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492B1 -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492B1
KR830000492B1 KR1019790000050A KR790000050A KR830000492B1 KR 830000492 B1 KR830000492 B1 KR 830000492B1 KR 1019790000050 A KR1019790000050 A KR 1019790000050A KR 790000050 A KR790000050 A KR 790000050A KR 830000492 B1 KR830000492 B1 KR 830000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ocusing
electron gun
main lens
lens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오 디게나가
에이 사부로오 하마노
신뻬이 고시고에
Original Assignee
이와다 가즈오
도오교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다 가즈오, 도오교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다 가즈오
Priority to KR101979000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34Electrical arrangements coupled to electrodes, e.g. potentials
    • H01J2229/4837Electrical arrangements coupled to electrodes, e.g. potentials characterised by the potentials applied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전자총
제1도 (a), (b), (c)는 종래의 바이포텐샬, 유니포텐샬 및 트라이포텐샬형의 각 전자총의 주렌즈계의 간략 구조 및 축상 전위분포를 표시하는 관수의 그래프 및 상기 축상 전위분포의 관수의 2차도관수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2도는 바이포텐샬형 및 유니포텐샬형의 각 전자총의 전자 비임극의 계산용 그래프.
제3도는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1의 실시예의 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와 같은 주렌즈계의 구조 및 축상의 전위분포를 표시하는 관수의 그래프 및 그 관수의 2차 도관수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5도는 제3도의 주렌즈계의 전자비임의 흐름의 설명도.
제6도는 제4도의 제1, 제3집속 전극의 집속전압 Vf와, 제2집속 전극의 길이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7도는 본 발명의 음극선광용 전자총의 제2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용 전자총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음극선관의 전자총의 제3의 실시예의 단면도.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하여 특히 인타인형 3전자총 방식 샤도우마스크형 칼러수상관에 사용하여 적합한 전자총의 전자비임접속용 주렌즈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도시 않음)의 전자총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기본적 부분, 즉 물점형성부를 포함한 전자비임원과 음극선관의 형광면에 전자비임을 집속시키는 전자비임 집속용 주렌즈계로 되고, 통에전자를 3극부 후자를 집속 렌즈(주렌즈)계라고 칭하고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 렌즈(주렌즈)계의 대부분은 정전(靜電)집속형으로, 각각의 도전성관상 소자(전극)을 동축으로 배치하고 소망의 집속전계를 얻게, 각 소자에 소정의 전압이 가해져있다.
전자총의 형태로서는 일반적으로 바이포텐샬(쌍전위)형, 유니포텐샬(단전위)형이 있고 다시 미국 특허 3,995,194호 명세서에 기술된 트라이포텐샬형이 있다.
다음에 이들 세계의 전자총의, 각주렌즈(집속렌즈)계의 전극배치 및 측상전위분포를 제1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즉 제1도(a)에 표시하는 바이포텐샬형은 두개의 집속전극(1)(2)를 가지는 주렌즈계이며, 음극에 가까운 쪽의 전극(1)이 상대적으로 저전위, 음극선관의 형광면에 가까운 쪽의 전극(2)가 상대적으로 고전위이다. 이 두개의 전극간의 전위는 곡선(3)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단조로 증가하는 것 같은 분포가 되어 이 전위분포에 의하여 주렌즈계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종류의 바이포텐샬형 전자총의 주렌즈계의 축방향 전위분포는, 그 최초의 도관수(導關數)가 부호를 바꾸지 않으므로 "단조(單調)"라고 불리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음에 제1도(b)에 표시하는 유니포텐샬형(단전위형)의 주렌즈계는 세개의 집속전극(4)(5)(6)으로 구성되고, 그 축방향 전위분포는 곡선(7)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거의 안장모양을 ...고, 주렌즈계의 시단(始端)과 종단이 거의 동전위가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단전위형 주렌즈계는 접속비임 스폿트를 작게하는 것은 할 수 있으나 이 전자총을 내장한 음극선관의 관내방전을 이르키기 쉽다는 결점이 있다.
