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365B1 - 헤어 커터(hair cutter) - Google Patents

헤어 커터(hair cut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365B1
KR820001365B1 KR7802943A KR780002943A KR820001365B1 KR 820001365 B1 KR820001365 B1 KR 820001365B1 KR 7802943 A KR7802943 A KR 7802943A KR 780002943 A KR780002943 A KR 780002943A KR 820001365 B1 KR820001365 B1 KR 820001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tting
stroke
eccentric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잔 월터 헨리
맥크 윌리엄
Original Assignee
도미니크 엠. 메자펠레
브리스톨-마이어스 컴페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미니크 엠. 메자펠레, 브리스톨-마이어스 컴페니 filed Critical 도미니크 엠. 메자펠레
Priority to KR780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365B1/ko
Priority to KR8201734A priority patent/KR820001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헤어 커터(hair cutter)
제1도는 이발기에 대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부분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장치를 부분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a도는 최대 편심률을 갖는 편심구동체의 일부분을 부분 절제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4b도는 제4a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써 0의 편심률을 갖는 상기 구동체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제1도의 선 5-5를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6도는 제2도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
제7도는 양호한예의 이발기의 구동체, 조절부 및 블레이드 조립체의 관계를 도시한 분해도.
본 발명은 헤어 커터(hair cutter)에 관한 것이다.
치를 가진 왕복동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머리카락을 절단하고 다듬기 위한 각종 전단기(shear) 및 이발기계가 개발되어 왔다.
일반적인 형태의 이발기는 장치의 손잡이축에 횡으로 왕복하는 블레이드를 가진 왕복등헤드를 가지고 있고, 이들은 혼자 조발을 하기에는 불편할뿐만 아니라 머리를 빗고 조발을 하는데 특별한 기술을 요하게 된다.
또한, 그러한 이발기계들은, 과도하게 깊이 깍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접부위와 일치되게 주의깊게 유지하면서 다듬질 또는 조발시 여러번 조작되어야 하는 비교적 짧은 커팅헤드에 제한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이발기계들을 불유쾌한 소음을 발생하여서 어린이나 동물들에게 두려움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이발기들은 전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되지 못하였다.
이발기계와 그의 손잡이에 종으로 배치된 빗과 왕복등 블레이드를 포함한 전단기 또는 이발기들의 다른 형태가 제안되었다. 이들은 수동식으로 부터 동력식까지 여러가지가 있으며, 손잡이 및 작업부품들은 빗과 브러시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당히 편리하며 사용이 용이하다.
그러나, 이들 이발기들은 아직도 부지불식간에 머리카락을 과도하게 깎거나, 또는 소망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조작을 요하는 경향이 있다.
이 장치들에 높은 모터 및 블레이드 속도가 이용되는 경우, 숙련되지 않은 사람들이 스스로 조발을 하기에는 소음이 굉장한 방해로 된다. 낮은 모터 및 블레이드 속도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모터소음은 감소되지만 블레이드를 오래동안 사용하게 되면 그 블레이드 마찰소음이 발생된다.
이러한 장치의 실제적인 능력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것은 머리의 형상에 따라 여러가지 다른 절단률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높은 절단률은 경사지게 깎는 것에 바람직하다. 보다 낮은 절단률은 얇은 절단작업에 유리하며, 반면 최소절단속도는 최종적인 머리 다듬질을 제공하기 위해서 인접지역들과 일치되게 다듬질하는데 가장 적당하다.
횡으로 왕복등하는 이발기계들이 여러개의 교환가능한 절단 헤드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여러가지 필요조건을 만족시켜 준다고 해도, 종방향 절단기를 갖는 커터는 작은 조립식 헤드와 같이 쉽게 교환되지 않는다.
이것은, 기계의 복잡성을 피하고 숙련되지 못한 사람이 조발할때 조작미숙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될때 특히 중요하다. 만약 각기 다른 절단속도를 갖는 다중 헤드를 설치하고저할때 종으로 왕복동하는 절단기에 고유적인 긴 블레이드 및 가아드조립체는 불편을 주게 된다.
