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105B1 -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화상 주사장치 - Google Patents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화상 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105B1
KR830000105B1 KR8204783A KR820004783A KR830000105B1 KR 830000105 B1 KR830000105 B1 KR 830000105B1 KR 8204783 A KR8204783 A KR 8204783A KR 820004783 A KR820004783 A KR 820004783A KR 830000105 B1 KR830000105 B1 KR 830000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canning
character
signal generator
square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후세
사도시 이구찌
다다호 다나까
요시유끼 신뽀
Original Assignee
이시이 유우꼬
가부시기가이샤 샤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이 유우꼬, 가부시기가이샤 샤겡 filed Critical 이시이 유우꼬
Priority to KR820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화상 주사장치
제1도는 촬상관 방식의 문자신호 발생기를 사용한 사진식자기의 1에의 개략도.
제2도 및 제3도는 종래방법에 의한 화상주사 및 영상 재생의 1예시도.
제4도, 제5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주사 및 화상재생의 1예시도.
제8도는 비낌주사를 실시하는 1방식의 예시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사장치의 1회로 구성예를 표시하는 개략도.
제10도 내지 제12도 및 제15도는 제9도에 표시하는 회로의 각신호 파형의 설명도.
제13도 및 제14도는 구형상의 문자영역과 비낌래스터 주사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16도는 제9도에 표시하는 절환회로의 모우드 절환 지령동작의 설명도.
본 발명은 문자, 기호등(이하 단지문자라고 한다)의 화상을 전자비임 혹은 광비임으로 주사하여서 문자신호를 얻도록 한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화상 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문자신호 발생기로서는, (1) 음극선관 위의 래스터(raster)주사상으로 문자판 위의 문자화상을 주사하고, 이 문자화상을 투과 또는 반사시킨 광속을 광전변환시켜서 원하는 신호를 얻도록 한것과, (2) 이리 여러가지 문자화상이 형성된 표적을 전자비임으로 주사하도록 한 모노스코 우프관(monoscope 管)방식, 혹은 (3)촬상관 관면위에 투영된 문자화상을 전자비임으로 주사하여서 신호를 얻는 것등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어느 문자신호 발생방식에 적용시켜도 유효한 것이나, 다음에서는 그 1예로서 본 발명을 촬상관방식의 문자신호 발생기에 적용시켰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상기 촬상관 방식의 문자신호 발생기를 사용한 사진식자기의 1예를 표시하는 개략도로서, (1)은 여러가지의 다수의 문자화상이 수용되어 있는 회전문자판, (2)는 광원 (3)은 촬영공학(렌즈)계열, (4)는 촬상관, (5)는 음극표시관, (6)은 투영광학(렌즈)계열, (7)은 감재, (8) 및 (9)는 편향회로, (10)은 제어부로서, 상기 광원(2)에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 조사(照射)하여서 그 화상을 촬상관(4)위에 투영 축적시킨 뒤 상기 편향회로(8) 및 (9)를 동기적으로 작동시켜, 촬상관(4)에서 출력되는 문자신호(11)에 따라서 상기 음극선관(5)위에 원하는 문자상을 재생시키고, 이 재생상을 감재(7)위에 투영하여서 인자(印字)를 행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 촬상관(4)에 의해서 축적화상을 해독하여 주사 하였을때의 신호구성은, 그 주사방향(X방향)에 대해서 연속적인 신호인데 대하여, 상기 X방향과 직교하는 Y방향에 대해서는 디지탈적인 건너뛰는 신호로 되고, 상기 X방향에 있어서의 분해능력이 충분히 큰 것이라고 간주할 수가 있는데에 대하여, Y방향의 분해능력은 주사선의 피치(pitch)에 좌우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X방향과 Y방향과에서 신호의 구성 및 분해능력이 서로 다른 현상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현저한 불편이 생긴다. 즉, 제2도(a)에 표시하는 주사(21)과 같이 화상(22)의 경계면에 따라서 주사비임이 통과하는 (주사선(23) )것과 같은 상태로 되었을 경우, 이 화상자체의 불완전성에 기인하는 경계부의 요철(凹凸)혹은 먼지의 그림자나 주사중의 잡음 기타가 원인으로 되어서, 제2도(b)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문자신호가 상기 주사선(23)에 대응하여서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이 문자신호에 따라서 음극선관(5)위에 재생되는 문자상, 즉 감재(7)위에 인자되는 문자상(31)은 제3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그 경계부가 요청된 것으로되어 극히 품질이 나쁜 상으로 되어버린다.