최후로 제1도(c)에 표시한 트라이포텐샬형의 주렌즈계는, 적어도 세계이 집속전극 바람직한 것은 네개의 집속전극(8)(9)(10)(11)로 되고, 그 축방향전위 분포는 곡선(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중간의 전위에서 단조로 상대적으로 낮은 전위로 변화하고, 다시 상대적으로 놓은 전위로 단조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렌즈계를 가지는 전자총은 상술한 2종의 전자총과 다르고, 집중 비임 스폿트도 양호하나 상대적으로 중간의 전위가 필요하다는 등 때문에, 별전원을 필요로 하고, 다시 전자총의 길이가 길어지고, 또 3극부의 조립에 필요이상의 정도가 요구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상술한 각종 렌즈계의 축방향의 전위분포의 2차도 관수를 구하면, 제1도(a)(b)(c)의 각각의 하방의 그래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바이포텐샬형에서는 (a)
다음에 전자총에 요구되는 특성에 대하여 생각하면, 전자총의 성능은 제1차적으로 전자총의 집속렌즈(주렌즈)계에 의하여 음극선관의 형광면상에 집속한 전자 비임경으로 표현되며, 이 집속된 전자비임경이 작으면 작을수록 주렌즈계의 성능이 좋고, 포커스 품위가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전자광학적인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즉 일반적으로 전자총의 집속렌즈에 의하여 집속된 전자비임경(DT)는, 전자광학적 배율에 의존한 전바비임경(DX)와, 구면수차(球面收差)에 의한 전자비임경의 확산(DSA) 및 전자상호 반발효과에 의한, 전자비임경의 확산성분(DSC)로 되며 아래식으로 나타낸다.
Figure kpo00002
즉 DX는 전자광학적 배율(M)와 가상물점의 크기(DX)의 적(積)이며 DSA는 구면수차계수(Cs)와 배율(M)와 전자비임의 발산각(do)의 3승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자총의 주렌즈계(집속렌즈)는 배율(M), 주렌즈계에서 본 가상물점의 크기(dx), 구면수차계수(CS) 및 전자비임의 주렌즈계(집속렌즈)에서 본 전바비임의 발산각(do)가 각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음극선관의 1종인 칼러수상기의 기하학적 치수, 특히 전자총의 주렌즈계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현광면까지의 거리(근사적 상점거리)가 일정의 경우 전자광학적 배율에 의존한 전자비임경(Dx)와 구면 수차에 의한 전자비임경의 확산(DSA) 및 (DSA)와 전자 상호반발효과에 의한 전자비임경의 확산(DSC)와는 서로 상반관계에 있고, 최소전자비임경을 얻는 최적해가 상기 유니포텐샬형 각각에 대하여는 각기 제2도(a) 및 (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구해진다.
다시 상술하면 전자총의 3극부(불점형성영역)과 주렌즈(접속렌즈)계의 조합이 최적이 아니면, 예를들면 화면 중앙부의 해상도, 화면주변부와 중앙부의 균일성, 놓은 전류시의 브루밍(변조비집속)등의 각기의 특성 배런스가 나빠진다.
즉, 3극부(물점형성영역)의 설계에 의하여 전자비임의 발산각 및 가상 물점위치가 결정되므로, 3극부의 음극,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각각의 전극간 거리의 선택은 충분한 주의로 할 필요가 있다. 또 특히 주렌즈계의 음극측에 가장 가까운 전극(제1도)의 (1)(4)(8)의 인가전압 및 3극부와의 전극간 거리에 의하여 전자비임의 발산각 및 가상 물점 위치가 영향되므로 3극부의 설계는 주렌즈계와 총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3전자총방식 샤도우 마스크형 칼러수상관을 사용한 칼러 수상기를 예를들면, 일반적으로는 상기 바이포텐샬형 전자총이 사용되고, 음극은 개략 100-150V, 제1전극은 거이 접지전압 제2전극은 거이 400-800V, 제3전극(제1집속전극)은 수KV(4.4KV-5.0KV), 제4전극(제2집속전극)은 형광면과 등전위로 20KV-30KV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제3전극(제1집속전극)장은 주렌즈경의 직경을 기준으로 하면 거의 3.5정도이며, 주렌즈계에서 본 전바비임의 발산각은 개략 4°-5.5°정도이며 비교적 크고, 다시 제3전극(제1집속전극)은 수KV(4.4-5.0KV) 때문에, 3극부로 형성되는 가상물점, 소위 크로소오버위치가 … 1전극 또는 음극에 인가되는 비데오 신호에 대하여 변동하고 특히 놓은 전류시에 브루밍(변조비집속)을 이르키기 쉬운 경향이 있다.
