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910B1 - 산업장치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산업장치 지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910B1
KR820001910B1 KR7902251A KR790002251A KR820001910B1 KR 820001910 B1 KR820001910 B1 KR 820001910B1 KR 7902251 A KR7902251 A KR 7902251A KR 790002251 A KR790002251 A KR 790002251A KR 820001910 B1 KR820001910 B1 KR 820001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s
room
industrial equipment
height
indust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꼬드릉 휠립
바이양 로베르
Original Assignee
레옹 보겔웨뜨
알스똥 아뜨랑띠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옹 보겔웨뜨, 알스똥 아뜨랑띠끄 filed Critical 레옹 보겔웨뜨
Priority to KR790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산업장치 지지구조물
제1도는 본 발명의 산업장치 운반 구조물의 도시적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구조물을 부분적으로 잘라낸 부분 사시도.
제3도는 물에 띄울 수 있는 배로 이용되는 본 발명의 구조물의 도식적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구조물의 방속에 수압 조정 튜우브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부분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구조물을 그 구조물상의 하중분포, 따라서 여러 존(Zone)으로 나눈 것을 도시하는 도식도.
제6도 및 7도는 본 발명의 운반구조물상에 산업장치를 고정시키는 두가지 방식을 도시하는 도식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한편으로는 산업장치의 제작장소로 부터 그것의 사용장소로 수송을 가능하게하는 물에 띄울 수 있는 배로서, 또 한편으로는 상술한 장치를 그 사상장소에 설치할 때 당속의 기초로서 이용될 수 있는 산업장치 지지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해상 수송용 배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운반구조물상에 산업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은 현재 이미 알려져있는 사실이다. 그러한 공지의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단점이 있었다. 즉 그들은 깊은 바다를 항해해야 되고 매우 높은 스트레스를 받아도 크게 변형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에 그들은 충분히 강하고 기계적인 저항성을 가져야만 했던 결과 중량이 많이 나가고 힘이 많이 들었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물은 산염장치의 사용 장소에서 땅 속으로 들어가든가 또는 바다 밑바닥으로 가라앉기 때문에 그들의 무시할 수 없는 하중과 힘은 사용 장소에서 힘든 기술 작업을 필요하게 했다. 상술한 구조들이 기초로서 이용되기 위하여 땅속에 자리잡게 되면 그들은 부식을 많이 받았다. 더우기 해상수송을 위해서는 그들이 여러개의 방으로 되어 있어야되며 하중장치를 함께 설치해야만 했었다.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상술한 단점들을 명백히 제거하고 동시에 그러한 구조물을 단순화시키고 그 구조물의 비용을 충분히 감소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상부가 밀폐되고, 밑바닥이 열린 인접한 빈방들의 단일 조립체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한편으로는 상술한 장치 수송용 배로서, 또다른 한편으로는 산업장치를 사용장소에 지지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구조물은 그 상부가 밀폐되고 그 바닥은 열려 있으므로서 상술한 방들내에 제한된 공기로 인하여 물에 뜰수 있는 벌집모양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구조물은 똑같은 형태의 공지의 구조물보다 훨씬 가벼우며 그 비용도 또한 똑같은 재료에 비해서 매우 저렴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본 발명의 일례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참조부호(10)로 표시한 본 발명의 운반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있는 산업장치(11)를 제1도에 도시하였다. 비한정적인 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운반구조물(10)이 길이가 약 100m, 넓이가 약 30m 및 높이가 1.5-2m인 직사각형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서 더욱 명확하게 알수 있는 바와같이 기본적으로 수평의 강체비임(12)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구조물(10)은 수평의 강체비임(12)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함으로서 직사각형의 방(13)을 형성하고 있는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비임(12)의 모양은 실체의 단면이 수직의 웨브(web)의 하부의 플렌지(14)로 구성되어서 도시된 T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비임(12)의 웨브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수직의 보강 리브(rib)(15)가 비임(12)에 설치되어 있어서 바람직하다.