한편 일본 문자 특히 한자나 한국에 있어서의 한글에 착안하였을 경우, 예를들면 한자의 ″田″은 종 3개 횡 3개의 획선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호 직교하는 종선 및 횡선이 주요한 획선요소로 되어있고, 그위에 상기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종래의 주사방법에서는 1문자마다 구형모양으로 설정된 문자영역의 한쪽 변에 평행한 주사선으로 주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주사선의 방향과 상기 주요 획선요소의 횡. 종 어느 한쪽의 방향과 일치하고, 이 때문에 제2도(a)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문자화상의 경계부에 따라서 주사비임이 통과할 경우에도 빈발하여 상기한 바와같은 문자품질의 저하가 피할 수 없는 큰 문제점으로 되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제거하는 대책으로서는, 예를들면, 주사선의 피치를 보다 조밀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주사선과 직교하는 상기 Y방향에 있어서의 분해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주사선의 피치를 조밀하게 하여 가면 문자품질의 향상을 기할 수는 있으나 거기에 반비례하여서 1문자 주사에 요하는 시간이 길게 되어서 문자상의 재생속도가 저하되고, 또한 주한주사비임의 점(spot)도 이에 따라서 작게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개선된 것으로서, 예를들면 상기 촬상관에 투영축적된 문자상을 주사할때에, 이 투영문자를 구성하는 획선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를 가지게 하여서 해독비임의 주사를 행하도록 한 주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주사방법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설명도로서 상기 화상(22)와 동일형상의 화상(41)을 주사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도면중(42)는 주사선을 표시하고, H 및 V방향은 투영문자상의 횡 및 종 방향, X방향은 주사선의 수평주사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이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예를들면 문자상의 횡방향(H방향)에 대하여 주사선의 수평주사방향(X방향)을 각 θ만큼 경사시켜서 문자신호를 해독하도록 하였을 경우, 이 문자신호에 의해서 상기 음극선관(5)위에 재생되는 문자상은 제5도와 같이 된다.
제5도의 재생상(51)예에도 명백한 바와같이, 그 화상의 경계부는 작은 톱니형을 나타낼 뿐이고, 제3도에 표시한 종래의 재생상(31)의 경우에 생겨졌든 요철은 소멸되어 버린다. 그위에 실제로는 동그란형상의 점으로 재생주자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재생상(51)의 톱니형부는 도시한 바와같이 모나지 않은 것이 되어,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물결 모양을 나타내는데에 불과하게 된다.
상기한 주사방법과 같이, 문자사의 방향(횡방향 또는 종방향의 어느 쪽을 기준하여도 좋다)과, 해독비임의 주사방향과를 일치시키지 않도록 한 것에 의해서 재생상의 품질이 향상되는 현상은, 주사선의 수평 주사방향에 있어서의 상기한 바와같은 높은 분해능력을 문자상의 종 횡 및 방향으로 각각 분해 부여한 결과라고 간주할 수가 있다.
