모터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직류모터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898B1
KR830000898B1 KR1019790003434A KR790003434A KR830000898B1 KR 830000898 B1 KR830000898 B1 KR 830000898B1 KR 1019790003434 A KR1019790003434 A KR 1019790003434A KR 790003434 A KR790003434 A KR 790003434A KR 830000898 B1 KR830000898 B1 KR 83000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circuit
motor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끼 가와다
요시끼 후지오까
나오토 오타
Original Assignee
이나바 세이 우에몽
후지쓰 패낵크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바 세이 우에몽, 후지쓰 패낵크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나바 세이 우에몽
Priority to KR101979000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0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nual control without auxiliary power
    • H02P7/1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nual control without auxiliary power of voltage applied to the armature with or without control of field Ward-Leonar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류모터 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직류모터 구동장치의 한 실시예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계자제어부 X의 상세한 회로도.
제3a도 내지 제3e도는 제1도 장치의 작용설명을 위한 도표.
본 고안은 주로 직류모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리스터로 구성된 3상 역 병렬 다이리스터 브릿지 회로를 사용하므로서 계자권선을 조합하여된 직류모터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계자권선으로 된 직류모터들은 3상 역병렬다이리스터 브릿지회로를 사용하므로서 구동되고 있으며 직류모터로부터 된 직류모터들은 3상 역병렬다이리스터 브릿지회로를 사용하므로서 구동되고 있으며 직류모터로부터 주회로로 에너지의 반환 및 직류모터의 역회전이 접촉점의 변환없이 효과있게 가능토록 된 이점을 갖는다. 이 3상역병렬 브릿지회로는 직류모터로에 순방향 전류를 공급하므로6개의 다이리스터에 의해서 구성된 제1브릿지 회로와, 직류모터의 역전류를 공급하는 6개의 다이리스터로 구성된 제2브릿지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브릿지회로는 이 두회로 사이의 다이리스터의 도통 방향이 반대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제1브릿지회로의 도통상태는 "컨버터 동작상태"로고 불리운다. 한편 제2브릿지 회로의 도통상태는 "인버터 동작상태"라고 불리운다. 직류모터의 속도가 감소될때 3상 역병렬 브릿지회로는 컨버터 동작상태로부터 인버터 동작상태로 변경되며 또 이후에는 이 역병렬 브릿지 회로가 또다시 컨버터 동작상태로 변경된다. 역병렬 브릿지회로의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는 동안 만약 다이리스터들의 작동 펄스가 발생되지 않거나 혹은 다이리스터들에 공급되는 3상 교류전압이 감소두때 제1브릿지회로의 다이리스터와 제2브릿지회로의 다이리스터 사이의 커뮤테이션(commutation)은 훼손될 것이다.
이 결과, 과전류가 직류모터에 흐르게 되므로 이 모터는 손상될 것이다. 그러므로 서로 역병렬로 연결된 2개의 브릿지 회로사이의 다이리스터의 커뮤테이션의 손상을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 발명은 적용된 전압강하에 있어서 커뮤테이션의 손상을 피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권선된 계자로 조합된 직류모터의 구동장치와 종전기술의 3상 역병렬 브릿지회로를 사용한 구동장치는 직류모터의 전기자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 Ia를 제어하는 제1장치와 계자권선을 통하는 전류 If를 제어하는 제2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2제어장치는 직류모터의 전기자 전압 Ea의 궤환장치를 얻는 방법과 또 전류 If의 최대치를 동일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류를 제어하고 있다. 이것은 전류 If가 예정치전류 If가 두때 감소되도록 함으로서 전압 Io가 제어되도록 하고 있다. 예정치전류 Ea는 "전기자 제어범위"로 한정되며 전류 Io가 If보다 작을 때 동일수준으로 있게되며 "계자 제어범위" 혹은 "정격범위"로 한정된다. 