다중 절단 헤드의 필요성을 피하기 위해서는, 단일의 머리절단작업에만 유리한 절단속도에 어떤 절충이 필요하게 되며 그러한 경우 다른 절단작업에 있어서 효율 및 질의 희생이 불가피하게 된다.
그외에도, 중전의 왕복동절단기 또는 전단기들은 이들의 높은 동력에서 블레이드에 이 물질이 들어가는 경향이 있고 블레이드가 무디게 될 수 있다. 절단기에서 끼어든 머리카락 또는 이 물질을 제거하는 노력은 모발절단기의 경우 성가시며 다량 전단작업의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위험하다. 어떤 종전의 장치는 전기 모터를 보호하기 위해서 과부하 보호수단을 포함한다. 그렇지만, 이 수단은 구동블레이드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구동열내의 고정을 해제하는데 요구되고, 그리하여 이들은 마주보는 혹은 고정된 이빨에 대하여 맞물리지 않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 그 끼어진 이 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종전의 절단기 및 전단기들은 전적으로 만족스럽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종축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왕복동 절단블레이드를 갖는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 행정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갖는 왕복동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 행정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갖는 왕복등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열내의 다수의 편심부들과, 절단행정의 길이를 변경시키기 위해 편심의 위상을 조절하는 수단을 가진 왕복동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 행정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위상 조정가능한 편심부재와 또한 과부하 혹은 블레이드에 이물질이 낀 상태하에서 행정이 적게 혹은 0으로 되도록 편심부재들의 위상조정을 허용하는 위상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구동체를 갖는 왕복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장치의 종방향으로 인접한 전단 관계를 가진 치가 형성된 블레이드들을 가지며 또한 전단행정의 길이가 가변적인 왕복동 전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장치의 종방향으로 이접한 전단 관계를 가진 치가 형성된 블레이드를 가지며 또한 왕복동 블레이드의 행정의 길이를 변경시키기 위해서 서로에 대해 위상이 조정될 수 있다는 다수의 편심부재를 갖는 전단 및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종축에 일반적으로 평행히 왕복동하는 전단블레이드를 가지며 또한 그 블레이드의 왕복동 행정길이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갖는 조발 및 머리손질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선치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만곡된 장에 평행인 안내만곡 통로를 따라 서로에 대해 왕복동될 수 있는 만곡된 전단블레이드를 가진 이발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람머리의 만곡된 부분과 유사한 곡률의 절단날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손잡이에 평행한 만곡통로를 따라 서로에 대해 왕복동하고, 또한 절단 가장자리의 곡률에 평행한 블레이드의 만곡된 홈부에 계합하는 보올 베어링을 포함한 보유가이드에 의해 형성된 전단블레이드에 의해서 다듬질 및 이발을 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머리카락과 접촉하는 부재에 인접히 왕복동될 수 있고 또한 전단 블레이드에 의해서 머리카락과 접촉함이 없이 머리카락접촉부재를 사용하도록 그 부재뒤에 하우징내에서 철회가능한 전단 블레이드를 머리카락절단 및 다듬질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머리카락 접촉부재에 인접하여 왕복동될 수 있고 또한 구동모터가 에너지를 얻을때까지 하우징내로 철수되어 있는 모터-구동전단 블레이드을 가진 조발머리손질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수한 목적은, 기구가 손이잡를 포함한 하우징과, 서로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며 일반적으로 손잡이의 종축에 평행한 구동전단블레이드를 가지며 왕복동 행정이 길이방향으로 조정가능하며 전단블레이드가 평상시 하우징의 일부분내로 철수되고, 상기 기구가 또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고 행정의 길이를 변경시키며, 전단블레이드를 철수된 위치로부터 하우징상의 머리카락 접촉부재에 인접한 절단위치로 돌출시키는 단일의 조절부재를 가지는 이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예의 이발기는 손잡이 2를 갖는 케이싱 1과 하부지역에 긴 슬로트 4를 가지는 전방이 좁은 부분 3을 포함한다. 케이싱 1은 성형되고 분리가능한 상하 절반부 5 및 6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절반부는 그들의 결한 스커트(skirt) 8 및 9의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일체적으로 성형된 스냅 캐치(snap catch)7에 의해서 고정된다. 그 전방벽 10에서 하부 절반부 6은 상부 절반부 5의 상부표면에 계합하는 긴 캐치부재 11을 지탱하고 있다.