물론 이와같은 비낌주사를 행하였을 경우라고, 그 수평 주사방향(X방향)과 일치된 방향의 획선이 존재하는 것은 피할 수가 없다. 그러나 한자나 한글에서는 종 또는 횡방향의 획선이 주요한 구성요소를 차지하고, 그 이외의 방향의 획선은 비교적 적고, 또한 이들 비낌획선의 대부분은 어떤 곡율을 가지고 있거나 굵기가 변화되거나 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상기 수평주사방향(X방향)과 일치된 방향을 가지는 획선의 재생상이 보기싫게 되는 일은 거의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를 실하였던바 상기 각 θ가 30°-60°사이일 때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으나, 이 바람직한 각은 문자상에 대하여 요구되는 품질, 주사피치, 문자상의 크기, 혹은 문자서체등의 요인에 따라서 변화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또 상기에서는 획선과 해독비임의 주사방향과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시키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서, 촬상관위에 투영되는 문자상 그 자체의 자세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6도는 상기 원리의 응용예를 표시하는 설명도로서, 상기 화상(22)과 동일형상의 화상(41)을 주사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도면중(42A)는 소용돌이 형으로 이동하는 주사비임의 궤적의 일부를 표시하고 있고, 점 P는 상기 소용돌이의 중심이다.
이 제6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소용돌이 형의 주사에 의하여 문자신호를 해독하도록 하였을 경우, 이 신호에 의해서 상기 음극선 표시관(5)위에 재생되는 문자상은 제7도와 같게된다.
제7도의 재생상(51A)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그 화상의 경계부는 작은 톱니형을 나타낼뿐이고, 제3도에 표시한 종래 재생상(31)의 경우에 생겨졌든 요철은 제5도와 마찬가지로 소멸하여, 재생상의 품질은 향상된다.
물론 이러한 소용돌이 주사를 행하였을 경우라도 그 곡선형의 주사방법과 일치된 방향의 획선에 대해서는 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것이나, 실재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직선형의 종선 혹은 횡선이 문자의 주요한 구성요소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곡선형 획선부가 재생문자상 전체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은 거의없다.
또한, 1개의 문자상의 해독주사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가 있으므로 종래의 구형모양의 주사에 불가결하였든 귀선시간이 필요없게 되고, 그만큼 허비되는 시간을 배제하여 신속하게 해독을 행할 수 있도록 된다. 이상 설명하여온 비낌주사, 또는 소용돌이주사를 본 발명에서는 획선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게한 주사선″이라고 한다.
다음에, 문자화상에 대하여 경사주사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사용한 본 발명에 의한 주사장치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4도의 경사주사를 실시할 경우, 좌표를 각 만큼 회전시키는 방법이 통상 생각된다. 즉, 주지하는 좌표회전회로를 통하여 주사편향 신호를 편향전극에 입력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8도에 표시하는 주사영역(62)를 다른 주사영역(62)에 회전시키고, 이 주사영역(62)에 의해서 문자영역(63)을 주사하도록 하면 원하는 각 θ만큼의 경사주사를 행할 수가 있다.
그러나, 제8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주사영역(62)로 주사를 행하였을 경우, 이 주사영역(62)와 문자영역(63)의 중복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문자신호의 해독에 전혀 기여하지 않는 쓸모없는 주사가 필요하게 되어, 그 몫만큼 1문자당의 해독이 길게되어 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된 주사장치는 이러한 문제점까지도 해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문자영역(63)에 상당하는 부분만을 임의의 각 θ로 유효하게 경사주사할 수 있는 편향신호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제9도는 그 구성예를 표시하는 개략도로서, (71)은 그 구형파 출력신호(72)의 ON시간 및 OFF시간이 제각기 각각 1 : 2 : 3……n (n은 정수)의 비율로 차례로 증감되어가도록 구성된 구형파신호 발생부의 1실시예를 표시하고 있고, (73)은 상기 출력신호 (72)의 유무에 따라서 각각 소정증가율 및 감소율로서 레벨이 변화하는 톱니파신호(74)를 출력하는 톱니파 신호 발생부, (75)는 상기 구형파 출력신호(72)가 공급될때마다 계단형으로 변화하는 2종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계단형 신호발생부, (76)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미리 설정된 값과 상기 구형파 출력신호(72)의 계수값과를 비교하여서 상기 구형파 신호발생부(71) 및 계단현 신호발생부(75)의 신호출력 모우드를 절환하는 절환회로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구형파 신호발생부(71)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accumu lator)(711)는 구형파 출력신호(72)가 발생할 때마다 레지스터(712)에 설정된 값 a를 차례로 가산 또는 감산하여 가도록 되어있고, 이 가산 혹은 감산의 모우드 절환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절환회로(76)에 의해서 제어된다.
