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586Y1 - 차량의 공조(空調)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공조(空調)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30000586Y1 KR830000586Y1 KR2019830001584U KR830001584U KR830000586Y1 KR 830000586 Y1 KR830000586 Y1 KR 830000586Y1 KR 2019830001584 U KR2019830001584 U KR 2019830001584U KR 830001584 U KR830001584 U KR 830001584U KR 830000586 Y1 KR830000586 Y1 KR 83000058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air
- lamp
- duct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공조표시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공조장치 본체의 일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공조장치 작동기의 확대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표시판의 확대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X-X의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선 Y-Y의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제어부의 회로도.
제8도는 제1도에 도시된 공조장치 작동기의 확대 평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표시판의 확대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표시판의 확대도.
본 고안은 주로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기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공기의 유동 상태를 표시판에 도식적으로 표시하여 조작자가 한눈에 그를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조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등의 공조장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종래의 표시장치로는 단지 파이롯트램프, 또는 "VENT" 및 "DEF"와 같은 약어로 된 문자가 조작판 상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제공되게 구성된 표시장치를 들수 있으나, 이러한 표시장치로는 공조장치를 조작하는 탑승자가 특정 배출구로 부터의 공기 유동상태를 눈으로 판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이러한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탑승자가 어느 배출구로 부터 공기가 배출되는지를 판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많은 페이지에 걸쳐 기재한 공조 장치의 취급설명서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공조장치에서의 공기 유동상태를 조정레버에 작동적으로 접속시킨 램프로 도식적으로 표시하여 공조 장치의 수 많은 댐퍼 및 그외의 다른 부품들의 작동상태를 한눈에 판별할 수 있게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1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차의 공조장치 본체(1)는 에어덕트(2), 팬장치(3), 히이터코어(4)를 가지며, 상기 에어덕트(2)의 한쪽단은 둘로 분기되어 외기흡입덕트(21)와 차내공기흡입덕트(22)를 형성하며, 반대쪽단도 둘로 분기되어 디프로스터 공기배출덕트(23)와 앞좌석 및 뒷자석에 착석한 탑승자의 발부분쪽으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한쌍의 공기 배출덕트(24), (25)를 형성하여 다시 에어덕트(2)의 중간부에는 앞좌석에 착석한 탑승자의 상반신쪽으로 공기를 보내기위한 환기 배출덕트(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기흡입덕트(21)와 차내 공기흡입덕트(22) 사이에는 제1댐퍼(27)가 설치되며, 또 디프로스터 배출덕트(23)와 발부분 배출덕트(24), (25) 사이에는 제2댐퍼(28)가, 또한 에어덕트(2)와 환기 배출덕트(26) 사이에는 제3댐퍼(29)가 설치되어 있다. 팬장치(3)는 제1댐퍼(27)와 제3댐퍼(29) 사이에서 에어덕트(2)에 설치되며, 히이터코어(4)는 제3댐퍼(29)와 제2댐퍼(28) 사이에서 에어덕트(2)에 설치되는데, 상기 히이터코어에는 엔진 냉각수가 공급된다. 밸브(40)가 히이터코어(4)에 공급되는 냉각수량을 제어한다. 또 부호(21')는 외기흡입덕트(21)의 외기흡입구, (22')는 차내 공기흡입덕트(22)의 공기흡입구, (23')는 디프로스터 배출덕트(23)에 설치된 배출구, (24')는 앞좌석의 발부분 배출덕트(24)에 설치된 배출구, (25')는 뒷자석의 발부분 배출덕트(25)에 설치된 배출구, (26')는 환기배출덕트(26)에 설치된 배출구이다. 통상의 공조장치 작동기(5)가 자동차의 계기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작동기(5)는 조작판(50), 조정레버(51), 히이터레버(52), 팬스위치(53)를 포함한다. 조정레버(51)는 조작판(5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링크기구(511)(제8도 참조) 및 케이블(54), (55)에 의하여 제1 내지 3댐퍼(27) 내지 (29)에 결속되어 있다. 그리고 조정레버(51)를 조작판(50)상에 "RECIRC"로 표시된 위치(A)(제3도 및 제5도 참조)로 이동시키면, 제1댐퍼(27)가 외기흡입덕트(21)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차실내 공기흡입덕트(22)를 개방시키며, 또 제3댐퍼(29)는 에어덕트(2)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배출덕트(26)를 개방시킨다. 또 조정레버(51)를 조작판(50)상에 "VENT"로 표시된 위치(B)로 이동시키면, 제1댐퍼(27)가 외기흡입덕트(21)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차내 공기 흡입덕트(22)를 폐쇄시키며, 또 제3댐퍼(29)는 레버(51)가 "RECIRC" 위치에 있을 때와 마찬가지의 위치에 있게되어 외기를 환기배출구(26')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 환기배출구(26')로부터는 고온공기가 배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조정레버(51)를 조작판(50)상에 "HEAT"로 표시된 위치(D)로 이동시키면, 제1댐퍼(27)는 "VENT" 위치 때와 마찬가지로 외기흡입덕트(21)를 개방시키게되며, 제3댐퍼(29)는 환기배출덕트(26)를 폐쇄시키게되며 제2댐퍼(28)는 디프로스터 배출덕트(23)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발부분 배출덕트(24), (25)를 개방시키게 된다.
