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523B1 - 전동식 롤러 캐비넷(roller cabinet)의 개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롤러 캐비넷(roller cabinet)의 개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523B1
KR820001523B1 KR1019800004783A KR800004783A KR820001523B1 KR 820001523 B1 KR820001523 B1 KR 820001523B1 KR 1019800004783 A KR1019800004783 A KR 1019800004783A KR 800004783 A KR800004783 A KR 800004783A KR 820001523 B1 KR820001523 B1 KR 82000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ircuit
cabinet
level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구두희
금성통신주식회사
하인츠 디터 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구두희, 금성통신주식회사, 하인츠 디터 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0000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식 롤러 캐비넷(roller cabinet)의 개폐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롤러 캐비넷의 개폐제어회로를 전방적으로 표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상세하게 표시한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표시한 전자식 키이 회로부분을 상세하게 표시한 회로도.
제4도는 제2로에 표시한 제어회로 부분을 상세하게 표시한 회로도.
본 발명은 정보 보관시 공간의 극대화를 기할 수 있는 전동식 롤러 캐비넷(roller cabinet)의 개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 정보의 다변화와 더불어 많은 자료와 문서를 접하게 되는데, 처리된 정보와 문서를 장기간 보관해야 할 때에 제한된 공간 문제로 고난을 겪게 된다. 이러한 공간 제한 문제는 공간 이용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해소할 수 있는 바, 이동식 캐비넷의 탄생을 불가피하게 만든다. 이동식 캐비넷의 유형은 크게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설계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 다루고 있는 것은 전동식이다. 전동식인 경우에는 어느 한 고정 캐비넷에 설치된 전동기와 함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수의 캐비넷이 개폐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전동기의 개폐동작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자회로가 필요하게 되고, 전동기의 사용에 따른 위험률을 제거시키기 위한 회로가 필요하게 되며, 관계자 이외의 사용을 배제시키기 위한 기능도 아울러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캐비넷에 별도로 각기 설치해야 하는 전동기를 단 1개로 줄일 때 수반되는 이동식 캐비넷의 개폐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아울러 제어장치를 완전 디지털화 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수의 캐비넷 중 1캐비넷의 외면인 사용자 접촉 영역에 키이 보오드(keyboard)를 설치하고 나머지 캐비넷의 외면에는 버튼식 개폐스위치를 각기 설치하였으며, 키이 보오드에서 인입된 신호와 프로그램 스위치(program switch)에 의해 미리 저장된 정보를 비교시키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동작하는 캐비넷의 개폐 키이 제어회로와, 전동기 구동회로, 캐비넷의 개폐 센서, 기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응급 센서(emergency sensor) 등으로 본 발명의 롤러 케비넷용 개폐 제어장치를 구성하였따. 이에 따라 공간 이용이 극대화되고 처리도니 정보 및 자료의 안전보관 및 집중관리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동식 롤러 캐비넷이 만들어지는 바, 이제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롤러 캐비넷의 제어장치를 전반적으로 표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캐비넷의 제어장치는 키이 패드(key pad) 조작을 행하기 위한 키이 보오드(10)와, 상기 키이 보오드(10)에서 인입된 입력과 프로그램 스위치(30)에 의해 미리 기억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비교정보가 서로 다를 때(
Figure kpo00001
=