그리고 예를들면 상기 어큐뮬레이터(711)가 가산모우드에 있을 경우, 별도로 공급되는 클록신호(713)를 계수하여서 카운터(714)가 값 a까지 나아갔을 때, 게이트(715 )의 출력으로 플립플롭(716)(이하 FF라 한다)이 세트 되어 상기 신호(72)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 신호(72)에 의하여 값 a가 가산되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711)의 값이 2a가 됨과 동시에 상기 카운터(714)는 클록신호(717)에 응답하여서 감산해 나가기 시작한다. 이 카운터(714)가 a만큼 감산해나가서 영(0)이 되면 게이트(718)의 출력으로 상기 FF(716)이 리세트되고 카운터(714)는 다시 가산해 나가도록 절환된다. 그후, 상기 어큐뮬레이터(711)의 값이 2a로 되어있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같이 FF(716)이 세트되어서 신호(72)가 출력될때마다 다어큐뮬레이터(71 1)가 +a식 증가하여 가기 때문에, 이 FF(716)와의 출력으로서 얻어지는 신호(72)는, 그 ON상태(고레벨) 및 OFF상태(영레벨)의 지속시간이 각각 1 : 2 : 3… : n (n은 정수)라고 하는 비율로 차례로 길게되어가서, 결국 제10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구형파신호 (72)가 얻어지게된다. 물론 이때, 1조의 ON 상태와 OFF상태의 각 지속시간(예를들면 제10도의 (81)과 (82)혹은 (83)과 (84)등)의 비율은 상기 클록신호(713) 및 (717)의 주파수에 반비례한 일정값으로 되어있다.
또, 상기 어큐뮬레이터(711)가 감산모우드에 있을 경우는, FF(716)이 세트될때마다 이 어큐뮬레이터(711)의 값이 a씩 감소되어 가므로, 신호(72)의 파형은 제11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제10도의 파형을 거슬러간 파형으로 된다.
다음에 제9도에 표시한 상기 톱니파신호 발생부(73)의 구성은, 예를들면 콘덴서C의 충방전 특성을 이용하여서 근사적인 소기의 신호를 얻도록 하였을 경우의 1예를 표시한 것인데, 요는 이 신발생부(73)의 입출력 특성은 제12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구형파신호(72)의 ON, OFF에 따라서 각각 소정의 증가율 및 감소율로 변화하는 톱니파 신호(74)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증가율 및 감소율은 콘덴서 C의 충방전 특성에 의해서 자유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나, 본 실시예의 경우는 제12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이 톱니파신호(74)의 국소값이 각각 같은 값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다음에 설명하는 제13도에는, 구형모양의 문자영역(63)을 그 횡방향에 대하여 각 θ로 교차하는 주사선으로 주사하였을 경우의 일반적인 예가 표시되어 있다. 이 제13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이, 문자영역(63)의 횡방향(H방향)에 대하여 각 θ=tan-1c/b 만큼 경사된 주사선을 종방향(V방향)으로 차례로 ΔV만큼식 차를 두면서 주사시키기 위한 필요한 평향신호의 조건은, 제1조건으로 H방향 및 V방향에 있어서의 미소한 변화분의 비율이 b : c가 아니면 안되고,
제2조건으로서는 예를들면 주사선(111)의 길이를 ″1″로 하였을 경우, 그후의 주사선(112), (113)…의 길이는 도시한 바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2´ ´3´…´n´ (n은 정수)으로 하면된다. 즉 일정속도로 주사를 행하게 할 경우에는 각 주사선을 그리는데에 요하는 평향신호의 지속시간을 1 : 2 : 3… : n이라는 관계로 하면된다.