한편 전자광학적 배율은 유니포텐샬형 전자총에 비교하여 작기 때문에 소위 저휘도(低輝度)(낮은 전류시)의 해상도(解像度)는 상대적으로 양호하나, 발산각이 크기 때문에 표가스의 균일성이 나쁘고, 상술한 브루밍특성이 나빠지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유니포텐샬형 전자총의 경우는 3극부는 바이포텐샬형과 거이 같으나, 제3전극(제1집속 전극), 제5전극(제3집속 전극)에 고압(형광면전위)가 인가되어 제4전극(제2집속 전극)에는 실질적으로 0볼트 또는 수 KV 인가되어 있으므로 결과로서 발산각은 개략 2°로 작으나 그 반면 전자광학적 배율이 바이포텐샬형 주렌즈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저휘도시의 해상도가 약간 뒤떨어지나 균일성 부르밍특성 등은 상대적으로 양호하게 된다.
유니포텐샬형 전자총은 3극부의 제2전극과 제3전극(제1집속전극)간, 제3전극(제1집속전극) 제4전극(제2집속전극)간 등에 고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전극간의 내전압특성이 나빠 방전에 의하여 칼러 수상기의 비데오 회로를 손상시키거나, 전자총의 음극자체를 파괴시키기 때문에 최근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는다.
트라이포텐샬형 접속렌즈는 축상전위 V0가 작은 영역 혹은 전자비임경이 큰 영0 0 11
즉 제1도(c)에 표시한 것과 같이 제3전극(제1집속 전극)(8) 제4전극(제2집속전극)(9), 제5전극(제3집속극)(10), 제6전극(제4집속 전극)(11)의 네개의 전극으로 직속렌즈가 구성되어 제3, 제5전극(제1, 제3집속 전극)에는 상대적으로 중간의 전위(10-12KV)가, 제4전극(제2집속 전극)에는 상대적으로 낮은(5-7KV) 전위가, 제6전극(제4집속 전극)에는 형광면 전위가 인가되고, 그 축 상전위 분포는 상대적으로 중간의 전위에서 윤활하고, 또한 단조로 상대적으로 낮은 전위로 변화하여 더욱 윤활하게 또는 단조로 상대적으로 고전위로 변화하고, 또한 상기 축상전위 분포가 하나의 연장형 렌즈로서 작용하는 것 같은 전극 구성 및 전압이 아니면 안된다.
이 때문에 주렌즈계의 직경으로 규격화된 각 집속 전극장은 제4전극(제2집속 전극)(4)가 0.5-2.2, 제5전극(제3집속전극)(10)이 0.75이하, 제3전극(제1집속 전극)(9)을 칼러수상기의 기하학적치수 및 인가전압에서 1의 적으로 결정된다. 트라이포텐샬형 전자총의 특징은 종래일반의 바이포텐샬형 전자총보다 상대적으로 놓은 2종의 집속전위(6-7KV 및 10-12KV)를 인가하므로서 전자광학적 배율을 받고, 필연적으로 생기는 구면수차의 증대를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형 단일 렌즈로 하므로서 극력 억제한 설계로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저휘도의 해상도(수차는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비교적 저전류영역)은 각별히 재량된다.