결과적으로 직류모터의 효율은 비교적 놓으며 직류모터의 온도상승은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종전 기술의 상기 장치에서는 직류모터의 속도가 감소되는 경우에 역병렬 브릿지에 공급되는 입력 3상 교류전압이 감소될때, 서로 역병렬로 연결된 2개의 브릿지회로 사이의 커뮤테이션은 훼손될 것이며 직류모터는 손상될 것이다. 이 원인은 역병렬 브릿지회로에 공급되는 인가전압이 감소될 때라도 이 전기자의 전압 Ea가 감소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계자권선으로 되며 다이리스터에 의해 구성된 3상 역병렬 브릿지 회로를 사용한 직류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 그 며터의 다이리스터 사이의 정류는 직류모터의 속도가 감소되는 경우에 있어서 역병렬 브릿지회로에 인가되는 3상 교류전압이 감소될 때라도 잘못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계자권선으로 된 직류모터의 구동장치이며 직류모터의 전기자를 통해 흐르는 전류 Ia를 조정하는 제1장치와 전기자의 전압 Ea와 계자전류 If의 궤환값을 얻으며, 3상 역병렬 브릿지회로에 인가되는 3상 교류전압 Vac에 따라서 전류 If의 양을 변경시키므로서 자계권선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 If를 조정하는 제2장치로 구성된 3상 역병렬 다이리스터회로를 사용토록 하여서 구동케 한다. 이 장치에서는, 전압 Vac가 예정전압 Vo보다 더 낮게 감소될때 전류 If는 감소된다. 이 결과 전압 Vo는 또한 감소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더욱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에 관하여, 계자권선(2)과 연관된 직류모터(1)는 이 모터의 전기자(1')에 정전류와 궤환전류를 각각 공급하도록 두 브릿지회로(3A) 및 (3B)로 구성된 3상 역병렬 브릿지회로(3)를 사용하여 구동된다. 역병렬로 서로 접속되어 있는 브릿지회로(3A) 및 (3B)의 각각은 6개의 다이리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3상 교류전압 Vac는 입력회로(4)를 통해 브릿지회로(3A) 및 (3B)로 공급된다. 직류모터(1)의 속도는 두 개의 제어루프에 의해서 조정된다. 그 하나는 직류모터(1)의 전기자를 통해 흐르는 전류 Ia를 제어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계자권선(2)을 통해 흐르는 전류 If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2개의 제어환선의 제1루프 구성을 설명하겠다. 먼저 속도표시신호 "a"전압과 타코(Tacho) 발전기(5)에서 발생된 속도 궤환 전압신호 N의 전압과의 차는 증폭기(6)에 의해서 증폭된다. 타코발전기(5)는 전기자(1')에 접속됨을 주의하여야 한다. 다음은, 증폭기(6)의 출력전압과 전류 검출회로(7)의 전압차는 증폭기(8)에 의해서 증폭된다. 여기서 전류검출회로(7)는 전류검출소자(7a)에 의해서 검출된 전류 Ia를 증폭하고 또 전기자(1')와 3상 역병렬 브릿지회로(3)사이를 조정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증폭기(8)의 출력신호"c"는 위상각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명령으로서 위상제어회로(9)에 공급된다. 보통 위상제어회로(9)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는 게이트회로(10A), (10B)로부터 발생되는 작동 펄스는 브릿지회로(3A), (3B)의 다이리스터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상기 기술한 제어루프들의 제2루프를 설명한다. 전압검출소자(11a)에 의해 검출된 전압(Ea)은 전압검출회로(11)에 공급되며 음극신호가 만들어진다. 전류검출소자(12a)에 의해서 검출되는 전류 If는 전류검출회로(12)에 공급되며 음극신호가 만들어진다. 계자셋팅회로(13)는 양극 신호를 만들며 그 전압은 3상 역병렬 브릿지회로의 전압(Vac)에 의존한다. 결과적으로 계자제어회로(14)는 3개의 회로(11)(12)(13)로부터 발생된 3개의 신호의 합을 총합하고 이 회로(14)는 하나의 아나로그 전압을 만든다. 그 아나로그 전압은 위상제어회로(15)에 인가되어 위상각을 크게 하거나 작게하는 명령을 수행한다. 그 결과, 위상제어회-(15)에 의해서 제어되는 게이트회로(16)에서 발생되는 불꽃펄스들은 브릿지회로(17)의 다이리스터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전압 Vac는 변압기(18)를 통해 브릿지회로(17)에 공급된다. 그래서 계자권선(2)에 흐르는 전류 If는 제1도에서와 같이 계자제어부분(X)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2도는 제1도의 계자제어부분(X)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제2도에서 전압검출회로(11)는 전압 Ea를 정류하기 위한 다이오드 브릿지로 구성된 정류기(21)의 출력을 고르게 하기 위한 저항과 캐패시터로 구성된 평활회로(22)와 평활회로(22)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차동증폭기(23)와 그 차동증폭기(23)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24)등으로 되어있다.
