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391Y1 - 프레스 기계의 구동기구 - Google Patents

프레스 기계의 구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391Y1
KR830000391Y1 KR2019820002701U KR820002701U KR830000391Y1 KR 830000391 Y1 KR830000391 Y1 KR 830000391Y1 KR 2019820002701 U KR2019820002701 U KR 2019820002701U KR 820002701 U KR820002701 U KR 820002701U KR 830000391 Y1 KR830000391 Y1 KR 830000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aft
plate
dr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2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후지네
Original Assignee
아마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마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아마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2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7C-shaped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레스 기계의 구동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이 설 .된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배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을 분해한 상태의 측면 확대도.
본 고안은 프레스기계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프레스 기계의 구동기구는 분해식으로 되어 있지 않고 전체적으로 결합된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동기구 내부에 고장이 생겼을 때에는 기계 전체를 분해 수리를 하여야 하므로, 고장 수리시 상당한 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취급한 프레스기계는 제1도에 표시됨과 같이 가대(架台)(1)에서 경사 가능하게 지지된 C형 프레임(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C형 프레임(2)에는 테이블(3)를 장착함과 동시에 램(4)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판 (5)이 설치되어 있다. 또 C형 프레임(2)에는 편심축(6)이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편심축(6)에는 램(4)에 하단부를 축착한 연결로드(7)의 상부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연결로드(7)을 따라서 램(4)이 승강되는 것이다.
C형 프레임(2)의 일부(2')의 배면에는 제2도에서와 같이 복수의 위치를 정하는 핀이나 볼트(8)에 의하여 구동유니트(9)가 착탈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유니트(9)는 상기 프레임(2)의 일부(2')의 배면에 대하여 볼트(8)등이 설치되는 위치를 제외하고는 제2도, 제4도에 나타남과 같이 공간(10)을 형성하여 장착하고 있다. 구동달위(9)의 케이싱(11)에는 베어링(12)에 의하여 전동축(13)이 회전자재로 지지연결되어 있다.
전동축(13)은 상기의 편심축(6)에 동력을 전단하며 케이싱(11)내의 단부에 직경이 큰 치차(14)와 직경이 작은 치차(15)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의 케이싱(11)의 저부에는 마그네트(16)가 설치되어 있고, 이 마그네트(16)는 케이싱(11) 안에 충전된 윤활유에 철분등이 혼압되어 있는 경우에 그 철분들을 흡착하게 한다. 상기의 구동유니트(9)에 있어 케이싱(11)의 배면에는 제4도의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나공(17) 및 복수의 나공(18)이 천공되어 상기의 나공(17)에 볼트(19)를 나착함으로서 클러치 브레이크유니트(20)가 케이싱(11)의 배면에 착탈자재로히 장착되고 또 나공(18)에 볼트(21)가 나착됨으로서 동력유니트(22)가 착탈자재로히 장착된다.
상기 클러치브레이크유니트(20)의 케이싱(23)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복수의 베어링(24)를 넣어서 입력축(25)이 회전 자재로히 지지연결되어 있다.
이 입력축 (25)의 외단부에는 키이(26)에 의하여 구동풀리(27)가 일체로 착설되어 있으며, 이 구동풀리(27)에는 실린더기구(28)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의 피스톤(29)에는 상기 입력축(25)의 축심부를 접동 자재하게 관통되어 있는 조작간(30)이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구동풀리(27)에는 상기 C형 프레임(2)에 장착한 모우터(31)(제1도 참조)와 벨트(32)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입력축(25)의 내단부에는 플랜지(3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33)에는 마찰 클러치(34)에 있는 중공상의 여러개의 클러치판(35)을 지지연결하고 있는 핀(36)이 취부되어 있다.
이 마찰클러치(34)에는 상기 클러치판(35)와 전동축(37)에 장착하고 있는 중공원판상의 마찰판(38)과를 압압해 줌으로서 입력축(25)의 동력을 전동축(37)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또 마찰판(38)은 전동축(37)의 대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39)에 감압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판(35)과 마찰판(38)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되고 있다.
상기 전동축(37)의 스플라인(39)의 거의 중앙부에는 환상의 고정링(4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플라인(39)에는 브레이크기구(41)에 있는 복수의 마찰판(42)이 감합되어 있다.
