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060B1 - 폴리스티렌계 수지 판상 발포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스티렌계 수지 판상 발포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2060B1 KR820002060B1 KR1019800000126A KR800000126A KR820002060B1 KR 820002060 B1 KR820002060 B1 KR 820002060B1 KR 1019800000126 A KR1019800000126 A KR 1019800000126A KR 800000126 A KR800000126 A KR 800000126A KR 820002060 B1 KR820002060 B1 KR 8200020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styrene
- foam
- plate
- polystyrene resin
- mel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스티렌계 수지 판상 발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용융압출기에 의한 압출성형성이 양호하고 또 양호한 칫수 안정성,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우수한 단열성을 갖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판상 발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폴리스티렌 발포성형체는 경량으로 단열효과가 높고, 비교적 염가로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취급이나 시공이 용이하기 때문이 단열재로서 통상, 두께 15mm 이상의 판상이 압출 발포성형체가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와같은 비교적 두꺼운 판상의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압출 성형하는 경우에는, 다이 오리피스로부터 압출된 직후의 용융발포체가 가이더라고 불려지는 성형장치에 통과됨으로써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사용하는 폴리스티렌 수지의 압출성형성이 용융압출기의 운전 또는 제조되는 판상 발포체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게된다.
따라서 압출성형법에 의해 두꺼운 판상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제조하는데는, 일반으로 두께가 얇은 시이트상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폴리스티렌보다도 훨씬 유동성이 높은 예를들면, ASTM-D-1238G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한 멜트인덱스치가 8 정도 이상의 멜트인덱스치가 큰 폴리스티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멜트 인덱스치가 큰 폴리스티렌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압출성이 개량된다 하더라도 제품으로서 얻어지는 판상 발포체의 기계적 강도가 작고, 또 칫수 안정성도 떨어진다. 따라서 제품으로서 충분한 품질을 갖는 것이라고는 말할 수가 없다.
예를들면, 압출 성형된 판상발포체는 일단으로 일단 소망하는 칫수로 절단된 다음, 절삭가공되어 제품으로 되는데, 제품의 칫수 안정성이 나쁘면 경기적으로 칫수에 착오가 생기기 때문에 재차의 가공이 필요할뿐 만 아니라, 실제의 상용시에 단열제로서 사용이 불충분하게 된다. 특히 실재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칫수 안정성을 고려하면, 실온하에서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70℃ 보다도 더 높은 고온도하에서도 양호한 칫수 안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멜트 인덱스치가 높은 폴리스티렌수지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종래의 판상 발포체로는, 예를들면 70℃의 고온도하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칫수안정성을 갖는 것은 없다.
또, 폴리스티렌수지 판상발포체의 단열 특성이 사용되는 발포체의 종류, 사용량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은 당업자에 있어 주지의 사실이다. 예를 들면 특개소 52-94366호 공개 명세서에는 발포체의 종류와 양과를 특정하여 사용함으로써 단열특성이 우수한 폴리스티렌수지 판상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판상 발포체 제품의 칫수안정성은 불충분하고, 또 단열성도 반드시 만족할만한 것이라고는 말할 수가 없다. 압출성형법에 의한 폴리스티렌수지 판상 발포체의 제조법에 대해서는 이외에 수 많은 특허나 문헌 보고가 있으나, 얻어지는 판상 발포체는 어느 것이나 일장일단이 있어서 단열재로서의 용도에 요구되는 성능 및 제조에 있어서의 압출 성형성 등의 균형이 잘 구비된 것이라고는 말할 수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압출 성형법에 의해 단열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단열성, 기계적 강도 및 칫수 안정성을 균형있게 경비한 판상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예의 연구한 결과, 종래 압출성형성이 나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었던 특정의 멜트인덱스치(MI치)를 갖는 용융점도가 높은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사용하여 이것을 70℃보다도 높은 융점을 갖는 유동성 형상체 및 염화메틸과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으로 구성되는 발포제와를 혼합시키는 경우에는 압출성형성이 양호하고 또 상기와 같은 특성을 겸비한 폴리스티렌계 수지발포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달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 칫수 안정성 및 단열성을 갖는 판상의 폴리스티렌계수지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출성형법에 있어서는 성형성이 불량하여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MI치가 낮은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감히 사용하여 단열제로서의 상기의 모든 성능을 만족하는 판상 폴리스티렌계수지 발포체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치가 