이 회로(11)는 음극신호 SI를 계자제어회로(14)에 이송한다. 전류검출회로(12)는 저항으로 구성된 평활회로(25)와 전류 If를 평활하게 하는 캐패시터와 평활회로(25)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26)로 되어있다. 이 회로(12)는 음극신호 S2를 계자제어회로(14)에 이송한다. 계자셋팅회로(13)는 인력전압 Vac를 공급받는 1차 권선으로 하는 변압기(27)와 변압기(27)의 2차권선 출력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기(28)와 저항(29)(30)(31') 및 (31)과 다이오드(32)를 포함하고 있다.
저항(30')과 조합된 스위치(33)는 인입 공급전력 Ac의 2개의 상용주파수 예를들며 50Hz와 60Hz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저항(29), (30), (31) 및 (31)의 값은 다이오드(32)가 전압 Vac이 예정치 Vo보다 같거나 높을 때 도통되지 않도록 미리 정해진다. 한편 다이오드(32)는 전압 Vac가 예정치 Vo보다 낮을 때는 도통하도록 미리 정해진다. 다이오드(32)가 도통할 때는 P1점과 P0점이 같은 전압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전압 Vac가 예정치 V0보다 낮게 될 때 회로(13)에서 발생된 양극신호 S3의 전압이 낮아진다. 계자제어회로(14)는 3개의 신호 S1, S2및 S3의 합을 적분하는 적분기(34)와 그 적분기(34)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35)와 그 저의 상용주파수 예를들면 50Hz와 60Hz를 스윗칭하기 위한 스위치(3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술한 3개의 신호들 S1, S2및 S3는 직류모터(1)의 정상 상태에서 평형을 이룬다. 그러나 전압 Vac가 감소될 때 신호 S3의 전압 S3은 역시 감소되나 신호 S1및 S2의 전압은 증가된다. 바꾸어 말하면 전압 Vac가 예정치 Vo보다 낮아지면 계자권선(2)(제1도)을 통해 흐르는 전류 If는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전기자(1')(제1도)의 전압 Ea도 역시 감소되고 그러므로 전압 Ea
Ea=(자속Φ)×(직류모터(1)의 회전속도 N)로 나타내지며 여기서 Φ는 전류 If와 비례한다.