제3의 조건으로서는 각 주사선을 V방향으로 차이지게 하기 위하여 도시한 간격 ΔV에 상당하는 신호를 각 주사선마다 단계적으로 중첩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 제1 및 제2의 조건에 합치하는 H, V양 방향에 있어서의 각 편향신호로서는, 예를들면, 그 각각에 부여된 소정의 변화율의 비가 b : c라는 관계에 있고 또한 그 신호 지속시간이 1 : 2 : 3… : n (n은 정수)라고 하는 비율로 차례로 길게 되어가는 반속신호가 그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신호는 상기 톱니파신호 발생부(73)의 출력신호(74)에서 얻어진다. 즉, 이 톱니파 출력신호(74)는 제12도에 그 1예를 표시한 바와같이 각각 소정의 증가율 및 감소율로 변화하고, 또한 증가기간 및 감소기간은 상기 구형파신호(72)의 상태에 따라서 각각 1 : 2 : 3… : n (n은 정수)의 비율로 변화하도록되어 있으므로, 제9도에 있어서, 증폭율이 각각 b : c라는 관계에 설정된 2개의 증폭기(77-1) 및 (77-2)를 통하여 얻어지는 신호(78), (79)가, 상기 제1 및 제2의 조건을 충족시킨 편향신호로 되어있다.
이때, 상기 신호(74)의 증가부를 해독 주사편향 신호로서 사용하고, 감소부를 귀선주사에 해당시킬 경우에는, 상기 구형파신호(72)의 ON상태(고 레벨)을 언불랭킹 (unblanking)기간으로하면 되지만, 반대로 신호(74)의 감소구간을 해독주사 구간으로 하는것도 불가능하지는 않다. 이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4도는 문자영역(63)과 주사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도면중 P 및 Q는 V방향 및 H방향에 있어서의 주사선의 수를 표시하고 있다. 이 제14도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상기한 제3의 조건에 관련하여서 각 주사선마다 단계적으로 중첩되는 신호의 파형은, 상기(b)(c)의 어느경우에 있어서도 제15도와 같이 되어있으면 된다. 즉, P번째의 주사선까지는 각 주사선마다 ΔV씩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신호(132)와 (P+1)번째 이후에 대해서는 각 주사선마다 ΔH씩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신호(131)가, 각각 상기 V 및 H방향에 있어서의 각 편향신호(79), (78)에 중첩되도록 되어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ΔV, ΔH, P 및 Q의 각 값은, 제13도 혹은 제14도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문자영역(63)의 크기, 경사각 θ 및 주사선 사이의 피치에 의거하여 한가지로 구할 수 있는 값이다.
