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285B1 - 선국 동조회로를 가진 수신기 - Google Patents

선국 동조회로를 가진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285B1
KR830000285B1 KR1019790003291A KR790003291A KR830000285B1 KR 830000285 B1 KR830000285 B1 KR 830000285B1 KR 1019790003291 A KR1019790003291 A KR 1019790003291A KR 790003291 A KR790003291 A KR 790003291A KR 830000285 B1 KR830000285 B1 KR 830000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signal
receiver
frequenc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리쿠스 마리아 반도이르센 테오도루스
Original Assignee
디. 제이. 삭커스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 제이. 삭커스,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filed Critical 디. 제이. 삭커스
Priority to KR101979000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2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 H03J5/242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ed exclusively for band selection
    • H03J5/24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ed exclusively for band selection using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20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where the scanning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Landscapes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국 동조회로를 가진 수신기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회로도.
본 발명은 동조조작때마다 기억회로에 기억된 일군의 동조 데이타로부터 다음의 동조데이타로 수신기를 동조하는 선국 동조회로를 가지고 수신한 송신국의 전계강도에 의존하는 수신상태 신호의 작용에 의해 선국 동조회로의선국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한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종류의 수신기는 네델란드 특허출원 제741316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수신기의 선국동작은 수신기의 선국동조회로가 동조한 동조데이타에 일치하지 않는 주파수의 송신국을 수신하는 때에 중단되는 일일 종종 있다. 그러한 선국동작의 중단은 수신한 송신국의 전계강도에 의존하는 신호를 선택회로망에서 취출하여 대단히 제한된 주파수 범위에만 전압을 발생하도록 하여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선국동작이 매우 완만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국동작을 신속히 행할 수 있고, 나아가 수신기가 동조하는 동조데이타에 일치하지 않는 주파수의 송신국에 동조할 때에도 선국동작이 중단되지 않도록 적당히 구성배치한 상술한 종류의 수신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동조 조작때마다 기억회로에 기억된 일군의 동조데티아로부터 다음의 동조데이타로 수신기를 동조하는 선국동조회로를 가지고, 수신한 송신국의 전계강도에 종속하는 수신상태 신호의 작용에 의해 선국동조회로의 선국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수신기에 있어서, 전기 수신상태 신호를 주파수 검파기에서 얻은 신호에 의해 제어하는 장치를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전계강도에 의존하는 신호의 선국동작을 일시적으로 중단함과 동시에 수신한 송신국의 주파수가 상기 동조데이타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주파수 검파기에서 얻은 신호에 선국동작을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파수 검파기의 대역폭은 신호를 신속히 공급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게 선택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수신한 송신국의 주파수를 동조데이타에 일치시키는 것에 대해 충분히 기준을 신속히 얻을 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 수신기에 있어서는 그 고주파 및 혼합부(3)의 입력단자(1)에 안테나에서의 신호를 공급함과 동시에 혼합부(3)의 다른족의 입력단자(5)에 발진기(7)에서의 신호를 공급한다. 고주파 및 혼합부(3)의 출력단자(9)로부터 중간 주파신호를 취출하며, 이 신호를 중간주파 증폭기(11)에 공급한다.
발진기(7)은 주파수 합성회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이 합성회로는 분주기(15)의 입력단자(13)에 동조데이타를 디지탈부호의 형태로공급하므로써 동조되며, 이 디지탈부호에 의해 분주기(15)가 발진기(7)에서 발생하여 입력단자(17)에 공급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분할하는 수 즉 분주비를 결정하도록한 발진 주파수 및 분주기(15)의 분주비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분주기(15)의 출력단자(19)에서 얻는다. 위상검파기(21)로서는 이 분주기(15)에서의 신호와 기준신호발진기(23)에서의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발진기(7)에서의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을 위상검파기(21)의 제어신호 출력단자(25)에서 발생하여 발진기(7)의 제어신호 입력단자(27)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분주기(15)에서의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과 같게 한다. 이 신호에 응답하여 수신기를 동조데이타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로 동조한다.
분주기(15)의 입력단자(13)에 공급되는 동조데이타는 기억회로(33)의 출력단자(29) 또는 (31)에서 취출하며, 이 기억회로(33)는 게이트 회로(35) 및 (37)을 거쳐, 제각기 분주기(15)의 입력단자(13)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기억회로(33)에는 2개의 순환기억장치(39, 41)를 장치하고 각 순화기억장치는 일군의 동조데이타를 가짐과 동시에 입력단자(42)에 공급되는 클럭펄스의 제어에 의해 출력단자(29) 및 (31)각각에 동조 조작대마다 다른 동조데이타를 발생할 수 잇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일군중의 동조 데이타를 적당히 선정하며 이를 동조데이타에 의해 수신기를 같은 특성을 가지는 송신국 예를 들어 같은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송신국에 동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게이트 회로(35) 및 (37)에 의해 선택을 행하여 이것에 의해 순화기억장치에서, 따라서 이군에서 동조데이터를 분주기(15)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한 선택에는 제어장치(47)의 스윗치(43) 또는 (45)에서 그 관련 스윗치를 폐쇄할 때 얻어지는 스윗칭 신호에 의해 사용된다. 이 스윗칭 신호는 OR게이트(48)를 거쳐 AND게이트(49)에 공급된다. 또한 클럭신호 발생기(51)에서 얻어진 클럭펄스는 AND게이트(49)의 제3입력단자(42)에 공급된다. 이 수신상태 신호는 OR게이트(53)에서 취출된다.
