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242Y1 - 가동(可動) 코일용 계기(形計器) - Google Patents

가동(可動) 코일용 계기(形計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242Y1
KR830000242Y1 KR2019790005039U KR790005039U KR830000242Y1 KR 830000242 Y1 KR830000242 Y1 KR 830000242Y1 KR 2019790005039 U KR2019790005039 U KR 2019790005039U KR 790005039 U KR790005039 U KR 790005039U KR 830000242 Y1 KR830000242 Y1 KR 830000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boss
movable coil
movable
bo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790005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오지 다께다
유다가 기가와라
Original Assignee
요고가와 쇼오소오
가부시기 가이샤 요고가와덴기 세이사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고가와 쇼오소오, 가부시기 가이샤 요고가와덴기 세이사구쇼 filed Critical 요고가와 쇼오소오
Priority to KR2019790005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5/00Instruments for converting a single current or a single voltage into a mechanical displacement
    • G01R5/02Moving-coil instruments
    • G01R5/08Moving-coil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de angle deflection; with eccentrically-pivoted moving coi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동(可動) 코일용 계기(形計器)
제1도는 본 고안의 가동코일형 계기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구성설명도로서, 제1(a)도는 그 평면도, 제1(b)도는 (a)도의 A-A' 단면도.
제2(a)도~제2(c)도는 본 고안의 계기에 사용되는 보스정지장치 부분의 구성설명도.
제3(a)도~제3(b)도는 본 고안의 계기에 사용되는 가동부의 구성설명도.
본 고안은 가ehd코일형계기, 특히 가동코일을 상하의 인장띠로 매달도록한 인장띠 지지방식의 광각도(廣角度) 가ehd코일형 계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가동코일형 계기는 피측정 전기량을 애널로그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
근래, 디지탈 회로의 진보에 의해, 피측정 전기량을 디지탈적으로 표시하는 디지탈 전압계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으나, 가동코일형 계기는 그 가격면, 혹은 사용 조건에 따라 여전히 그 수요는 쇠퇴하지 아니하여, 현재에 있어서도 대량으로 생산되고, 또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격면에 있어서 디지탈 전압계 보다 유리한 가동코일형 계기는, 염가로 대량 제작되면 될수록, 그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염가로 제작하려면 부품수를 가급적 적게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부품수를 적게하면 직접 부품비가 적게되어, 그 제품가격이 싸게 되는 것은 당연하나 그에 덧붙여 조립 혹은 조정작업에 걸리는 공정도 그 부품수에 따라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가격에 비례하여, 일반적으로 디지탈 전압계 보다 가동코일형 계기는 그 정밀도가 떨어지게 되나, 이것은 어느 정도 부득이한 일이다. 그러나, 가동코일형 계기도 그 나름대로 그 정밀도로 높일 수 있으면 이루 말할 수 없다.
이 경우, 가격면에 있어서 비싸게 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가동 코일형 계기가 갖는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첫째 목적은 부품수의 삭감에 의한 부품비, 공정의 축소화를 꾀함과 동시에, 조립, 공정의 작업성의 개선을 꾀하고, 보다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염가로 제작할 수 있는 광각도형 인장대방식의 가동코일형 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둘째 목적은, 계기의 동작특성의 개선을 꾀함과 동시에, 조립과정에서의 특성의 산란(散亂 ; dispertion)이 제거된 정밀도가 높고, 또한 염가로 할 수 있는 광각도형 인장대 방식의 가동코일형 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음에,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 제1(b)도의 도면에 잇어서, (10)은 환상(環牀)의 자로판(磁路板)(11)은 자로판(10)에 부착된 자로용(磁路用)의 블록, (12)는 일부가 절결된 환상의 영구자석, (13)은 극편(極片), (14)는 코어이다.
극편(13)과 코어(14)는 영구자석(12)과 대략 같은 형상을하고 있으며, 코어(14)는 이에 다리(15)(15')가 형성되어 있다.
영구자석(12)은 그 절결부가 자로용블록(11)에 대향하도록 자로판(10)에 고착되어 있다.