또, 조정레버(51)를 조작판(50)의 "VENT"위치와 "HEAT" 위치의 중간위치(C)(BILEVEL)로 이동시키면, 제3댐퍼(29)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로되어 환기배출덕트(26)와 발부분 배출덕트(24), (26)로 부터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조정레버(51)를 "DEF"로 표시된 위치(F)로 이동시키면 제3댐퍼(29)는 환기배출덕트(26)를 폐쇄시키면 제2댐퍼(28)는 디프로스터 배출덕트(23)를 개발시킴과 동시에 발부분 배출덕트(24), (25)를 폐쇄시킨다. 또, 상기 조정레버(51)를 "HEAT" 위치와 "DEF" 위치의 중간위치(E)로 이동시키면 제2댐퍼(28)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립위치에 있게되어 디프로스터 배출덕트(23)와 발부분 배출덕트(24), (25)를 각각 반만 개방시키므로써 양덕트(23)와 (24), (25)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된다. 히이터레버(52)는 케이블(56)에 의하여 밸브(40)에 결속되어 상기 히이터레버가 제3도 좌단의 "OFF" 위치에 위치한 때에는 밸브(40)를 완전히 폐쇄시키게되며, 상기 위치에서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밸브(40)의 개방도를 크게해주며, 제3도 우단의 "HOT"위치에 도달할 때, 밸브(40)를 완전히 개방시키게 된다. 팬스위치(55)는 팬장치(3)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OFF", "LO", "M", "H"의 네 선택 위치를 가지고 있다.
공조표시장치(6)는 표시부(7)(제4도 내지 제6도 참조)와 제어부(8)(제7도 참조)로 구성되는데 표시부()는 자동차의 계기판에 설치되며, 표시판(71), 차폐판(72), 케이싱(7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판(71)은 아크릴 또는 유리재의 스모우크판으로 형성되어, 표면에는 백색 페인트가 칠해져 있으며 차동체의 윤곽을 표시하는 그림(711)과, 공조장치 본체를 표시하는 그림(712)과, 공조장치 본체에 연결된 덕트의 그림(713), (714), (715), (716)과, 운전대를 표시하는 그림(71)고, 탑승자의 손 및 발을 표시하는 그림(718)과, 계기판을 표시하는 그림(719)이 그려져 있다.
또, 상기 표시판(71)에는 "FRESH"표시(74), "RECIRC"표시(75), "DEF"표시(76), "VENNT"표시(77), "HEAT"표시(78)가 그려져 있다.
