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650Y1 - 미세물질의 압축공기식 송출용 컨테이너 바닥 - Google Patents

미세물질의 압축공기식 송출용 컨테이너 바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650Y1
KR820001650Y1 KR2019820004260U KR820004260U KR820001650Y1 KR 820001650 Y1 KR820001650 Y1 KR 820001650Y1 KR 2019820004260 U KR2019820004260 U KR 2019820004260U KR 820004260 U KR820004260 U KR 820004260U KR 820001650 Y1 KR820001650 Y1 KR 820001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elivery
central
delivery chamber
fin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4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자우 게트하드
롬파 균터
스타인만 만프레드
보데 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폴리시우스 악팅 겟셀샤후트
헤르만 쉬리춰헤르레
발레르 리펠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시우스 악팅 겟셀샤후트, 헤르만 쉬리춰헤르레, 발레르 리펠만 filed Critical 폴리시우스 악팅 겟셀샤후트
Priority to KR2019820004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6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6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세물질의 압축공기식 송출용 컨테이너 바닥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바닥의 수직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바닥의 수평단면도(평면도).
본 고안은 미세물질의 압축공기식 송출용 컨테이너 바닥에 관한 것으로, 그 중앙 물질 송출대(discharge zone)에 있는 연속적으로 통풍되는 바닥에는 하나 이상의 물질 송출구가 있고, 그 바닥위로 지붕형 카버가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수의 운반 채널이 중앙물질 송출대 쪽으로 방사상으로 뻗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통풍되는 바닥은 물질 송출대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그 상부는 물질 수송구멍이 설치된 카버로 덮여 있다.
공지의 구조에서는 중앙물질 송출대의 바닥이 운반 채널의 바닥(최저점)과 같은 레벨에 배치되어 있는 반면, 본 고안에서는 중앙송출대의 바닥이 더 낮다. 여러가지 시험결과, 이 방법에 따르면 채널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이 바닥과 지붕형 카버에 의해 정해진 중앙 송출실 속으로 어려움 없이 흘러 들어가서 채널로부터 중앙 송출대까지의 이동구역이 막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내부 채널 말단에서 이렇게 물질이 균일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보장됨에 따라 또한 물질은 보다 내부쪽에 있는 수송 구멍에서만이 아니라 카버에 있는 수송구멍들을 통해 전체 채널 길이에 걸쳐 운반채널 속으로 수송될 수 있게 되었다.
본 고안에 따라 중앙 송출대의 바닥이 더 낮게 배치됨으로써, 송출대에는 운반채널을 통한 균일하고 결함없는 물질공급이 손상되는 일 없이, 빠져나가는 물질을 위해 필요한 간격이(나가는 물질의 양의 변동을 고려하여)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편리한 개량에 따르면 바닥과 지붕형 카버에 의해 정해진 중앙 송출대의 송출실내에는 레벨 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채널의 통풍이 그 레벨 측정장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데, 채널의 통풍은 송출실이 더 높은 레벨에 도달하면 감소 혹은 중단되고 송출실이 더 낮은 레벨에 도달하면 증가 혹은 개선된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는 관통 혼합사일로(1)(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음)의 바닥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바닥은 중앙송출대(3)이 있는 콘크리트 플로어(floor)(2) 및 중앙송출대(3)으로 방사상으로 뻗은 다수의 운반 채널(4)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송출대(3)은 연속적으로 통풍되는 바닥(5)(이 바닥의 통풍연결부는 도시하지 않았음)와 지붕형 카버(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중앙송출대(3)의 송출실(7)은 하우징(8)에 의하여 측방으로 제한되어 있는데 이 하우징에는 채널(4)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의 진입용 구멍(9a, 9b)가 있다.
채널(4)는 약간 기울어진 위치(외부로부터 내부로 경사)로 주변에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고 훼브(10)상에 지지되어 있다. 각 운반 채널(4)의 채널 바닥에는 통풍장치(11a, 11b)가 설치되어 있고 방사상 내부 통풍장치(11a) 및 외부 통풍장치(11b)는 분리통풍(연결부 12a, 12b)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채널(4)의 상부는 물질 수송구멍(14a, 14b 및 14c)가 설치되어 있는 카버(13)으로 덮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수송구멍(14a-14c)의 크기는 내부로부터 외부로 갈수록 조금씩 커진다.
채널(4)의 카버(13)은 채널의 바닥과 평행하게 뻗어 있다. 방사상으로 운반 채널(4)가 연장되는 외경은 사일로(1)의 최대 내경(D)와 같다.
통풍용 렌스(lance)(15)는 운반 채널(4)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송출대(3)의 중앙송출실(7)에는 통풍튜우브(16)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튜우브의 구멍(16a)는 원추형 카버(6)의 첨단 바로 아래까지 뻗어있다. 송출실(7)내에 수직으로 배치된 통풍튜우브는 구멍(17)과 인접한 송출관(18)을 통해 외측방으로 빠져나가서, 사일로(1)로부터 송출된 물질을 운반하는 압축공기식 운반채널(19) 속으로 투입되어 있다. 송출관(18)과 채널(19) 사이에는 운반 및 봉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송출실(7)에는 하부 및 상부에 레벨감지기(20)과(21)로 된 레벨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레벨감지기(20)은 송출실(7)의 바닥(5) 위에 비교적 근접 배치되어 있고 상부 레벨감지기(21)은 입구(9a, 9b) 위에 근접해서 그리고 통풍튜우브(16)의 구멍(16)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송출대(3)의 바닥은 본 고안에 따라 운반 채널(4)의 바닥보다 아래에 놓인다. 레벨의 차이는(송출실(7)로 들어가는 채널(4)의 구멍 영역에서) 컨테이너 반경의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사이이지만 최소한 0.5m 이상에서 최대 약 4m 이하이어야 한다.
각 채널(4) 사이에 배치된 컨테이너 바닥의 부채꼴 대역(22)의 기울기와 높이는 인접 채널(4)들의 카버(13)과 거의 같다. 운반채널들 사이에 배치된 이들 부채꼴 대역(22)에는 제2도에서 하나의 부채꼴 대역에다(23)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통풍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그란 도시된 실시예를 일부 수정하여 각계의 채널(4)들 사이에 배치된 컨테이너 바닥의 부채꼴 대역(22)가 중앙 송출대쪽으로 뻗는 용기에지를 갖는 통풍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지붕형 경사표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미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일로의 조작에서 운반채널(4)의 통풍은 레벨 측정장치(감지기 20, 21)의 신호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채널의 통풍은 송출실(7) 내의 물질 레벨이 상부 감지기(21)의 레벨에 도달했을 때 중단되고 물질의 레벨이 하부 감지기(20)의 레벨로 떨어졌을 때 개시 또는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앙 송출실(7)이 과도하게 충만되지 않으므로, 채널로부터 송출실(7)까지 균일하고 양호한 물질 공급이 보장되는 것이다.
채널(4)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동시적으로 또는 대개 적합하기로는 주기적으로 연속 연결시킬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한개의 채널만 또는 복수개의 채널, 예를 들면 두개의 채널씩 동시에 통풍시킬 수 있다.
통풍용 랜스는 특히 잘 흐르지 않는 물질을 채널(4)에 의해 송출실(7)로 공급할 경우 사용된다. 이 랜스(15)는 랜스 구멍에서의 공기 송출속도가 100 내지 400m/s, 적합하기로는 200 내지 300m/s 사이가 되도록 펄스식으로 구동된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 랜스의 앞쪽에는 0.5 내지 1.5바아(과압력)의 공기압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간단한 펄스식 통풍덕택에 전체 필요요건은 아주 간단한 편이다.
채널(4)의 방사상 외부 영역이 물질이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방사상 내부 통풍장치(11a)보다 방사상 외부 통풍장치(11b)에 좀더 많은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좋다.