종방향 및 횡방향 비임(12)에 의해 형성되는 인접한 방(13)은 상부가 적당한 재료로된 얇은 판(16)으로 밀폐되어 있는 반면에 하부 또는 바닥은 열려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조물(10)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부가 얇은 판(16)으로 밀폐되고 그바닥은 열린 다수의 인접한 방(13)으로 구성되어 있는 엘비올레이트 형태이다. 상부판(16)은 단지 밀폐 덮개의 역할만 한다. 비한정적인 예에 의해서 방(13)의 크기는 3×6m 정도이며 상부의 얇은 판(16)은 재료가 강철일 때는 0.7-1mm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물(10)은 기본적으로 바닥이 없고 똑같은 재료에 대해서도 하중이 훨씬 적게나간다는 점에 있어서 공지기술에 의한 구조물과 틀리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물과 공지기술에 의한 구조물의 하중 및 비용 사이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1 : 4 또는 1 : 3 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상술한 구조물을 배로 사용하였을 때 방(13)의 지지된 하중에 의한 수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장치를 도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론적으로는 여러개의 방으로 된 또는 벌집 형태의 구조물에 장용된 수압은 그 구조물의 각점에 걸인 하중에 비례한다. 최대 하중이 작용된 지점에서의 수압은 최대이며, 하중을 받지 않는 지점에서의 수압은 0이며, 중간정도의 하중을 받는 지점에서는 중간정도의 수압을 받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13)은 밑바닥을 갖고 있지 않으며 각 방속의 수압이 조절됨으로서 물이 방 속으로 일정한 높이로 올라온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제3도에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구조물(10)은 물의 표면에 떠 있다. 방(13a, 13c, 13d 및 13e)은 그 내부를 외부대기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장치로 설비되어 있다. 이들 장치는 상부의 엷은 판(16)을 밀폐식으로 통과하는 튜우브(1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튜우브는 그들이 결합되어 있는 방(13)속에서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뻗어 있으며, 이 높이는 문제의 방에서 상술한 구조물에 의해 지지된 하층에 따라서 결정된다. 상술한 구조물이 물에 떠있을때 상술한 방 속으로 물이 올라오는 높이를 결정짓는 것은 방(13) 속의 튜우브(17)의 높이이다. 진실로 물의 높이가 방(13) 속에서 튜우브(17)의 하부 끝에 도달하지 않는한 상술한 방속에 들어있는 공기는 튜우브(17)를 통하여 밖으로 나갈 수 없다. 물이 튜우브(17)의 하부 끝에 도달하면 방(13)속에 들어있는 공기는 더 이상 밖으로 빠져나갈 수가 없다. 그러나 공기의 압축으로 인하여 물은 상술한 방속에서 약간은 위로 올라오며, 연결용기(communicating vessel)의 원리에 의해 구조물(10) 주위에서 물이 자유표면의 높이까지 튜우브(17)속에서 올라온다.
제3도에서 방(13b)은 튜우브(17)을 갖고 있지 않다. 상술한 방은 지지되어 있는 하중이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이 하중을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방(13b)의 수준에서 수압은 최대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물은 그 방속에 들어있는 공기의 압축이라는 이유만으로서 이 방속으로 올라온다. 반대로 말하자면, 구조물(10)은 방(13e)에서 아무런 하중을 받고있지 않기 때문에 거기에 결합된 튜우브(17)는 방 (13e) 속에서 물의 외부 자유표면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뻗어있다. 방(13e)에서의 수압은 0이다.
방(13a, 13c 및 13d)은 튜우브(17)가 이들 방속에서 뻗어있는 높이가 실제로 지지된 하중에 비례하는 중간값의 위치에 대응한다.
물론 제3도가 도식적이고, 단지 본 발명의 원리만을 도시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실제의 있어서는 구조물(10)은 대단히 많은 방(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제5도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그 숫자가 140개나 되며 이들의 대부분에는 튜우브(17)가 적당한 높이로 조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투우브(17)의 높이는 구조물(10)에 의해 상술한 방의 지지되는 하중의 계산에 따라 미리 결정된다. 그러나 방(13)속에서 튜우브(17)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필요는 없으며 상술한 방들은 여러개의 보조 조립체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하고 그 각보조 조립체 내에서의 수압을 단일값으로 조정함으로서 충분하다. 즉, 동일한 보조 조립체를 형성하는 방들은 서로 통하게끔 설치되어서 그들 각 방의 튜우브(17)는 똑 같은 높이로 조정된다.
제5도는 140개의 방을 가로로는 부호(Ⅰ, Ⅱ, Ⅲ 및 Ⅳ) 및 세로로는 부호(A, B, C)에 의해서 13개의 보조조립체로 분리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보조 조립체(Ⅱ)는 침수(dip) 튜우브를 갖고 있지 않다.
반대로 다른 그룹(Ⅰ,Ⅲ, Ⅳ 및 Ⅴ)의 보조 조립체(A, D 및 C)의 방(13)은 모두 침수 튜우브로 장치되어 있다. 각 보조 조립체의 있어서 튜우브의 높이는 똑같이 조정되어 있으며, 이들 높이는 지지된 하중에 따라서 보조 조립체마다 틀리다.
제4도는 방(13)속에 침수 튜우브(17)를 고정시키는 한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튜우브(17)의 상부 끝은 부호(18)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16)에 용접되어 있으며, 상부면(16) 아래에서는 비임(12)에 고정되어 있는 수직 보강 리브(rib)(15) 위의 두개의 위치(19)에서 용접되어 있다.