Figure kpo00002
) AND 게이트(73)을 통해 얼라암회로(70)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비교 정보가 서로 일치할 때(A=B) AND 게이트(71)를 통해 열림 키이 제어회로(40)를 동작시키는 비교기(20)와, 상술한 열림 키이 제어회로(40)의 출력에 따라 해당 캐비넷이 열릴 수 있게 작동하도록 자화되는 마그네트 플란저(magnet paungr)(50)와, 상기 열림 키이 제어회로(40) 및 닫힘 키이 제어회로(80)의 출력에 따라 구동하게 되는 전동기회로(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열림 완료센서(120) 및 닫힘 완료센서(130) 등을 구성시킴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열리거나 닫힐 때 전동기 회로(60)의 동작이 멈추게 하거나 마그네트 플란저(50)를 소자되게 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관계자는 캐비넷 내에 구성되는 프로그램 스위치(30)에 의거 비교기(20)에 관계자의 비밀번호를 기억해 둔다. 그 후 이 관계자가 비밀문서 등이 보관된 캐비넷을 열람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키이 폰 전화기에 구성된 것과 동일한 키이 보오드(10)의 해당 키이를 누루면, 비교기(20)의 A=B단나에서 "하이" 신호가 AND게이트(71)의 한 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버튼식 열림 키(100)를 "온"시키면 전압 Vcc가 AND 게이트(71)의 타 단자에 인가되어 AND게이트(71)은 "온"되고, 그 출력이 열림 키이 제어회로(40)에 인가되자마자 그 출력단에서 "하이" 신호가 발생, 마그네트 플란저(50)의 해당 계전기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해당 플란저를 자화시키고 전동기회로(60)를 동작시켜 전동기를 구동시킴에 따라 해당 캐비넷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일정 수중만큼 캐비넷이 열리게 되면, 이것이 별도로 설치한 열림 완료센서(120)에 저촉함과 동시에 "온"됨에 따라 센서9120)로부터 "로우" 신호가 후술할 제4도의 회로를 거쳐 전동기회로(60)에 인가되어 전동기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 그후 관계자가 캐비넷을 원위치시키고다 할 때에는 미표시된 닫힘 스위치(제2도에서 상세히 설명함)를 "온"시킴과 동시에 닫힘 키이 제어회로(80)가 동작하여 그 출력이 전동기회로(60)에 인가됨과 동시에 전동기 (제2도)가 작동하여 해당 캐비넷이 닫히게 된다. 이때 캐비넷이 완전히 닫히게 되면 캐비넷의 닫힘 완료센서(130)가 작동, 비교기(20) 및 마그네트 플란저(50)의 클럭단자(CL)에서 전동기회로(50)의 클럭단자(CL)에 "로우" 신호가 걸리게 되어 전동기의 동작이 정지하게 된다.
제2,3,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로울러 캐비넷의 제어장치를 상세하게 표시한 회로도이다. 전자식 키이 회로 부분인 제3도와 제어회로 부분인 제4도는 제2도의 일점 쇄선 부분에 각기 표시되는데, 제2도에는 버튼식 열림 스위치(160)(190), 버튼식 닫힘 스위치(170), 응급센서(180)(추후에 상세히 설명함), 열림 완료센서(120), 닫힘 완료센서(130), 전동기(M) 및 그 구동용 계전기(M1)(M2)(RF), 이들 계전기의 해당접점 (m1Ⅰ,m1Ⅱ)(m2Ⅰ),(rfⅠ,rfⅡ)으로된 전동기회로(60)를 구성하였고, 상기 열람 및 닫힘 스위치(160)(170), 응급센서(180), 닫힘 완료센서(130), 열림 완료센서(120) 등과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계전기(RO-R4)와 열림 및 닫힘 표시등(0b,0b′)(1b,1b′)(2b,2b′)(3b,3b′)(4b,4b′)를 구성하였으며, 본 발명에 의한 로울러식 캐비넷의 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공지의 전원회로(150)를 구성하였다. 제2,3,4도에 관한 다음의 호로 설명에서 이해할 수 있게 되겠지만, 캐비넷이 6개인 경우, 제1캐비넷과 제6캐비넷은 고정되어 있고, 제2,3,4,5 캐비넷만 전동기의 동력에 의거 가동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키이 보오드(10)를 제1의 고정 캐비넷에만 설치하고, 제2,3,4,5,6 캐비넷의 외벽인 사용자 접촉 영역에는 열림 및 닫힘 스위치(TOP0,TCL0) (TOP1,TCL1)(TOP2,TCL2)(TOP3,TCL3)(TOP4,TCL4)를 각기 설치하였다. 그러나 제2도에 있어서는 편의상 열림스위치(TOP0-TOP4) 및 닫힘 스위치(TCL0-TCL4)는 부호(190),(160) 및 (170)으로 표시하였다. 따라서 제1캐비넷이나 제1캐비넷과 접히고 있는 제2캐비넷의 면은 키이 보오드(10)를 누르고 제2캐비넷의 외면에 부착된 열림 스위치(TOP0)를 누름으로써 열리게 되고, 나머지 캐비넷은 앞서 제1,2 캐비넷 열람시 키이 보오드(10)을 누른 상태하에서 다시 키이 보오드(10)를 누룰 필요가 없이 해당 스위치(TOP1-TOP4)를 누름으로써 열리게 되고 해당 닫힘 스위치(TCL1-TCL4)를 누름으로써 닫히게 됨을 알 수가 있다(구체적인 동작설명은 이후 설명함).