극편(13)은 영구자석(12)에 고착되고, 그리고 코어(14)는 그 다리(15)(15')가 상기 자로용블록(11)에 나사(16)(16')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자로판(10), 영구자석(12), 극편(13) 및 코어(14)는 그것들에 착설된 환상부가 모두 동심적(同心的)으로 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영구자석(12)은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N, S에 착자(着磁)되어 있고, 이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 Ф은 극편(13), 극편(13)과 코어(14)로 형성되는 공극(空隙) g, 코어(14), 블록(11), 자로판(10)을 통하게 되어 있다.
(20)은 다이캐스팅으로 만든 틀이다.
틀(20)은 단면이 대략 "ㄷ"자형을 이루고 있고, 그 한쪽의 측면(21)은 환상판으로 되어 있다.
이 환상판(21)의 관통공(22) 내에는 대략 중앙부에 뻗는 아암(23)이 형성되고, 이 아암(23)에는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틀(20)에 있어서의 환상판(21)과 대향하는 쪽에서 상기 아암(23)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뻗는 아암(23')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23')에는 상기 관통공(24)과 동심원의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25), (25'), [(25)는 도면에는 보이지 않음]는 각부(脚部)로서, 환상판(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틀(20)은 그 몸체(26)가 나사(27)에 의해, 또 각부(25) 혹은 각부(25')가 나사(27')에 의해서 자로판(10)에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틀(20)의 환상판(21)의 주위 가장자리에는 감침질부(28), (28')이 되어 있다.
이 감침질부(28)에 형성한 구멍(29), (29')는 스케일판(도시하지 않음)을 부착하기 위한 나사구멍이며, 또, 가장자리에 형성한 구멍(17), (17')은 상기 나사(16), (16')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이다. (30)은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절연재료로 만든 보스정지장치, (40)은 조절스프링이다.
보스정지장치(30)와 조절스프링(40) 부분의 구성도를 확대하여 제2도에 표시한다.
제2(a)도는 그 평면도, 제2(b)도, 제2(c)도는, 각각 제2(a)도의 하면인 X와, 측면의 Y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보스정지장치(30)는 단면이 대략 T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몸체(31)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두부(33)의 중앙부에는 홈(34)이 형성됨과 동시에, 양단부에는 원형형상의 돌가(35), (35')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31)의 아래쪽에는 원주방향에 용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스프링(40)은 대략 E자형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부의 다리(41)의 선단은 위쪽으로 절곡되어서 설편(舌片)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스프링(40)의 양다리(42), (43)에는 관통공(44), (44')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스프링(40)은 이 관통공(44), (44')을 보스 정지장치(30)의 두부(33)에 형성한 돌기(35), (35')에 삽입하고, 이 돌기부분을 초음파 리베팅하는 것에 의해, 보스정지장치(30)에 일체로 부착된다.
또한, 이 경우, 조절스프링(40)에 형성한 중앙부의 다리의 설편(41)은 보스 정지장치(30)의 두부(33)에 형성한 홈(34) 위에 위치함과 동시에, 관통공(32)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조절스프링(40)이 부착된 보스정지장치(30)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틀(20)의 환상판(21)의 아암(23)에 형성한 관통공(24)내에 감입되어, 용기부(36)에 의해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제1도에 표시한 기호(30')는 상기 보스정지장치(30)와 동일한 구성이 보스 정지장치(40')는 조절스프링(40)과 동일한 구성의 조절스프링이다. 이 조절스프링(40')은 보스정지장치(30')에 부착되고, 보스정지장치(30')는 틀(20)의 아암(23')에 형성한 관통공(24')에 감입되도록 되어 있다.
(50)은 부착구(60)와 가동코일(51)과 지침(指針)(70)으로된 가동부이다.
가동부(50)의 구성도를 확대하여 제3도에 표시한다.
제3(a)도는 그 평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측면인 Y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코일(51)은 장방형의 코일틀(52)에 코일(53)을 감은 것이다.
부착구(60)은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이다.
이 부착구(60)에서의 축(61)의 양단에는 보스(62), (62')가 축(6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보스(62)는 소직경부(63)와 대직경부(64)로 되어 있으며, 이 양쪽 직경부에 걸쳐서 축방향으로 홈(65)이 형성되어 있다. 또, 대직경부(64)에는 홈(65)을 횡단하는 금속제의 핀(66)이 부착되어 있다.
