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549B1 - Container for photographic printing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photographic print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30000549B1 KR830000549B1 KR1019780002844A KR780002844A KR830000549B1 KR 830000549 B1 KR830000549 B1 KR 830000549B1 KR 1019780002844 A KR1019780002844 A KR 1019780002844A KR 780002844 A KR780002844 A KR 780002844A KR 830000549 B1 KR830000549 B1 KR 8300005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housing
- lid
- slider member
- vie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7/00—Making articl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agricultural tools, dinner forks, knives, spo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 내지 6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1 to 6 are diagrams related to the first embodiment.
제1도는 단일용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gle container.
제2도는 함께 연결된 4개의 용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four containers connected together.
제3도는 용기의 축면 벽에 평행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parallel to the axial wall of the container.
제4도는 제3도에 수직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FIG.
제5도는 용기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제6도는 제3도와 같지만 상이한 동작단계를 도시하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3 but showing different operating steps.
제3a, 4a, 5a도는 확대 세부도.3a, 4a, 5a are enlarged detail views.
제7 및 8도는 제2의 실시예로써, 상부는 닫혀있고 하부는 열려있는 상태의 도면.7 and 8 are a second embodiment, with the top closed and the bottom open.
제7도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제8도는 횡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제9 내지 13도는 제3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9 to 13 are diagrams related to the third embodiment.
제9도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제10도는 제9도의 선 10-10에서 자른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0-10 of FIG.
제11도는 제10도의 선 11-11에서 자른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1-11 of FIG.
제12도는 평면도.12 is a plan view.
제13도는 슬라이더 부재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단면도.13 is a sectional view in a state where the slider member is pulled out.
제14 내지 18도는 제4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14 to 18 are diagrams related to the fourth embodiment.
제14도는 평면도.14 is a plan view.
제15 및 16도는 제14도의 선 15-15 및 16-16에서 자른 단면도.15 and 1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15-15 and 16-16 of FIG.
제17도는 슬라이더 부재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17 is a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lider member is drawn out.
제18도는 부분절취된 세부적인 사시도.18 is a partially cut away detailed perspective view.
제19도는 제5의 실시예의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제20 및 21도는 제6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20 and 21 show a sixth embodiment.
제20도는 부분 절취사시도.20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제21도는 제20도와는 다른 위치에서 본 부분절취 단면도.FIG. 21 is a partial cutaway sectional view seen from a position different from FIG. 20. FIG.
제22 및 23도는 제7의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22 and 23 are perspective and sectional views of the seventh embodiment.
제24도는 제8의 실시예의 사시도.2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ighth embodiment.
제25 내지 27도는 제9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25 to 27 are diagrams related to the ninth embodiment.
제25도는 사시도.25 is a perspective view.
제26도는 단면도.26 is a sectional view.
제27도는 개략적인 내부사시도.27 is a schematic internal perspective view.
제28 및 29도는 제10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28 and 29 are diagrams related to the tenth embodiment.
제28도는 사시도.28 is a perspective view.
제29도는 종단면도.2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제30도는 제11의 실시예의 사시도.3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enth embodiment.
제31도는 상호 연결 방법의 변화형에 대한 사시도.3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tion of the interconnection method.
본 발명은 같은 크기의 사진인쇄물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photographic prints of the same size.