이 마찰판(42)와 서로 겹쳐지게 배치한 중공모양의 복수의 제동판(43)은 제동핀(44)에 의하여 지지연결 되어 있고 이 제동핀(44)는 지지체(45)에 고정시켜 놓았다. 지지체(45)는 적당히 수의 볼트(46)로서 상기 케이싱(23)에 고정시켜 놓았다.
이 지지체(45)에는 복수의 베어링(47)에 의해서 상기 전동축(37)이 지지되고 있다. 또 스플라인(39)에는 전술함과 같이 마찰클러치기구(34)와 브레이크기구(41)이 장착되어 있다. 다시 전동축(37)에는 원판모양의 압압판(48), (49)이 접동 자재로이 장착되어 있다.
압압판(48)은 마찰클러치기구(34)에서의 클러치판(35)와 마찰판(38)과를 상기 고정링(40)과의 사이에 압압해 주는 것이고, 또 압압판(49)는 브레이크기구(41)에서의 마찰판(42)와 제동판(43)를 압압하게 되어 있다.
압압판(48), (49)는 제4도에서와 같이 전동축(37)의 대경부분을 축방향으로 관통한 부쉬(50) 및 볼트(51)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되고 압압판(48)과 전동축(37)과의 사이에는 스프링(52)이 탄장되어 있다.
상기 전동축(37)에는 치차(53)가 취부되어 있고 이치차(53)는 클러치 브레이크유니트(20)을 상기 구동유니트(9)에 연결하였을때 이 구동유니트(9)에 있는 상기 대경의 치차(14)와 상호 교합하게 된다.
이 클러치브레이크유니트(20)에 있어서는 구동모우터(31)을 구동하여 벨트(32)를 거쳐서 구동풀리(27)을 회전시키면 키이(26)를 거쳐서 입력축(25)이 회전된다.
지금 실린기구(28)에 유압을 공급하고 피스톤(29)를 제4도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조작간(30)을 개하여 압압판(48)이 스프링(52)에 대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마찰클러치기구(34)에 있는 클러치판(35)의 마찰판(38)은 고정링(40) 사이에 압압된다.
한편 압압판(48)이 제4도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부쉬(50), 볼트(51)을 경유하여 압압판(49)가 일체로 이동하며, 브레이크기구(41)에 있는 제동판(43)과 마찰판(42)와의 압압이 풀어진다.
따라서 구동풀리(27)에서의 동력은 입력축(25)에서 마찰클러치기구(34)를 거쳐서 전동축(37)에 전달되게 된다 .그러므로 마찰클러치기구(34)가 접속중에는 전동폭(37)에 설치한 치차(53)에서 구동유니트(9)에는 대경 치차(14)에 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상기 실린더기구(28)에서 압유를 배출하면 스프링(52)의 작용에 의하여 압압판(48), (49)가 제4도에서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마찰클러치기구(34)에 있는 클러치판(35)와 마찰판(38)의 압압이 풀리고 브레이크기구(41)에 있는 제동판(43)과 마찰판(42)는 고정환체(40)과 압압판(49) 사이에 압압되며, 전동축(37)은 제동 작용을 받아 회전이 정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플러치브레이크 유니트(20)는 마찰클러치기구(34)가 접속하면 브레이크기구(41)이 풀리고, 반대로 브레이크기구(41)이 작동하면 마찰클러치기구(34)가 풀리는 것이다.
상기 동력유니트(22)는 상기 램(4)와 연통하여 재료를 이송하는 작용을 하는 재료 이송장치(도시 생략)을 구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 동력 취출유니트(22)에 있는 케이싱(54)에는 상기 볼트(21)을 삽통자재의 구멍(55)를 동일 원주상에 설치한 플레지(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54)에는 복수의 축수(57)에 의해서 최전축(58)이 받쳐져 있다. 이 회전축(58)에는 치차(59)가 일체로 부착되고 있음과 동시에 베벨기어(60)이 부착되어 있다. 치차(59)는 그 동력유니트(22)를 전기 구동유니트(9)에 있는 케이싱(11)의 후면에 연결하면 구동유니트(9)에 있는 상기 소경의 치차(15)와 교합한다.