즉, "FRESH" 표시(74)는 차내로의 외기흡입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덕트를 표시하는 그림(713)의 개구단에 인접한 곳의 표시판(71)의 부분을 상기 그림(713)쪽으로 연장되는 화살표 형상으로 절단해낸뒤에 이 절단부에 'FRESH" 문자를 흑색으로 기재한 청색의 아크릴판을 삽입고착하므로서 형성되게된다. 또 "RECIRC" 표시(25)는 차내공기의 재순환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덕트를 표시하는 그림(714)의 개구단에 인접한 곳의 표시판(71)의 부분을 상기 그림(714)쪽으로 연장되는 화살표 형상으로 절단해낸뒤에 이 절단부에 'REC" 문자를 흑색으로 기재한 녹색의 아크릴판을 삽입고착하므로서 형성되게 되며, "DEF"표시(76)는 디프로스터 배출출구(23')로 부터의 공기배출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덕트를 표시하는 그림(715)의 개구단에 인접한 곳의 표시판(71)의 부분을 상기 그림(715)쪽으로 연장되는 화살표 형상으로 절단해낸 뒤에 이 절단부에 흑색"DEF"라고 기재된 적색의 아크릴판을 삽입고착하므로써 형성되게 된다. 또한 "VENT"표시(77)는 환기배출구(26')로부터의 공기배출을 표시한 것으로서, 덕트를 표시하는 그림(716)의 개구단에 인접한 곳의 표시판(71)의 부분을 상기 그림(716)쪽으로 부터 연장되는 화살표 형상으로 절단해낸 뒤에 이 절단부에 흑색으로 "FACE"라고 기재한 청색의 아크릴판을 삽입고착하므로써 형성되게 된다.
또 "HEAT"표시(78)는 발부분 출덕구(24')(25')로부터의 공기배출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공조장치 본체를 표시하는 그림(712)에 표시된 개구에 인접한 곳의 표시판(71)의 부분을 상기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화살표 형상으로 절단해낸 뒤에 이 절단부에 흑색으로 "FOOT"라고 기재된 적색의 아크릴판을 삽입고착하므로서 형성되게 된다.
또 상기 각 표시(74) 내지 (78)을 형성하는 아크릴판은 같은 유리와 같이, 빛을 통과시킬 수 있게되어 있어, 탑승자는 공조표시 장치가 작동할 때만 그러한 표시들을 볼 수 있게된다.
케이싱(73)은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표시판(71)의 둘레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표시판(71)의 이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에는 표시판(71)의 하연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1램프(81)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차폐판(72)은 표시판(71)의 이면측에서 표시(74) 내지(78)의 둘레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벽체로서 그의 한쪽단은 상기 표시판(71)의 이면에, 반대쪽단은 케이싱(73)에 각각 고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판(72)에 의해 에워싸여진 각 표시(78), (75), (77), (78), (76)의 이측공간에는 각각 제2내지 6램프(82) 내지 (86)이 삽입되게 된다. 또, 상기 각 램프(82) 내지(86)은 소켓트(80)에 의하여 케이싱(73)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제어부(8)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6램프(81) 내지 (86), 제1 내지 4접촉자(87), (88), (90), (92) 그리고 제1, 2배전 저항(89), (91)을 포함하는데 제1램프(81)는 자동차의 전조등, 차폭등 등을 온, 오프시키는 라이팅 스위치(L.S)에 접속되어 있다. 제1접촉자(87)는 제3램프(83)에 접속되며, 제2접촉자(88)는 제4램프(84)에 접속됨과 동시에 다이오우드를 통해 제2램프(82)에 접속되며, 제3접촉자(90)는 제5램프(85)에 접속됨과 동시에 다이오우드를 통해 제2램프(8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4접촉자(92)는 제6램프(86)에 접속됨과 동시에 다이오우드를 통해 제2램프(82)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1배전 저항(89)은 상기 제2접촉자(88)와 제3접촉자(90) 사이에 설치된다. 그의 제1단자(891)는 제2접촉자(88)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다이오우드를 통해 제2접촉자(88)와 제4램프(84)를 접속시키는 접속선에 접속되며, 또 제2단자(892)는 제3접촉자(90)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다이오우드를 통해 제2접촉자(90)와 제5램프(85)를 접속시키는 접속선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2배전 저항(91)은 제3접촉자(90)와 제4접촉자(92) 사이에 설치되는데, 그의 제1단자(911)는 제3접촉자(90)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다이오우드를 통해 제3접촉자(90)와 제5램프(85)를 접속시키는 접속선에 접속되며, 제2단자(913)는 제4접촉자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다이오우드를 통해 제4접촉자와 제6램프(86)를 접속시키는 접속선에 접속되어 있다. 또 조정레버(51)에 설치된 슬라이더(93)는 이그닛숀키이 스위치(I. G)에 접속되어 조정레버(51)가 이동함에 따라 미끄럼운동하면서 4접촉자(87), (88), (90), (92) 그리고 제1,2배전 저항(89), (91)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장치 작동기(5)의 상면에서 상기 슬라이더(93)의 호형운동 궤적상에 위치되어 슬라이더(93)와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제7도에 있어서, 슬라이더(93)와 제1내지 4접촉자(87), (88), (90), (92) 및 제1, 2배전저항(89), (91)의 배치관계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구성에 기인하여 작동을 설명하겠다.