또 제3전극(제1집속 전극)(8)에 10-12KV로 비교적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블루밍 특성도 양호하다.
반면 주렌즈계의 전극장이 길어져 제3전극(제1집속전극)(ε)에 비교적 높은 전압을 인가하고 있는 때에는 주렌즈계에서 본 전자비임의 발산각은 그다지 작게 되지 않기 때문에 전자비임의 접속각이 커진다. 결과로서 화면 중앙부의 포커스는 대단히 양호하지만 최근 주류로된 자기 집중 방식 칼러 수상관 장치와 같이 불균일한 자장공간(磁場空間)에서 전자비임을 평향시켰을 경우, 평향수차를 받기 쉬웁고 결과로서 포카스의 균일성이 나쁘다. 또한 상기 구면수차가 상기 평향수차를 받아 비점수차를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균일성을 더욱 완화시키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그러나 칼러수상관의 경향으로서 포오카스 품위의 향상에 있다. 포카스 품위의 향상화는 환언하면 형광면상에 극수전자비임 스폿트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종래형 주렌즈계의 경우 그 대상으로서 전자총 조립의 고정도화가 필요조건이 된다.
주지와 같이 칼러수상관의 가지가지의 조립오차를 보정하는 목적으로 수상관의 넥크부에 색순도 보정 마그넷트나 콘버젠스 보정 마그넷트가 배치되고, 이들 마그넷트에 의하여 상기 수상관(전자총 포함)의 조립오차를 부정하고 있다.
전자총의 고성능화를 도모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주렌즈계의 구면수차에 의존하는 전자비임경의 확산성분(DSA)이 많아지고 상기 마그넷트에 의하여 수상관의 조립오차를 보정한 경우, 수상관하면 중앙부에 있어서도 구면수차, 일부비점수차 때문에 소위 번짐이 발생하기 쉽게되어 결과로서 포카스 품위를 열화시킨다.
따라서 전자총의 고성능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총의 조립정도 향상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구면수차나 비점수차는 전자 비임 발생원에서 방사된 전자비임의 발산각에 의존하기 때문에 유니포텐샬형의 경우는 비교적 문제가 없으나, 바이포텐샬형, 트라이포텐샬형과 같은 전자공학적 배율을 작게 하고 반면 구면수차 성분이 약간 큰 전자총의 주렌즈계에서는 지극히 큰 문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상기 결점에 비추워서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계산기에 의한 전자 광학적해석의 기초로, 실험시행을 거듭한 결과 발명한 새로운 주렌즈계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자기집중형 방식칼러 수상관 장치와 같이 편향 요오크 자계의 비균일도가 극히 높은 음극선관 장치용 전자총의 주렌즈계로서 최적하다.
이하 도면에 따라 구체적 1실시예에 관하여 상술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자총에 적응하는 주렌즈(집속렌즈)계를 구비한 전자총의 구조이다. 도면에 있어서 (21)은 음극, (22)는 제1전극, (23)을 제2전극이고, 이 세개의 전극에 의하여 소위 3극부로 형성하고 있으며 주렌즈계는 제3전극(제1집속전극)(24), 제4전극(제2집속전극)(25), 제5전극(제3집속전극)(26), 제6전극(제4집속전극)(27)의 네개의 전극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음극(21)에는 통상 100-150V의 직류전압 및 비데오신호가 인가되어, 제1전극(22)는 개략접지전위가, 제2전극(23)에는 400V-1000V 정도의 전위가 인가되어, 다시 제3전극(제1집속전극)(24)와 제5전극(제3집속전극)(26)은 음극선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동전위로 보전되어 개략 4.4KV-10KV가 인가되어 소위포카스 전극을 구성하고 있다. 제4전극(제2집속전극)(25)는, 관의 내부 또는 외부의 전원에 의
