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209Y1 - 중공절연(中空絶緣)축이음 - Google Patents

중공절연(中空絶緣)축이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209Y1
KR830000209Y1 KR2019820009468U KR820009468U KR830000209Y1 KR 830000209 Y1 KR830000209 Y1 KR 830000209Y1 KR 2019820009468 U KR2019820009468 U KR 2019820009468U KR 820009468 U KR820009468 U KR 820009468U KR 830000209 Y1 KR830000209 Y1 KR 8300002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mber
temperature
shaft joint
insulator
pr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9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오 이노우에
다까시 시라자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기 가이샤
신도우 사다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기 가이샤, 신도우 사다까즈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9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2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2Electrically insulating joints or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공절연(中空絶緣)축이음
제1도는 유리, 운모소조체(雲母塑造體)를 절연체로 한 종래의 중공절연축 이음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공절연축 이음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에 나타낸 중공절연축 이음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제3(a)도는 가압성형 직전의 상태를 제3(b)도는 가압성형 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냄.
제4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상기 제5도에 나타낸 중공절연축이음의 제조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7도는 상기 제 도에 나타낸 중공절연축이음의 제조에 사용하는 쇠장식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절연물 (4) : 제1의 관상부재
(5) : 제2의 관상부재 (6) : 간국부
(7) : 성형틀 (15) : 예비성형체
(40) : 제1의 쇠장식 (50) : 제2의 쇠장식
본 고안은 예를들어 금속제 기밀용기(氣密容器)의 벽면을 관통해서 장착되는 중앙부에 관통공을 갖는 기밀절연성에 뛰어난 중공의 절연축이음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비등냉각방식의 정류(整流)장치등에 대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도체 또는 각종 측정용 전선을 통하게 하고, 또한 냉각미체등을 유통하는데 매우 적절하게 사용되는 중공절연축이음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에 사용되는 절연축이음에 요구되는 특성중 주된 것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기밀 특성이 양호한 것, 내열특성이 크고, 열충격특성이 풍부하며, 온도 상승하강의 반복에 의해 기밀특성의 열화(劣化)가 없는 것, 기계충격강도가 큰것, 충분한 절연성 특히 연면(沿面)절연특성을 유지한다는 것 및 기벽(器壁)등에 대한 장착이 용이하다는 것 등이다.
종래, 여러가지 형태의 중공 절연축이음이 사용되고 있지만, 종합적으로 가장 특성이 뛰어난 것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에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즉 제1도에 있어서(1)은 예를들어 비동냉각식 정류장치의 기밀용기 등, 도시하지 않은 기벽에 장착하기 위한 외주(外周)쇠장식, (2)는 도관(導管)이며, 그 중공부(200)를 통해서 기내에 도입하는 것을 삽입한 후, 기외부분에서 용접 또는 나사와 패킹 등에 의해 밀봉봉지(密封射止)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3)은 절연물이며, 외주쇠장식(1)과 도관(2)을 절연하는 동시에, 완전히 양자간을 밀봉통지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종류의 구조의 절연축이음에서 특히 설명을 요하는 것은 절연물(3)이다. 절연물(3)에 유기재료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온도가 높아지거나 또는 온도의 상승하강의 반복이 있으면, 재료자체의 특성의 경년(經年)변화에 의해, 기밀특성이 열화한다고 하는 치명적결함이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다음에 유리재료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온도의 급변에 의해 금이 간다는 일 또는 기계적충격치가 낮다고 하는 결함이 있기 때문에 이것 또한 현실적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각종 특성을 종합하여, 가장 뛰어난 절연물재료로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유리 운모조체로 이루어지는 절연물이 있다.
유리운모소조체란 유리질의 분말과, 운모분말의 혼합물을 원료로하고, 이 원료분말을 유리질이 가압을 받았을 때에 유동할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하고, 가열상태에서 가압성형한 절연물을 말한다.