현존의 사진(Photographic positive)은 거의가 90㎜의 한가지 폭으로만 생산되며, 90,115,130㎜의 3가지 길이로 생산된다. 사진 소유자는 사진을 허술하게 보관하거나 사진앨범안에 접착시킨다. 앞의 경우는 무배열하게 되므로써 상당히 불만스러우며 나중의 경우는 번거롭고 다량의 작업을 요하며 사진 앨범의 가격이 "사진서가"의 총 가격을 적지않게 증가시킨다. 인화 회사는 인화된 사진을 훰, 충돌등의 결과로 노출손상되는 종이 가방 또는 마분지봉투에 인쇄물을 넣어서 사진점, 화학자등에게 보낸다.Existing photographic positives are mostly produced in one width of 90 mm and in three lengths of 90, 115 and 130 mm. The photo owner keeps the photo poorly or glues it into the photo album. The former case is quite frustrating by being unarranged, the latter is cumbersome and requires a lot of work, and the price of the photo album increases the total price of the "picture book." The printing company sends prints to photo shops, chemists, etc. in printed bags or cardboard bags that are damaged as a result of splintering and collisions.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들면 인화 회사가 사진을 우송하기에 적합하며 또한 사진을 저장하기에도 적합하고, 더우기 몇개의 비슷한 용기로 미적 감각이 있는 사진 서가로 조립할 수 있으며 개개의 용기가 벽걸이를 또는 세우는 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는 인화된 사진(양화)용 용기를 만드는 것이다. 각각의 용기는 사진 필림의 원판수에 해당되는 사진을 소정의 최대수로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나, 하나의 사진만을 용기가 1회 동작할때에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용기가 완전하게 채워졌는지 또는 일부만 채워졌는지, 또는 용기가 창뒤의 그림만 수용하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볼 수가 없다. 다수의 같은 형 또는 원한다면 다른 형의 용기들이 아담하고 간편한 저장장치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시진 파일(pile)을 교반하기 위해서 용기가 열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that a printing company is suitable for mailing photographs and also for storing photographs, and furthermore, several similar containers can be assembled into an aesthetically pleasing photo shelf and each container is wall-mounted. Or make a printable photo container that can be designed to be used as a stand. Each container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maximum number of pictur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original films of the picture film, but only one picture is visible from the outside when the container is operated once.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see from the outside whether the container is completely filled or only partially filled, or whether the container only holds the picture behind the window. Multiple containers of the same type or, if desired, may be connected to form a compact and convenient storage device. The vessel is heated to agitate the piling pile
용기는 간편하게 설계되면서도 같은 용량의 앨범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될 수 있으며 상당한 공간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잇점을 가진다. 즉 용기의 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사진을 선택하여 창에서 볼 수 있도록 하므로서 용기에 라벨을 붙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The container is simple to design but can be produced at a lower cost than an album of the same capacity, saves considerable space and has the following additional advantages: In other words, there is no need to label the container by selecting the picture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so that it can be viewed in the window.
그러나 또한 원한다면 용기가 벽걸이틀 또는 세우는 틀로서 사용되도록 충분히 납작해질 수 있다.However, if desired, the container may also be flat enough to be used as a wall mount or stan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내지 6도는 제1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각 용기는 외부하우징(100)과 슬라이더 부재(102)를 지닌다. 외부 하우징상에는 연결레일(connecting rail, 104, 106)이 있으며 이 연결레일과 대향하여 각 반대편 측면에는 레일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의 홈이 만들어져 있다. 이 홈은 제4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을 제외하고 제4a 내지 6도에는 생략되어 있다. 각각의 하우징(100)은 그의 앞면에 창문구멍(108)을 가지며, 슬라이더 부재(102)가 최소한 창문 구멍에 면하는 그의 기판(110)은 투명하여 그 아래에 놓이는 사진을 창문구멍을 통하여 볼 수 있게 되어 있다.1 to 6 relate to the first embodiment. Each container has an
제2도는 어떻게 사진서가가 조립될 수 있도록 개개의 용기들이 상호 연결된 블록을 형성하는가를 도시하고 있다.2 shows how the individual containers form an interconnected block so that the picture shelf can be assembled.
