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330B1 - 전기적 와이어 콘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적 와이어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330B1
KR820001330B1 KR7800182A KR780000182A KR820001330B1 KR 820001330 B1 KR820001330 B1 KR 820001330B1 KR 7800182 A KR7800182 A KR 7800182A KR 780000182 A KR780000182 A KR 780000182A KR 820001330 B1 KR820001330 B1 KR 820001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wire
connector
hold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월레이스 카리슬 아더
루디실 후레이 딘
Original Assignee
알. 씨. 윈터
웨스턴 일렉트릭 컴패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윈터, 웨스턴 일렉트릭 컴패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 씨. 윈터
Priority to KR780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적 와이어 콘넥터
제1도는 맨드릴 홀더에 맨드릴 홀더가 조립된 상태와, 조립된 2개의 유니트가 콘택트 모듈을 통하여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1a도는 제1도 구조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2a도는 맨드릴과 맨드릴 홀더를 포함하는 리셉터클을 도시한 도면.
제2b도, 제2c도 및 제2d도는 쓰루-스프라이스 하프탭, 브릿징 접속을 행한 본 발명의 응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맨드릴의 개략적 부분 사시도.
제4도 및 4a도는 맨드릴의 개략적 측면도.
제5도는 맨드릴 홀더의 부분적 동작 사시도.
제6도는 맨드릴 홀더의 부분상면도.
제7도는 맨드릴 홀더의 부분 정면도.
제8도는 맨드릴 홀더의 단면측면도.
제9도는 2등분한 콘택트 모듈의 부분적 등각 사시조립도.
제9a도는 모듈 상부의 내측의 부분적 등각 사시도.
제9b도는 모듈 하부의 외측의 부분적 등각 사시도.
제10도는 콘택트 모듈의 부분단면 측면도.
제11도는 콘택트 모듈의 부분 상면도.
제11a도는 맨드릴 홀더 또는 리셉터클에 장착된 콘택트 모듈의 단면 측면도.
제12도는 스트랩핑 콘택트 모듈의 개략적 사시 분해도.
제12a도는 스트랩의 다른 배열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제13a, 13b 및 13c도는 한가닥의 와이어 맨드릴의 상면도, 정면도, 측면도.
제14도는 맨드릴 홀더의 변형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조립도.
제15도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비임 콘넥터에 와이어를 직접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접속하기 원한 구조의 개략도.
본 발명은 전기적 와이어(wire) 접속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교환국에서 행해지는 접속을 의미하는 전화 케이블 접속에 있어서의 둘 이상의 와이어 그룹 접속에 관한 것이다.
전기분야, 특히 전기 및 전기통신 분야에 있어서, 두 와이어 그룹네 대응하는 와이어 접속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경우는 그들의 조건에 따라 상황이 다르고 개개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한 여러 종류의 콘넥터(connector)가 사용되어 왔다.
전기 접속을 행하는데 극히 유효한 한개의 콘넥터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비임(beam)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양단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콘넥터는 도체 절연물을 관통하여 두 가닥의 와이어간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신뢰성있게 접속하기 위한 유효한 매체이다. 그러나, 이러한 콘넥터는 제조단가에 있어서 고가의 비용을 초래하며, 또한 몇가지의 다른 와이어를 접속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겸비하기에는 곤란하다. 예로서, 최근의 전화교환국에 있어서 장래의 사용용도에 대비하여 와이어를 한가닥 또는 그룹으로 하여 콘넥터 블록(block)에 수용할 뿐만 아니라 스프라이싱(splicing) 하프-탭핑(half-tapping), 브릿징(bridging)에 의해 콘넥터를 접속하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이러한 필요성은 콤퓨터 백플레인(computer back plane)의 배선시에도 생긴다. 그러나 현재의 콘넥터는 이러한 모든 기능을 용이하게 행하는데 개념적 및 설계적으로 일반적인 것이 못된다.
또한 양단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비임 소자는 같은 와이어를 몇번이고 재접속하는 경우에, 신뢰성을 잃게 된다. 그러나 전화교환국이나 컴퓨터 백 플레인의 경우에도 같은 배선판으로 적어도 한정된 횟수의 재배선이나 재접속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많은 특징에 의하면 두 측면 맨드릴(Mandrel)의 주위에 접속해야 할 와이어를 정돈하는 것에 의해 스프라이스 형식의 변환이 실현된다. 이 맨드릴은 와이어용의 독립된 안내홈을 가지며 그 양측면에 두 쌍의 상대적 돌기부를 가진다.