상기 베벨기어(61)은 동력축(62)(하1도, 제5도 참조)의 단부에 부착되고 있다. 따라서 이 동력유니트(9)에 연결된 구동유니트(9)에 있는 소경의 치차(15)와 치차(59)가 상호 교합되므로 전동축(13)에서의 동력이 치차(15), (59)를 경유하여 회전축(58)에 전달되고 다시 베벨기어(60), (61)을 거쳐서 동력축(62)에 전달된다. 때문에 이 동력축(62)에서 동력을 얻을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서 클러치브레이크유니트(20)를 볼트(19)를 나공(17)에 나합하여 구동유니트(9)에 연결하고 볼트(21)을 나공(18)에 나합하여 동력유니트(22)를 구동유니트(9)에 연결한다.
이와같이 각 유니트(9), (29), (22)를 조합하는 상태에서 예를들어 구동유니트(9) 안에 고장이 생겼을 때에는 볼트(21)을 풀고 동력유니트(22)를 구동유니트(9)로부터 떼어내고 다시 볼트(8)를 풀어서 구동유니트(9)를 프레임(2)의 일부(2')에서 용이하게 떼어 낼 수가 있다.
또 볼트(19)를 풀어줌으로 구동유니트(9)에서 클러치브레이크유니트(20) 또는 동력유니트(22)의 내부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는 별개의 각 유니트별로 간단하게 교환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리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고 수리를 위해 프레스기계가 쉬는 시간이 극히 단축되고 작업능률 향상에 많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구동유니트 설치 위치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프레임과의 사이에 공간을 두고서 프레임에 장착하였음으로 운전시 베어링으로부터의 발열과 구동유니트내의 오일의 고반열등이 프레임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극히 적어 프레임에 열변형이 생기는 것을 저지하고 항상 기계 정밀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다시 풀리에 휀을 부치는 것에 따라서는 상기 공간에 송품을 할 수가 있고 구동유니트 등에서 프레임에의 열전달을 한층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구동유니트에 있는 케이싱의 저부에는 마그네트가 부착되고 있으므로 이 케이싱 안에 충만되어 있는 윤활유 등에 철분등이 혼합됐을 때에는 이 철분등을 흡착제거할 수 있다.
위에서 본 고안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표시하면 각 기구가 유니트화되고 있어서 고장이 생겼을 경우에 유니트만을 교환하면 되며, 각 유니트내의 마찰등으로 생기는 열이 프레임에 전달되는 경우가 없어서 프레임이 열에 의한 변형등이 없으며, 마모등으로 생기는 미소한 철분등이 윤활유속에서 흡착 제거되므로 오일의 윤활성이 양호하여지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기계의 프레임(2)와의 사이에 공간(10)을 형성하여 구동유니트(9)를 착탈자재하게 장착하여 수리를 간편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구동기구.
KR2019820002701U 1976-11-01 1982-04-08 프레스 기계의 구동기구 KR830000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2701U KR830000391Y1 (ko) 1976-11-01 1982-04-08 프레스 기계의 구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60002718 1976-11-01
KR2019820002701U KR830000391Y1 (ko) 1976-11-01 1982-04-08 프레스 기계의 구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60002718 Division 1976-11-01 1976-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91Y1 true KR830000391Y1 (ko) 1983-03-25

Family

ID=2662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2701U KR830000391Y1 (ko) 1976-11-01 1982-04-08 프레스 기계의 구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3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5971A (en) Fluid operated clutch and brake
US4135611A (en) Press drive clutch with brake
US8727931B2 (en) Gear train unit and arrangement for a stamping press
US3860100A (en) Drive unit for presses
US4186827A (en) Fluid operated clutch and brake
US5398776A (en) Wheel hub drive
US2586617A (en) Sealing construction for fluid pressure operated brake and clutch assemblies
US2221014A (en) Clutch and brake unit
DE3900075A1 (de) Radkopf fuer fahrzeuge
US4122926A (en) Fluid operated clutch and brake
US5934583A (en) Bearing block mounting arrangement of a cone crusher
US4765448A (en) Inching drive
US2976745A (en) Mounting assembly for machinery drive
US2745338A (en) Press construction
US4051933A (en) Low inertia clutch and brake system
US6699153B2 (en) Electrically-actuated braking clutch for transmission
US4616739A (en) Inching drive
KR830000391Y1 (ko) 프레스 기계의 구동기구
US3990539A (en) Lubrication means for swing gear drive
US3608386A (en) Cam operated variable ratio belt drive
US4643037A (en) Gear change mechanism
US4494635A (en) Inching drive for clutch/brake unit
US2759582A (en) Power clutch
US4050557A (en) Two-speed transmission having enclosed flywheel
US4008629A (en) Sun gear retainer in planetary gear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