제3 내지 6도는 용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투명 플라스틱재료로 만들어진 슬라이더부재는 손잡이(112)와 이중 뒷벽(114, 116)을 사진 서랍형태로 만들어진다. 슬라이더부재의 측면 벽(118)은 사진파일의 삽입 또는 제거를 간편하게 하는 절단3 to 6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tainer. The slider member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is made in the form of a picture drawer of the
하우징(100)의 창문구멍(108)의 반대편에 있는 뒷벽(122)상에는 내향안내 바아(148)가 형성되어 있다. 바아(148)와 벽(122)안의 베어링홈(147)은 압박레버(126)의 핀(128)을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바아(148)의 브리지(bridge, 14)와 협동하게 된다. 레버(126)은 슬라이더 부재의 뒷벽(116)의 요홈(132)안에서 후방 레버아암(130)을 밀착시킨 상태(제3도)로 놓여있어서 삽입된 사진 파일(136)상에서 그들의 탄성의 레버아암(134)을 압박하여 최하부 사진이 슬라이더 부재의 투명기판(110) 및 하우징의 창문구멍(108)을 통하여 볼 수 있도록 된다.An
레버아암(134)의 자유단에는 인출될때 슬라이더 부재의 뒷벽(116)의 요홈(132)에서 정지하여 서랍이 완전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크(142)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의 다른 자유단인 후방레버아암(130)은 후방에 탄성부(144)를 갖고 있어서 후크(142)와 뒷벽(116)과의 멈춤작용이 다소 유연하게 이루어지게한다.At the free end of the
슬라이더 부재의 측면벽(118)에는 파일 제거용 절단부(120)은 146에서 기판(110)으로 연장되어 그 끝은 창문구멍(108)의 측면 가장자리에 까지 연장된다. 절단부(120)은 사진 모서리의 안쪽으로 연장되며 멈춤부(114)에 의하여 제한된다.In the
슬라이더 부재가 밀어넣어질때(제3도) 사진파일(136)은 기판(110)에 접촉 유지되며 상이한 파일높이는 레버(126)의 아암(134)의 탄성에 의하여 조성된다. 슬라이더 부재가 인출될 때에는 레버가 우발적인 슬라이더 부재 이동을 정지시키는 멈춤부로써 작용한다.When the slider member is pushed in (FIG. 3) the
하우징과 슬라이더 부재는 각각 플라스틱재로부터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슬라이The housing and the slider member are each injection molded integrally from the plastic material. Slice
제3a, 4a 및 5a도를 참조하면 베어링 위치에 있는 레버(126)의 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볼 수가 있다. 베어링 홈(147)은 베어링부로써 작용하도록 설치된 바아(148)의 절개부이다. 대칭 저어널편(128)은 레버(126)의 얇고 매우 탄성적인 웨브(151)의 탄성변형에 의해 고안에 스냅 결합된다. 핀은 작은브리지(149)상에 놓여질 것이다. 필요하다면 보조스프링(152)이 갖추어질 수도 있다(제3도).Referring to FIGS. 3A, 4A, and 5A, the state of the
제7 및 8도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창(162)를 가진 하우징(160)과 인출될 수 있는 슬라이더 부재형태의 덮개(164)를 지닌다. 슬라이더부재는 두개의 창(162)사이에 놓이며 이창과 평행한 중간벽(166)을 갖는다. 중간벽은 양면에는 스프링 장치(168)을 지닌다. 인화된 사진은 중간벽(166)의 양면상에서 슬라이더 부재의 바닥(170)위에 놓인다. 덮개(164)에 인접하여 슬라이더 바닥(170)은 사진의 삽입 및 제거를 돕는 만입부(177)을 갖추고 있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7 and 8 has a
상부벽으로 부터 앞 모서리(176)에 인접하여 멈춤러그(stoplug, 169)가 달려있다. 슬라이더가 안으로 밀릴때는 러그는 동작되지 않는다. 슬라이더가 밖으로 인출될 때는 압박장치의 경사면(168')이 러그(169)와 접촉하여 스프링이 중간벽쪽으로 눌려There is a
제9 내지 13도에 따른 실시예도 또한 간편하다. 여기서는 전체 하우징(180)이 투명한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으나, 슬라이더부재(182)는 동일한 재료로 될 필요는 없다. 판스프링(184)는 제9도에서 자세히 나타나있다. 판스프링은 그의 중심아암(186)을 가지고 하우징 바닥(181)에 있는 사출성형된 브리지(186)을 통하여 연장하며 후크형 만곡부(190)에 의하여 슬라이더 부재의 바닥(183)에 연결지지된다. 압박판(194)은 중심아암(186)과 반대편으로 하방으로 만곡된 측면아암(192)가 스프링을 형성한다. 불투명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경우에는 필요하다면 투명판으로 폐쇄되는 창부분이 갖추어질 수 있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9 to 13 is also simple. Here, the
슬라이더 부재의 인출시에, 브리지(188)가 중심스프링 아암(186)을 누르므로하여 전체 스프링을 하방으로 끌어내리기 때문에 슬라이더 부재가 인출되면 스프링 장치가 작동되지 않는다(제13도 참조). 슬라이더 부재의 귀환시에, 사진 파일(195)은 하우징의 투명창(196)쪽으로 향하여 상방으로 압박된다. 슬라이더 바닥(183)은 슬라이더부재용 안내장치로서 작용하도록 브리지(188)를 통하여 연장되는 홈(185)을 갖고 있다.At the time of withdrawal of the slider member, the spring device is not operated when the slider member is pulled out because the
슬라이더부재에 있는 사진제거용 절단부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는 제1 내지 6도와 같이 여기에도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다.The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photo-removing cutouts in the slider member, are of the same form here as in the first to sixth degrees.