상기 유리운모소조체를 절연물로 사용한 제1도에 나타낸 구조의 기밀 절연축이음은 기밀특성이 양호하며, 내열특성, 열 및 기계충격특성도 풍부하다는 등 많은 뛰어난 특성을 유지하지만, 구조자체가 중심부에 도관(2)을 배설하고, 그 외측의 길이 방향중앙부에 외주쇠장식(1)을 배설하여, 그 양자의 간극부(間隙部)에 존재시킨 절연물(3)이며, 상기 각 특성을 유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절연물(3)을 외주쇠장식(1)의 양단부에서 돌출하도록 도관(2)의 외주면에 연속해서 존재시키고, 이 돌출한 절연물(301) 및 (302)에 의해 연면절연특성을 유지시키는 구조로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고도의 연면절연특성의 요구에 대해서는 절연물(301), (302)의 길이를 길게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도관(2)의 길이도 필연적으로 길어지며, 절연축이음자체의 형상이 장대해지고, 사용상 불합리한 문제를 파생시킨다고 하는 결함이 있지만, 본질적으로 제조시, 절연부분이 길어짐에 따라서, 균일한 압축축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며, 연면절연특성 이외의 특성면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바람직한 연면길이는 얻어지지 않고, 자연히 그 길이는 제한받게 된다고 하는 치명적인 결함을 지니고 있다.
또, 외주쇠장식(1)이 도관(2) 및 절연물(3)의 외측에 독립해서 존재하기 때문에, 외주쇠장식(1)을 관체(罐體)등에 부착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거의 문제는 없지만, 금속도관의 중간에 개재시켜 절연효과를 얻는 따위의 사용조건하에 있어서는 접속조건이 극히 나빠진다고 하는 불가피한 결함을 지니고 있다.
본원 고안자들은 상기 결합을 완전히 제거한 냉각용매체등의 유통등에 사용할 수 있는 중앙부에 관통공을 갖는 기밀중공절연축 이음을 얻으려고 여러가지 연구를 거듭한 결과, 만족할 수 있는 특성품을 얻는 것에 성공하였다. 다음에 그 구조와 제조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 고안의 중공절연축 이음의 일실시예를 제2도에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3)은 절연물, (4)는 원통상의 제1의 관상(管狀)부재, (5)는 원통상의 제2의 관상부재, (4a), (5a)는 기벽 또는 도관등에 대한 접속부분이며, 용접, 나사멈치등 적당한 방법으로 접속하면 된다. (6)은 상기 제1 및 제2의 관상부재(4), (5)에 의해서 형성된(空隙部)이다. 또한 절연물(3)은 유리운모소조체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제3도에 의거하여 대표적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7)은 성형틀, (8)은 쇠장식받이이며, 제1의 관상부재(4) 및 제2의 관상부재(5)를 정위치에 유지하는 구조로되어 있다. (9)는 가압(加壓金)(10)은 쇠장식압금(押金)이며 이상의 4부품으로 성형형(成形型)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성형형 구성부품에는 각기 가열장치(도시하지 않음)이 부설되어 있으며, 소망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원 고안의 중공절연축 이음을 제조하는데는 중앙부에 고정반(11)을 가지며 하부에 상하로 구동하는 구동부(12)와, 상부에 각기 독립해서 상하로 구동하는 구동부(13), (14)를 갖는 가압형성기를 사용한다. 성형틀(7)은 고정반(11)에 지그(Jig)(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고정한다. 쇠장식받이(8)는 하부구동부(12)에 가압금(9)은 상부구동부(13)에 압금(10)은 상부구동부(14)에 각기 지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고정한다.
제1의 관상부재(4)와 제2의 관상부재(5)를 준비한다.
이들 쇠장식의 재료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들면 철 및 그 합금, 예를들어 스테인레스등 고온강도가 철 정도의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15)는 예비성형체이며, 유리질의 분말과 운모분말의 혼합 분말을 다른 압형(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해서 상온으로 가압하여 소정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다음에 실제의 기밀절연축 이음의 제조예를 공정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제 예비성형체(15)의 각 성형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리질에는 PbO : 10, B2O3: 0.4, SiO2: 0.4, AlF3: 0.2의 몰비조성품을 200메시(mesh)로 분쇄한 유리질분말 55중량%, 합성금불소운모의 분말 60∼200메시품 45중량%를 혼합하고, 물 5중량%를 가하여 습윤(濕潤)상태로 해서 이루어지는 원료 200g을 청취(枰受)하고, 다른 성형형(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하여 냉간가압성형에 의해 내경 22ø, 외경 35ø, 높이 35mm의 원통을 작성하여, 120℃의 건조기중에 2시간 유지하고, 수분을 제거하여 예비성형체(15)를 얻었다.