이 돌기부의 제각기 내측의 절연체를 키우기 위한 표면이 주어지고 있다. 제각기 와이어는 안내홈의 바닥과 이웃한 두 돌기부 사이에 고정된다.
각 맨드릴은 맨드릴 홀더(holder)의 공동 내부에 삽입되는데, 이 공동은 양측으로부터 두 개의 맨드릴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홀더에는 제각기의 수평면을 관통하여 대칭으로 배열되며 서로 다르게 정렬된 입구의 열이 네줄있다. 홈이 형성되어 있는 비임 콘넥터의 단부는 각각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있어, 맨드릴의 주위에 장착된 입구의 바로 밑에 중심을 둔 대응 와이어를 끼운다.
홈이 형성되어 있는 비임 콘택드 맨드릴(contact mandrel)의 양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외측에 연신되어 있는 제각기의 보호용 타워(tower)의 속에 양단을 수납된다. 상기 제각기의 타워는 맨드릴홀더의 구멍 한 개와 정합한다. 배선된 맨드릴과 홀더의 조립체로 두 개 콘택트 모듈을 수용하는 리셉터클(receptacle)을 구성한다.
리셉터클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것에 의해 스프라이싱, 브릿징 및 시험용의 접점이 리셉터클의 상부와 하부에 증가하는 잇점이 생긴다. 접촉자는 탄성을 가지며, 그 때문에 와이어의 동일점에 반복하여 접속이 가능하게 되는 접촉력이 생기도록 설계된다. 이 구조에 의해, 리셉터클의 어느 한쪽에 콘넥터 블록을 취부하여 콘넥터의 숫놈측을 구성하든가, 또는 스플라이싱의 경우 한개의 콘택트 모듈에 의해서 두개의 리셉터클이 접합될 수 있다고 하는 만능성이 얻어진다.
이 기본적 구성에 있어 모든 부품이 적절히 배치되어 조립되도록 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홀더에 대해 맨드릴을 뜻하게 하지 않게 반대로 취부하든가, 또는 맨드릴 홀더 조립체에 대해 콘넥터 모듈을 반대로 취부하든가 하여 재접속을 그릇되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다른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본콘넥터의 성능이 더욱 향상되고 스플라이싱, 하프-탭핑, 브릿징 콘넥터를 완성할 수 있다. 이것에 관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12쌍의 조립예이다. (11)로 표시된 12가닥 도체의 제1그룹은 (12)로 표시된 대응도체 그룹에 접속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것들은 스플라이스로 되는 팁 리이드(tip lead)로 될 수도 있다. 쌍을 만들고 함께 접속되는 대응링(ring) 리이드는 도체 그룹 (13)과 (14)이다.
각각의 도체그룹 (11)내지 (14)는 맨드릴(100)과 같은 분리된 맨드릴 위에 설치되어 있다. 네개의 맨드릴(제1도에서 2개)은 맨드릴 홀더(200)내에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도의 하부에 도시된 식으로 설치를 할 때, 두 맨드릴과 이들의 공통 맨드릴 홀더(200)은 (150)으로 표시된 리셉터클을 구성한다.
이러한 2개의 리셉터클은 콘택트 모듈(300)에 의해서 접속된다. 이 모듈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각각 6개씩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4열의 절연체 관통홈 형성 비임콘넥터(301)이 24개조로 된다. 맨드릴(100)은 홀더(200)속에 장착된다. 두 리셉터클(150)은 각각 콘택트 모듈(300)상에서 압축된다.
이때, 덮개, 캡 및 다른 보호체가 조립체 주위에 취부될 수 있다. 완전한 접속은 12쌍 도체의 스프라이스에 의해 행해지는데, 주어진 1쌍이 제2b도에 단면도로 도시된다.
