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128B1 - 스테레오 해독기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해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128B1
KR820002128B1 KR7901012A KR790001012A KR820002128B1 KR 820002128 B1 KR820002128 B1 KR 820002128B1 KR 7901012 A KR7901012 A KR 7901012A KR 790001012 A KR790001012 A KR 790001012A KR 820002128 B1 KR820002128 B1 KR 82000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decoder
stereo
pi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얀 스틴스트라 알베르트
Original Assignee
디. 제이. 싹커스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 제이. 싹커스,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filed Critical 디. 제이. 싹커스
Priority to KR790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67Common-wave systems, i.e. using separate transmitters operating on substantially the same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테레오 해독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해독기를 가지는 FM-스테레오 다중 수신기에 대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해독기의 실행도.
본 발명은 다중신호용 스테레오 해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계된 해독기는 신호입력과 반송파 입력을 가지는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하며 이 신호압력이 다중신호의 파이로트 신호를 감소시키기 위해 파이로트 제거회로를 거쳐스 테레오 해독기의 입력에 결합되고, 또한 이 멀티플렉서의 상기 반송파 입력단자에접속되고 궤환 루우프내에 포함되어 있는 위상 검파기를 가지는 위상 고정 발진기를 구비하고 상기 위상 검파기가기 준입력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스테레오 해독기는 그것의 사양서에 인쇄되어 발간된 일본국 마쓰시다전기상사의 동조 증폭기 유니트 ST 8080형에 사용된다.
가령, 테이프기록 장치와 같은 어떤 옴향기록장치는 자동 볼륨 제어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기록될 음향신호의 볼륨은 실제의 기록발생이전에 측정되어 일정한 레벨로 된다. 만약 이러한 음향기록장치들이 스테레오 해독기의 출력에서 음향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 파이로트신호(통상적으로 19킬로 헤르쯔)는 음향신호의 진폭 측정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정확한 볼륨제어 및 최적의 기록을 방해하게 된다.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디멀티 플렉서에 공급된 다중신호의 파이로트 신호의 진폭은 파이로트 제거회로에 의하여 감소된다.
다중신호를 해독하는데 필요한 반송파는 위상 고정 발진기에서 발생된다. 그것의 위상은 스테레오 해독기의 입력을 통하여 위상검파기에 공급된 다중신호에 의하여 발진기 신호를 위상검파기에서 체배하므로써 다중신호 파이로트 신호의 위상과 비교된다. 그러므로 위상고정발진기의 제어신호인 위상검파기의 출력신호는 발진기신호 사이의 위상관계를 표시하는 원하는 성분에 부가하여 또한 다중신호의 음향성분으로부터 생기는 원하지 않는 성분도 포함한다.
이들 원치 않는 성분은 위상 고정발진기의 주파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파이로트신호에 대한 캐리어의 적절한 위상고정이 방해받는다. 이때에는 다중신호로 부터 스테레오 신호의 최적 해독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의 출력신호가 파이로트 신호에 의해 받지 않고 또 그 내부에서 전압제어 발진기의 위상고정시 다중신호의 음향성분의 방해효과가 동시에 감소되는 스테레오 해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문에 정의된 형태의 스테레오 해독기는 기준 입력단이 차동증폭기를 포함하는데, 이 차동증폭기의 제1 기준입력이 스테레오 해독기의 입력에 접속되고 제2 기준입력이 파이로트 제거회로의 출력에 접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단을 사용할 때 파이로트 제거회로의 입력신호, 즉 억제된 파이로트 신호를 갖는 다중신호는 두 가지 방법으로 이용된다. 한 방법은, 스테레오 신호가 종래기술의 스테레오 해독기에서 처럼 디멀티플렉서에서 해독되는 것이며, 다른 방법은 억제된 파이로트 신호를 갖는 이 다중신호가 스테레오 해독기의 입력을 거쳐 차동증폭기에 도달하는 억제되지 않은 파이로트신호를 갖는 다중신호로서 위상검파기의 기준입력단의 차동증폭기에 동위상(공통접지모드)으로 인가된다. 음향성분들과 같은 공통접지 모드로 인가된 두 멀티플렉스신호들의 성분은 기준입력단의 차동증폭기내에서 서로 완전히 상쇄된다. 스테레오 해독기의 입력을 거쳐 공급된 다중신호내의 억제되지 않은 파이로트 신호만이 차동증폭기의 출력신호에 보상되지 않은채 나타난다.