다음의 제1의 관상부재(4)로서 내경 26ø, 외경 35ø, 높이 60mm의 또 제2의 관상부재(5)로서 내경 120ø, 외경 20ø, 높이 35mm의 스테인레스파이프를 준비하였다.
성형형중, 쇠장식받이(8)를 제3(a)도에 나타낸 위치에, 또 가압금(9) 및 쇠장식압금(10)은 틀(7)내에 내포하는 위치로 유지해서, 각기 가열장치를 사용하여 성형형을 300℃로 가열한다. 제1의 관상부재(4)및 제2의 관상부재(5)는 각기 550℃로, 또 예비성형체(15)는 600℃로 각기 가열한다. 이 가열에는 통상의 오븐(oven)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가열이 완료되면, 먼저 가압금(9) 및 쇠장식압금(10)을 상승시켜 틀(7)과의 사이에 공극부를 설치한다. 다음에 쇠장식받이(8)를 상승시켜서, 먼저 제1의 관상부재(4)를 다음에 제2의 관상부재(5)를 쇠장식받이(8)의 소정위치에 삽전(揷塡)하고, 마지막으로 예비성형체(15)를 제1의 관상부재(4)의 위에 삽전하여, 쇠장식받이를 하강시켜, 원위치로 되돌린다. 다음에 상부구동부(14)를 하강시켜 압금(10)으로 제2의 관상부재(5)를 전압력 3ton으로 가압하고, 최후에 상부구동부(13)를 하강시켜, 가압금(9)으로, 예비성형체(15)를 전압(全壓) 12ton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3(b)도에 나타내는 상태로 한다. 성형품전체를 320℃까지 냉각하고, 가압금(9)과 압금(10)을 상승시킨 후, 쇠장식받이(8)를 상승시켜, 성형품을 꺼내서 성형을 완료한다.
상술한 제조예에 있어서 성형에 직접 관계되는 사항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비성형체(15)의 가압에 앞서서, 제1의 관상부재(4)를 가압하는 것은 예비성형체(15)가 가압을 받아서 내압이 상승하면, 제3(b)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의 관상부재(5)의 저부(底部)에 부상압(浮上壓)이 발생하고, 제2의 관상부재(5)가 부상한다. 이 현상이 생기면 성형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 현상을 피하기 위해서 제2의 관상부재(5)의 가압을 필수 조건이며, 이 발생부상 압력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제2의 관상부재(5)를 가압해 둘 필요가 있다.
다음에 쇠장식받이(8)에는 제1 및 제2의 관상부재(4), (5)를 중심을 취하여 유지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시켜 놓을 필요가 있다. 특히 제2의 관상부재(5)에 대해서는 가압금(9)과 쇠장식압금(10)이 접동해서 이동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중심부에 유지하여 삽전하는 것이 필수조건이 된다. 또, 절연물(3)에 접하는(8a)의 부분은 페이퍼상으로 형성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성형품의 이형(離型)에 직접 관계하는 것으로 그 각도가 클수록 이형은 용이해진다. 또 쇠장식받이(8)에 제2의 관상부재(4)를 지지하는 부분(81)을 설치하고 있는 것은 쇠장식받이(8)를상승시켜, 틀(7)외에 이동시킬 때 생성한 절연물(3)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예비성형체(15)를 삽전하고나서 가압공정에 이르는 사이에 온도하강이 크면 균일한 성형이 곤란해진다. 이 현상을 피하기 위해, 미리 가열된 예비성형체(15)는 삽전시, 성형틀(7)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그 외경수를 성형틀(7)의 내경보다 작게 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또 이 제조예에 있어서는 예비성형체를 구성하는 유리질에 납계(系)의 유리를 사용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성분적으로는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들어 시판의 무연계 철법랑용유약(無鉛系鐵器琺瑯用釉藥)등 여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사용하는 운모분말에 대해서는 유리질과 혼합공존해서 600℃ 정도 이상으로 가열하므로, 이 온도에서 분해하는 것은 사용할 수 없다. 즉 천연운모는 사용불가능하며, 합성운모에 한정되고, 합성금불소운모는 가장 적절한 것의 일례이다. 다음에 가열가압에 의해 형성된 절연물 (3)에 대해서는 이것을 구성하는 유리질의 전위온도 이하의 열팽창수축계수가, 제1의 관상부재(4)에 사용하는 금속재료의 그것보다 작을 것이 필수적인 조건이다. 본원 고안으로 이루어진 기밀절연축 이음의 최대의 특징은 완전한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며, 그것은 제1의 관상부재(4)가 그 내부에 위치하는 제2의 관상부재(5)의 원통부분을 공극부(6)에 개재시킨 절연물을 통해서, 강력하게 체착(締着)하고 있음으로써 달성되고 있다. 따라서, 제1의 관상부재(4)와 절연물(3)의 열팽창수축율의 차는 중요한 요인이다.