기본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층형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로 용이하게 변화할 수 있다. 제2a도에 도시된 기본셉터클(150)은 부수적인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하프-탭을 이루기 위하여 제2c도에 도시된 식으로 배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c도에 (150a)로 표시된 하부 리셉터클은 루프-어라운드(Loop around)형태의 하부 팁 및 링 도체가 하부에 장착되게 배열되어 있고, 상부 리셉터클(150)의 팁 및 링 도체는 이들의 맨드릴(100)에서 끝나게 된다. 이 하프-탭 접속은 동일 케이블상에 여러 콘넥터를 중첩하는 경우, 또는 이미 존재하는 케이블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는 케이블상에 새로운 케이블을 접속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와이어(11)과 (13)을 각각 맨드릴(100)에 조립한 후에, 조립된 맨드릴을 홀더(200)에 취부하면 통상적으로 이 분야에 존재하는 것보다 더욱 양호하게 관련된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공장에서 조립한 이러한 콘넥터의 많은 경우에 제1a도에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리셉터클(150)을 2중으로 스프라이싱하는 것이 더욱 신속히 행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을 제2d도에 도시한다. 이것은 브릿징 접속이다. 리셉터클(150b)에 팁-인(tipin) 및 링-인(ring-in) 도체를 배선한다. 리셉터클(150b)의 양면은 접촉 모듈 (300)을 장착하고 있다. 이것들은 각각 장착하기 위해서, 리셉터클(150c)는 제1팁-아웃트(tip out) 및 링-아웃트(ring out)쌍을 공급하고, 리셉터클(150d0는 제2팁- 아웃트 및 링-아웃트 쌍을 공급한다. 이 브릿징 형식의 접속은 전화교환기 설계에서 이용된다. 즉, 예를 들면, 다수의 장비가 병렬로 접속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와이어 홀더에 두 맨드릴을 이용하면 공간이 작게 되나, 본 발명은 한개의 맨드릴을 수납하는 맨드릴 홀더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면, 제2b도, 제2c도, 제2d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대표적 접속은 도시된 단면에 수직한 중심면에 대해 대칭이 되며, 중심면 양측의 접속은 독립하여 분리된다.
본 콘넥터의 전화교환국에 있어서의 사용은 인트리-베이(intra-bay) 및 인터-베어(inter-bay) 케이블 접속을 포함한다. 콘넥터는 여러 장착 방식을 이용하여 베이-타입(bay-type) 장비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백플레인면 또는 인트라 베이 케이블 채널 내에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콘넥터는 스프라이싱 접속 및 하프-텝 접속에 의하여 오버헤드 케이블랙(overhead cable rack)에 취부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콘넥터는 가입자 구내에 설치된 단말장비로 사용된다.
맨드릴(100), 맨드릴 홀더(200) 및 접촉 모듐(300)의 상세한 구조와 기능을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겠다.
[맨드릴]
맨드릴(100)의 기본 기능은 제3도와 4도에 도시된 루프-어라운드 형상으로 있는 와이어(10)과 같은 다수의 와이어를 받아들이게 되어있다. 와이어는 절연이 안될 수도 있으나, 전화교환기에 응용할 때는 절연된다. 맨드릴은 제4도에 CL로 표시된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을 이룬다. 각각의 와이어는 국도 (117)의 표면(117a)과 교차하며 돌기부의 제1조(105)와 돌기부의 제2조 (106)사이를 통과한다. 이를 돌기부는 와이어 파지 잇빨(110)을 갖는다.
와이어(10)은 돌기부(105)와 (106)의 쌍 사이를 주행하는 통로(101)에 의해 이 위치로 고정된다. 통로(101)에는 돌기부 (105)의 선단부 (111)과 돌기부(106)의 선단부(112)가 있다.
만곡된 표면(102)의 주위와 와이어 안내부(103)으로 유도되는 와이어(10)은 맨드릴(100)의 주위로 신장하는 견부(104)내에 톱니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 후에 와이어(10)은 잇빨 모양으로 된 돌기부(107)과 (108) 및 폭 감소부분(113)과 (114)를 가진 통로(101)을 포함하는 상기한 부재의 반사 영상 부분을 통한다. 제4도와 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0)은 부분(113)과 (114)를 통하는 통로를 (101)에 고정되어 잇빨(110)과 같은 와이어 파지면을 갖는 돌기쌍(107),(108)을 통과한다. 와이어는 어떤 경우에 제4도에 (115)로 표시된 부분에서 절단되며, 또한 어떤 경우에는 제2c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맨드릴(100) 주위를 완전히 둘러싸거나 분리점에서 절단한다.