이제 제1 캐비넷이나 제1 캐비넷과 접하고 있는 제2 캐비넷의 면을 열람하고자 할 때를 고찰해 보자. 본 발명의 제어 회로에서는 5자리 수인 경우를 기억시켜 놓음에 따라 이에 맞게 키이 보오드(10)을 5번 눌러야 한다. 예를 들어 관계자가 2,3,1,5,4를 제3도의 프로그램 스위치(30)를 통해 비교기(25-29)에 기억시켜 놓은 경우, 관계자가 관련 캐비넷 열람시에는 키이 보오드(10)에서 자기의 비밀번호 2,3,1,5,4를 차례로 눌러야 한다. 먼저 "2"를 누른 경우, 이 십진수 "2"는 2차원 좌표면에서 X2,Y1에 해당하므로 키이 보오드(10)의 접점(11b),(10d)가 단락되고 전자식 키이회로(제3도)의 X2,Y1 입력은 "로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3도의 엔코더(12)가 동작하게 되는데 다음의 진리표를 참조하면 십진수 "2"에 대한 논리 신호 형태를 알 수 있다.
[진리 표 1]
Figure kpo00003
상기 진리표 1을 참조하면 심집수 "2"인 경우에는 제3도에 표시한 엔코더(12)의 출력단자 Q1,Q2,Q3,Q4에서 각기 "0","1","0","0"이 출력되어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21)(22)(23)(24)의 A ,B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들 시프트 레지스터(21)(22)(23)(24)의 클럭신호는 펄스 공급회로(90)의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93)의 Q출력에서 공급되는데, 이 펄스 공급회로(90)는 NAND 게이트(91)(92)로 구성된 플립플롭과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93), 기타 저항기 (94)(95)(96)(97), 커패시터(98) 등으로 구성된다. 키이 보오드(10)를 누를 때마다 공통접점(10g)(10h)이 기준점으로 접속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펄스 공급회로(90)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93)의
Figure kpo00004
출력단에서 펄스가 출력되어 시프트 에지스터(21)(22)(23)(24)의 클럭단자(CK)에 공급되며, 마찬가지로 키이 보오드(10)의 접점(10i)이 버튼을 누룰 때마다 기준점으로 단락되므로 시프트 레지스터(21)(22)(23)(24)를 매번 클리어시킨다. 앞서 언급한 키이 보오드(10)의 공통접점(10g)(10h)(10i)의 기능은 기계적인 스위치 기능이고, 그 구조는 일반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시프트 레지스터(21)(22)(23)(24)의 입. 출력 관계는 그 진리표를 참조하면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진리 표 2]
Figure kpo00005
본 발명에서는 시프트 레지스터(21)(22)(23)(24)의 A,B 입력단자를 상호 연결하여 공통으로 사용함에 따라 입력 A,B가 "1,1"인 경우나 "0,0"인 경우에만 출력단자 "QA" 로 출력 "1" 내지는 "0"이 출력됨을 알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성명 목적상 관계자의 비밀번호를 "2,3,1,5,4"로 정하고 프로그램 스위치(30)에 의해 비교기(20)에 번호 "2,3,1,5,4"를 지정해 놓았다고 가정하고 있으므로, 관계자가 번호 "2,3,1,5,4"를 차례로 누룰 때, "2"인 경우에는 진리표 1에 따라 논리 "0","1","0","0"이 엔코더(12)의 출력단자 Q1,Q2,Q3,Q4에 나타나서 시프트 레지스터(21)(22)(23)(24)의 해당 입력단자에 인가한다. 시프트 레지스터(21)(22)(23)(24)의 QA 출력단자에는 진리표 2에따라 각기 논리신호 "0","1","0","0"이 출력되어 이들 논리 신호가 제1비교기(25)의 A0,A1,A2,A3,A4 입력 단자에 각기 인가되고, 그후 시프트 레지스터(21)(22)(23)(24)의 출력은 출력 QA에서 QB오 시프트한다. 