제6도 및 제7도는 구조물(10) 위에 산업장치를 설치하는 두 가지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비교적 적은 하중의 장치(11a)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얇은 판(16)의 상부면서 직접 고정되어 있는 두개의 받침대(20)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더 큰 하중의 장치(11b)도 또한 비임 (12) 또는 적당한 보강장치 위의 얇은 판 (16)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는 하중 분산판(22)에 고정되어 있는 받침대(21)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얇은 판(16)이 강철로 되어 있다면 상술한 연결은 물론 용접으로 하여야 한다.
구조물(10)은 아무런 적당한 재료라도 좋다. 바람직한 예를 들자면 강철이 좋으나 콘크리트, 유리섬유 또는 기타 재료(일부는 콘크리트, 일부는 강철) 등도 괜찮다.
본 발명의 다른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용된다.
구조물(10)을 육상에서 적당한 위치에 조립 건조하고 거기에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산업장치(11)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킨다. 튜우브(17)를 예컨대,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각방(13) 속에서 그 방에 지지되는 하중에 따라 적당한 높이로 설치한다음 장치(11)를 지지하는 구조물(10)을 잔잔한 물위에 띄운다. 여러 방(13) 또는 여러개의 보조조립체에 작용된 각 수압은 구조물(10)의 중대한 상대적 수직변형을 제거한다. 다음에 구조물(10)은 반침수형 바지-캐리어(barge-carrier)나 또는 임의의 적당한 항해기구에 의해 공지의 방법으로 실려 사용장소로 수송되어 다시 바지-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장소에 최종적으로 설치된다.
구조물(10)은 예컨대 땅속에 장치되어 산업장치(11)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를 구축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방(13)을 콘크리트나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재료로 채우는 것이 좋다. 따라서 구조물(10)이 부식될 지라도 그것은 그리 중요하지 않으며 방(13) 그 자체에 들어 있는 콘크리트가 부식에는 무관한 기초를 구축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단지 설명을 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에 의해 어떠한 방법으로 제한받지 않는다.
특히 상술한 장치나 그들의 조합에 의한 것과 기술적으로 대동하며 부기한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장치들은 모두 본 발명에 속한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산업장치수송을 배로서 이용되는 한편 산업장치가 그 사용장소에 설치될 때 땅속의 기초로서 이용되고 상부가 밀폐되고 밑바닥이 열린 인접한 빈방들의 단일조립체로 구성되는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에서 지지되는 하중에 따라서 최소한 몇개의 방속에서 그 밑바닥의 구멍으로 부터 그들의 높이의 일부분에 물을 채우는 장치가 이들 방 속에 담겨진 공기가 배로서 이용될 때 예정된 제한양 만큼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어 상부는 산업 장치를 직접 지지하는 얇은 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장치 지지구조물.
KR7902251A 1979-07-07 1979-07-07 산업장치 지지구조물 KR820001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251A KR820001910B1 (ko) 1979-07-07 1979-07-07 산업장치 지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251A KR820001910B1 (ko) 1979-07-07 1979-07-07 산업장치 지지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910B1 true KR820001910B1 (ko) 1982-10-19

Family

ID=1921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251A KR820001910B1 (ko) 1979-07-07 1979-07-07 산업장치 지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5170B2 (en) 2009-02-10 2013-07-02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of Seoul Women's University Tool for realizing the Korean alphabet using a consonant and vowel combin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5170B2 (en) 2009-02-10 2013-07-02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of Seoul Women's University Tool for realizing the Korean alphabet using a consonant and vowel combin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90406A (en) Stabilized column platform
CN110461702B (zh) 浮动海上平台
US3191388A (en) Slender column support for offshore platforms
US2422168A (en) Marine tower and method of placing same
AU634996B2 (en) Underwater build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4565149A (en) Semi-submergible spherical residential structure
EP0991566B1 (en) Deep draft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US3886753A (en) Submersible structures
US4648750A (en) Jacket tower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20030140838A1 (en) Cellular SPAR apparatus and method
WO2004110855A2 (en) Semi-submersible multicolumn floating offshore platform
US3824942A (en) Offshore underwater storage tank
US3710582A (en) Unique subsea storage vessel and unique method of lowering same
GB2168098A (en) Fixed marine steel structure and procedure for assembly of the structure
US4014176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buoyant forces to offshore tower legs and providing and enclosing buoyancy chambers
US3803855A (en) Submerged oil storage tank
US3879952A (en) Pressure resistant caisson
KR820001910B1 (ko) 산업장치 지지구조물
US2238974A (en) Floating structure, station, and seadrome
US4181452A (en) Oil-production platfor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same on a sea bed
US4834014A (en) Floating platform structure
US3990254A (en) Marine structure for offshore activities
EP0830280B1 (en) Hollow concrete-walled structure for marine use
KR900006933B1 (ko) 해상 플렛폼용 강철제 구조물
US3053216A (en) Floatable ho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