스윗치(43) 및 (45)중 한 스윗치를 폐쇄하므로서 선국동작을 시작하며, 이에 따라 일군의 동조데이타에 의해 수신기를 이들 동조데이타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순차적으로 동조한다. OR게이트(53)으로부터 나온 수신상태 신호가 논리 "0"가 되면 선국동작은 중단된다.
다음에 OR게이트(53)의 출력측에서 수신상태 신호가 어떻게 발생되는지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국의 신호를 수신할 때 중간 주파구분(11)에 의해 중간 주파신호를 발생하여 이 신호를 진폭검파기(54) 및 주파수검파기(55)에 공급한다. 진폭검파기(54)는 그 출력단자 57에서 제한기(61)의 입력단자(59)로 정류된 중간 주파신호를 공급한다. 이 제한기(61)는 진폭검파기(54)의 출력신호를 논리신호로 변환하고, 이 논리신호를 제한기(61)의 출력단자(63)에 발생시킴과 동시에 OR게이트(53)의 반전 입력단자 및 AND게이트(65)의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이 논리신호는 수신한 송신국이 충분한 전계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중간주파증폭기(11)의 대역폭내에 위치할 경우에 논리값 "1"을 가지며(이 논리신호를 이하 a로 나타냄), 수신기를 대력폭의 넓은 FM수상기로 할 경우에는 이 논리신호 a는 그러한 송신국을 수신하면 매우 신속히 논리값"1"이 된다.
진폭검파기(54)의 출력단자(57)의 신호는 저항(67) 및 콘덴서(69)로 형성되는 지연회로를 거쳐 제한기(73)의 입력단자(71)에도 공급된다. 제;한기(73)는 그 출력단자(75)에서 논리신호 b를 발생하며, 이 신호를 AND게이트(77)의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이 논리신호 b는 논리신호 a에 비해 약간 지연된다.
주파수 검파기(55)의 2개의 출력단자(81) 및 (83)에는 바람직하지 못한 교류분이 제거된 신호가 나타난다. 이들 신호는 기준 레벨에 대해 역의 극성을 가지며, 따라서 주파수의 함수로서 공지된 S자 상태특성을 나타낸다.
이들 신호는 제기각 2개의 다이오드(85) 및 (87)을 거쳐 제한기(91)의 입력단자(89)에 공급되며, 제한기(91)은 그 출력단자(93)에 논리신호 c를 발생한다. 이 논리신호 c는 중간주파 증폭기(11)의 통과영역의 외축에 있고, 또한 중간주파수를 중심으로 하여 매우 좁은 주파수 범위내에 있어 논리값"1"을 가지는 신호이다. 이 논리신호 c는 AND게이트(65)의 다른쪽의 입력단자 및 AND게이트(77)의 다른쪽의 반전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이 AND게이트(77)에서 발생하는 논리신호 bc'를 OR게이트(53)의다른쪽의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OR게터(53)에 의해 논리식 a'+bc'로 나타나는 논리치의 수신상태신호를 발생한다. 송신국이 신호를 수신치 않은 경우에는, 논리신호 a및 b가 값 "0"로 되는 것과 동시에 논리신호 c가 값"1"로 되며, 따라서 수신상태 신호 a'+bc'가 값 "1"로 되며 AND게이트(49)는 스윗치(43) 및 (45)중 하나가 폐쇄될때에 클록신호를 통과할 수 있도록 된다. 이렇게 하여 수신기는 선국동작을 한다. 중간주파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송신국의 신호를 수신하면 논리신호 a는 값"1"로 되지만 그 후 단시간 동안 논리신호 b는 값 "0"에 머무른다. 따라서 수신상태 신호 a'+bc'가 값 "0"가 되며 선국동작은 중단된다. 저항(67) 및 콘덴서(69)를 가지는 회로망의 시정수는 이것을 적의 정하고 주파수 합성기 회로의 제어루우프가 정지상태로 되는 때에 논리신호 b가 값 "1"로 되며 따라서 수신기가 선택된 군에서의 동조데이타에 상당하는 주파수에 적절히 동조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수신상태 신호 a'+bc'는 송신국의 신호가 적당한 중간주파수를 가지는 경우에 논리신호 c에 응답하여 값"0"로 된다. 따라서 선국동작은 완전히 중단된다. 수신한 송신국의 신호가 중간주파수에서 약간 벗어난 주파수를 가지는 경우에는 논리신호 c가 값"0"로 되며 또한 수신상태 신호 a'+bc'가 값 "1"로 되기 때문에 선국동작이 즉시 다시 시작되게 된다.
이렇게 하므로써 선국동작을 충부한 전계강도 및 적절한 주파수를 가지는 송신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때에만 완전히 중단된다. 또한 충분한 전계 강도 및 약간만 벗어난 주파수를 가지는 송신국의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선국동작은 동조 데이타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로 수신기를 동조하는데 필요한 시간중 매우 짧은 기간 동안에만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주파수 검파기(55)의 다른 출력단자(93)에 생기는 저주파 신호는 스윗치(95)를 거쳐 저주파 재생부(97)에 공극된다. 스윗치(95)는 AND게이트(65)의 출력신호에 의해 작동 수신한 송신국의 신호가 적절한 주파수를 가지는 경우에만 폐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가 그렇게 되길 원한다면, 기억회로(33)에 기록된 동조 데이터 이외의 동조 데이타에 적절히 동조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를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수신기에 조정 가능한 분주기를 가지는 주파수 합성회로를 사용했으나 물론 다른 형식의 주파수 합성회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각 동조회로는 중간 주파수의 출력신호에 의한 자동 주파수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데에도 충분할 것이다.
상술한 예의 수신기에 있어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수개의 기능을 예를 들어 수신기에 마이크로 프로셋서를 장치할 경우에는 물론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선국 동조회로는 FM라디오 방송수신기의 특히 차량용수신기에 적당한 것이지만, 그 용도가 이것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게이트회로, 검파회로 및 제한기의 몇가지 다른 조합을 사용해도 본 발명의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를들어 수신상태 신호 즉 그 합성부분은 다른 신호와 함께 AND게터(49) 및 CR게터(48)에 공급되어 다른 방식으로 합성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하다.
또한 대역 제한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주파수 데이타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는 임의의 검파기를 주파수 검파기로서 사용할수도 있다.
원한다면, 수신기의 기억회로에 일군 이상의 동조데이타를 기억시킬 수도 있다.