그리고 제9도에 표시한 상기 계단형 신호발생부(75) 및 절환회로(76)은 상기한 중첩신호의 발생을 그 목적의 하나로 하여 설치한 것으로서, 절환회로(76)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값과, 구형파 출력신호(72)를 계수하여서 얻어지는 주사선 계수를 비교하여서 모우드 절환신호(76-1)을 출력하고, 이 신호를 받아서 계단형 신호발생부(75)는 거기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 ΔH 및 ΔV에 의거하여 상기 제15도와 같이 계단형으로 변화하는 중첩신호(131) 및 (132)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4도에서 명백한 것과같이, 각 주사선의 길이, 즉 각 주사선의 해독주사 지속시간은, 제14도(a)(b)(c)의 각 경우에 대응하여 제16도(a)(b)(c)와 같이 변화한다. 즉, 상기한 바와같이 제1번째의 주사선의 지속시간을 ″1″로 가정하면, 제14도 (a)의 경우는 먼저 1 : 2…P의 비율로 차례로 길게된 뒤 P-Q 개째에 걸쳐서는 변화하지 않고, 또한 Q개째 이후에서는 P : (P-1) : …1의 비율로 차례로 짧아진다. 또, 제14도 (c)의 경우는 Q개째까지 증가경향을 표시한 후 Q-P개 사이에서 일정하게 되고 P개째 이후에서 감소한다. 또한 제14도(b)와 같이 P=Q의 경우에는 P (Q)개째를 경계로 하여서 증가 및 감소한다. 그리고 이 제14도 및 제16도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주사 지속시간이 증가경향을 표시하는 부분과 감소경향을 표시하는 부분은 서로 역대칭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FF(716)에서 출력되는 구형파신호(72)는, 상기와 같이 해독주사용 편향신호의 지속시간을 규정하는 신호이므로, 원하는 경사주사를 행하기 위하여는 제16도(a)(b)(c)에 표시하는 것과같은 패턴으로 변화하는 구형파신호(72)가 얻어지도록 되어있으면 된다. 그리고 제9도에 표시한 모우드 절환신호(76-2) 및 (76-3)은 상기한 바와같은 구형파 신호(72)가 얻어지도록 톱니파 신호발생부(73)의 신호출력 모우드를 질환하는 신호이고, 절환회로(76)는 상기한 바와같이 신호(72)를 계수하여서 얻어지는 주사선갯수가 설정값 P(혹은 Q)와 같게 될 때까지는 가사모우드 지령으로서 신호(76-2)를 출력하고, 그후, Q(혹은 P)까지는 하등 절환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또한 P(혹은 Q)이후는 (76-3)을 출력하여서 감산모우드를 지령하도록 되어있다.
또 P=Q의 경우는 주사선 개수가 값 P를 초과하였을 때 즉시 가산 모우드에서 감산모우드로 절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9도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77-1) 및 (77-2)를 통하여 얻어지는 신호와, 상기 중첩신호(131), (132)와의 합해진 신호로서, 얻어지는 신호(78) 및 (79)는 상기한 제1, 제3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신호로 되고, 이 2개의 신호를 H 및 V방향에 있어서의 각 편향신호로 하는것에 의해서, 제14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은 임의의 경사주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의 비낌주사, 소용돌이 주사의 설명에서는 해독주사의 경우에 대하여서만 기술하여 왔으나, 이 해독주사에 의해서 얻어진 문자신호를 사용하여서 예를들며 음극선 표시관 위에 문자상을 재생할때의 주사에 있어서도, 본 발명으로 된 경사주사 방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들면 촬상관(4)만이 아니고 그밖에도 상기한 비산점(flying spot)방식 혹은 모노스코우프관 방식등 적절한 주사형 문자신호 발생수단이면 되고,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사진식자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으로된 실시대상은 여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기타의 문자 표시장치등, 요컨대문자, 기호등의 화상을 주사하여서 문자신호를 얻도록 한 주사형 문자 신호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에도 적용시킬 수가 있다.