먼저, 이그닛숀키이 스위치(I. G)를 "ON" 위치에 위치시킨다. 다음에, 조정레버(51)를 "RECIRC" 위치(A)에 위치시킨다. 그럼으로써, 슬라이더(93)가 제1접촉자(87)에 접촉하게되며, 밧데리로 부터의 전력이 슬라이더(93)를 통해 제3램프(83)에 공급되므로써 제3램프(83)를 점등시키며 그리하여 램프(83)로 부터의 빛이 "RECIRE"표시(75)를 조명하게 되는데, 그럼으로써 표시(75)가 녹색으로 빛나게 되어, 탑승자가 표시(75)에 기재된 "REC" 문자를 눈으로 관측할 수 있게된다.
또 조정레버(51)를 "VENT"위치(B)에 위치시키면, 슬라이더(93)가 제2접촉자(88)에 접촉하여, 제2, 4 램프(82), (84)를 점등시키며, 그럼으로써 제2램프(82)로부터의 빛에 의하여 "FRESH" 표시(74)가 청색으로 빛나게되어 표시(74)에 기재된 "FRESH"문자를 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게된다. 상기 제4램프(84)의 점등에 의해서는 "VENT"표시(77)가 청색으로 빛나게되어 표시(77)에 기재된 "FACE" 물자를 눈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정레버(51)를 "HEAT"위치(D)에 위치시키면 슬라이더(93)가 제3접촉자(90)에 접촉하여, 제2, 5램프(82), (85)를 점등시키므로써, "FRESH" 표시(74)가 청색으로 빛나게되어 "FRESH" 문자를 눈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또 제5램프(85)의 점등에 의해서는 "HEAT"표시978)가 조명되어서 적색으로 빛나게 되어 표시(78)에 흑색으로 기재된 "FOOT"문자를 눈으로 관찰할 수 있게된다.
또 조정레버(51)를 "DEF"위치(F)에 위치시키면 슬라이더(93)가 제4접촉자(92)에 접속하여, 제2, 6램프(82), (86)를 점등시킨다. 그럼으로써, "FRESH"표시(74)가 청색으로 빛나게되어 "FRESH"문자를 눈으로 관찰할 수 있게된다. 또 제6램프(86)의 점등에 의해서는 "DEF" 표시(76)가 조명되어 적색으로 빛나게 되므로써, "DEF"표시(76)에 흑색으로 기재된 "DEF"문자를 눈으로 관찰할 수 있게된다.
또한, 조정레버(51)를 "VENT" 위치와 "HEAT"위치 사이의 중간위치(C)에 위치시키면, 슬라이더(93)가 제1배전저항(89)의 중간위치에 접촉하게 되는데, 상기 접촉위치로부터 제1, 2단자(891), (892) 사이에서의 각각의 저항치가 서로 같게되기 때문에 이그닛숀키이 스위치(I. G)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각각 1/2씩 제1, 2단자(891), (892)에 공급되게 된다. 그럼으로써, 제4, 5램프 (84), (85)는 조정레버(51)가 "VENT"위치 (B) 및 "HEAT"위치(D)에 위치됐을 때에 비해 그 밝기가 감소되게되나 양자가 같은 정도의 밝기로 빛나게 된다.
또한, 조정레버(51)를 위치(C)로 부터 "VENT"위치(B)쪽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슬라이더(93)에 접촉한 제1배전저항(89)의 접촉위치와 제1단자(891) 사이에서의 저항치가 감소하게되어 제4램프(84)는 점차로 밝게되며, 또 슬라이더(93)에 접촉한 상기 제1배전저항(89)의 접촉위치와 제2단자(892) 사이에서의 저항치는 증대하게되어, 제5램프(85)는 점차로 어둡게된다.