다음에 성형형, 관상부재, 및 예비성형체의 가열온도의 관계이지만, 성형형의 온도는 원료유리의 전위 온도에 밀접하게 관계한다. 즉 전위온도보다도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가압성형시에 절연물이 성형형에 밀착하게 이형이 곤란해질 염려가 있고, 지나치게 낮으면 저밀도부분을 형성할 염려가 있어서, 전위온도보다 약간 낮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압(脫壓)분해시의 온도는 전위온도보다 낮을 것이 필수 조건으로 되므로 이 점도 고려해서 온도설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 및 제2의 관상부재를 가열해야할 온도는 후술하는 예비성형체의 가열온도와 밀접하게 관계한다. 유리질의 전위온도보다 높은 온도라면 저밀도부분을 형성할 염려는 없지만, 예비성형체의 온도보다 지나치게 낮을 때는 예비성형체의 온도를 저하시켜 그 점도를 상승시키게되므로, 그 유동성이 나빠지고 균일한 충전이 곤란해진다. 또 지나치게 높으면, 쇠장식자체의 기계적강도가저 하하고, 변형의위험성 이나타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실제로는 예비성형체의 가열온도보다 약간 낮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예비성형체의 온도이지만, 본질적으로는 사용하는 유리질의 연화온도에 직접 관계하고, 철기법랑유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함유비율과도 관계하지만, 일반적으로 법랑소성(琺瑯燒成) 온도가 대체적인 표준이 되어 800℃∼850℃가 되는 일도있다. 다음에 운모분말과 유리분말의 배합비이지만, 특성 및 성형조건에 관력하고, 중요한 요인인 유리질의 배합비가 증가하면, 가압성형시의 유동성이 양호해지며, 성형이 수월해지지만, 반면에 특성중 기계적강도가 저하하거나 금이 가거나 또는 쇠장식받이(8)와 밀착해서 이형이 곤란해지는 일이 있고, 감소되면, 균일한 성형이 곤란해지는 등의 경향이 나타나서, 실제로는 용량비로 해서 30∼50%의 범위가 가장 적합하다.
상기와 같이 해서 성형을 완료한 것은 필요에 응해기계가공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공정을 거쳐서 제조를 완료한다.
본 원고안에 의한 중공절연축 이음은 제1도에 나타낸 종래품과는 구조가 본질적으로 다르다. 즉 연면절연특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절연물이 부착쇠장식의 양단에 직선상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성형상의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고, 필요로하는 연면절연길이가 용이하게 얻어지도록 되었다. 또 도관등과의 접속부분을 양단부(4a), (5a)에 설치할 수 있기 기때문에 접속을 매우 용이하게 심시할 수 있다고 하는 커다란 특징을 구비하고 있으며, 종래품의 결함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원 고안의 중공절연축 이음울 비등냉각장치에 사용할 경우, 절연물(3)이 프론(Freon)등의 냉각매체와 직접 접촉하하는 구조로되어 있지만, 이것은 종래품과 같은 조건이다. 종래 구조품의 경우, 연면절연길이의 구성에 관계하여 유리질을 자유로 선택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며, 현실로는 납계의 저융점유리에 한정되어 있었다. 그런데, 본원 고안품의 경우, 성형시 가압에 의해 가열상태의 예비성형체 자체를 장거리에 걸쳐 유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리질의 선택범위는 철기용법랑유약 정도의 연화온도까지 확대되었다. 내식성(耐蝕性)에 대해서도, 사용매체의 특성에 응해서 가장 적절한 유리의 사용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종합특성은 크게 향상하고 그 효과는 매우 크다.