이와 같은 전극구성에 있어서 또한 주렌즈계의 직경으로 규격화된 각 전극장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로서 다음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제4전극(제2집속전극)(25)의 길이는 개략 0.2-0.5로 타의 제3전극(24) 제5전극(26)에 비교하여 극히 짧게 설계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총에 적응하는 제4전극(제2집속전극)은 주렌즈계의 축상의 전위분포가 제4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중간의 전위에서 단조로 상대적으로 낮은 전위로 약간 변화하고, 다시 상대적으로 높은 전위로 단조로 변화하고 트라이포텐샬 형의 축상의 전위분포와 같이 윤활하게 연장형 단일 렌즈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고, 거시적으로는 바이포텐셜형 주렌즈에 가까운 축상전위 분포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주렌즈계의 축상전위분포 V0의 2차도관수 V0 11는 정의 극대치를 2개와 부의 극대치를 3개를 가지고 있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최대의 특징은 상기한 바와같이 바이포텐샬형 주렌즈계의 제3전극(제1집속전극)을 2분할하고, 그 분할된 사이에 상대적으로 아주 짧고, 또한 상대적으로 어느정도 낮은 예를 들면 제2전극과 거의 같은 전압을 인가한 접속전극을 설치하고, 국부적으로 보조 렌즈로서의 유니포텐샬형 렌즈를 삽입하고 전자총의 주렌즈계에서 본 전자비임의 발산각을 약간 작게 하고 있는 것이다.
즉 제5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제1, 제2 및 제3집속전극(24), (25) 및 (26)이 이루는 렌즈계에서 본 발산각 α1을 4°-5°, 제3 및 제4집속전극(26)(27)이 이루는 렌즈계에서 본 발산각 α0를 3°-4°로 하고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다시 상술하면 상기 "약간"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즉 제1도(a)에 표시하는 임의의 바이포텐샬형 전자총을 사용한 음극선관에 있어서 그 집속전압이 Vfo가 되도록 제3전극(제1집속전극)(1)길이를 선정하였다고 한다.
제5도에 표시하는 본 발명의 전자총에 있어 제1집속 전극(24)의 길이 G1L을 주렌즈계의 직경(제4집속전극(27)의 직경)으로 규격화한 값으로서 예를들면 1.27로 일정하게 하고, 제2집속전극 G2L 제3집속전극 G3L 각 전극간격 g1+g2=0.027로 하고, (G1L+G2L+G3L+g1+g2)의 길이를 상기 바이포텐샬형 전자총의 제1집속전극(1)길이와 같게한다. 또한 제1, 제2 및 제3집속 전극(24), (25), (26)에 상술한 집속전극 Vfo를 인가하면 당연한 일이지만 상기 바이포텐샬형과 완전같은 값이 된다(여기에서 G1L G3L≪g1. g2).
다음에 전극간거리 g1, g2를 일정하게 보지하고, 제2집속전극장 G2L을 약간 변결하면 제6도와 같이 제1, 제3집속전극(24)(26)의 집속전압 Vf는 어느점보다 급격히 높아진다. 최종적으로는 집속불능상태가 된다.
이리하여, 본 발명에 있어 "약간"이란 뜻은 상술의 집속전압이, 동일치수의 바이포텐샬형 전자총에 비교하여 0.5-2.5KV정도의 변화밖에 없음을 뜻하고, 또 제2전극
제2집속전극(25)의 위치가 형광면측에 가까와짐에 따라 제2집속전극은 보조집속전극으로서의 작용이 강하게 되므로, 바이포텐샬형의 저배율의 특징을 상실한다. 따라서 어느정도 음극에 가까운 편이 바람직하며 제1, 제2 및 제3집속전주의 길이 G1L, G2L, G3L은 G3L
Figure kpo00003
G1L<G2L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총의 주렌즈계를 구성하므로서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제1은 전자비임의 발산각을 용이하게 축소할 수 있으므로, 화면 중앙부에 있어서의 구면수차를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총의 조립오차에 의한 비점수차를 경감할 수 있다(구면 수차는 발산각의 3승에 비례라고 비점수차는 구면수차가 감소되면 내기 힘들기 때문에).