제14 내지 18도에 따른 실시예도 또한 슬라이더부재의 바닥(206)의 (204)위치에 중심이 부착되며 두개의 만곡부(202)를 갖는 압박스프링장치(200)를 갖고 있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14 to 18 also has a
지금까지 기술된 4가지 실시예는 모두 외부하우징과, 삽입된 인화된 사진을 하우징내로 함께 운반되는 슬라이더 부재를 가진다.All four embodiments described so far have an outer housing and a slider member that carries the inserted prints together into the housing.
물론 힌지식(hinged) 덮개를 가진 용기를 갖추는 것도 가능하며 그와 같은 실시예는 이하에 상술된다.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have a container with a hinged lid and such embodiments are detailed below.
제19도에 따른 실시예는 일체로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으로 되어 있다. 사출성형된 부품은 용기뒷벽(240)과 두 개의 용기측벽(242)와 좁은 뚜껑(244)와 큰 뚜껑(246)을 지닌다. 앞 모서리부(248)도 또한 좁은 뚜껑(244)에 사출성형되어 있다. 뒷벽(240) 및 측벽(242)에 연결된 기저부(249)와 뚜껑(246) 사이의 연결부에서는 얇은 스트립(250)이 힌지부를 형성하도록 사출성형되어 있으며 이와 동일한 구조의 힌지부가 뒷벽(240)과 좁은 뚜껑(244) 사이의 (252)부분에도 갖추어진다. 뒷벽(240)에서 지지되는 금속박 또는 플라스틱 스프링(254)은 용기내에 배치되거나 아교접착되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9 consists of an integrally injection molded plastic part. The injection molded part has a vessel
제20 및 21도에 따른 용기는, 프레임 측면 바아(262)는 그의 보는쪽 면으로부터 네 가장자리 상에서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내부 프레임(260)을 지닌다. 측면바아(262)의 서로 면하는 측면은 조망판에 연결된 가장자리들에 평행한 톱니부(264)를 갖고 있다.The container according to FIGS. 20 and 21, the
삽입된 사진파일(266)은 측면바아(262)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내의 내재되는 형태로 꼭 맞으면, 압박판(272)상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지주(strut, 270)상에 톱니부(264)와 맞물리도록 톱니부(274)를 형성한 외부프레임(268)에 의하여 창쪽으로 향하여 압박된다. 사용된 재료의 탄성에 의하여 톱니부(264, 274)가 서로 결합되며 창밖으로 압박된 사진들의 위치를 고정시키지만 내부 프레임으로부터 외부 프레임을 제When the inserted
이 실시예는 용기로서 뿐만 아니라 동시에 한장의 사진을 위한 벽걸이를 또는 세우는 틀로써 사용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can be used not only as a container but also as a wall mount or stand for a single picture at the same time.