또, 본원 고안의 상기 제조예에서는 기본적인 구조품을 대상으로 설명했지만,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관상부재(4) 및 제2의 관상부재(5)에 콜러부(Collar 部)(41), (42) 및 (51)을 설치함으로써 절연물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기계적 충격에 의한 속상의 현상등을 방지하는 것도 용이하며, 실용적으로는 커다란 유용요소를 발휘하게끔 된다. 이 경우, 제조 조건적으로는 본질적으로는 거의 문제가 없고, 이용자측에서 본다면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그 실용효과는 매우 크다. 이외에 관상부재(4), (5)의 절연물(3)과 접하는 부분의 주면(周面)에 요철부(凹凸部)를 형성하고, 계합부를 설치하는 등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5도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의 관상부재(4)는 중공부(19)의 방향에 대해서 내경 및 외경이 같지는 않다. 그리고 내경이 커다란 부분에 요부(凹)(41)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제2의 관상부재(5)는 상기 제1의 관상부재(4)에 삽입되는 측의 단부내면에 요부(5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공절연축이음은 중공부(16)의 단면적(斷面績)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다음에 상기 제5도에 나타낸 실시예품의 제조예를 제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40)은 제1의 관상부재를 형성해야 할 제1의 쇠장식, (50)은 제2의 관상부재를 형성해야할 제2의 쇠장식이다. (71)은 할벽(割壁), (72)는 틀, (17)은 압금, (18)은 가압금이다. (19a), (19b)는 유지기구이며, 압금(17)에 의해 제2의 쇠장식(50)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외의 부호는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실제의 기밀절연축이음의 제조예를 공정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예비성형체(15)는 PbO : 1.0, B2O3: 0.4, AlF3: 0.2의 몰비로 구성한 유리를 200메시로 분쇄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유리질 55중량 %와, 합성금소운모의 60∼200메시의 분말 45중량 %를 혼합하여, 수분 5중량 %를 가해서 습윤상태로 한것을 원료로하고, 이 원료 260g을 청취하여, 도시하지 않은 내경 40mmø의 금형(金型)을 사용해서 전압력 7ton으로 가압하여 외경 41mmø 높이 25mm의 원통상으로 형성한 후, 120℃의 건조기에 2시간 유지하여 수분을 제거해서 작성했다.
성형형은 제6(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경 50mmø의 쇠장식받이 (8)를 할벽(71)내에 수납시키고, 틀(72)을 씌워서 조립한다. 압금(17)은 틀(72) 위에 높고 도시하지 않은 가열장치를 사용하여 각기 300℃로 가열한다. 제1의 쇠장식(40) 및 제2의 쇠장식(50)은 550℃로, 또 예비성형체(15)는 600℃로 각기 가열한다.
가열이 완료되면, 제6(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제1의 쇠장식(40)을 성형형내에 섭전하고, 다음에 예비성형체(15)를 제1의 쇠장식(40) 위에 삽전한 다음에 압금(17)에 유지기구(19a)(19b)에 의해 제2의 쇠장식(50)을 유지시켜서 삽전한다. 삽전이 완료되면 즉시 가압금(18)을 사용하여 압금(17)과 제2의 쇠장식(50)을 전압(全壓)40ton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6(b)도에 나타낸 상태로 한다. 성형품전체를 320℃까지 냉각시키고, 압형(押型)을 분해해서 성형품을 꺼내서 성형을 완료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의 쇠장식(50)을 압금(17)에 유지시키고, 상면을 동일위치로 유지하여 가압금(18)을 사용하여 압금(17)과 제2의 쇠장식(50)을 동시에 하강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이 유지가 없을 경우, 온도가 낮은 압금(17)이, 예비성형체(15)에 접촉하기 때문에 예비성형체(15)의 온도가 하강하고, 균일한 성형체를 얻지 못하게 된다. 이 현상을 피하기 위해서 유지는 필수 조건이 된다.