다음 십진후 "3"인 경우에는 엔코더(12)의 출력 Q1,Q2,Q3,Q4의 논리수준이 각기 "1","1","0"0,"0"이 되고 이들 논리신호가 시프트 레지스터(21)(22)(23)(24)에 인가된 후, 비교기(26)의 A0,A1,A2,A3 입력단자에 인가되면, 마찬가지로 시프트 레지스터(21)(22)(23)(24)의 출력은 출력 QB에서 QC로 시프트한다. 또한 십진수 "1"인 경우에는 논리신호 "1,0,0,0"이 제3비교기(27)의 "A0,A1,A2,A3"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십진수 "5"인 경우에는 논리신호 "1,0,10"이 제4비교기(28)의 "A0,A1,A2,A3" 입력단자에 인가되며, 십진수 "4"인 경우에는 논리신호 "0,0,1,0"이 제5비교기(29)의 "A0,A1,A2,A3"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비교기(25)(26)(27)(28)(29)에서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입력 B와 새로이 입력된 논리신호 A가 일치할 때, 즉 A=B인 경우에는 비교기(25)(26)(27)(28)(29)에 공통으로 연결된 A=B 출력단을 통해 논리신호 "하이"가 얼라암회로(70)을 AND 게이트(71)의 제2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그런데 A±B인 경우 즉 번호를 잘못 누른 경우에는 A=B 출력단에서 논리신호 "로우"가 얼라암회로(70)의 AND 게이트(71)의 제2입력단자에 연결되거나 인버어터(72)를 통해서 "하이" 상태로 반전된 후 AND 게이트(73)의 제1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AND 게이트(71)의 제1입력단자와 AND 게이트(73)의 제2입력단자에는 논리신호 "하이"가 걸려 있게 되는데, 그것은 열림 스위치(TOP0)를 누르는 경우 Vcc 전압이 기준점으로 연결되어 인버어터(74)의 입력측에 논리신호 "로우"가 걸리게 됨과 동시에 이 인버어터(164)에서 반전되어 "하이"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교기(20)의 출력 A=B 인 경우에는 AND 게이트(71)의 출력이 "하이"상태가 되어 단자 TOQD를 통해 나아가게 된다. A=B인 경우에는 AND게이트(73)의 출력이 "하이" 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76)를 통전시키는데, 제2도에 표시한 전원 공급회로(150)의 B+전압이 버저(BZ)를 통해 제3도에 표시한 얼라암회로(70)의 트랜지스터(76)의 콜렉터와 에미터간에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제2도에 표시한 전원 공급회로(150)의 b점에서 버저(BZ), 트랜지스터(76)의 콜렉터, 에미터를 통해 기준점으로 전류가 흐름에 따라 버저(BZ)가 울리게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관계자외의 사용을 막을 수 있다.
관계자의 사용인 경우, 즉 A=B인 경우에는 얼라암회로(70)의 AND 게이트(71)의 출력이 "하이"레벨이 된다고 앞에 설명하였다. 이 경우에는 "하이" 신호가 제3도의 TOQO 단자를 통해서 제4도의 TOPO 단자에 인가된다(제2도 참조). 이 "하이" 신호가 저항기(201), 슈미트 트리거(202)(203)를 통해서 듀열 J열림 스위치(190)를 눌렀다 놓은 상태이므로 "하이" 레벨을 유지하다가 순간적으로 "로우"레벨로 떨어지는 신호가 되므로, J-K 플립플롭(204)의 제1클럭단자(1CK)에 클럭을 주게 된다. 이와 관련해서 다음의 J-K 플립플롭의 진리표를 참조하면서 다음 단계의 설명을 할 것이다.
[진리 표 3]
Figure kpo00006
주 : ×=불관계(irrelevant)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의 전이
QD=표시된 일정 레벨의 입력 상태가 설정되기 이전의 Q의 레벨 TOGGLE 클럭신호의 ↓전이가 있을 때마다 각각의 출력은 그 ↓ 이전 레벨의 콤플리멘트로 변하다.
* 표시는 비안정 상태, 즉 프리세트 및 클리어 입력이 비활성(하이) 레벨로 복귀할 때 이 비안정 상태는 지속하지 않는다.