낮은 폴리스티렌계수지를 사용하여, 여기에 융점이 70℃이상의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유동성 향상제 및 발포제를 혼합함으로써 그의 압출 성형성을 개량함과 동시에 단열제로서의 모든 성능을 겸비한 판상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체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잇점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 용용압출기내에 있어서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가열 용융하여 생성되는 용융물에 발포제를 혼합하고, 이어서 생성되는 발포성 용융겔을 압출기로부터 저압부로 압출하여 발포체를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계 수지로서 ASTM-D-1238G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측정한 멜트 인덱스치가 0.5 내지 5 범위의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사용하고 (1), 상기 발포제로서 염화메틸과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과의 혼합물을 사용하며 (2), 상기 용융압출기 내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계 수지(1)과 70℃보다도 높은 융점을 갖는 상기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유동성 향상제와를 용융 혼합시킴(3)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계 수지 판상발포체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스티렌계 수지는, 스티렌을 구성단량체 성분의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서,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스티렌과 무수말레이산과의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토니트릴의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토 니토릴의 공중합체(ABS 수지) 등이 있으며, 중합체 중에 함유되는 스티렌 단량체 성분의 비율은 5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0몰% 이상이다.
기타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계 수지로서는 상기와 같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기타 비닐계 수지와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이들의 폴리스티렌계 수지는 ASTM-D-1238G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 멜트 인덱스치(MI치)가 0.5 내지 5의 범위이어야만 된다.
이와 같은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은 제품으로서의 판상 발포체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또 압출성형품의 칫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는데 중요하다. 이 MI치가 0.5 미만의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경우에는 유동성이 극단적으로 나쁘기 때문에 후술하는 융점이 70℃보다도 높고, 또 압출 조건하에서 발포제를 함유하는 피압출겔에 대하여 유동성 향상 작용을 나타내는 유동성 향상제를 사용하여도 압출 성형을 만족스럽게 행할 수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가 없다.
또, MI치가 5 보다 큰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경우에는 유동성이 좋고, 또 압출성형성도 양호하지만, 얻어지는 판상발포체의 기계적강도 및 칫수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품으로서 바람직하지가 못하다.
일반으로 단열제로서 사용되는 판상 발포체는 길이 방향, 두께 방향 및 폭방향의 기계적 강도가 균형있게 유지되어 있어야하고(예를들면, 실제의 사용시에 특히 문제가 되는두께방향의 압축강도는 2.0kg/cm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품으로서의 칫수 안정성이 상당히 높은 정도(精度)가 요구된다(JIS A9511에 의하면, 예를들면, (폭) 600mm×(두께) 25mm×(길이) 900mm의 크기의 판상 발포체의 경우, 상온에 있어서의 칫수 증감의 허용차는 폭방향-2내지 2mm, 두께방향-2내지 1mm 및 길이방향-3 내지 2mm이내이다). MI치가 5 보다도 큰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경우에는 이와같은 기계적 강도를 균형있게 유지하는 일이 극히 곤란하고, 또 상기와 같이 높은 정도가 요구되는 칫수 안정성을 충분히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압출성형된 판상 발포체를 제품으로 하기 전에 상당히 장기간 양생할 필요가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양생중에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칫수 변화가 발생하여 재가공할 필요가 되기도 하여 공업적으로 극히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는 0.5 내지 5의 MI치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들 범위중에서, 특히 2내지 5의 MI치를 갖는 것은 압출성형성과 얻어지는 판상 발포체의 기계적 강도 및 칫수 안정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또 유동성 향상제가 사용된다. 이러한 유동성 향상제는 70℃ 보다도 높은 융점을 갖는 것이며, 용융압출기내에 있어서 폴리스티렌계수지와 용융 혼합되어 그 멜트 인덱스치가 낮은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용융상태에 있어서의 유동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
또, 이러한 유동성 향상제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의해, 종래 압출 성형법에 의한 폴리스티렌 수지 판상 발포체의 제조에서는, 일반으로 사용할 수 없었던 MI치가 0.5 내지 5의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또 우수한 기계적 강도, 칫수, 안정성 또는 단열성을 갖는 판상 발포체의 제조가 가능하게되는 것이다.