제2는, 상기구면 수차가 대폭경감되기 때문에, 특히 자기집중형 칼러수상관 장치와 같이 편광수차가 큰 계에서는 화면주변부의 비점수차가 경감되고, 포커스의 균일성이 향상된다(균일성 및 비점수차는 전자비임의 집속각에 비례하기 때문에).
제3은 기본적으로는 바이포텐샬형의 범위내에서 약간 가상물점을 원방향으로 후퇴시키기 때문에 바이포텐샬형보다 전자 광학적 배율을 작게할 수 있고 저휘도에 있어서의 해상도가 한층 향상된다.
제4는 종래의 바이포텐샬형과 같이 포커스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제2전극간 거리, 제2 제3전극간 거리를 넓히고, 상대적으로 화면 중앙부에 있어서의 해상도를 열화시키는 것 같은 타협설계를 할 필요가 없고 임의로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제5는 퓨리데이자계 등의 불요자계에 기인하는 비점 수차가 발생하기 어렵다(기본적으로 트라이 포텐샬형보다 전극장이 짧아지기 때문).
제6은, 더욱 중요한 것은 종래의 바이포텐샬형... 같이 상기 제4항에 기술한 바와 같은 개량을 했을 경우 실용적인 귀점단거전압(歸點端去電壓)(제2전극 전압)을 얻기 위하여, 음극-제1전극간 거리를 좁힐 필요가 있고, 칼러 수상관내의 도전성 불순불에 의한 음극-제1전극의 단락등의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걱정은 전혀없다.
제7은 유니포텐샬형과 같이 내전압 특성의 불안이 없다.
제8은 트라이포텐샬형과 같이, 2종의 비교적 높은(5-7) 및 10-12KV) 포카스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경우, 제4전극(제2집속전극)(25)는 관내에서 제2전극(23)등과 내부접속을 할 수 있다)등등 매우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7도 및 제8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상기실시예와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31)은 음극, (32)는 제1전극, (33)은 제2전극으로, 이 세개의 의하여 소위 3극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주렌즈계는 제3전극(제1집속전극)(34), 제4전극(제2집속전극)(38), 제5전극(제3집속전극)(39), 제6전극(제4집속전극)(43)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전극(34)는 대설한 얕은 캡 전극소자(35)(36)사이에 평판전극소자(37)이 소정간격을 두고 간삽되어 있으며, 제4전극(38)은 두 장의 평판전극소자(38)로 되고, 제5전극(39)는 대설한 얕은 캡 전극소자(40)(42) 사이에
상술함과 같이 각 전극을 평판 전극소자, 얕은 캡 전극소자로 하므로서 가공 정도의 향상, 열정이그러짐의 경시변화방지, 조립의 간략화 등이 도모된다.
또 제8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상기 구조의 전자총의 동일전위 인가전극소자, 예를 들면(40)(41)(42)는 한개의 도선(46)으로 접속되고, 다시 스템(47)의 핀(48)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각전극은 절연지지봉(49)에 의하여 소정간격을 두어 배설되고, 인라인형 유니다이스간이 완성되어 있다. 이들 제1, 제2, 제3 및 제4접속전극을 형성하는 각기의 얕은 L형 소자, 평판상 소자에는 서로 어라이멘트하여 직경 1의 개구(50)이 각각 독립하여 3개가 설치되어 있다.
제9도를 인용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3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의 실시예와 같이, 음극(31), 제1전극(32) 및 제2전극(33)으로 되는 3극부와, 제1, 제2, 제3 및 제4집속전극(60)(63)(65)(59)로 되는 주렌즈계를 구비하고 있다.