진리 표 3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듀얼형 J-K 플립플롭(204)의 기능은 프리세트(1
Figure kpo00007
,2
Figure kpo00008
), 클리어(1
Figure kpo00009
,2
Figure kpo00010
) 레벨이 "하이" 레벨이고, 클럭(1CK,2CK) 레벨이 "하이"에서 "로우"로 변화할 때 Q 출력단자(1Q,2Q)의 레벨은 "하이"가 된다.
현재 플립플롭(204)의 클럭단자(1CK)에 클럭이 주어진 상태이므로 J-K 플립플롭(204)의 Q 출력(1Q)은 "하이" 레벨이 되고, 이 "하이" 레벨의 신호가 저항기(63a)를 경유해서 트랜지스터(63b)의 베이스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63b)는 통전하게 되는데, 제2도에 표시한 전원 공급회로(150)의 a점의 전압이 계전기(RO)를 통해서 트랜지스터(63b)의 콜렉터와 에미터간에 걸려 있음에 따라, 트랜지스터(63b)의 콜렉터에서 에미털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계전기(RO)는 자화되고, 이 계전기(RO)와 연동되어 접점 OⅠ,OⅡ는 "온"된다. 이에 따라서 전원공급회로(150)의 변압기(T) 1차측 220V 단자 R, 계전기(RO)의 접점, OⅠ, 플란저 구동용 계전기(MPO), 기준점으로 연결되는 회로구성이 이루어져 계전기(MPO)가 작동하게 되고 제1 캐비넷과 제2 캐비넷간의 맞물림 상태를 해방시킨다. 즉 이 기능은 솔레노이드 코일의 작용을 이용한 것이다.
J-K 플립플롭(208)의 1Q 출력이 "하이" 레벨이기 때문에 그 콤플리멘트 1
Figure kpo00011
출력은 "로우"레벨의 신호가 된다. 이 "로우"레벨의 신호가 된다. 이 "로우"레벨의 신호는 NAND 게이트(206)에 인가된 후 "하이" 레벨의 신호로 반전되어, 인버어터(207)를 통하여 다시 "로우"레벨의 신호가 된다. 이 "로우"레벨의 신호는 J=K플립플롭(204)의 1J 단자, 플립플롭(205)의 1J, 2J 단자 J-K 플립플롭(208)의 클럭단자(1CK), J-K 플립플롭(209)의 1J,2J 단자에 인가된다. 따라서 J-K 플립플롭(208)의 클록단자(1CK)가 평소 "하이" 레벨을 유지하다가 순산적으로 "로우" 레벨로 전이하면 클럭을 주게 되므로, J-K 플립플로(208)의 1Q 출력이 "하이" 레벨이 되어(진리표 3 참조) NOR게이트(69a)의 제1입력단자에 인가되거나 저항기(66a)를 통해서 트랜지스터(66b)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통전시키게 된다. 이때 전류는 앞의 설명에서 J-K 플립플롭(204)의 1Q 출력에 의해 계전기(RO)가 구동, 그 접점 OⅡ가 "온" 상태이므로, 전력공급회로(150)의 b점, 계전기(RO)의 접점 OⅡ, 다이오드(Oa), 램프(Ob), 제어회로(제4도)의 LOP 단자, 트랜지스터(66b)의 콜렉터, 에미터를 통하여 기준점으로 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열림 램프(ob)가 점등되어 캐비넷이 열람상태로 됨을 표시해 준다.