즉, 통상 가소제로서 예를 들면, 유동성 파라핀, 디-n-옥틸프탈레이트 또는 스테아린산글리코올 등의 융점이 70℃ 보다도 낮은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유동성은 향상되지만 얻어지는 판상 발포체의 칫수 안정성은 떨어지고,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는 것 외에도 발포체에 함유되는 기포직경이 조대화(粗大化)되기도 하고, 또는 불균일하게 되기도 하여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등 제품이 판상 발포제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특정한 유동성 향상제의 사용에 의해서도 제품으로서의 판상발포체에 요구되는 상기의 모든 특성을 겸비한 판상 발포체를 얻을 수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러한 유동성 향상제로서는 70℃ 이상의 융점을 가지며, 그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용융 혼합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들면 방향족 술폰아미드류, 취소화 방향족 화합물, 취소화 지환식 화합물 및 폴리 α-메틸스티렌계 수지를 들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p-톨루엔술폰아미드, O-톨루엔술폰아미드, N-시클로헥실, p-톨루엔술폰아미드와 같은 저급 알킬 치환 벤젠술폰아미드 등의 방향족 술폰아미드류, 펜타브로모에틸벤젠, 2,4,6-트리브로모페닐-2-메틸-2,3-디브로모프로필 에테르와 같은 취소화 방향족 화합물, 펜타브로모시클로헥산, 헥사브로모시클로헥산, 테트라브로모디클로로시클로헥산,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과 같은 취소화지환식 화합물 및 폴리 α-메틸스티렌(예를들면, Amoco Resin 18-240)과 같은 폴리 α-메틸스티렌계수지를 들 수가 있다.
이들 중에서도 취소화 방향족 화합물, 취소화 지환식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및 2,4,6-트리브로모페닐-2-메틸-2,8-디브로모프로필 에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취소화 화합물은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폴리스티렌계 수지판상 발포체에 칫수안정성, 특히 열시에 있어서의 칫수안정성을 부여하는 점에서 우수하고, 또 난연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의 유동성 향상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유동성 향상제는 원료인 폴리스티렌계 수지 100중량부당 1 내지 5중량부 범위의 양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범위의 하한치보다 적은 양의 경우에는 압출성형성이 개량되는 정도가 적으며, 또 상기 범위의 상한치보다 많은 양의 경우에는 용융 압출기 내에서의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공급이 스티임에 진행되기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동성 향상제의 바람직한 특성은 융점이 70℃ 이상이며, 또 원료인 폴리스티렌계수지 97중량부와 유동성 향상제 3중량부와로 구성되는 혼합물이 ASTM-D-l238G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측정한 멜트인덱스치가 5 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와 같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상기 유동성 향상제를 플라스틱 용융 압출기 내에 있어서 가열 용융하여 혼합한 다음 발포제를 혼합하고, 이어서 생성되는 발포성 용융겔을 그 압출기로 부터 그 압출기내 압력보다도 낮은 압력의 저압부로 압출하여 판상으로 성형함으로써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의 발포제로서 염화메틸과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과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염화메틸은 상기 유동성 향상제와 함께 그 발포성 용융겔의 유동성을 일층 향상시키며, 또 디클로로디플루오로 메탄은 생성되는 발포체의 열전도율을 저하시킴으로써 제품의 단열성을 우수하게 한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다.