또한, 조정레버(51)를 위치(C)로 부터 "HEAT" 위치 (D) 쪽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전자의 경우와는 반대로 제4램프(84)는 점점 어둡게되며, 제5램프(85)는 점차로 밝아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들에 있어서, 제2램프(82)는 제1배전저항(89)의 제1, 2단자(891), (902)로부터 전력을 계속 공급받게 되어, 조정레버(51)를 "VENT"위치 (B)에 위치시켰을 때와 마찬가지의 밝기를 가지게 된다.
다음에 조정레버(51)를 "HEAT" 위치와 "DEF" 위치 사이의 중간위치(E)에 위치시키면, 슬라이드(93)가 제2배전저항(91)의 중간위치에 접촉하게 되는데, 상기 접촉위로부터 제1, 2단자(911), (912)까지의 저항치가 서로 같게되기 때문에 이그닛숀키이 스위치(I.G)와 슬라이더(93)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각각 1/2씩 제1, 2단자(911), (912)에 공급되게 된다.
그럼으로써, 제 5, 6램프(85), (86)는 조정레버(51)가 "HEAT" 위치(D)및 "DEF"위치(F)에 위치됐을 때에 비해 어두워지나 양자가 같은 정도의 밝기로서 빛나게 된다.
또 조정레버(51)를 위치(E)로부터 "HEAT"위치 (D)쪽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슬라이더(93)는 제1배전저항(91)상을 그의 중간위치로부터 제1단자(911)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슬라이더(93)와 제1단자(911) 사이에서의 저항치가 감소하게 되므로써, 제5램프(85)는 점차로 밝게되며, 또 슬라이더(93)와 제2단자(912)사이에서의 저항치는 증대하게 되므로써, 제6램프(86)는 점차로 어둡게된다. 반대로, 조정레버(51)를 위치(E)로부터 "DEF"위치(F)쪽으로 이동시키면, 제5램프(85)는 점차로 어둡게되어 제6램프(86)는 점차로 밝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들에 있어서, 제12램프(82)는 제2배전저항(91)의 제1, 2단자(911), (91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되어 조정레버(51)의 위치에 관계없이 조정레버(51)가 위치(B), (C) 사이에 위치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밝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공조장치 본체(1)로의 공기흡입 및 그로 부터의 공기배출을 표시하는 표시판(71)상의 표시(74) 내지 (78)가 공조장치의 작동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빛나게되어, 운전자 및 다른 탑승자가 극히 용이하게 공조장치 본체(1)의 작동상태를 눈으로 관찰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공조장치의 조작방법을 충분히 모르는 사람도 표시판(71)에 나타나는 표시를 관찰하므로써, 용이하게 원하는 배출구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게 할수 있으며, 또한 차내 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조장치 본체(1)로 흡입시키게 할수 있다.
또 조정레버(51)가 "VENT" 위치와 "HEAT" 위치사이의 중간위치 및 "HEAT" 위치와 "DEF" 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에 있을 때에는 "VENT" 표시(77), "HEAT" 표시(78), "DEF" 표시(76)가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에 비례하는 밝기로서 빛나게되므로, 탑승자는 상기 각 표시(76) 내지 (76)의 밝기를 관찰하는 것만으로 각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쉽게 알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DEF" 표시(76)와 "HEAT" 표시(78)를 적색의 아크릴판으로 형성하였으므로, 히이터 레버(52)를 "OFF"위치로부터 이동시켜 히이터를 작동시키면서 히이터코어(4)에 엔진 냉각수를 공급시킬 때에 적색으로 빛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의 색표시는 공조장치의 실제 작동상태와 잘 조화가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환기 배출구(26')로부터는 항상 히이터코어(4)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가 배출되므로 "VENT" 표시 (77)를 청색의 아크릴판으로 형성하므로써, 공조장치의 실제 작동상태와 잘 조화가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 표시 (74)내지 (78)를 각각 청, 녹, 적, 청적색 의아크릴판으로 형성하였으나 다른색으로 해도 좋고, 또한 예로 전표시를 모두 청 또는 녹색으로 해도 좋을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램프 대신에 발광 다이오우드 또는 다른 적합한 소자를 사용하여 표시들을 빛내게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판(71)을 스모우크판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표시판(71)을 투명체로 형성시키고 이 투명체로된 표시판(71)의 이면에 불투명체를 접착하여 표시판(71)의 그림(711) 내지 (719)을 V형 홈으로 새길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제1램프(81)는 이그닛숀키이 스위치(I. G)에 접속시켜 표시장치(6)이 작동상태에 있을 때는 항상 점등시켜둘 필요가 있다.