J-K 플립플롭(208)의 1Q 출력이 "하이"레벨을 유지하면 그 콤풀리멘트인 1Q 출력은 "로우"레벨이 된다. 이 "로우"레벨의 신호는 대트리거시킬 수 있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20)의 1B 및 2A 입력에 인가된다. 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20)의 주변회로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1A 입력은 접지점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로우" 레벨을 유지하고, 2B 입력은 Vcc 단자에 연결되어 있어서 "하이" 레벨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는데, 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20)의 입, 출력 관계는 다음의 진리표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표 4]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상기 진리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20)의 1B 입력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입되면 1A 입력에 관계없이 1Q 출력이 "하이" 레벨의 신호임을 알 수가 있다. 한편 2A 입력이 "로우" 레벨의 신호인 경우에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20) 내에서 "하이" 레벨의 신호로 변환되어 2B 입력 신호와 함께 작용하기 때문에, 진리 표 4에 있어서는 A 입력이 "하이" 레벨의 신호로 간주해야 한다. 따라서 진리 표 4에서 볼 때 A 입력이 "하이"일 때는 B 입력에 관계없이 출력의 논리 수준이 "하이"레벨을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기능을 지니고 있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20)의 1B,2A 입력에 J-K 플립플롭(208)의 1Q 출력단에서 "로우"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20)의 1Q,2Q 출력레벨은 각기 "하이"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NAND 게이트(241)의 출력은 "로우" 레벨의 신호가 되고, 이 출력신호는 NOR 게이트(69b)의 제 2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 NOR 게이트(69b)의 제1입력 단자에도 "로우"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는데, 그것은 J-K 플리플롭(208)의 1Q 출력이 "하이", 2Q 출력이 "로우" 레벨의 신호인 연유로 NOR게이트(69a)의 출력단에서 "로우"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이다. NOR 게이트(69b)의 제1, 제2입력단자의 신호 레벨이 각기 "로우"이기 때문에 그 출력은 "하이", 따라서 트랜지스터(69d)를 통전시킨다. 트랜시스터(69d)가 통전하면 제2도에 표시한 계전기(M1)(M2)가 구동하게 되고, 동시에 계전기(M1)(M2)의 접점(m1Ⅰ)(m1Ⅱ)(m2Ⅰ)이 "온"되어, 3상 22V의 전압이 전동기(M)에 걸리게 되어 전동기(M)가 구동한다. 관련 캐비넷이 일정한 한도로 열리게 되면, 제2도에 표시한 열림완료센서(120)의 센서(120a)가 "온"되어 기준점에 접속되고(이 기능을 예를들어 캐비넷끼리 닿는 곳에 센서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서 가능하다), 슈미트 트리거(258)(259)를 통한 Vcc 전압에 의해 "하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NAND 게이크(230)의 제2입력단자가 "로우"레벨이 된다. 마찬가지로 NAND게이트(231)의 제1입력단자에도 "로우" 레벨의 신호가 걸리므로 NAND 게이트(231)의 출력은 "하이", 따라서 NOR 게이트(235′)의 출력은 "로우" 레벨의 신호가 되고, J-K 플립플롭(208)의 클리어단자(1CLR)의 논리수준은 "로우"가 되어 J-K 플립플롭(208)을 클리어시킨다. 결과적으로 J-K 플립플롭(208)의 출력은 "로우", NOR 게이트(69a)의 출력은 "하이", NOR 게이트(69b)의 출력은 "로우" 레벨이 되어 트랜지스터(69d)를 "턴오프"시키게 되고 전동기(M)의 동작은 정지된다. 트랜지스터(66b)의 베이스를 NOR게이트(69a)의 제1입력단자에 연결시켜 놓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66b)도 "턴오프"되고, 열림 표시등(0b)은 "오프"된다. 이때 100ms 정도의 지연이 J-K 플립플롭(208)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J-K 플립플롭(208)의 특성에 기인한다.