또,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특정의 멜트 인덱스치를 갖는 폴리스티렌계수지와 상기 특정의 유동성 향상제와의 신규한 조합에 있어서, 염화메틸 65 내지 85몰%와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35 내지 15몰%로 구성되는 신규한 조성의 발포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다.
즉, 이러한 특정조성의 발포제에 있어서, 염화메틸이 65몰% 이상의 경우, 환언하면,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이 35몰% 이하의 경우에는, 특히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발포제와의 혼합이 충분히 행하여져 서어징을 일으키고, 또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유동성 및 압출 성형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현저하며, 또 염화메틸 85몰% 이하의 경우, 환언하면,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이 15몰% 이상의 경우에는 특히 얻어지는 판상발포체의 수축성이 작아져서 칫수안정성이 우수하게 되며, 또 단열재로서 소망하는 0.030Kca1/m.hr.oD(0oC에 있어서) 이하의 열전도율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발포제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100g에 대하여 0.08 내지 0.20몰 비율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8몰 미만에서 얻어지는 판상발포체의 밀도는 높아지고, 또 0.2몰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판상발포체의 밀도가 필요이상으로 작아져서 그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고, 또 기포가 조대화되기도 하고, 불균일하게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가 못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이 혼합발포제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특정의 조성범위 내에서 사용하여 각각 별도로 또는 미리 혼합하여 압출기의 발포제 공급개소로부터 특정량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상기 폴리스티렌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펠릿트 형태로서 나사형 압출기와 같은 플라스틱 용융압출기 중에 공급되어 가열용융된다. 생성된 용융물은 점차적으로 전방으로 진행하여 냉각역에 도달될 때까지는 혼합역에 있어서 발포제와 혼합된다. 유동성 향상제는 원료폴리스티렌계수지와 미리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압출기 내의 발포제를 함유하지 않은 용융물 또는 발포제를 함유하는 발포성 용융겔에 공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발포성 용융겔을 다이오리피스로부터 압출하는 온도는 그 발포성 용융겔이 발포에 적합한 용융점도를 나타내는 범위내의 온도이다. 따라서 사용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종류, 유동성 향상계의 종류, 양 또는 발포제의 혼합 비율, 양에 따라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90℃ 내지 120℃이다. 다이오리피스의 압력은 일반으로 50 내지 140kg/cm2이다.
다이오리피스를 통하여 저압부로 압출된 발포성 용융겔은 발포되어, 일반으로 가이더라고 불려지는 성형장치를 통과함으로써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판상성형체로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플라스틱 용융압출기는 복수개를 직렬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소망에 따라서, 예를들면 정적(靜的) 혼합물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정적 혼합기로서는,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751,377호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사용되며, 실재로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이러한 정적 혼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융압출기를 복수개, 예를들면, 2개 사용하여 그 사이에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상기 미합중국 특허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이오리피스를 직렬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압출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판상발포체를 제품으로 사상하여 절삭가공할때 발생되는 플라스틱 등을 다시 분쇄하여 원료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은 원료 폴리스티렌계 수지에 30중량% 정도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이외에 판상 발포체의 기포를 보다 미세화하기 위하여 기포조절제를 첨가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기포 조절제로서는, 예를들면 활석, 점토등의 무기화합물의 미분말, 또는 가열온도에서 분해 또는 화학 변화를 일으켜 가스를 발생할 수 있는 화합물, 예를 들면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산성 알카리 금속염과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과의 조합이다.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산성 알카리 금속염으로서는, 예를들면, 주석산, 호박산, 구연산, 수산 또는 주석산 수소나트륨, 호박산 수소칼륨, 구연산모노나트륨, 구연산모노칼륨, 수산모노나트륨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또 탄산염 또는 중탄산연으로서는, 예를들면,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늅, 중탄산암모늄, 탄산칼륨, 중탄산칼륨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이중에서도 구연산 모노 칼륨염과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과의 조합이 바람직한 기포 조절제이다. 이와 같은 기포조절제는 통상 폴리스티렌계수지 100중랑부에 대하여 0.05 내지 3중량부로 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기타,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은 범위에서 소망에 따라 착색제, 열안정제, 충전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판상 발포체는 양호한 칫수, 안정성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예를 들면 70℃라고 하는 고온도에 있어서까지도 우수한 단열성을 갖는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얻어지는 판상 발포체의 두께는 사용되는 가이더에 의해 규정되지만, 일반으로 15mm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0mm 내지 약 50mm 판두께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압출 성형품이 높은 칫수 안정성을 갖기 때문에 이것을 제품으로 할 때에 다량으로 스크랩이 생성되는 절삭가공 등을 필요로하지 않고, 또 특별히 장기간의 양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실제의 제조 공정상에 있어서의 잇점도 얻을 수가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실시예 1]
멜트 인덱스치(MI치)가 1.0인 폴리스티렌 100중량부,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3중량부 및 구연산 모노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의 당몰 혼합물로 구성되는 기포조절제 0.1중량부와를 내경 90mm인 나사형 용융압출기에 공급하였다.