움푹 들어간 부분(111),(112),(113) 및 (114)에 인접 위치에는 접촉 모듈의 부분을 수납하는 공동(116)이 있다. 궤도(117)은 홀더(200)에서 맨드릴을 제거 가능케 하는 표면을 갖는다. 견부(104)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런너(runner)(118) 형상으로 맨드릴(100)의 두 측면상에 신장한다. 런너(118)의 양 측면상에 대칭으로 돌출한 노브(119)는 맨드릴을 맨드릴 홀더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작동한다.
따라 맨드릴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입구와 출구레그(leg)선에 의해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와이어 안내홈을 구성하고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및 출구 레그선은 맨드릴의 전다부에서 열리고 맨드릴의 후측면을 횡단절단하며 형성된 크로스오버에 접합된다. 일반적인 안내는 U자형이며, 이것의 각각에는 와이어 원호부분이 포함된다. 와이어는 입구 및 출구선의 양방으로 신장하며 와이어 루프의 한쪽은 스프라이스 부분에서 절단한다.
이들 두 개념은 제2c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b도와 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은 U자형 와이어 가이드 내의 레그선이 금속 부재의 한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때, U자형 가이드의 반대측 레그선은 접속의 외부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 접근은 다음의 맨드릴 홀더의 설명에서 다시 언급된다.
[맨드릴 홀더]
제5도 내지 제8도는 두 측판(203) 및 (204)와 중심웨브(205)에 의해 접속되는 하부(212)와 상부(211)로 구성된 맨드릴 홀더(200)의 구조를 도시한다. 판(211)과 (212)의 연부(201)과 (202)에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0)의 양측에 맨드릴을 삽입하는 공동(220)이 있다.
측판(203)내의 두 스냅 구멍(206)와 측판(204)내의 두 상응 스냅구멍(207)은 각각 측판(203),(204)의 내부 표면을 따라 형성된 경사진 홈(208)과 교차한다. 홈(208)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205)에서 끝난다. 홈(208)은 맨드릴(100)의 경사런너(118)을 안내하도록 역활하며, 맨드릴 상에 있는 노브(119)는 측판의 스냅구멍(206),(207)과 단단하게 결합한다. 다른 한쌍의 스냅구멍(209)는 측판(203),(204)의 상부 및 하부단부를 따라 형성되며, 측판(203)상의 스냅구멍은 제5도에 도시된다. 각각의 스냅구멍 입구에는 탄성력을 가진 암(arm)(210)이 형성되며, 이 암의 상면은 완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스냅구멍(209)의 하부보다 더 좋은 입구를 형성한다.
맨드릴 홀더(200)의 하부 표면(212)와 상부표면(211)에는 제5도에 화살표로 표시된 기다란 구멍(217), 즉 4열의 (213),(214),(215) 및 (216)이 형성되어 왔다. 각각의 구멍은 공동(220)에 뻗어 있고 접촉자 구멍 또는 악세스 홀(hole)의 역활을 한다. 열(213)의 악세스 홀(217)은 인접열(214)의 악세스홀(217)에 대해 서로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213)의 구멍(217)의 중심은 열 (214)의 구멍(217)을 분리하는 각각의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비슷한 모양으로, 열(215)내의 접촉자 삽입 구멍(217)은 열(216)의 구멍 217에 대해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열(214)와 (215)의 접촉자 삽입 구멍(217)은 외측열(213)과 (216)의 삽입구멍(217)처럼 서로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열중의 일열(ㅇ{로서, 열 215에 형성된 키이(key) 홀(218)은 맨드릴 홀더 상부(211)이 그것의 길이축 중심선에 대하여 비대칭이 되게 한다. 이 비대칭의 결과, 리셉터를(150)은 콘택트 모듈(300)과 접합되는 적당한 위치로 된다.
[접촉모듈]
접촉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9도에는 제1도와 같은 모듈(300)을 형성하도록 각각 제조된 것을 조립해서 이등분으로 도시했다. 상반부(301)과 하부가 제9a도에 도시되며 하반부(301a)의 하부가 제9b도에 도시되어 있다. 핀 삽입구멍과 두께가 두꺼운 것을 제외하면 상반부(301)은 하반부(301a)와 비슷하다.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반부(301)의 외부 표면에는 (302)로 표시된 콘택트 타워의 4열 (313),(314),(315) 및 (316)이 있다. 각각의 콘택트 타워(302)는 한쌍의 돌기부(303)으로 구성된다.