Claims (1)

  1. 중앙물질 송출실(7)의 바닥(5)가 운반채널(4)의 바닥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송출실(7)에는 하부레벨 감지기(20)과 상부 레벨 감지기(21)로 된 레벨 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레벨 감지기(20)은 송출실(7)의 바닥(5) 위에 근접 배치되어 있고, 상부 레벨감지기(21)은 통풍튜우브(16)의 구멍(16a) 아래에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물질의 압축공기식 송출용 컨테이너 바닥.
KR2019820004260U 1982-05-31 1982-05-31 미세물질의 압축공기식 송출용 컨테이너 바닥 KR820001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260U KR820001650Y1 (ko) 1982-05-31 1982-05-31 미세물질의 압축공기식 송출용 컨테이너 바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260U KR820001650Y1 (ko) 1982-05-31 1982-05-31 미세물질의 압축공기식 송출용 컨테이너 바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2738 Division 1978-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650Y1 true KR820001650Y1 (ko) 1982-08-11

Family

ID=1922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4260U KR820001650Y1 (ko) 1982-05-31 1982-05-31 미세물질의 압축공기식 송출용 컨테이너 바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6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86B1 (ko) * 2007-05-31 2008-04-1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입상체 진공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86B1 (ko) * 2007-05-31 2008-04-1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입상체 진공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3394A (en) Apparatus for pneumatically withdrawing fine material from a silo container
US4382723A (en) Silo for storage of powder-like commodities
US4478517A (en) Process and gravity feed mixer for mixing bulk materials in a container
FI74407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landning av korniga material.
US3976232A (en) Device for emptying silos for bulk material, provided with a flat or slightly inclined bottom
EP0765286A1 (en) Conditioning vessel for bulk solids
US4221509A (en) Pneumatic discharge of fine material from a container
KR820001650Y1 (ko) 미세물질의 압축공기식 송출용 컨테이너 바닥
US4676363A (en) Arrangement for feeding bulk material tending to cake
CA1073395A (en) Ducted material handling device for top unloading of a storage receptacle
EP0381424B1 (en) Improved apparatus for blending and withdraw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a vessel
US4128343A (en) Apparatus for blending granular materials
US4273451A (en) Mixing chamber silo with improved mixing
CA1202165A (en) Spreader device in a storage container for uniform filling of the container with granular storage goods
US2834201A (en) Apparatus for measuring humidity conditions in materials
GB2073693A (en) Silo and pneumatic conveyor for bulk material
US4859067A (en) Bulk material mixer
US3456922A (en) Blending
US4364665A (en) Storage and mixing silo for bulk material
US4252478A (en) Silos for storing granular material
US4671030A (en) Bulk silo with aerated mixing or homogenizing chamber
US4236852A (en) Apparatus for the loosening and lifting of aerated pulverized material at an increased pressure from a silo
US268661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scharging pulverulent material from bins
US4930943A (en) Silo for storing and discharging bulk material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silo
DK147045B (da) Toemningsanlaeg for kornformet materiale fra en si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