또한 예비성형체(13)의 온도하강을 피하기 위해 그 외경치수는 틀(71)의 내경치수보다 가늘게 해두고, 삽전시에틀(71)과 접촉하지 않도록해야 할 것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성형을 완료한 것은 제1의 쇠장식(40), 절연물(3) 및 제2의 쇠장식(50)의 중앙부에 중공부(16)를 기계가공 등 공지의 종래기술에 의해 천공하고, 절연물의 외주면을 마무리하여 제조를 완료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예를들어 제1의 쇠장식(40)과 제2의 쇠장식(50) 위치를 반대로 하거나, 또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쇠장식에 미리 중공부(16)의 일부(161)를 천공해 놓고 성형후의 천공 작업을 용이하게할 수도 있다. 또 쇠장식의 형상도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주면에 요철(凹凸)이나 콜러등을 설치한 것이라도 본원 고안의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에 의하면 연면절연거리를 쉽사리 길게할 수 있으므로 절연특성이 양호하며, 더구나 내열충격성 등에 뛰어난 중공절연축이음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제1의 관상부재(4)와, 이 제1의 관상부재(4)의 일단부에 있어서의 안쪽치수보다도 작은 바깥쪽치수를 지니고 상기 제1의 관상부재(4)의 일단부에 간극부(間隙部)(6)를 가지고 삽입된 제2의 관상부재(5)와, 상기 공극부(6)에 개장(介裝)되어 이들 제1 및 제2의 관상부재(4)(5)를 밀봉고착하는 동시에, 상기 간극부(6)를 통해서 상기 제1의 관상부재(4)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걸쳐서 설치되며, 상기 제1의 관상부재(4)와 제2의 관상부재(5)와의 연면거리를 유지한 유리질 및 합성운모로 이루어진 절연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절연재의 열팽창율은 상기 유리질의 전위온도이하의 온도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상부재(4)의 열팽창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절연축이음.
KR2019820009468U 1979-11-13 1982-11-27 중공절연(中空絶緣)축이음 KR830000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9468U KR830000209Y1 (ko) 1979-11-13 1982-11-27 중공절연(中空絶緣)축이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962 1979-11-13
KR2019820009468U KR830000209Y1 (ko) 1979-11-13 1982-11-27 중공절연(中空絶緣)축이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962 Division 1979-11-13 1979-1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09Y1 true KR830000209Y1 (ko) 1983-02-15

Family

ID=2662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9468U KR830000209Y1 (ko) 1979-11-13 1982-11-27 중공절연(中空絶緣)축이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2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00694A (en) Annular fusion joint
US2147418A (en) Method of assembling lead-in conductor sealed through metallic casing
KR830000209Y1 (ko) 중공절연(中空絶緣)축이음
US4445715A (en) Insulated joi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299750A (en) Cast glass article
US4519970A (en) Method for producing insulated pipe joint
KR830000520B1 (ko) 중공절연(中空絶緣) 이음매의 제조법
JPS6334195Y2 (ko)
JPS5914678B2 (ja) 絶縁管継手の製造方法
JPS6346315B2 (ko)
JPS58166189A (ja) 絶縁管継手
JPS5914677B2 (ja) 絶縁管継手の製造方法
JPS6215798B2 (ko)
JPS6212431B2 (ko)
JPS6321072B2 (ko)
JPS58165932A (ja) 絶縁管継手の製造方法
JPS58166007A (ja) 絶縁管継手の製造方法
KR830000495B1 (ko) 다극절연단자(多極絶緣端子)의 제조방법
JPS61189386A (ja) 配管用絶縁接続装置の製造方法
JPS6346539B2 (ko)
US2015483A (en) Metal-refractory joint
JP3283692B2 (ja) 気密絶縁端子
KR830000685Y1 (ko) 다극절연단자(多極絶緣端子)
CA1173875A (en) Insulating pipe joint
JPS633190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