제3a도에서 제3e도까지는 제1도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정상상태에서, 신호 S1, S2및 S3(제2도)가 평행되는 곳에서 전압 Ea와 전류 If는 제3a도(선X1)과 제3b도(-Y1)으로 각각 예시된 곡선으로 나타나는 바와같이 제어된다. 일적한 토크 영역 I에서 직류모터(1)의 회전속도가 비교적 낮고 전압 Ea의 레벨이 직류모터(1)의 속도에 따라 변할때 전류 If는 선Io레벨 예를들면 6.8A를 유지한다. 일정 전압영역Ⅱ에서 직류모터(1)의 회전속도는 비교적 높고 전류 If의 레벨이 속도 N에 따라 변하는 동안 전압 Ea의 레벨은 한 레벨 때 예를들면 220V를 유지한다. 전압 Vac가 예정치 Vo예를들면 200V보다 낮아질 때 신호 S1, S2및 S3의 전압은 역시 낮게 된다. 그러므로 전류 If는 제3a도(점선 X2)에서 예시된 바와같이 감소되며 따라서 전압 Ea는 역시 제3B도(점선 Y2)에서 예시된 것처럼 감소된다. 바꾸어서 표현하면 전기자(1')의 전압 Ea는전압 Vac가 예정치 Vo보다 낮게되면 제3c도에서와 같이 감소된다. 반면 직류모터(1)의 전기자(1')에 흐르는 전류 Ia는 회전속도 N에 불구하고 제3d도에서와 같이 직류모터(1)의 부하조건에 따라서 레벨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직류모터의 출력 P는 제3e도에서와 같이 전기자(1') 전압 Ea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된다.
상기에 설명된 반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전류모터의 구동장치는 역병렬 브릿지회로에 공급되는 3상 교류전압이 직류모터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는 경우에 감소된다 할지라도 다이리스터들 사이의 커뮤테이션은 손상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

  1. 계자권선을 가지며 3상 역병렬 다이리스터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직류전동기의 구동장치가 직류모터의 전기자를 통해 흐르는 전기자 전류(Ia)를 제어하는 제1수단과, 상기 계자권선을 통해 흐르는 계자전류(If)를 제어하는 제2수단을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이 전기자 전압(Ea)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검출회로(11)와, 계자전류(If)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검출회로(12)와, 3상 교류전압(V7)에 응동하여 계자전류의 최대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계자설정회로(13)와, 상기 전압검출회로(11), 전류검출회로(12) 및 계자설정회로(13)로 부터의 출력들의 합을 적분하기 위한 계자제어회로(14)와, 적분된 신호에 응동하여 계자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계자제어기(15, 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모터의 구동장치.
KR1019790003434A 1979-10-04 1979-10-04 직류모터 구동장치 KR830000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434A KR830000898B1 (ko) 1979-10-04 1979-10-04 직류모터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434A KR830000898B1 (ko) 1979-10-04 1979-10-04 직류모터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98B1 true KR830000898B1 (ko) 1983-04-26

Family

ID=1921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434A KR830000898B1 (ko) 1979-10-04 1979-10-04 직류모터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89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3621A (en) Current chopping strategy for switched reluctance machines
US4511834A (en) Control and stabilizing system for damperless synchronous motor
US4019105A (en) Controlled current induction motor drive
US4521840A (en) D-C Bus current monitoring system
US4656413A (en) Stabilize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an induction generator to AC power mains
US4259620A (en) Low cost, variable speed, constant torque induction motor drive
US4375612A (en) Controlled regenerative d-c power supply
US4297628A (en) Energy economizer for induction motors
US4284932A (en) System for driving DC motor
US43119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slip operation of an AC electric motor at substantially zero rotation and substantially zero torque
US4321478A (en) Auxiliary power supply with kinetic energy storage
GB2136168A (en) Stabilizing Circuit for Controlled Inverter-Motor System
US3402336A (en) Adjustable frequency a.c. motor control system with low speed compensation
US3529224A (en) Speed control of induction motors with semiconductors and resistors
EP0107351B1 (en) Synchronous motor control
US3829754A (en) Compensated adjustable frequency power supply of the inverter type
US3670224A (en) Speed and voltage control means for an alternating-current motor, particularly a polyphase induction motor
KR830000898B1 (ko) 직류모터 구동장치
CA1312116C (en) Method and device for braking a squirrel-cage motor
US3099785A (en) Means for controlling valve-action rectifiers
GB2085204A (en) Motor control system
KR830002573Y1 (ko) 제어 재생식 직류전원
KR830000267B1 (ko) 저가의 변속 정 토오크 유도 전동기 구동회로
JPS61249685A (ja) スイツチングレギユレ−タ
SU817951A1 (ru) Регулируем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посто н-НОгО TO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