각 돌기부(303)의 내측에는 홈(304)가 있다. 제9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반부(301)의 홈(304)는 콘택트 타워(302)를 통하여 수직으로 관통한다. 각각의 기다란 홈(304)는 제9a도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버팀대(305)를 계단식으로 정한다. 기다한 홈(304)는 상반부(301)의 내부를 관통한다.
상반부(301)과 하반부(301A)는 구멍(307)중의 하나에 각각 하나씩 핀(306)을 삽입하므로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다. 상반부(301), 하반부(301A)의 두 내면을 합하면 핀(306)은 상반부(301)의 상부 표면위로 돌출한다. 이때 두 반부(301)과 하반부(301A)는 구멍(307)의 신장된 벽부분(308)을 가득 채우기 위하여 핀(306)의 상부를 두드리거나 차겁게 흐르게 하므로서 서로 눌는다. 스테킹핀과 구멍의 장치에 의해 반부를 같이 고착시켜서 접촉 모듈(300)을 형성하면 구조가 편리해진다. 그러나 다른 형성 및 고작 기술도 쉽게 고안될 수 있다.
이렇게 조립했을 때 , 접촉모듈(300)의 상 및 하반부 (301)과 (301a)는 제1도와 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된다. 제9도에 도시된 상반부 (301)의 열 (313)의 콘택트타워(302)는 각각 제9b도에 도시한 열(313)의 대응 콘택트, 타워(302)와 평행하다. 하반부(310a)의 돌기부(303)의 내부 표면에 있는 기다란 홈(304)와 같은 폭을 갖는다. 두 반부가 조립되었을 때, 기다란 홈(308)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 하는 기다란 홈(304)와 일직선으로 배열된다.
열(313)의 콘택트 타워(302)가 열(314)의 콘택트 타워(302)과 서로 다르게 지그재그로 배열되므로써, 열(314)의 주어진 콘택트 타워(302)의 두 돌기부(303)간의 등거리 간격은 열(313)의 두 개의 가장 근접한 콘택트타워(302)의 인접한 돌기부(303)간의 등거리 간격과 동일하게 배지된다. 열(315)와 (316)의 콘택트타워(302)사이에 동일한 배치가 구성된다. 두 내측열(314)와 (315)의 콘택트타워(302)는 두외부열(313)과 (316)의 콘택트타워 (302)와 동일하게 서로 수평으로 일직선상이 배열된다.
스냅암 309는 상반부(301)과 하반부(301a)의 외측 표면의 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신장한다. 각 단부상에 4개씩 있는 8개의 스냅암(309)는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넥터 모듈(300)이 접속될 수 있도록 맨드릴 홀더의 상응 스냅구멍(209)를 결합하기 위해서 갖추어졌다.
절연체를 관통하는 기다란 홈으로 된 비임 콘넥터(350)은 제1도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모듈(300)으로 조립된다. 콘넥터나 콘택트 홈이 형성되어 있는 비임단부(351),(352)를 가진 양단 홈을 구성한다. 제1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기다란 홈으로 된 비임 단부(352)는 도체의 절 연불을 계합하여 관통하며, 이후에 와이어와 직접 금속 접촉하는 대립된 예리한 연부(353)을 갖는다.
각각의 콘넥터(350)은 장착 태브(tap)(354)를 포함한다. 제9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브(354)는 모듈(300)의 견부(305)와 계합하고, 하반부(301A)의 내표면을 점령하는 것에 의해서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합 견부(305a)를 구성한다.
평행한 콘택트 타워(302)의 대응하는 기다란 홈(304)와 (308)은 취부된 콘택터(350) 주위의 루즈(loose)하우징을 형성한다. 인접한 접촉자(350)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확실히 하기 위해, 제9도에 도시한 일련의 공동(310)은 열(313)내지 (316)의 제각기 홈(308) 사이에 형성된다.
제9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반부(301)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대응하는 일련이 돌기부(311)이 돌출되고 홈(310)에 고정된다. 돌기(311)이 홈(310)에 삽입되면, 접촉자(350)간의 실효 에어갭(airgap)이 증가하므로, 파괴 전압이 높아진다.
제10도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비임 콘넥터(350)를 둘러싸는 기다란 홈(304)와 (308)은 와이어의 절연체와 도체를 접촉될 때 반대편의 기다란 홈으로 된 비임이 개방되도록 (312)로 표시된 빈틈을 제공한다.