필요하다면 측면홈(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파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갖추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 스프링이 서로를 향하여 당겨지는 톱니부(264, 274)를 대신하여 또는 추가하여 설치될 수 있다.Side grooves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remove the file if necessary. It may also be installed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the
제22 및 23도에 따른 제7실시예에서 뚜껑(286)이 (284)의 장소에서 창(280 ; 판에 의하여 임의로 폐쇄됨)을 갖춘 하우징(282)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뚜껑은 하우징의 뒷면에서 폐쇄위치로 될때 맞물림 결합요소(288, 290)에 의하여 잠겨질 수 있다. 창(280)으로 향하는 뚜껑(286)의 내면은 뚜껑(286)이 닫힐때에 파일(294)을 창(280)쪽으로 압박하는 스프링장치(292)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뚜껑이 열릴 때에 스프링장치가 하우징(282)의 가장자리(295)에 대하여 활주 이동되기 때문에 압박된다. 뚜껑(286)은 결합요소(288)가 하우징의 내면과 부딪치므로 완전히 열리지 않는다. 그러나 사진들은 이 위치에서 쉽게 삽입제거될 수 있다.In the s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22 and 23, a
제8의 실시예인 제24도에 따른 용기는 투명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뚜껑(302)이 핀(304)에 의하여 힌지되어 있는 4개의 측면을 가진 하우징(300)으로 되어 있다. 뚜껑(302)은 인화된 사진 파일(308)이 그 위에 배치되는 지지면(306)과, 이The container according to FIG. 24, the eighth embodiment, consists of a
결합 리브(rib, 312)는 파지부(310)의 자유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하며, 이 리브와 맞물리는 하우징(300)의 뒷벽(316)의 윗가장자리(314) 근처에 형성된 결합홈(318)이 있다. 보강모서리(320)는 지지면(306)과 뚜껑(302)의 투명앞판에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내에 형성되어 있거나 삽입고착되어 있는 스프링(322)는 뚜껑(302)이 하우징내로 선회되어 리브(312)와 홈(318)에 의하여 잠겨지면 파일(308)을 조망판의 내면쪽으로 압박한다. 용기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파지부 (310)을 눌러 뚜껑 (302)를 탄성 변형시키면 된다.The
이 파지부가 뚜껑(302)의 세로변상에서 형성되는 것으로도 충분하지만, 여기서 보여지는 실시예가 보다 만족스러운 미적감각을 지닌다. 파지부 (310)이 눌려질때 스프링(322)은 뚜껑이 개방되는 것을 돕는다.It is sufficient that this gripping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eformation of the
사진들은 뚜껑(302)이 외향으로 약 90선회될때 삽입될 수 있다.Photos show that the
제25 내지 27도에 따른 제9실시예에 있어서 접착된 투명창(332)을 가지는 하우징(330)이 힌지부(336)에서 힌지되어 있는 측면 뚜껑(334)에 의하여 열려질 수 있다. 하우징과 뚜껑내의 각각의 노취(338, 340)는 뚜껑을 열기 위한 파지부를 제공한다. 창(33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하우징 측면상에 제9 내지 13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스프링 장치와 동일한 제작원리를 갖는 스프링장치(342)가 있다.In the ninth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25 to 27, the
따라서, 여기에서도 또한 하우징이 스프링 장치의 중심아암(346)이 그 안에서 활주 이동되므로 하여 스프링이 작동 또는 비작동화되도록 하는 안내브리지(344)를 가진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스프링 장치 위의 후크형 연장부(348)가 뚜껑(334)에 고착되)열릴 수 있으며, 사진파일(354)이 삽입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뚜껑을 닫을 때에 후크(350)가 우선 후크형 연장부(348)를 뒤로 밀어서 스프링장치(342)가 창(332)쪽으로 사진을 다시 압박하게 하며, 연후에 후크형 연장부(348) 위에 걸리게 되어 뚜껑을 다시 잠겨진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Thus, here too, the housing has a
이 실시예에서 장치는 또한 정지위치에서의 스프링장치(342)가 하우징 기저부(352)쪽으로 밀착하여 놓이고 후크(350)에 해당하는 뚜껑상의 멈춤장치(spto)에 의하여 내향으로 압박되어 창(332)을 향하여 만곡되도록 될 수 있다. 연후에 뚜껑은 걸쇠 버튼(button)에 의하여 잠겨지며 노취(338, 340)가 도시된 바와 같이 놓이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device also has a
제28 및 29도에 따른 제10실시예는 창(362)의 반대쪽 면에서 열려지는 하우징(360)으로 되어 있다. 창에 평행하여 슬라이더부재 (366)를 위한 안내홈(364)이 하우징에 갖추어져 있으며, 압박스프링(368)이 슬라이더 부재에 부착되어 있다. 속잡이(370)는 슬라이더 부재상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부재 내부에서 스프링 앞에 멈춤 돌출부(372)가 있다. 슬라이더부재가 인출되면 스프링(368)이 하우징 밖에 놓이The tenth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28 and 29 consists of a
제30도에 따른 제11실시예는 제24도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힌지부(379)에서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는 뚜껑(380)이 뚜껑의 측면바아(384)상에 있는 탄성결합 돌출부(382)와 이에 대응하는 하우징(390)의 측면벽(388)내의 요홈(386)에 의하여 잠겨진다. 용기를 개방하려면 하우징과 뚜껑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노취(392와 394)를 파지하므로서 행해진다.The el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FIG. 30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However, here the