또, 제13도 혹은 제14도에는 영역(63)이 정방형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가령 이 영역이 임의의 구형이라 하더라도 상기 절환회로(76)에 의한 절환 모우드 그 자체는 제14도(a), (b), (c)의 어느 것인가에 환원할 수 있으므로 임의의 구형영역에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또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상기와 같이 화상 재생주사에 이용하여서 임의의 장체(長體) 혹은 평체(平體)의 문자상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제1도에는 회전문자판(1)을 사용한 자동사식진자기가 예시되어 있으나, 문자판을 수동조작하여서 문자를 선택 투영해 가도록 한 수동사진식자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된다고 하는 것을 말할것도 없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이 한자나 한글이 종, 횡 방향의 획선을 그 주요한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문자화상을 주사하는데에 있어서 경사 주사비임으로 해독을 행하도록한 것으로 구형 모양의 영역을 일정속도의 비임으로 비껴서 주사할 경우에는 각 주사선의 지속시간이 1 : 2 : … : n (n은 정수)라고 하는 비율로 증감하는 점에 착안하여서, 간단한 구성으로 원하는 구형영역만을 임의의 각도로 비낌 주사를 할 수 있도록 한 주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문자등외 화상을 전자비임 또는 광비임으로 주사하여서 문자신호를 얻도록한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 구형파 출력신호(72)의 ON상태기간 및 OFF상태기간이 제각기 1 : 2 : 3… : n (n은 정수)의 비율로 차례로 증감하여 가도록 설치한 구형파 신호발생부(71)와, 이 구형파 신호발생부에서 공급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각각 소정의 증가율 및 감소율로 출력레벨이 변화하는 톱니파신호 발생부(73)와, 상기 구형파 신호 발생부에서 신호가 공급될때마다 계단형으로 적절히 변화하는 2종류의 신호를 발생하는 계단형 신호 발생부(75)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2개의 값과 상기 구형파신호 발생부에서 공급되는 신호의 계수값과를 비교하여서, 상기 구형파신호 발생부 및, 계단형 신호 발생부의 신호출력 모우드를 절환하는 절환회로(76)을 구비하고, 상기, 계단형 신호발생부에서 출력되는 2종류의 각신호와 상기 톱니파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와의 각 가산신호를 수평편향신호(78) 및 수직편향신호(79)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주사장치.
KR8204783A 1979-09-10 1982-10-25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화상 주사장치 KR830000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4783A KR830000105B1 (ko) 1979-09-10 1982-10-25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화상 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3093A KR830000104B1 (ko) 1979-09-10 1979-09-10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화상 주사방법
KR8204783A KR830000105B1 (ko) 1979-09-10 1982-10-25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화상 주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3093A Division KR830000104B1 (ko) 1979-09-10 1979-09-10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화상 주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05B1 true KR830000105B1 (ko) 1983-02-11

Family

ID=1921285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3093A KR830000104B1 (ko) 1979-09-10 1979-09-10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화상 주사방법
KR8204784A KR830000106B1 (ko) 1979-09-10 1982-10-25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어 화상 주사장치
KR8204783A KR830000105B1 (ko) 1979-09-10 1982-10-25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화상 주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3093A KR830000104B1 (ko) 1979-09-10 1979-09-10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화상 주사방법
KR8204784A KR830000106B1 (ko) 1979-09-10 1982-10-25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어 화상 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8300001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04B1 (ko) 1983-02-11
KR830000106B1 (ko) 198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59888A (en) Selective photocopier
US3955186A (en) Character image generation apparatus and CRT phototypesetting system
KR0132553B1 (ko) 신호발생장치
GB1076165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pparatus for storing television pictures
US3463880A (en) Halftone image generator system
US3740608A (en) Scanning correction methods and systems utilizing stored digital correction values
US3465199A (en) Electronic halftone image generator
US4598234A (en) Digital image correction circuit for cathode ray tube displays
US3567856A (en) Pattern generator apparatus
NL8302005A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ormen van meervoudige elektronische beelden op een fotogevoelig oppervlak.
GB1492480A (en) X-ray picture coding
US4222106A (en) Functional curve displaying process and apparatus
KR830000105B1 (ko) 문자신호 발생기에 있어서의 화상 주사장치
Golab et al. FIDAC—film input to digital automatic computer
US3887841A (en) High speed camera
US4348617A (en) Image pickup device
US3447026A (en) Crt scan stabilizer
US4188627A (en) Display apparatus
US4477803A (en) Stripchart recorder intensity enhancement
US3830973A (en) Cathode ray tube display of a motion picture film
US3671666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rrected photographic color rastered reproductions
US6407519B1 (en) Cathode-ray tub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beam spots of a small diameter
JPS6020142Y2 (ja) 文字信号発生器における画像走査装置
US3778546A (en) Crt display of a motion picture film
US3597533A (en) Character 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