하부절반부 6의 좁은 부분은 슬로트 4를 가지고 또한 일체적으로 성형된 캐치 13에 의해서 고정된 제거가능한 부분 12를 포함한다. 여러가지의 제거가능한 부분 12에는 모발과 계합하는 여러가지 형상의 빗 또는 레이크(rake) 12a가 제공될 수 있다.
케이싱내부에는 하부 절반부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또한 주 나사 16에 의해서 L-형 브래킷 15가 장착되는 직립 보스 14가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 15는 구멍 18을 갖는 후방 플랜지 17을 포함하며, 그 구멍에는 나사 21에 의해서 후방 플랜지상에 적절히 장착된 모터 20의 축 19가 수용되어 있다.
주 나사 16에 인접해서, 브래킷은 구동열 23을 지탱하는 고정축 22를 지탱한다. 브래킷 15의 전방 연장부 24는 블레이드조립체 27을 지탱하는 레버 26이 설치된 횡축 25를 지탱한다.
모터 20를 둘러싸고 있는 케이싱의 부분에 있어서, 하부 절반체 6은 1쌍의 건전지 29 및 30과 계합하는 스프링아암 28을 지탱하고 있으며, 이 건전지들은 모터-장착나사 21에 의해서 주 브래킷의 후방 플랜지 17상에 장착된 절연체벽 33상의 접점 31 및 32와 계합하고 있다. 접점 32는 스위치 접점 36을 형성하기 위해서 벽 33의 구멍 35를 통하여 연장된 판부분 34를 포함한다.
만약 원한다면, 건전지 대신에 점선으로 도시된 잭크(jack) 부재 37을 통하여 외부 전원으로 부터 모터에 동력이 공급될 수 있다.
모터 및 스위치 접점 36의 전방에, 주 브래킷 15는 케에싱의 횡축에 근소한 각도를 이루어 고정축 39가 장착된 상부 플랜지 38을 갖는다. 축 39는 진동운동을 위해서 장착된 록커아암(rocker arm) 40을 지탱하고 있다. 록커아암 40은 하방으로 연장된 1쌍의 포크(fork)아암 41 및 41′뿐만 아니라 블레이드 조립체 레버 26의 후단 43과 계합하여 상승되도록 위치된 상부 아암 42를 포함한다. 주 브래킷 15의 전방연장부 24에 장착된 스프링 44는 블레이드 조립체 레버 26의 후방부분과 록커아암 40의 상부아암 42와 계합하여 그들에 하향력을 부여한다.
스프링 44의 하향력은 록커아암을 바이어스시켜 그 포크아암 41 및 41′들이 제3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싱의 측벽 45를 향해 외부로 요동된다.
포크 아암 41 및 41′에 인접해서, 측벽 45는 원통형조절버튼, 즉 푸시 버튼 47이 장착된 구멍 46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버튼은 견부 48을 통해서 계합하는 포크 아암 41,41′쪽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먼쪽으로의 왕복운동을 위해서 구동열이 장착된 측 22와 동일축상에 위치된다. 조절버튼 47은 큰 보어 49 및 축보어 50을 포함하는 중앙이 계단진 보어를 갖는다. 보어 49 및 50의 접합부에, 조절버튼은 큰 보어의 스플라인을 가진 부분 51을 가지고 있다. 그 조절버튼은 또한 폐쇄 캡 52를 포함한다.