제24도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이 실시예는 용기 결합돌출부(396)가 하우징 측면(398)에 갖추어질 뿐만 아니라, 용기 연결홈(399)은 하우징 측면(388)에도 갖추어질 수 있는 잇점이 있으므로 이 실시예가 옆으로만 연결될 수 있는 제24도의 실시예보다 용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면에 있어서 더 유리하다.In contrast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4, this embodiment not only has the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역시 용기 연결부재가 갖추어질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용기들상에 있는 결합 돌출부와 연결홈들에 의한 직접연결 대신에, 예를 들면 제20 또는 1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용기들이 예를 들면 다섯개 또는 열개씩 삽입될 수 있는 부가적인 연결용 하우징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의 대략 입방형 용기들이 상호 연결용의 돌출부와 홈을 그들 자체에 갖출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예는 제31도에 도시되어 있다.It is apparent that other embodiments may also be equipped with a container connection member. Instead of a direct connection by coupling projections and connecting grooves on the containers, an additional connection housing is provided, for example five or ten containers can be inser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0 or 19 degrees. They may be used, and the above approximately cubic containers may have their own protrusions and grooves for interconnection. Such an embodiment is shown in FIG.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780002844A KR830000549B1 (en) | 1978-09-19 | 1978-09-19 | Container for photographic print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780002844A KR830000549B1 (en) | 1978-09-19 | 1978-09-19 | Container for photographic print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549A KR830000549A (en) | 1983-03-12 |
KR830000549B1 true KR830000549B1 (en) | 1983-03-12 |
Family
ID=19208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780002844A KR830000549B1 (en) | 1978-09-19 | 1978-09-19 | Container for photographic print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30000549B1 (en) |
-
1978
- 1978-09-19 KR KR1019780002844A patent/KR830000549B1/en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549A (en) | 1983-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42820A (en) | Container for photographic prints | |
US4458434A (en) | Container for pictures having similar formats | |
US4691456A (en) | Container for storing a stack of pictures | |
US5038935A (en) | Storage and display unit for photographic prints | |
USRE32766E (en) | Picture viewer | |
JPH04500733A (en) | label holder | |
JP2005529807A (en) | Container with integrated card holder | |
US5095641A (en) | Expandable picture frame assembly with enclosed variable-size multiple picture-storing cavity | |
NO305818B1 (en) | Container for a disc cartridge | |
CA1116445A (en) | Viewer for photographic prints | |
US4836489A (en) | Paper holder | |
US4473154A (en) | Container for photographic prints | |
KR830000549B1 (en) | Container for photographic printing | |
US5609252A (en) | Photograph display and storage tray system | |
WO1990011949A1 (en) | Display and storage container for photographic prints | |
US5685430A (en) | Photograph and negative storage container | |
JP2986527B2 (en) | Storage r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5472091A (en) | Combined photo and negative storage container | |
US5810163A (en) | Holder structure for film cartridge and filing-box type album | |
KR200255477Y1 (en) | stand having a tilting support | |
JP3044832U (en) | Box with holding plate inside | |
JPH07149381A (en) | Container of name card or the like easy to take out | |
KR100341694B1 (en) | Video Case for Rental Video | |
IE49668B1 (en) | Container for pictures having similar formats | |
JPH05277007A (en) | Card ca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