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922Y1 - Tv방송신호 유무판별 및 전원자동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Tv방송신호 유무판별 및 전원자동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922Y1
KR820001922Y1 KR2019810003415U KR810003415U KR820001922Y1 KR 820001922 Y1 KR820001922 Y1 KR 820001922Y1 KR 2019810003415 U KR2019810003415 U KR 2019810003415U KR 810003415 U KR810003415 U KR 810003415U KR 820001922 Y1 KR820001922 Y1 KR 820001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signal
diode
resistor
flyback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3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10003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TV방송신호 유무판별 및 전원자동 차단장치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
본 고안은 트랜지스터로 영상 동기신호와 플라이백 펄스신호를 AND시키어 TV방송국에서 일정시간 이상 방송이 중단되었을시 전원스위치를 자동 차단시키므로서 절전 및 TV수명을 연장하도록 고안된 TV방송신호 유무판별 및 전원자동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고가이며 조정이 필요한 다수의 트랜스포머(Trans Former) 등의 동조회로를 사용하거나 솔레노이드 코일 등 다수의 부품소자를 이용하여 복잡한 회로를 구성하므로서 제작원가가 비싸고 플라이백 펄스차에 의해서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서로 역작용하도록 접속된 트랜지스터로 영상 동기신호와 플라이백 펄스신호를 AND시키어 방송신호 유무를 간단히 감지하므로써 충반전회로 및 공지의 릴레이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동기신호(1)를 저항(R1, R2, R3), 콘덴서(C2, C3), 다이오드(D4)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시키고, 플라이백 펄스신호(2)는 저항(R5)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A)에 연결시키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저항(R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를 연결하여 신호감지부(3)를 구성시키고, 에미터에 저항(R7)과 다이오드(D7)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3)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를 저항(R8)으로 직결(直結)하여 저항(R9)을 통하여 다이오드(D2), 콘덴서(C1), 저항(R4)의 접속점(B)에 연결시키어 충방전회로(4)를 구성하며 접속점(A)에 다이오드(D1, D2)를 연결시킨다.
또한 전원에 연결된 릴레이(Ry)의 구동용 코일(L)과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5)와 저항(R10, R11, R12)이 연결된 트랜지스터(Q4)를 상호역으로 동작하도록 접속하여 된 공지의 릴레이 구동부(5)의 저항(R10)을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연결시킨다.
미설명 부호중 D1은 플라이백 펄스의 첨두치를 +B 전압치로 제한하고 다음단으로 일정치의 증폭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다이오드이며, SW1는 초초 TV를 "온"시킬 때 쓰며 필요시에 "오프"하여 놓은 스위치이고, D5는 릴레이 개폐시 생기는 역기전력에 대한 반도체 보호용 다이오드이고, +B는 공급직류전압, SW2는 전원스위치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처음에 전원스위치(SW2)를 온(ON)하고 TV스위치(SW1)를 "온"하여 선택된 방송국의 방송신호가 TV에 수신되면 영상동기신호가 단자(1)에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되므로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되고 영상신호유무에 관계없이 단자(2)에 입력되는 플라이백 펄스신호는 트랜지스터(Q2)를 통하지 못하고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콘덴서(C1)에 충전된다.
이때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콘덴서(C1)에 충전되는 전압은 다이오드(D1)에 의하여 첨두치가 (+B)전압만큼 된다.
콘덴서(C1)는 영상동기신호와 플라이백 펄스신호가 있으면 계속 충전되고 이 충전전압에 의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가 도통되어 트랜지스터(Q3)를 도통시킨다.
따라서 저항(R13)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Q3)와 다이오드(D3)를 통하여 흐르게 되어 트랜지스터(Q4)에 충분한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5)가 도통된다.
이로 인하여 릴레이 구동용 코일(L)에 전류가 흘러 릴레이(Ry)를 "온"시키므로서 스위치(SW1)를 "온"하였다가 "오프"하여도 TV에는 계속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 즉, 최초에 스위치(SW1)를 "온"하여 릴레이(Ry)가 "온"된 상태에서 취침시 스위치(SW1)를 "오프"하면 다음과 같이 방송신호가 중단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된다.
즉, 선국의 방송신호(영상신호)가 중단되면 영상동기신호가 제거되므로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므로 플라이백 펄스신호의 전류는 저항(R5)과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흐르게 되어 다이오드(D2)에는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고 따라서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은 저항(R4)을 통하여 τ=C1×R4에 비례하는 속도로 방전하게 되어 시정수회로(B) 부의전위가 지정가로 떨어지면(지연차단동작), 이로 인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3)도 "오프"되어 저항(R13)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R10-R11을 통하여 흐르게 되므로서 트랜지스터(Q4)가 도통되며 트랜지스터(Q5)가 "오프"된다.