관계자가 정보를 열람 후 캐비넷을 닫고자 할 경우에는, 제2도에 표시한 닫힘 스위치(170)을 누르면 된다. 예를들어, 스위치(TCLO)를 누르면, 제4도에 표시한 슈미트 트리거(261)(262)를 통해서 플립플롭(208)의 제2클럭단자(2CK)에 클럭을 주게 된다. 제2클럭단자(2CK)에 클럭이 주어지면, 진리 표 3에 의해서 제2출력단자(2Q)에서 "하이" 레벨의 신호가 발생되고, 그 콤플리멘트 2
Figure kpo00014
출력에서는 "로우" 레벨의 신호가 발생되는데, 2
Figure kpo00015
출력의 "로우" 레벨의 신호에 의해 NAND 게이트(231)의 출력이 "하이", 이에따라 NOR 게이트(235')의 출력이 "로우" 레벨이 됨에 따라, J-K 플립플롭(208)의 제1클리어 단자(1
Figure kpo00016
)에는 "로우" 레벨의 클리어 신호가 인가되고, 1Q,,2
Figure kpo00017
출력을 반전시키게 된다. "하이" 레벨인 J-K 플립플롭(208)의 1
Figure kpo00018
출력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20)의 1B,2A의 입력으로 인가됨에 따라, 진리 표 4에 의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20)의 2
Figure kpo00019
,1
Figure kpo00020
출력은 각기 "로우" 레벨이 되고, 이에 따라 NAND 게이트(241)의 출력은 "하이", NOR 게이트(69b)의 출력은 "로우", 따라서 트랜지스터(69d)는 "턴오프"되어 전동기(M)의 순방향 구동을 불능으로 만들고, 이와 동시에 J-K 플립플롭(280)의 2Q 출력이 "하이" 레벨을 유지함에 따라 트랜지스터(67b),(68b)를 통전시키게 되어, 제2도의 계전기(RF)가 구동, 전동기(M)가 역방향으로 구동함과 동시에 닫힘 표시등(ob′)가 점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롤러 캐비넷의 제어회로 동작 설명은 키이보오드가 설치된 캐비넷의 열람을 위해 열고 닫는 기능의 전반적인 설명이다. 따라서 이러한 키이보오드가 설치되지 않은 캐비넷의 열람은 제2도에 표시한 버튼식 열림 키이 스위치(160)(TOP1-TOP4)나 닫힘 스위치(170)(TCL1-TCL4)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먼저 제2캐비넷의 제1캐비넷과 접히지 않은 면이나 제3캐비넷의 제2캐비넷과 접하는 면을 열람하고자 할 때는 버튼식 열람 키이 스위치(TOP1)를 누른다. 스위치(TOP1)를 누름과 동시에 슈미트 제4의 트리거(243)(244)를 통해서 J-K 플립플롭(205)의 제1클럭단자(1CK)에 클럭이 주어지고, 1Q 출력단에서는 "하이" 레벨의 신호가, 1
Figure kpo00021
출력단에서는 "로우" 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진리 표 3참조). J-K 플립플롭(205)의 1Q 출력은 저항기(61a)를 통해서 트랜지스터(61b)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이 트랜지스터(61b)를 통전시키게 된다. 트랜지스터(61b)가 통전하기 시작하면, 제2도의 계전기(R1)가 구동하게 되고 그 접점 1Ⅰ,2Ⅱ가 "온"되어 플란저용 계전기(MP1)가 구동하여 제2캐비넷과 제3캐비넷간의 맞물림을 풀게한다. 마찬가지로, 제4도의 J-K 프립플롭(205)의 1Q 출력은 게이트(206)에 인가되어 "하이" 레벨도 변환된 후, 다시 인버어터(207)에서 "로우" 레벨로 변환되어, J-K 프립플롭(208)의 제1클럭단자(1CK)에 클럭을 준다. 그 이하의 동작은 상술한 버튼식 열림 키 스위치(TOPO)를 눌렀을때 즉 제1캐비넷을 열람하고자 할 의 동작과 동일하다.
또 열람 후 닫힘 스위치(TCL1)을 누르면, 이 스위치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스위치(TCLO)를 눌렀을 경우와 동일하다.
상술한 동작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버튼식 열림 스위치(TOP2-TOP4)나 닫힘 스위치(TCL2-TCL4)를 눌렀을 경우에도 TOP1나 TCL1을 눌렀을 경우와 동일하다.
제2도에서, 응급센서스위치(180)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한쪽에서 열람하고 있을 다른 사람이 이것을 의식하지 못하고 다른 캐비넷의 닫힘 스위치를 눌렀을 경우의 사고 예방을 위한 것으로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예를들어, 열림스위치(TOPO)를 누른 후 제1캐비넷을 열람하고 있을 때 다른 캐비넷의 열림 스위치를 제3자가 누르면, 열람하고 있는 관계자에 의해 캐비넷 1에 설치된 응급센서스위치(SEMP)가 "온"되어, J-K 플립플롭(204)의 제2프리세트(2
Figure kpo00022
)의 레벨이 "하이"에서 "로우"로 떨어지게 됨에 따라 진리 표 3에 의거 2Q 출력이 트리거하게 되고, 즉,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인버어터(234)에서 "로우" 레벨로 반전된 후, NAND 게이트(232)의 제1입력단자에 인가되면, NAND 게이트(232)의 제2입력 단자가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NAND 게이트(232)의 출력은 "하이" NOR 게이트(236)의 출력은 "로우", 따라서 J-K 플립프롭(208)의 제2클리어 단자(2
Figure kpo00023
)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J-K 플립플롭(208)의 2Q 출력은 "로우" 레벨의 신호가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68b)를 "턴오프"시키고, 전동기(M)의 역방향 동작은 정지된다.