하부보스(62')는 그 홈(65')의 방향이 상부 보스(62)의 홈(65)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하부보스(62')의 구성은 상부보스(62)의 것과 똑 같은 것이다.
부착구(60)의 축(61)의 한쪽면에는 병행하여 뻗는 한쌍의 아암(67), (67')으로 형성되고, 또 다른쪽면에는 아암(67), (67')과 대칭인 아암(68), (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코일(51)은 그 -쪽이 부착구(60)의 축(61)과 아암(67), (67')이 형성되는 ㄷ자형의 부착틀내에 감장(嵌裝)되어, 이것으로 가동코일(51)은 부착구(60)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지침(70)은 그 기부(基部)(71)와 이에 삽입되어서 사용되는 선단부(72)로 되어 있다.
기부(71)에는 이 기부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뻗는 한쌍의 평형용 아암(73), (74), 기부(71)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에 향한 평형용아암(75), 가동코일(51)의 코일일단이 접속되는 팁(76) 및 후술하는 인장띠의 일단이 부착되는 부착팁(77)으로 된다. 이들은 기부(71)와 함께 금속판을 타발하여 일체로 형성한것이다. 기부(71)에는 관통공(7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침(70)은, 그 선단부분(72)이 부착구(60)의 축(61)을 대칭으로 하여 가동코일(51)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관통공(78)이 상기 부착구(60)에 형성한 상부보스(62)의 대직경부(64) 부분에 압입되고 이것에 의해서 지침(70)은 부착구(60)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80)은 인장띠 부착편으로, 가동코일(51)의 코일(53)의 일단이 접속되는 링(81)과 인장띠의 일단이 부착되는 팁(82)이 있다. 이 부착편(80)은 상기지침(70)의 기부(71)와 같은 수단에 의해 하부보스(62')에 부착되어 있다.
(91), (91')는 인장띠, (92), (92')는 쐐기이다.
인장띠(91)의 일단은 상부보스(62)의 홈(65)의 바닥과 금속핀(66)의 사이를 통하여 지침(70)에 형성한 팁(77)에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쐐기(92)가 이 홈(65)과 금속핀(66)의 사이에 타임(打姙)되고, 이에 의해 인장띠(91)는 상부보스(62)에 고착되도록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인장띠(91')의 일단은 하부보스(62')에 부착되어, 쐐기(92')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가동부(50)는 제1도에 표시한 틀(20) 및 영구자석(12), 코어(14), 자로판(10) 등으로 된 여자부(廬磁部)에 다음과 같이 하여 장착된다.
맨 처음, 틀(20)은 여자부에서 분리되어 있다.
이 틀(20)이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틀(20)에 형성한 아암(23)의 관통공(24)에 보스정지장치(30)를 감입한다. 그리고, 가동부(50)의 상, 하부보스(62), (62')에 각각 그 일단이 부착된 인장띠(91), (91')중, 인장띠(91)의 선단을 보스정지장치(30)의 관통공(32)을 통하여 밖으로 꺼내고, 그리고 인장띠(91')의 선단을 틀(20)에 형성한 다른 쪽의 아암(23')의 관통공(24')을 통하여 밖으로 꺼낸다.
다음에, 보스정지장치(30')의 관통공(32') 내에 인장띠(91')를 삽입함과 동시에, 이 보스정지장치(30')를 관통공(24')에 감입한다. 그래서, 상, 하부보스(62), (62')의 소직경부(63), (63')가 보스정지장치(30), (30')의 관통공(32), (32') 내에 삽입된다.
그후, 인장띠(91), (91')를 소경의 장력으로 되게 잡아 당기면서, 인장띠(91), (91')의 타단을 조절스프링(40), (40')의 설부(舌部)에 남땜등의 수단에 의해 고착한다.
다음에, 틀(20)을 여자부 위에 재치하여, 나사(27), (27')에 의해 틀(20)을 자로판(10)에 부착함과 동시에, 가동코일(51)내에 코어(14)를 그 절결부를 통하여 삽입한다.
그리고, 코어(14)의 다리(15). (15')를 나사(16), (16')에 의해 자로블록(11)에 나사로 체결한다.