[콘넥터의 조립 및 용법]
제1도는 12-쌍의 스프라이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콘넥터의 양호한 실시예이다.
도체그룹(11)의 (12)가닥 팁 도체 세트의 하단부를 구성한다. 도체는 다음에 설명한 맨드릴(100)과 같은 두맨드릴 상에서 전개된다. 맨드릴 돌기부(105)의 특정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 색깔 및 다른 수단이 사용된다. 각각의 맨드릴 상에서 도체 그룹(11)과 (13)의 배체는 기계에 의해서 될 수도 있고 수동으로 될 수도 있다.
이 두 경우에, 각 가닥의 와이어는 맨드릴(100)의 한 측면상에서 통로(101)을 통해 돌기부(105)와(106)사이를 관통한 후 와이어 안내홈(103)을 통해, 맨드릴(100)의 다른 측면상에서 대응 통로를 통해 돌기부(107)과 (108)사이에 고정된다.
비슷한 형태로, 와이어 그룹(12)의 팁 도전체와 와이어 그룹(14)의 링도전체는 두 맨드릴상에 각각 조립된다. 스프라이스형에 대해 설명하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맨드릴 상에 있는(120)으로 표시된 지점에서의 와이어를 절단한다.
와이어를 맨드릴상에 장착한 후에, 후부를 맨드릴 홀더(200)의 입구(220)에 삽입한다. 각 맨드릴(100)의 런너(118)은 경사진 홈(208) 상에 계합되고 슬라이드 된다. 각 맨드릴(100)을 삽입하면, 와이어 그룹의 12 가닥 와이어의 각각은 대응하는 접촉자 삽입구멍(217)의 두 중심에 그 맨드릴의 두측면에 위치한 각 와이어의 외형 효과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다.
맨드릴(100) 상에 장착된 인접한 와이어는 동일열내의 인접 삽입 밑에 배열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룹(11)의 홀수번와이어는 열(216)의 구멍(217)밑에 배열되고 그룹(11)짝수번 와이어는 열(215)의 구멍(217) 밑에 배열된다.
전술한 방법에 의해서 맨드릴의 제1쌍은 제1와이어 홀더(200)에 장착된다. 이때 맨드릴의 제2쌍은 제2와이어 홀더(200)에 장착된다. 이렇게 조립된 두 개의 조립체는 편의상 리셉터클로 칭하지만, 그 각각은 콘택트 모듈(300)에 용이하게 접속된다.
제1a도에는 접촉 모듈(300)의 한 측면상에 리셉터클(150)을 장착하는 것을 도시했다. 콘택트 타워(302)는 모듈(300)의 양측에 돌출되어 리셉터클(150)의 한쪽의 삽입구멍과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제1리셉터클(150)의 키이홀(218)은 콘택트 모듈(300)의 한 측면에 있는 키이(318)과 계합된다. 제9b도에 도시되고 모듈(300)의 상측에 있는 키이(318)에 대칭으로 있는 제2키이(318)은 제2리셉터클(150)의 키이 홀(218)과 계합한다. 이 배열은 각 콘택트(150)이 접촉 모듈(300)의 주어진 측면상에 한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 방향성은 열(213)과 같은 삽입구의 주어진 열이 콘택트 타워의 열(313)과만 확실하게 계합되게 한다. 구멍열(213)과 타워열의 배열에 의해서 맨드릴 홀더(200)을 콘택트모듈(300)의 한 측면에 또는 다른측면상에 장착할 것인지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해서, 모듈의 스냅 암(309)는 맨드릴 홀더(200)의 대응하는 스탭홀(209)에 계합하는 효과에 의해, 맨드릴 홀더(200)은 콘택트 모듈(300)에 확실히 장착된다. 방금 설명한 이 장착의 과정에서, 와이어 그룹(11-12)사이와 와이어 그룹(13-14) 사이에는 48개의 접속점이 생긴다. 리셉터클(150)과 모듈(300)을 함께 누르면 각 콘넥터(350)의 나이프에지(knife edge)(353)은 우선 도체(10)의 절연체와 접촉한다. 대개 플라스틱으로된 절연체는 하중을 받으면서 서서히 관통되어 비임(351)과 (352)로 변형된다. 이때 예리한 내부의 나이프 에지(353)은 각 와이어의 금속부와 압력 접촉한다. 이 다음에, 각 콘넥터(350)은 폭 감소부분(112)상의 점에서 그의 연결된 와이어의 중심상에 위치한다. 비임단부(351)과 (352)뿐만 아니라 각 접촉자(350)을 수용하는 돌기부(303)은 (116)으로 신장된다. 기다란 홈 비임 접촉자(350)은 지그재그 배열을 하고 있기 때문에, 두 인접벽(116)은 한개의 접촉자(350)과 이에 연관하는 돌기부 313을 수용한다.