조절버튼 47의 반대편에 그와 동일축상의 구동열의 장착축 22는 클립 54에 의해 회전적으로 고정된 워엄기어 부(付)슬리이브 53을 지탱하여, 그 슬리이브는 모터축 19상에 장착된 워엄-구동피니온 기어 55와 맞물린다. 워엄-기어부 슬리이브에는 제1편 심부재56이 고정되어 있고 이 편심부재는 축이 샤프트 22 및 슬리이브 53의 축들로 부터 선택된 반경방향거리만큼 편기된 원통형 보어 58을 갖는 주 부분 57을 포함한다.
제2편심부재 59는 제1편심부재의 원통형 보어 58내에 헐겁게 설치된 원통형 부분 60을 포함한다. 그 원통형 부분 60은 제1편심부재의 보어 58내의 홈부 63에 자리잡은 접시형 스프링 62에 의해 제1부재의 견부 61에 대해 축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제2편심부재의 원통형부분 60은, 180°의 원주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제1편심부재의 주부분의 벽에 설치된 스프링부하핀 65에 계합되는 외주 채널 64를 포함한다. 핀 65가 원통형 부분 60에 지탱되는 압력은 코일 스프링 66에 지탱된 고정스크류 67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접시형 스프링 62와 핀 스프링 66에 의해 부여되는 마찰 하중은 편심보어 58내의 원통형부분 60의 상대 회전에 저항을 부여한다. 반면 핀 65는,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이후에 충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마찰 하중이 극복될때 그러한 상대회전의 말단을 제한시키게 된다.
제2편심부재 59는 역시 케이싱의 횡으로 조절버튼 47을 향해서 연장된 축부분 68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축부분은 축보어 50을 통하여 큰 보어 49내까지 연장되어 있다. 스플라인을 가진 부분 52의 지역에 있어서, 버튼이 포크 암에 41,41′-의해서 외부로 충분히 연장된때, 축 부분은 버튼의 양 스플라인 홈들과 맞물린채 클러치핀 70을 느슨하게 지탱하는 횡보어 69를 가지고 있다.
축 부분 68은 주 부분과 제1편심부재 56의 보어의 편심율과 같은 양만큼 원통형부분 60에 대해서 반경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다. 외주채널 64는 제2편심부재의 원통형부분 60의 외주표면에 위치되어 있어서 제4a도에서와 같은 최대치로 부터 제4b도에서와 같은 0에 이르는 두개의 편심위상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축부분 68의 최대 편심통로는 그들 두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보어 50내의 충분한 직경에 의해 조정된다.
원통형부분과 버튼 중간에 위치한 샤프트 68은, C-클립에 의해 고정된 크랭크 아암 71에 계합하고 그 아암은 블레이드 조립체 27의 가동블레이드 72와 계합하는 핀 71′를 가지고 있다.
블레이드 조립체는 레버 26상에 고정된 고정블레이드 73을 포함한다. 블레이드 72 및 73은, 밀접하게 근접하여 있고 만곡되어 있으며 치를 가진 절단날 74 및 75와 만곡된 몸체부 76 및 77을 가진다. 몸체부 76 및 77은 홈들에 의해서 형성된 채널내에서 종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다수의 보올 베어링 80이 수용된 만곡된 홈 78 및 79를 가진다. 보올 80의 종방향간격은 블레이드 표면과의 간섭없이 보올을 느슨하게 수용하기 위한 구멍 82를 가진 얇은 리테이너 81에 의해서 고정된다.
블레이드들은 블레이드의 몸체부를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긴 조립체 요우크 83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고 유지되며, 또한 그 요우크는 종우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대향하는 베어링 판드 84를 포함한다. 스프링 요우크는 연장부 24상의 전방 및 후방 가이드 연부 87 및 88을 따라 주 브래킷 15의 전방 연장부 24의 양측에 계합하는 U-형인 스프링-클립가이드 85 및 86을 포함한다. 그 가이드 연부 87 및 88은 레버 26 위에 고정 블레이드를 고정시키는 핀 89와 등거리로 위치하며 구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금 만곡되어 있다.