또, 이 압출기에 설치되어 있는 발포제 주입구로부터 상기 폴리스티렌 100g당 0.15몰의 비율로 되는 양의 70몰%의 염화메틸과 30몰%의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으로 구성되는 발포제를 압입하였다.
압출기 내에서 균일하게 혼연된 발포성용융겔은 이 압출기의 출구에 부착되어 있는 폭 200mm×간격 6mm의 다이 오리피스로부터 1100℃에서 대기중으로 압출 발포된 다음에, 또 부착되어 있는 가이더 성형장치를 통과해서 단면이 약 620mm×28mm의 판상 발포체로 성형 되었다. 이 판상 발포체를 단면이 600mm×25mm, 길이 900mm의 칫수로 절단, 절삭가공을 행하여 시험편으로 하였다.
상기 제조 공정중에 있어서의 관측한 압출성형성을 사용한 조성과 함께 제1표에 기재하였다. 또, 얻어진 시험편의 각각의 기계적 성질, 칫수 안정성, 가열시의 칫수 안정성 및 열전도율을 제2표에 기재하였다.
또, 제l표 및 제2표에는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까지도 함께 기재하였다.
[실시예 2]
MI치가 2.5인 폴티스티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조건하에서 판상 발포체를 제조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실시예 3]
MI치가 4.5인 폴리스티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조건하에서 판상 발포체를 제조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3중량부 대신에, 2,4,6-트리브로모페닐-2-메틸-2,3-디브로모로필에테르 4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하에서 판상발포체를 제조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실시예 5]
MI치가 2.5인 폴리스티렌 및 염화메틸 75몰%와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25몰%로 구성되는 발포제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조건하에서 판상 발포체를 제조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실시예 6]
MI치가 2.5인 폴리스티렌 및 염화메틸 85몰%와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25몰%와로 구성되는 발포제를 폴리스티렌 100g당 0.11몰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에서 판상 발포체를 제조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실시예 7]
MI치가 4.5인 폴리스티렌을 사용하고, 또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3중량부 대신에 p-톨루엔술폰아미드 3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조건에서 판상 발포체를 제조하여 시험판을 얻었다.
[비교예 1]
MI치가 0.3인 폴리스티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에서 판상발포체를 제조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비교예 2]
NI치가 8.0인 폴리스티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에서 판상 발포체를 제조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비교예 3]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3중량부 데신에 유동 파라핀 3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 조건에서 판상 발포체를 제조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비교예 4]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3중량부 대신에 디-n-옥틸프탈레이트 3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 조건하에서 판상 발포체를 제조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비교예 5]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을 사용하지 않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하여 판상 발포체를 제조함으로써 시험편을 얻었다.
[제1표]
(주) 1) ASTM-D-1238에 준하여 측정.
2) 혼합 후 일단 냉각 펠릿트한 것을 1)과 같이 측정함.