맨드릴(100)을 홀더(150)에 삽입한 두개의 리셉터클을 콘택트 모듈(300)에 조립한 후,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그룹(11-14)을 정리하는 것이 유익하다. 와이어는 조립체의 폭을 넘어 확장되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조립체는 콤팩트하게 된다. 또한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리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 그룹(11) 내지 (14)왜 곡이 완화되어, 더욱이 와이어간의 전기적접속이 보호된다.
전술한 예에서, 접속될 모든 팁 도체는 콘넥터의 한측에 제공되고 모든 링 도체는 반대측에 제공된다. 그러나, 콘넥터의 한 측면을 따라 팁 및 링 콘넥터 접속을 바꾸어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개념은 제1a도에 도시되어 있다.
콘센트의 일열내의 인접한 접촉자 삽입구멍(217) 밑에 있는 와이어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별한 장치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룹(11)의 모든 다른 와이어의 접속은, 바아(bar)(182)에 의해 전원 접속되고 박스(183)과 박스상부(184)로된 하우징내에 장착된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비임 콘넥터(181)로 구성된 콘넥터(18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장치는 제5도에 도시한 기다란 홈 열(213-217)에 적합한 일조의 인-라인 콘넥터를 갖춘다.
두 인접 열내에 인접한 와이어는 제1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조의 홈으로된 비임(181)에 의해 접속된다. 이것들은 지그재그 배열로 비임(181)이 위치 설정되도록 만곡된 장치(182a)에 의해 접속된다. 이 접속형식(180a)를 완전히 확장하면, 예로서 그룹(11)의 모든 와이어를 접속하는 것이 된다.
제13a, 13b 및 13c도는 단일 와이어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맨드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을 도시한다. (170)으로 표시된 이 맨드릴은 제1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와이어 파지기(171)간의 틈뿐 만 아니라 와이어 지지 통로(171)의 높이도 가변적이다. 이 구조에 의해, 다른 직경의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으며 한, 편각와, 이어를 그의 지지 통로에 대한 중심에 배치할 수 있다. 맨드릴(170)가 암(174)를 홈(175)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 콘넥터를 서로에 접속된다.
제14a도에 도시된 부 맨드릴 홀더는 때때로 편리하게 와이어 설치를 가능케한다. (200a)로 표시된 홀더는 신장 암(230)을 포함하는 홀더(200a)를 제외하면 제5도 내지 8도에 도시된 홀더(200)과 비슷하다. (100)과 같은 맨드릴은 돌기부(119)가 외부 스냅홀더(206a)와 (207a)를 결합할때까지 통상 방법으로 홀더(200a)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맨드릴(100)의 와이어 안 내부재(103)은 홀더(200a)의 내부 공동 입구에 대단히 접근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10)은 맨드릴이 부하를 받게 될 때까지 각각의 와이어 안내부(103)을 통하여 제공되어, 와이어(10)은 직선이나 수직으로 된다. 그 다음, 각각의 맨드릴(100)은 최초의 설명과 같이 돌기부(119)가 내부 갭 구멍(206)과 (207)을 감합할때까지 홀더 공동에 압입된다. 이 동작에서, 와이어는 제2c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이들 각각의 맨드릴 주위에 자연히 형성된다.
(150)과 같은 리셉터클을 사용하지 않고, 콘택트 모듈(300)에 와이어(10)을 직접 삽입하는 것이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다. 주요부품은 중앙 리브(rib)(332)의 양측에 여러개의 평행와이어 안내부(331)을 갖고 있는 블록(330)이다. 홈(333)을 포함하는 안내부(331)은 접촉모듈(300)의 홈 형성 비임 콘넥터(350)과 동일하게 평행으로 놓인다. 와이어는 안내부(331)과 홈형성 비임 콘넥터 (350)에 삽입된다. 이때, 와이어 단부는 엔빌(anvil) 표면(334)를 사용하는 나이프 에지도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또는 정형된다.