제1집속전극(60)은 서로 대설한 얕은 캡형 전극소자(61)(62)로 형성되고 제2집속전극(63)은 3매의 서로 접한 판상 전극소자(64)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3집속전극(65)는 서로 소정간격에서 대설한 2개의 얕은 캡형 전극소자(66)(67)... 한쪽의 캡... 동열로 설치된 얕은 캡형 전극소자(68)로 형성되고, 또 제4접촉전극(69)는 대설한 얕은 캡형 전극소자(70)(71)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제2 및 제3의 실시예의 구조를 가지는 음극선관에 있어서도, 제1의 실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4전극(제2집속 전극)은 제2전극과 음극선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동전위로 보전하도록 설명했으나, 이것은 필연적인 필수요건은 아니고, 예를들면 제2전류 또는 음극전위로 보지하여도 되고 또는 단독으로 다른 전위를 인가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전자총의 주렌즈계이 있어 거시적으로는 바이포텐샬형에 가깝고 약간 축상 전위분포에 굴곡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 환언하면 국부적으로 유니포텐샬을 구성시킨 것이기 때문에 제4전극(제2집속 전극)에는 제3전극(제1집속 전극)보다도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을 인가하면 된다.
다시 제5전극(제3집속 전극)이나 제6전극(제4집속전극)을 분할하여 각각 소망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 같이 하므로서 건체로서 유니포텐샬 또는 트라이포텐샬형 전자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제3전극과 같은 가속 집속용 전극도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집속 전극인 표현을 하고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주렌즈계는 종래의 바이

Claims (1)

  1. 적어도 전극(21), 제1전극(22), 제2전극(23)으로 되는 전자 비임 발생원과 이 전자비임 발생원에서 발사된 전자 비임을 실질적으로 접속시키는 주렌즈계를 형성하는 전극과를 구비한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주렌즈계를 형성하는 전극은 전자 비임 발생원의 제2전극에서 동축적으로 순차 배치된 적어도 제1집속전극(24), 제2집속전극(25), 제3집속전극(26) 및 제4집속전극(27)을 배치하고, 주렌즈계가 형성하는 축방향 전위분포가 제1집속전극(24)에서 제4집속전극(27)에 걸쳐서 중위의 전위에서 저위의 전위로 단조롭게 감소하고 또한 고위의 전위에 단조롭게 증가하는 곡선을 이루고, 또한 축 방향 전위 분포의 곡선의 2차도관수가 정의 극대치를 2개, 부의 극재치를 3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19790000050A 1979-01-10 1979-01-10 음극선관용 전자총 KR83000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050A KR830000492B1 (ko) 1979-01-10 1979-01-10 음극선관용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050A KR830000492B1 (ko) 1979-01-10 1979-01-10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92B1 true KR830000492B1 (ko) 1983-03-10

Family

ID=1921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050A KR830000492B1 (ko) 1979-01-10 1979-01-10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49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722B1 (ko) 컬러음극선관
EP0696049B1 (en) A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4124810A (en) Electron gun having a distributed electrostatic lens
EP0591515B1 (en) Electron beam deflection lens for crt
KR100305304B1 (ko) 정전 4중극 렌즈를 통해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을 감소시킨 칼라 음극선관
US4922166A (en) Electron gun for multigun cathode ray tube
CA2123021C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three astigmatic lenses
US4366419A (en) Astigmatic electron lens for a cathode-ray tube
KR830000492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10001400B1 (ko) 비임 형성 영역을 가진 음극 선관용 전자총
US4383199A (en) Electron gun
US4368405A (e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JPH0118536B2 (ko)
KR900003905B1 (ko) 전자총 구조체
GB1020633A (en) Improvements in electron optical system
US6841924B1 (en) Low-voltage high-resolution einzel gun
US6586868B1 (en) Color cathode-ray tube apparatus with multi-lens electron focusing and yoke deflection
EP0716771B1 (en) Display device and cathode ray tube
JPS6226140B2 (ko)
JPH0261091B2 (ko)
EP1536451A1 (en) Cathode ray tube device with an in-line electron gun
US6646370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US6696789B2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Banbury et al. A new approach to electron‐gun design for high‐performance cathode‐ray tubes
SU1035678A1 (ru) Электронно-оптическа система дл приемных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ых трубо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