[제2표]
(주) 3) 압출성형 후, 20℃에서 72시간 방치 후의 측정치,
*두께 방향의 강도
** ASTM-C-11에 준하여 0℃에서의 측정치
4) 압출성형 후 20℃에서 72시간 방치 후의 칫수의 윈래 칫수에 대한 변화 (-는 수축을 나타내고, +는 신장을 나타냄)
(5 20℃에서 72시간 방치 후, 다시 오븐 중에서 70℃로 가열 했을때의 칫수의 원래칫수에 대한변화 (- +의 의미는 상기와 동일함).
Claims (1)
- 플라스틱 용융 압출기내에서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가열 용융하여 생성되는 용융물에 발포체를 혼합한 다음, 이어서 생성되는 발포성 용융겔을 그 압출기로 부터 저압부로 압출하여 발포체를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계 수지로서 ASTM-D-1238G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측정할 때 멜트 인덱스치가 0.5내지 5범위인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사용하고, 상기 발포제로서 염화메틸과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과의 혼합물을 사용하며, 상기 용융압출기 내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70℃보다도 높은 융점을 갖는 상기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유동성 향상제와를 용융 혼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스티렌계수지 판상 발포체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00000126A KR820002060B1 (ko) | 1980-01-15 | 1980-01-15 | 폴리스티렌계 수지 판상 발포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00000126A KR820002060B1 (ko) | 1980-01-15 | 1980-01-15 | 폴리스티렌계 수지 판상 발포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2060B1 true KR820002060B1 (ko) | 1982-10-26 |
Family
ID=1921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00000126A KR820002060B1 (ko) | 1980-01-15 | 1980-01-15 | 폴리스티렌계 수지 판상 발포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206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3823B1 (ko) * | 2006-05-11 | 2007-04-04 | 제일모직주식회사 | 발포성 폴리스티렌의 제조방법 |
-
1980
- 1980-01-15 KR KR1019800000126A patent/KR820002060B1/ko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3823B1 (ko) * | 2006-05-11 | 2007-04-04 | 제일모직주식회사 | 발포성 폴리스티렌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48984A (en) | Expandabl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extruded thermoplastic foams | |
US4554293A (en) | Lightly crosslinked linear olefinic polymer foam blends and process for making | |
US4394460A (en) | 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copolymer foam | |
EP0054183B1 (en) | 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copolymer foam | |
US4581383A (en) | Lightly crosslinked linear olefinic polymer foam blends and process for making | |
US4451417A (en) | Method of producing extruded plate-like polystyrene foam | |
US3491032A (en) | High density polyolefin foams | |
US4260572A (en) | Process for producing foamed polystyrene boards | |
US3188295A (en) | Method of foaming a thermoplastic organic polymer containing a nucleating agent and an organic bromide | |
US5244927A (en) | Low density styrene polymer foam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 |
US3547839A (en) | Foamabl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foamed resins | |
EP1263850B1 (en) | Extruded foam product with reduced surface defects | |
US4886837A (en) | Process for preparing rigid polyvinyl chloride stractured foams having superior surface characteristics | |
KR820002060B1 (ko) | 폴리스티렌계 수지 판상 발포체의 제조방법 | |
US4228246A (en) | Manufacture of fluorocarbon expanded polystyrene | |
US4393016A (en) | Process for producing plate-like polystyrene resin foam | |
EP0145363A2 (en) | A formable vinyl chloride-based resin composition | |
JPH07278365A (ja) | 低密度ポリオレフィン発泡体、発泡可能な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及びそれらを製造する方法 | |
US5274005A (en) | Low density styrene polymer foam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 |
JPS6230218B2 (ko) | ||
GB2113228A (en) | Foamable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s | |
JPH0449863B2 (ko) | ||
US4722972A (en) | Foams of ionically associated blends of styrenic and ethylenic polymers | |
US4567209A (en) | Foams of ionically associated blends of styrenic and ethylenic polymers | |
JPH0412737B2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