즉 릴레이 구동용 코일(L)에 흐르던 전류의 공급이 중단되어 릴레이(Ry)가 "오프"되도록 TV는 자동으로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것이다.
만약 선국의 방송신호가 콘덴서(C1)와 저항(R4)의 방전시정수에 의한 방전으로 인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가 "오프"될 때까지의 시간 이상으로 중단되면(당일 방송마감등) 릴레이(Ry)가 "오프"되고, 채널을 돌리는 동안 또는 방송국 사정 등으로 잠시동안(콘덴서(C1)의 전압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가 오프되는 전위가 되기전까지) 방송신호가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면 릴레이(Ry)는 "오프"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신호감지부(3)는 다음과 같이 AND 효과가 있어 영상동기신호와 플라이백 펄스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시에만 릴레이(Ry)가 "온"되는 것이다.
즉, 영상동기신호와 플라이백 펄스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면 트랜지스터(Q1)가 "온",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어 접속점(A)의 전압은 하이레벨(High Level)이 되고, 플라이백 펄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접속점(A)의 전압은 로우레벨(Low Level)이 되고, 영상동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트랜지스터(Q1)가 "오프", 트랜지스터(Q2)가 "온"되므로 접속점(A)의 전압은 로우레벨이 된다.
이를 알기 쉽게 나타내면,
이와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본 고안은, 영상동기신호와 플라이백 펄스신호를 트랜지스터(Q1) 및 (Q2)의 AND 효과에 의하여 방송유무를 감지하도록 하여 충방전회로(4) 및 릴레이 구동부(5)의 동작을 제어하므로서 당일 방송마감이나 방송국 고장 등으로 일정시간 이상 방송이 중단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되어 시청자가 TV시청중에 잠이 들어도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되므로 절전 및 TV수명 연장의 효과가 있으며 충방전 시정수를 적절히 하여 F.S(Frequency Synthesize)에 의한 방송국 탐지선국 등에 이용할 수 있는 다목적용 장치인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에 영상동기신호(1)를 연결시킨 트랜지스터(Q1)와 콜렉터(A)에 플라이백 펄스신호(2)를 연결시킨 트랜지스터(Q2)를 서로 역작용하도록 접속하여 구성되는 신호감지부(3)의 접속점(A)에, 에미터에 다이오드(D3)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3)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를 직결하여 용도에 따라 그 값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콘덴서(C1) 및 저항(R4)과 다이오드(D2)에 접속시켜 되는 충방전회로(4)를 연결시키고, 공지의 릴레이 등전자 개폐기 구동부(5)를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연결하여 되는 TV방송신호 유무판별 및 전원자동 차단장치.
KR2019810003415U 1981-05-13 1981-05-13 Tv방송신호 유무판별 및 전원자동 차단장치 KR820001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3415U KR820001922Y1 (ko) 1981-05-13 1981-05-13 Tv방송신호 유무판별 및 전원자동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3415U KR820001922Y1 (ko) 1981-05-13 1981-05-13 Tv방송신호 유무판별 및 전원자동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922Y1 true KR820001922Y1 (ko) 1982-09-09

Family

ID=19221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3415U KR820001922Y1 (ko) 1981-05-13 1981-05-13 Tv방송신호 유무판별 및 전원자동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9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8476A (en) Automatic backlight on/off control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television
EP0763882A1 (en) Load driving device
US4443719A (en) Voltage isolated gate drive circuit
GB2158314A (en) Switching semiconductor devices
US4746814A (e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ducting primary current upon receipt of a control signal
KR820001922Y1 (ko) Tv방송신호 유무판별 및 전원자동 차단장치
US3512040A (en) Television receiver deflection circuit using a controlled rectifier
US4208594A (en) Power monitor for use in starting and stopping a digital electronic system
US3949164A (en) Television signal detecting circuit
US4200813A (en) Circuit arrangement comprising a high-voltage power transistor
US4100464A (en) Electric amplifying arrangements
US4906876A (en) Base drive circuit
JPH0417510B2 (ko)
KR860001647Y1 (ko) 다기능 텔레비전의 전원 제어회로
KR820001966Y1 (ko) T.v 전원 자동 차단장치
JPH08111615A (ja) 電力増幅回路
KR850000104Y1 (ko) T.v전원 자동 차단기
US3532811A (en) Circuit for separating sync signals from a composite video signal
KR850001848Y1 (ko) Tv전원 자동 차단회로
KR860001931Y1 (ko) 텔레비젼의 방송신호 검출회로
KR910000104Y1 (ko) Tv와 오디오/비디오의 스위치 회로
JPH0537322A (ja) 制御信号の出力回路
JPS57162575A (en) Vertical deflecting circuit
KR800001481Y1 (ko) Tv원격 조절회로
KR880001878Y1 (ko) 리모콘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음량 표시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