제2도의 전원공급회로(150)는 널리 알려져 있는 회로이다. 제4도에 표시한 슈미트트리거회로(202)(203)(243)(244)(246)(247)(249)(250)(252)(253)(255)(256)(268)(259)(261)262)(265)(269)(271)(273)(275)의 구성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로울러 캐비넷 제어장치의 가동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구성한 것이며, 제4도의 우상단에 표시된 커패시터 군(230)은 전원공급회로(150)에서 J-K 플립플롭(204)(205)(208)(209),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10)(220)로 전압이 공급될 때 전압변동을 최소로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울러 캐비넷을 제어장치에 의하면, 문서의 시근장치가 가능하게 되어 관계자 이외의 열람을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고, 단 1개의 전동기로 다수의 캐비넷을 열고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한도로 열리거나 닫혀올 때 전동기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응급센서에 의한 연관동작기능에 의해 정보로 완전하게 열람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제기능이 디지털화되어 있어 회로가 간단한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키이 패드용 엔코더(12)와, 프로그램 스위치(30)에 의해 정보를 기억시켜 상기 엔코더(12)의 출력과 비교시키는 비교회로(20)와, 얼라암 회로(70)와, 비교회로(20)용 펄스 공급회로(90)와, 전동기(M) 제어회로(200)와, 전동기 및 마그네트 플란저 구동회로(60')와, 전동기회로(60)와, 플란저용 계전기 및 표시회로(50) 등으로 구성하여서 된 롤러 캐비넷의 개페제어장치.
KR1019800004783A 1980-12-16 1980-12-16 전동식 롤러 캐비넷(roller cabinet)의 개폐 제어장치 KR82000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783A KR820001523B1 (ko) 1980-12-16 1980-12-16 전동식 롤러 캐비넷(roller cabinet)의 개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783A KR820001523B1 (ko) 1980-12-16 1980-12-16 전동식 롤러 캐비넷(roller cabinet)의 개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523B1 true KR820001523B1 (ko) 1982-08-27

Family

ID=1921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783A KR820001523B1 (ko) 1980-12-16 1980-12-16 전동식 롤러 캐비넷(roller cabinet)의 개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52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8941C (en) Electronic lock box system with portable access device
US4511946A (en) Programmable combination electronic lock
KR890004041A (ko) 자동문 구동 시스템
US4232354A (en) Electrically actuated lock for a door or similar access means
CA1210124A (en) Electronic circuit controlling a multiple operation apparatus fitted with an electromagnetic mechanism
KR930015433A (ko) 다수의 전기 부하를 스위칭하는 전기 제어장치
KR980007101A (ko) 이동 무선 전화기의 키 잠금 제어장치 및 방법
US3964058A (en) Do not disturb doorbell
KR820001523B1 (ko) 전동식 롤러 캐비넷(roller cabinet)의 개폐 제어장치
US4749874A (en) Electronic timer
EP0030587A1 (en) Electronic locking device
US3174143A (en) Electrical protective system
US3219804A (en) Control instrument
JPH0130484B2 (ko)
ATE103363T1 (de) Tuer- oder torbetaetigungs-kodierschaltgeraet.
US4134107A (en) Replacement elevator call button assembly
US3739233A (en) Electronic combination lock
CN216871264U (zh) 一种带有静电检测的门禁器
KR890001461Y1 (ko) 전자 해정장치
RU20233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хранения и выдачи пропусков
KR970009461A (ko) 리모트 콘트롤러의 모드전환 방법
US3717795A (en) Code-responsive control circuit
JPS6432567A (en) Supervisory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multiple dwelling house
GB2096236A (en) Electronic combination security device
US3702424A (en) Electronic push button seque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