따라서, 이 출력신호는 다중신호의 음향성분으로 부터 발생하는 방해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따라서 특히 위상고정 발진기에서 발생된 반송파를 위한 위상기준신호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공지된 스테레오 해독기의 파이로트 제거회로에서 파이로트 신호를 억제하는 것은 이 파이로트신호에 보상신호를 공급하므로써 달성되는, 이 보상신호는 복잡한 회로에 의한 발진기 신호로 부터 얻어진 신호이다. 효과적인 억제를 위해서는 보상신호가 보상될파이로트신호와 동일한 형상 및 진폭을 가져야하며 또 180°위상변이를 가지고 공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해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파이로트신호는 간단한 방법으로 억제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스테레오해독기는 파이로트 제거회로가 19KHz의 공진주파수를 가지며, 이공진주파수에서 적어도 20 데시벨의 신호억제를 행하고 또 15KHz 이하와 23KHz 이상의 주파수에 대해서는 눈에 띄게 동작치 않는 대역저지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안테나 1을 갖는 FM 스테레오 다중수신기를 도시한 것인데, 이 안테나 1은 다음 장치에 연이어서 접속된다. 즉, 원하는 FM 공중신호를 증폭하고 IF 영역으로 바꾸기 위한 입력증폭기/동조기 유니트 2와, 원하는 IF-FM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고 제한하기 위한 IF부 3과, IF-FM 신호를 스테레오다중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FM 변별기 4와, 스테레오 다중신호로 부터 좌측 음향신호 L과 우측음향신호R을 해독하기 위한 스테레오 해독기 5가 접속된다. 이 음향신호 L 및 R은 음향출력(16) 및 (17)에 인가되고 각 오디오 증폭기(34) 및 (35)에서 증폭한 후 각각 확성기(36) 및 (37)을 통해 재생된다.
입력증폭기/튜너유니트 2와 IF 부 3 및 FM변별기(4)는 통상적인 구조일 수도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이해에는 그리 중요하지 않으므로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변별기(4)는 스테레오 해독기(5)의 입력(6)에 스테레오 다중신호를 공급한다. 스테레오 해독기(5)는 파이로트(pilot) 제거회로와 같은 기능을 갖는 대역저지필터(7)을 포함하는데 이 필터회로는 입력(6)에 접속되며 스테레오 다중신호의 파이로트 신호를 억제한다. 대역저지필터(7)의 출력은 스테레오 다중신호가 증폭되는 다중증폭기(13)을 통하여 디멀티플렉서(14)의 신호입력(20)에 접속된다. 디멀티플렉서(14)는 동기검파기(22) 및 매트릭스 회로(15)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는, 공지된 방식으로 스테레오 신호의 차신호(L-R)가 반송파 입력(21)에 공급된 반송파(38킬로헤르쯔)에 의해 복조되고 그후이 차신호는 스테레오신호의 합신호(L+R)과 합성되어, 결과적으로 음향출력(16) 및 (17)에서 좌측 및 우측 음향신호 L 및 R을 분리하게 된다. 19킬로헤르쯔 파이로트 신호는 이들 음향신호들에서 제외된다.
스테레오 해독기(5)는 상기에 언급한 반송파(38킬로헤르쯔)의 발생을 위한 위상고정발진기(10)을 포함한다. 이 발진기의 발진주파수는 76킬로헤르쯔이고 발진기(10)의 출력에 접속된 2등분 분할기(11)에서반으로 된다. 그후 2등분분할기(11)의 출력신호는 디 멀티플렉서(14)의 반송파 입력(21)에 캐리어로서 공급된다.
발진기(10)의 위상고정은 이등분 분할기(11) 및 주파수가 다시반으로 되는 이동분 분할기(12)와, 위상차가 19KHz 발진기 신호와 스테레오 다중신호의 19KHz 파이로트 신호 사이에서 결정되는 이중평형 위상검파기(8)과, 발진기(10)의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신호가 위상검파기(8)의 출력으로 부터 얻어지는 저역통과 필터(9)를 순서대로 경유하는 발진기 신호의 궤환을 통해 이루어진다.
2중 평형위상검파기(8)은 기준입력단으로 작용하는 차동증폭기(26) 내지(28)을 포함하는 증가회로(26)내지(33)을 구성한다. 차동증폭기(26) 내지 (28)의 제1입력(23)은 스테레오 해독기(5)의 입력(6)에 제 1기준입력으로 결합되고 제2입력(24)는 대역저지필터(7)의 출력에 제2 기준입력으로 결합된다. 완전한 스테레오 다중신호는 차동증폭기(26) 내지 (28)의 제1 입력(23)에 인가되는 반면, 이와 동위상(공통모드)로 억제된 19KHz 파이로트 신호를 갖는 스테레오 다중신호는 제2 입력(24)에 인가된다. 동위상(공통모드)로 인가된 스테레오 다중신호의 성분은 차동증폭기(26) 내지 (28)에서 서로 상쇄되고 반면에, 차동 증폭기(26) 내지 (28)의 출력 즉, 차동증폭기로서 작용하는 트랜지스터(26) 및 (28)의 콜렉터에서 보상되지 않는 19KHz 파이로트 신호만이 나타난다. 위상검파기(8)의 체배단(29) 내지 (33) 에서 19킬로헤르쯔 파이로트 신호는 단자(25) 및 (25')를 통해 2등분 분할기(12)의 출력으로부터 이송되는 19킬로헤르쯔 발진신호에 의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체배된다. 그래서 저역통과필터(9)에 공급된 위상검파기(8)의 출력신호는 스테레오 멀티플렉서신호의 음향성분으로 부터 생기는 생성성분은 함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발진기(10)의 위상고정은 이들 음향성분들에 기인한 방해로 부터 보호된다.