건전지와 모터 20의 전기적 연결은 통상적인 것이어서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치 않는다. 그러나 판 접점 90이 포함되며, 또한 인접한 스위치 접점 36과 함께 스위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록커아암 40의 포크아암 41′상에 설치된다. 그 판 접점은 접점 36과 계합하여, 버튼이 그의 큰 구멍 49내에 위치한 클러치 핀 70으로부터 스플라인부분 51을 분리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압압된후 모터회로를 폐로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발기계의 양호한 형태의 작동을 설명한다. 조절버튼 47을 누름에 의해 스위치 접점 90 및 36이 접속되어 모터 20에 동력을 부여한다. 피니온 55는 기어슬리이브 53, 제1편심부재 56 및 제2편심부재 59를 구동시킨다. 제1 및 제2편심부재가 최대을 추련을 위해서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상으로되는 경우, 축 68은 크랭크아암 71에 최대 왕복운동을 부여하고, 가동블레이드 72에 최대행정길이를 제공한다.
스위치의 작동과 동시에, 버튼의 견부 48에 포크아암 41,41′가 접함으로해서 록커아암 40이 요동하에 상부 아암을 경유해서 레버 26의 후단 43에 높은 압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스프링 44의 바이어스를 극복하며 블레이드 조립체가 슬로트 4를 통하여 가동부재 12의 모발 계합부분에 인접한 절단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한다. 다음, 이발기계는 종래의 빗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되고, 블레이드의 만곡된 절단날이 일반적으로 머리 모양과 일치하고 또한 직선 절단날에서 발생되는 것과 같은 접선적 또는 궁형 절단을 방지한다.
절단 블레이드 조립체의 행정을 변경시키고자 할때에는 조절 버튼을 이완시켜 모터에의 회로를 단절시키고 동시에 스프링 44의 바이어스하에 블레이드조립체를 철수시킨다. 그리하여, 버튼이 케이싱의 외부로 충분히 연장되고 클러치핀 70이 스플라인 부분 51과 계합하도록 복귀되어 조절버튼은 제2편심부재 59의 축부분 68과 적극적으로 회전하도록 맞물리게 된다. 외주채널 64와 스프링부하 핀 65에 의해서 부여된 한계내에서 버튼을 회전시킴에 의해, 제4a도에 도시된 최대위치와 제4b도에 도시된 0위상에 근접한 작은 편심사이의 바람직한 위치로 제1 및 제2 편심부재의 편심의 위치가 변경된다. 모터가 단절되지 않으므로, 그 모터는 기어 슬리이브와 피니온기어의 맞물림을 통해 제1편심부재상의 브레이크로서 작동하여서 버튼의 회전은 편심을 다시 조정하도록 접시형 스프링 62와 스프링 부하 핀 65의 마찰을 극복하는데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그후 버튼을 다시 누를때 스플라인 부분 51과 클러치 핀 70에 의해서 형성된 클러치는 스위치 접점 36 및 90의 폐쇄전에 이탈되어 편심부재는 접시형 스프링 62와 스프링부하 핀 65에 의해서 발생된 마찰하중하에서 선택된 위상에 유지된다. 이렇게 버튼이 눌려진때 클러치핀 70과 버튼의 큰 보어 49사이에는 상호 방해현상이 없다. 이는 클러치핀이 축 부분의 횡 보어 69내에서 자유롭게 접동가능하며 또한 축 부분 68과 버튼의 큰 보어 49사이의 편심운동에 적용하기 위해서 보어내에서 단순히 왕복운동을 하기 때문이다.
만약 전단 블레이드에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는 특히 유익하고 안전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우선, 그 이물질이 낀 블레이드는 더이상 이동되지 않으려고 하지만 모터는 계속해서 구동체에 동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접시형 스프링 62와 스프링 부하 핀 65는 두개의 편심부재사이에 선택된 위상관계를 유지시킬 수 없게 되고 따라서, 모터전원이 재빨리 차단된다면 그 편심부재의 편심들이 서로 상쇄되고 왕복동 압력을 제거하는데 충분히 재조정될때까지 그 부재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되도록 한다. 이물질의 제거는 전단이빨 사이의 맞물림이나 전단압력이 제거될때까지 위상 클러치의 회전에 의해서 용이하게 달성된다. 그후 이물질은 잡아당기거나 찢지 않고 또한 손가락에 의한 위험한 조작을 행함이 없이 제거된다. 양호한 예의 이발기의 철회가능한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왕복운동선에 대하여 횡으로 블레이드와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경향을 갖는 철회력을 제공함에 의해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능력을 증가시킨다.