이와 같이하여, 가동부(50)가 틀(20) 및 여자부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가동코일형 계기에 있어서, 상하의 조절스프링940)(40')을 개재해서 피측정 전류를 공급하면, 그 전류는 인장띠(91), (91')를 개재해서 코일(53)에 흐른다.
따라서, 이 전류와 여자부의 공극 g내에 있어서 가동코일(51)에 작용하는 영구자석(12)의 자속 Φ의 작용에 의해서, 가동부(50)는 코어(14)의 주위를 대략 270°에 걸쳐서 회전하고, 지침(70)은 피측정 전류의 값을 지시한고.
또한, 제3(b)도에 표시한 기호(94)는 가동부(5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지침(70)부분이 인장띠(91), (91')를 축으로 하여 가동코일(51)의 무게와 균형이 되도록, 평형용아암(75)에 부착한 추(錐)이다.
또, 제3(a)도에 표시한 기호(95), (96)는 가동부(50)의 길이방향과 직각 방향에 있어서, 가동부(50)의 평형을 조정하도록, 평형용 아암(73), (74)에 부착한 추이다.
또, 제1(a)도, 제1(b)도에 표시한 기호(97), (98)은 가동부(50)의 회전범위를 규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정지장치로서, 이는 환상판(21)의 뒷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가동코일형 계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상, 하의 보스정치장치를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의 절연재료로 만들고, 이것을 틀의 양 아암에 형성한 관통공에 각기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 이 보스정치장치를 틀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측정 전기량은 보스정지장치에 부착된 조절 스프링을 개재해서 가동코일에 주어진다. 따라서, 상, 하부보스의 이동범위의 규제 및 조절스프링의 지지기능을 갖는 이 보스정지장치는, 전기적으로 다른 부품과 절연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은 보스정지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의 계기에서의 보스 정지장치는 이를 절연재료로 만들었으므로, 절연에 요하는 특별한 수단은 아무 것도 실시할 필요가 없으며, 이 점에 있어서 부품수를 생략할 수가 있다.
더우기, 이것을 탄성이 있는 절연재료로 만들었으므로, 틀에 형성한 관통공에 감입하는 것만으로 이 양 보스정지장치를 틀에 부찰할 수가 있고, 이 때문에 부착에 요하는 수단을 특히 강구할 필요가 없으며, 이 점에 있어서도 부품수를 줄일 수가 있다.
또한, 감입한다는 단순한 수단으로 양 보스정치장치를 틀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어서, 다른 부품은 개재하지 않으므로, 양 보스정지장치 사이의 간격이 어느 제품도 일정하게 할 수 있어서 본 고안의 계기에 있어서는 조립과정에서의 산란을 제거할 수가 있다.
(B). 본 고안의 계기에 잇어서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물로 상, 하부의 보스와 코일부착 부분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종래의 것은, 예를 들면 보스는 알루미늄으로 만들고, 이와는 별도로 코일부착 부분을 플라스틱으로 만들며, 그리고, 보스를 이 코일부착 부분에 코오킹(caulking)등의 수단에 의해서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그 부착공정에 코오킹 등의 수단이 들어가면 필연적으로 이에 공정을 요하게 되어, 원가가 비싸게 되지 않을 수 없다. 더우기, 코오킹에 의해 보스를 부착하면, 개개의 제품에 따라서 보스 사이의 거리에 산란이 생겨, 조정에 시간을 요하는 경우가 생간다. 이에 대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보스를 코일부착 부분과 일체로 형성하였으므로, 그 작업성은 대폭 개선되고, 또한 조립과정에서의 산란은 완전히 제거된다.
(C). 본 고안의 계기에 있어서는, 가동부의 가동중심인 상, 하부의 보스에 대하여, 지침과 코일의 방향은 서로 반대측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지침과 코일이 가동중심에 대하여 서로 같은 방향이면, 가동부의 길이방향의 무게의 평형용인추(94)가 당연히 무겁게 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코일과 지침이 반대측이면 그 무게는 서로 상쇄되므로, 평형추(94)를 가볍게 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계기에 있어서는, 가동부 전체의 무게가 가볍게 되어, 계기의 동작특성을 개선할 수가 있다.