제2도는 스테레오해독기(5)의 실제적인 이행을 도시한 것이며 제1도의 회로들의 기능에 상응하는 기능을 가진 회로들은 동일한 기준 부호로 주어졌다.
스테레오 해독기(5)는 입력(6)에 결합되어 다중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에미터폴로워(50)를 포함한다. 에미터폴로워(50)의 출력은 결합 캐퍼시터(56)을 통해 집적회로 (51) 내에 포함된 위상 검파기(8)의 제1 입력(23)에 접속되고 또 대역저지필터(7)에 접속된다. 대역저지필터(7)의 출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집적회로 (51) 내에 포함된 위상 검파기(8)의 제2 입력(24)에 접속된다.
이러한 실제적인 이행에서, 집적회로(51)은 TDA 1005형이 었고, 위상검파기(8)에 부가하여 회로(9)내지(14) 및 제1도의 음향출력(16) 및 (17)을 포함한다. 집적회로(51) 상에 있는 제1입력(23)은 단자 번호(21)로 표시되고 제2입력(24)는 단자번호(11)로 표시된다.
대역 저지필터(7)은 15KHz와 23K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에서 능동적으로 신호를 억제하고 19KHz 공진주파수에서 신호를 최대로 억제시킨다. 15KHz 이하와 23KHz 이상의 주파수의 경우에 신호억제는 눈에 띄지 않은 정도이며 1dB보다 더 작아진다. 이와같은 목적을 위하여 대역 저지 필터(7)은 병렬지로에서 두 개의 동일한 캐퍼시터(52) 및 (53)의 직렬배열과, 직렬 지로에서 접지로 접속된 가변저항(54) 및 브릿지 지로에서 인덕턴스(55)를 갖는 브릿지 T형 필터로서 실행되었다. 각각의 캐퍼시터 (52) 및 (53)은 56nF의 캐퍼시턴스를 가진다. 인덕턴스는 26mH이고 가변저항은 1KΩ과 1.46Ω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Claims (1)

  1. 신호입력(20) 및 반송파 입력(21)을 가지는 디멀티플렉서(14)를 포함하며, 이 신호입력(20)이 다중신호의 파이로트 신호를 감소시키기 위해 파이로트 제거회로(7)을 거쳐 스테레오 해독기(5)의 입력(6)에 결합되고, 또한 디멀티플렉서(14)의 반송파 입력(21)에 접속되고 위상 고정 루우프(8 내지 12)에 포함되어 있는 위상 고정 발진기(10)와 위상 검출기(8)를 포함하며, 이 위상검출기가 기준입력단(26 내지 28)을 구비하고 있는 다중 스테레오 신호용 스테레오 해독기(5)에 있어서, 스테레오 해독기(5)의 상기 입력(6)에 접속된 제1 기준입력(23)과 파이로드 제거회로(7)의 출력에 접속된 제2 기준입력(24)를 가지는 차동증폭기(26, 27)를 포함한 기준입력단(26 내지 28)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해독기.
KR7901012A 1979-03-31 1979-03-31 스테레오 해독기 KR820002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012A KR820002128B1 (ko) 1979-03-31 1979-03-31 스테레오 해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012A KR820002128B1 (ko) 1979-03-31 1979-03-31 스테레오 해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128B1 true KR820002128B1 (ko) 1982-11-10

Family

ID=1921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1012A KR820002128B1 (ko) 1979-03-31 1979-03-31 스테레오 해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12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9261A (en) Superheterodyne radio receiver with nearby-station interference detection
US4193035A (en) Circuit arrangement for receiving one of the sidebands from a double sideband signal
JPH0628338B2 (ja) フエーズロツクドループ及びそれを用いる直接混合同期am受信機
JPS5875330A (ja) ラジオまたはテレビ受信機の受信段
KR880001980B1 (ko) Fm 수신기
KR100256455B1 (ko) 수신기
US4860354A (en) Arrangement for decoding a stereo multiplex signal
US4037165A (en) Synchronous signal generating system with phase-locked loop circuit
US4674121A (en) Circuit for detecting the level of noise in FM signal for use in AM/FM receiver
RU21232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игналов
US5193213A (en) FM broadcast band subcarrier receiver
US4249038A (en) Stereo decoder with 19KHz-pilot suppression and improved oscillator phase locking
US4610030A (en) Frequency modulated transmitter applicable to MF broadcasting
US3043914A (en) Single channel stereophonic system
US5023933A (en) Superheterodyne SCA receiver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KR820002128B1 (ko) 스테레오 해독기
US4435618A (en) Adjacent station interference rejecting circuit
US4455674A (en) Amplitude-modulated signal receiver having a variable Q circuit
US406304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decoding a frequency modulated stereo radio signal
US4164623A (en) AM stereo receiver with improved correction signals
US4408097A (en) AM-FM Radio receiver for receiving AM-stereo signals
US4879757A (en) Tweet elimination, or reduction, in superheterodyne receivers
US4449230A (en) Apparatus for demodulating an AM stereophonic signal
EP0141565B1 (en) Am stereo signal decoder
US4580284A (en) Pilot tone cancelling circuit for AM stereo deco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