또한 V형 홈을 새기는 대신에 표시판(71)의 이면에 백색으로 상기 그림(711) 내지 (719)를 그릴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공조표시 장치(6)를 계기판에 인접시켜 위치시키지 않고 콘소올 박스(console box), 앞좌석의 시이트백(7)의 이면, 차내의 측벽, 문의 내면, 또는 천정등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형상의 표시판(71)을 제공하여 표시판(71)에는 계기판의 정면도를 표시하는 그림(719)이 백색으로 그려져 있으며, "HEAT"표시(78) 및"RECIRC" 표시(75)가 각각 2개씩 표시되어있다.
제10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2실시예의 계기판이 사시도로 그려져 있다.
Claims (1)
- 차량의 공조장치의 공기 유동상태를 표시시키기 위한 공조표시 장치에 있어서, 구조물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 표시판(7)의 각 그림 부분에 설치된 발광체(82-86)를 조작레버(51)와 전기 접속시켜 그 조작레버의 작동에 따른 공기 유동상태를 표시판에 나타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30001584U KR830000586Y1 (ko) | 1983-02-22 | 1983-02-22 | 차량의 공조(空調) 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30001584U KR830000586Y1 (ko) | 1983-02-22 | 1983-02-22 | 차량의 공조(空調) 표시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780000746 Division | 1978-03-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038U KR830000038U (ko) | 1983-03-25 |
KR830000586Y1 true KR830000586Y1 (ko) | 1983-04-20 |
Family
ID=1922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30001584U KR830000586Y1 (ko) | 1983-02-22 | 1983-02-22 | 차량의 공조(空調)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30000586Y1 (ko) |
-
1983
- 1983-02-22 KR KR2019830001584U patent/KR830000586Y1/ko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038U (ko) | 1983-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61589A (en) | Vehicle air-conditioning control switch | |
US4222435A (en) | Air conditioning display system for vehicles | |
US4271897A (en) | Air conditioning display system for vehicles | |
US4191242A (en) | Air conditioner operating apparatus | |
KR830000586Y1 (ko) | 차량의 공조(空調) 표시장치 | |
US4174749A (en) | Air conditioning display system for vehicles | |
GB1602813A (en) | Automobile with ventilation means | |
US4165782A (en) | Automobile air-condition indicator | |
US4170259A (en) | Air conditioning display system for vehicles | |
JP2008534362A (ja) | 自動車の暖房装置、換気装置或いは空調装置を調整する操作要素 | |
JP4470718B2 (ja) | 回転操作スイッチ | |
GB2376284A (en) | Control knob assembly | |
JP6996906B2 (ja) | 空調装置、及び、ワイヤハーネス | |
JP2580066Y2 (ja) | 車両用ベンチレータの車内吹出口構造 | |
JP2001199227A (ja) | 車両の空調状態表示装置 | |
EP0355482A1 (en) | A control panel for a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 |
JPS5814323B2 (ja) | 車両の空調表示装置 | |
JPS5814321B2 (ja) | 車両の空調表示装置 | |
JP3828688B2 (ja) | 自動車の操作パネルの照明装置 | |
KR830000107A (ko) | 차량의 공조 표시 장치 | |
KR20190074625A (ko) |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 | |
JPS5822229Y2 (ja) | 車輛用ヒ−タコントロ−ルインジケ−タランプ | |
JPS5814322B2 (ja) | 車両の空調表示装置 | |
JPS6242564Y2 (ko) | ||
JP4179956B2 (ja) | 自動車の操作パネ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