이상, (A)~(C)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계기는 부품수를 가능한한 생략하고, 또한 조립, 조정의 작업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부품비를 감소할 수 있고, 또 조립 및 조정에 요하는 공정도 축소화되므로, 염가로 또한 대량 생산성인 디지탈 계기에서는 지닐수 없는 장점을 발휘할 수가 있는 광각도형 인장띠 지지방식의 가동코일형 계기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계기에 있어서는 조립, 조정과정에서의 산란을 제거할 수가 있으며, 또한 계기의 동작특성도 개선되어, 애너러그 계기로서 정밀도가 높은 계기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

  1. 환상의 자로판(10)과 양 아암(23), (23')에 관통공(24), (24')이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가로판(10)에 부착된 단면이 대략 ㄷ자형의 틀(20)과, 축 방향에 관통공(22)이 형성됨과 동시에 두부(33)에 조절스프링(40)이 부착되어 상기 틀(20)의 각 아암(23), (23')에 형성된 관통공(24), (24')에 각각 감합되는 탄성절연재료로 구성된 단면이 대략 T자형의 한쌍의 보스정지장치(30), 인장띠(91), (91')의 일단이 각기 부착되는 소직경부(63) 및 대직경부(64)로 된 한쌍의 보스(62), (62')와 가동코일(51)이 부착되는 부착틀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양 보스(62), (62')를 연결하는 축(61)을 대칭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에 상기 가동코일(51)과 지침(70)이 부착되는 탄성절연재료로 된 지지부품(60), 일부가 절결되어 상기 자로판(10)에 부착한 환상의 영구자석(12), 이 영구자석(12)과 공극 g를 사이에 두어 배치되고 상기 자로판(10)과 함께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14), 이 코어(14)를 상기 가동코일(51)이 둘러쌈과 동시에 양 보스(62), (62')의 소직경부(63)가 상기 각 보스정치장치(30) 내에 각기 위치하도록 상기 양 인장띠(91), (91')의 타단을 상기 조절스프링(40)에 각각 부착하여서 된 가동코일형계기.
KR2019790005039U 1975-08-27 1979-08-22 가동(可動) 코일용 계기(形計器) KR830000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5039U KR830000242Y1 (ko) 1975-08-27 1979-08-22 가동(可動) 코일용 계기(形計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50001902 1975-08-27
KR2019790005039U KR830000242Y1 (ko) 1975-08-27 1979-08-22 가동(可動) 코일용 계기(形計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50001902 Division 1975-08-27 1975-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42Y1 true KR830000242Y1 (ko) 1983-02-25

Family

ID=2662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790005039U KR830000242Y1 (ko) 1975-08-27 1979-08-22 가동(可動) 코일용 계기(形計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2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83489A (en) Encased electrical instrument
US2422714A (en) Miniature electric meter
US3102233A (en) Galvanometer with discrete liquid globule damping means
KR830000242Y1 (ko) 가동(可動) 코일용 계기(形計器)
US2367950A (en) Electrical measuring instrument
US3090007A (en) Filar suspended instrument movement
JPH0522832Y2 (ko)
US2875409A (en) Electrical instrument
US2515014A (en) Electrical measuring instrument
GB105657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spension systems for movable members, such as movingcoil systems of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US3899736A (en) Vibration-resistant device for taut band suspension type indicating instrument
US3237103A (en) Wide scale meter movement with integral support frame for the meter core, yoke, pole piece, magnet and rotor
US3277370A (en) Taut band suspended instrument movement with shock resistant longitudinal movement stop
US3325734A (en) Taut-band suspension galvanometer
US2586831A (en) Movable coil electrical instrument
US2926306A (en) Electrical instrument pointer stops
US3757217A (en) Meter and method of calibration
US2333991A (en) Electrical measuring instrument
US3983478A (en) Moving coil instrument having electrically conductive coil form parts connected to the coil
US2355237A (en) Electromagnetic device
CA1093156A (en) Compact moving coil meter
US2798200A (en) Long-scale ratio instrument
US3891923A (en) Unit for assembling elements of taut band suspension type indicating instrument
US4211972A (en) Self contained filar suspended meter rotor
US3585501A (en) Indicating instruments provided with a movable iron strip me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