상기에 설명한 모든 비금속 부품은 강도가 높고 산출특성이 좋은 폴리카아보네이트를 사용하는 종래의 성형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제1a도 및 여기에 도시된 조립체에 대한 장착구조의 대부분은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콘택트 모듈과 맨드릴 홀더의 플랜지 돌기부(360)의 잇점을 이용하여 고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넥터 구조는 필요한 둘 이상의 와이어가 충분히 상호 접속하게 한다. 예를 들면, 수직 방향의 접속방식은 제2b,2c 및 2d도에 도시되어 있고, 수평방향의 접속 방식은 제12도와 제12a도와 도시한 금속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량의 와이어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2방식을 선택적으로 병행하여 행한다. 제12a도의 금속구를 응용하여, 제2b도, 제2c도 및 제2d도에 도시한 콘넥터 조립체를 대칭형으로 분리하는 중심평면의 양측에 신장된 2 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공통으로 접속하는 것이 용이하다.
부품을 조립하는데 어떠한 금속금구도 필요치 않다. 또한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완전한 접속조립체의외부 표면 있는 구멍을 통하여 완전히 조립된 접속조립체를 시험하기 위한 와이어에 쉽게 접근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와이어"란 용어는 절연 및 비절연된 도체를 의미한다. 설명의 예가 전화 분야에 사용 된다면, 와이어를 절연되도록 조립된다. 그러나, 상술한 콘넥터는 절연된 도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전화산입에 한해서만 한정하였다. 이것의 상업용 전자기기, 백플레인 배선 자동차 배선 및 가정용 전기배선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저1그룹의 한가닥 이상의 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인덱싱 수단과: 제2그룹의 한가닥 이상의 도체를 수용하여 상기 제2그룹의 제각기의 도체를 접촉자에 의해 상기 제1그룹의 제각기의 도체에 접속하는 상기 인덱싱 수단에 접속가능한 콘넥터 블록과를 포함하는 전기적 와이어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인덱싱 수단이 와이어 맨드릴(100)으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와이어 수용면과 와이어 안내홈을 포함하는 점과; 제1 및 제2 표면을 가져 이들 사이에 맨드릴을 수용할 수 있는 단부개방 내부 공동(220)이 형성되는 맨드릴 홀더(200)로써 적어도 두개의 콘넥터 블록이 구성되는 점과; 맨드릴 홀더(200)의 악세스 홀(217)과 정합될 수 있도록 위치 설정하고, 상기 제각기의 악세스 홀내에 접촉자(350)가 수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콘택트 모듈(300)이 한쌍의 맨드릴 홀더(200) 사이에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와이어 콘넥터.
KR7800182A 1978-01-24 1978-01-24 전기적 와이어 콘넥터 KR820001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182A KR820001330B1 (ko) 1978-01-24 1978-01-24 전기적 와이어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182A KR820001330B1 (ko) 1978-01-24 1978-01-24 전기적 와이어 콘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330B1 true KR820001330B1 (ko) 1982-07-23

Family

ID=1920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182A KR820001330B1 (ko) 1978-01-24 1978-01-24 전기적 와이어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33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7832B2 (ko)
JP3195348B2 (ja) 遠距離通信システム用改良交差接続システム
KR910007667B1 (ko) 통신용 케이블접속장치
US4162815A (en) Means for cable section and equipment transfer without service interruption
US6592395B2 (en) In-line cable connector assembly
EP0778637B1 (en) Connector unit
CA1085013A (en) Electrical conductor terminating system
KR940010424A (ko) 고집속형 케이블 커넥터
CN1068683A (zh) 电线连接块装置
US4066320A (en) Electrical conductor terminating system
JPS6130390B2 (ko)
US4221445A (en) Cross connect distribution system and apparatus
WO2004062038A9 (en) Plug and block connector system for differential contact pairs
CA1183919A (en) Multiple electrical connector block with wire wrap pin
JPH0349237B2 (ko)
US4208083A (en)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or
US4159159A (en) Terminal module with dual binding post terminals
SU1438634A3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 колодка
US4212507A (en) Selective interconnection system and connector
KR820001330B1 (ko) 전기적 와이어 콘넥터
US5227581A (en) Housing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H0550108B2 (ko)
US4904210A (en)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US6319024B1 (en) Strain relief mechanism for a plug-in protector panel
CA1284832C (en) Telecommunications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