이발기계에 대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교적 길며 궁형으로 된 절단조립체 및 케이싱의 손잡이 부분과의 종방향 정렬배치는 정상적인 빗질작용과 유사한 극도로 편리한 자연적인 손운동등을 제공하여 줄 뿐만 아니라 빗질과 이발의 중간작동으로 사용되도록 하여 준다.
이는 절단조립체가 조절버튼을 해제한때 하우징내로 철회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의 제거가능한 부분상에 장착된 빗 12a는 그 목적을 위해서 별도의 빗을 사용할 필요성이 없이 원할하고 재배치된 성능이 좋은 절단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하우징의 제거가능한 부분 12의 빗 12a가 수염다듬질을 위한 깊이 게이지로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며 머리를 손질하는데에 특히 유익한 전단기를 제공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더우기 본 발명은 이발기 단독적으로 보다는 왕복동 절단기로도 이용될 수 있게하는 작업상의 안전 및 용이성에 있어 분명히 진일보하고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1)

  1. 긴 손잡이 부분을 가진 하우징, 그 긴 손잡이에 대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블레이드, 및 손잡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기 블레이드들중 최소한 하나를 왕복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공지의 헤어커터에 있어서, 제1 및 제2편심부재(56 및 59)로 구성되어 왕복운동 행정(行程)의 길이를 변경시키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고, 사용하지 않은때는, 블레이드(72 및 73)를 하우징 연장부내로 철수시키고, 사용시에는 그 하우징 연장부로부터 빗(12a)1에 인접한 곳까지 블레이드들을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는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터.
KR7802943A 1978-09-27 1978-09-27 헤어 커터(hair cutter) KR820001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943A KR820001365B1 (ko) 1978-09-27 1978-09-27 헤어 커터(hair cutter)
KR8201734A KR820001366B1 (ko) 1978-09-27 1982-04-19 헤어커터의 블레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943A KR820001365B1 (ko) 1978-09-27 1978-09-27 헤어 커터(hair cutt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734A Division KR820001366B1 (ko) 1978-09-27 1982-04-19 헤어커터의 블레이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365B1 true KR820001365B1 (ko) 1982-07-30

Family

ID=1920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943A KR820001365B1 (ko) 1978-09-27 1978-09-27 헤어 커터(hair cut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36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1050A (en) Cutting tool
US7111399B2 (en) Undercutter for a shaving apparatus
AU2006269431B2 (en) Integrated wet shaving and trimming implement
US5054199A (en) Hair cutter
CA2677280A1 (en) Hair removal apparatus
EP1349713A1 (en) Hair clipper with rotating blade assembly
US4498237A (en) Hair trimmer
US5724736A (en) Hair cutting device
CN102528830B (zh) 理发器
JPH04215786A (ja) ひげ剃り及び髪刈り取りの装置
US5794348A (en) Clipper comb
US4214365A (en) Blade assembly
KR820001365B1 (ko) 헤어 커터(hair cutter)
KR820001366B1 (ko) 헤어커터의 블레이드 조립체
DE60107157D1 (de) Elektrisches Haarschneide- oder Haarformungsgerät
AU635585B2 (en) Hairdressing comb
US3093900A (en) Hydraulic shaving implement
CA1109658A (en) Cutting tool
CA1118192A (en) Cutting tool
CN216372301U (zh) 一种偏心传动的电推剪
AU2012223119B2 (en) Integrated Wet Shaving and Trimming Implement
US20230356420A1 (en) Curved moving hair-cutting blades with triangular static blades for fade hair-cutting
KR200263250Y1 (ko) 가위 겸용 빗달린 헤어커트기
GB2294228A (en) Rotary shaving device
KR200426320Y1 (ko) 날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기 이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