Claims (1)

  1. 수신기용 동조회로에 있어서, 각 동조 데이타가 소정의 라디오 송신기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복수의 주사 가능한 데이타군과 아울러 상기 데이타군의 각각에 대하여 분리출력(29, 31)을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 수단(33)과 각각의 상기 주사가능한 군에서 상기 동조 데이타중 한 동조데이타를 점증적으로 선택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수단에 결합된 서치수단(49, 51)과, 상기 주사가능한 군중 하나를 선택하여 다음에 수신기가 상기 선택된 주사가능한 군에서 상기 선택된한 동조데이타로 동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분리 출력에 결합된 주사가능한 군 선택수단(35, 37, 43, 45)과, 충분한 전계강도를 갖는 수신신호의 수신시에 점증적인 주사를 중단하기 위해 상기 서치수단에 결합된 수단(53, 54, 61,67, 69, 73)과, 수신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선택된 주사가능한 군에서 상기 동조데이타로부터 상기 서치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한 동조 데이타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서치수단을 자동적으로 다시 시동하기 위한 수단(55, 86, 87, 91, 77)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국 동조회로를 가진 수신기.
KR1019790003291A 1979-09-22 1979-09-22 선국 동조회로를 가진 수신기 KR830000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291A KR830000285B1 (ko) 1979-09-22 1979-09-22 선국 동조회로를 가진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291A KR830000285B1 (ko) 1979-09-22 1979-09-22 선국 동조회로를 가진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85B1 true KR830000285B1 (ko) 1983-02-26

Family

ID=1921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291A KR830000285B1 (ko) 1979-09-22 1979-09-22 선국 동조회로를 가진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28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5150A (en) Tuning of a resonant circuit in a communications receiver
KR100252366B1 (ko) 다수안테나를구비한초단파수신기
US3824475A (en) Scanning radio receiver
SE8103303L (sv) Rundradiomottagare med automatisk avstemning
US4241450A (en) Automatic turn-off apparatus for a radio or television receiver
JPS627728B2 (ko)
US4305157A (en) Tuning circuit using a phase-locked loop
US4081771A (en) 82 Detent manual varactor tuning system
KR910001650B1 (ko) 방송 수신기
US4285066A (en) Receiver having a search tuning circuit
US3794925A (en) Frequency-skipping system for a signal-seeking receiver
KR960000523B1 (ko) 수신기
US6091943A (en) Combining oscillator with a phase-indexed control circuit for a radio receiver
JPS6460115A (en) Rds radio receiver
EP0440405A1 (en) Channel selecting circuit
US4245351A (en) AFT Arrangement for a phase locked loop tuning system
CA1149978A (en) Search type tuning system
US2654832A (en) Highly selective and stable wide range frequency converting circuits
US3801914A (en) Priority-frequency system for a signal-seeking receiver
KR830000285B1 (ko) 선국 동조회로를 가진 수신기
US4339826A (en) Radio receiver having phase locked loop frequency synthesizer
US4208741A (en) AFC System for a synthesizer tuning system
US3987399A (en) Radio receiver
KR840000227B1 (ko) 수신기의 동조제어장치
US3898567A (en) Crystal-lock tuning system for tuning regularly and irregularly spaced channel frequ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