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231B1 - 브라인드 리벳트 체결기 - Google Patents

브라인드 리벳트 체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231B1
KR820001231B1 KR7900799A KR790000799A KR820001231B1 KR 820001231 B1 KR820001231 B1 KR 820001231B1 KR 7900799 A KR7900799 A KR 7900799A KR 790000799 A KR790000799 A KR 790000799A KR 820001231 B1 KR820001231 B1 KR 820001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t
chuck
protruding
sliding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보루 야마사카
Original Assignee
혼다 시게부미
뽑쁘 리벳트 화스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시게부미, 뽑쁘 리벳트 화스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시게부미
Priority to KR7900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0Particular elements, e.g. supports; Suspension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riveters
    • B21J15/32Devices for inserting or holding rivets in position with or without fee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라인드 리벳트 체결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브라인드 리벳트 체결기의 측면도.
제2도는 1부를 파단하여 내부 기구를 표시한 제1도와 동일도면.
제3도는 제1,2도에 표시한 장치의 동작중 자세를 표시한 도면.
제4도는 리벳트를 노오즈피스에 장진직전의 상태를 표시한 도면.
본 발명은 본 체에서 축선방향 상방으로 돌출한 맨드렐를 갖는 브라인드 리벳트 체결기에 관한 것이며, 다시말해, 자동리벳트 장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브라인드 리벳트 체결기는 보통 그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하우징의 선단에 마련된 돌출편의 구멍에 브라인드 리벳트의 맨드렐를 삽입하여, 이 맨드렐를 돌출하우징 내에 설치한 파지장치에 의하여 파지하고 이를 후방으로 강제적으로 잡아당기므로서 리벳트가 체결되게 되어 있다. 돌출편에 리벳트를 자동적으로 장진하게 되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자동 리벳트 장진장치는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으며, 예를들어 특개소 52-79379호 공보에 이와 같은 장치가 공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돌출하우징위에 길이방향으로만 접동(摺動)가능한 척이 장치되어 있어 척지지체가 척 본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척 지지체는 장치본체에 부착되어 있는에어 시린더장치에 의하여 앞뒤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척 본체는 그 선단에 척 찝게를 가졌으며, 척 지지체가 최후방위치에 위치할 때, 본체에 부착된 리벳트 공급관의 배출단과 척 본체의 후단이 정합(整合)하여 공기압력에 의하여 리벳트를 척찝게까지 압송하고, 여기서 억압찝게에 의하여 리벳트를 파지한다. 그 후, 에어시린더에 의하여 척지지체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최전방위치에 이르러 척 본체가 에어 시린더에 의하여 레버를 통하여 아래로 요동되며, 척을 돌출편과 정합시킨 후 약간 척 지지체를 후퇴시켜서 리벳트의 맨드렐를 돌출편의 구멍에 삽입한다.
이 특개소 52-79379호의 구조에서는, 척본체가 1본의 곧은 파이프형상으로 되어있고 척 지지체에 대하여 회전운동만을 행하도록 피버트되어 있음으로 이것이 돌출편 전방에서 아래로 요동 했을 때, 척찝게의 리벳트 수납공이 돌출편의 구멍과 정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척본체의 공급공과 척찝게의 리벳트 수납공 사이에 각도를 갖게 된다. 이는 리벳트가 확실하게 척에 도달하는데 장해가 되기 쉬우며, 공기압력이 낮아졌을 때에는 리벳트가 곡부(曲部)에 걸릴 우려가 있다. 또한, 리벳트가 국부 경로를 지나 척에 도달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척의 수납공은 리벳트 본체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있다. 이같은 이유로 억압찝게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 억압찝게는 리벳트공급시, 장해가 될 뿐만 아리라 리벳트를 그보다 대경인 수납공에 안정하게 수납하는데 충분히 못하다. 또한 리벳트 수납공과 척 본체의 하방 요동에 의하여 리벳트 수납공을 돌출편공과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미묘한 조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목적은 리벳트를 확실하게 척에 파지시킴과 동시에 확실하고 용이하게 리벳트를 돌출편에 장진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리벳트 장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2도를 참조하면 브라인드리벳트 체결기는 방아쇠(1)를 구비한 본체(2)와, 그 본체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하우징(3)을 포함한다. 돌출하우징(3)내에는 이 분야에서는 잘 알려져 있는 파지장치(4)가 장착되어 있으며 돌출하우징(3)의 선단에 설치한 돌출편(5)의 관통공(6)에 삽입된 리벳트의 맨드렐(25A)를 후방으로 잡아당겨 리벳팅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잘 아는 바와 같이 방아쇠(1)을 당기므로서 개시된다. 이 구조는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음으로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돌출하우징(3)의 외주에는 접동자(7)가 접동(摺動)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접동자(7)는 키이(8)에 의하여 돌출하우징(3)의 길이방향으로 만 접동하며, 외주 주위로는 회전하지 않는다. 접동자(7)에는 위로 돌출한 부분(9)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 핀(10)에의해 아암(11)의 일단이 피버트되어 있다. 핀(10)의 주위에는 코일스프링(12)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일단이 아암(11)과 접합하고, 타단이 접동자(7)에 접합되며 아암(11)을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억암하고 있다.
아암(11)의 피버트점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접동자(7)에는 다른 아암부재(13)의 일단이 핀(14)에 의하여 피버트되어 있다. 이 아암부재(13)는 두본의 아암(15)으로 구성되며 이들 아암은 접동자(7)를 사이에 끼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아암(11)과도 평행하게 접동자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아암(11) 및 아암부재(13)는, 최초의 피버트점과 같은 간격으로 타단을 각각 핀(16), (17)에 의하여 척홀더(18)에 피버트 하게 된다.
그러므로, 아암, 접동자 및 척홀더에 의하여 평행 크랭크 기구(20)가 구성된다. 이 평행 크랭크 기구는 척홀더(18)를 도시된 수직자세의 상태로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척홀더(18)는 척부재(21)를 지지하고 있으며, 이 척부재는 두 개의 대칭적인 L자형상의 부분(22)으로 구성되며, 이들 L자형 부분은 압축코일스프링(23)에 의하여 서로 마주보고 탄력적으로 억압되어 있다. L자형 부분(22)의 하부는 리벳트(24) 본체부(25)를 수령하는 전방공(26)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멍의 후방으로 이어 서서히 확대된 후방공(27)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후방공(27)의 하방 후단에는 절결부(切缺部)(28)가 마련되어 있다.
척홀더(21)의 전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완충부재(29)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완충부재는 접동자(7)가 최후방 위치에 위치할 때 돌출하우징(3)의 표면과 접합하여 평행크래으 기구(20)를 제1, 제2도에 표시한상 방요동위치에 스프링(12)힘에 저항하여 보전하게 된다.
돌출하우징(3)의 축선, 즉 돌출편(5)의 관통공(6)의 축선과 평행인 길이방향축선에 따라 본체(2)의 상부에 리벳트 공급관(30)이 고정되어 있고 이 리벳트 공급관(30)의 배출단(31)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평행크랭크기구(20) 및 접동자(7)가 제1,2도에 표시한 위치에 위치할 때 척(21)의 후방공(27)이 상기 배출단(31)을 덮는 모양으로 접합된다. 리벳트 공급관(30)은, 이 분야에서는 잘 알려져 있는 리벳트 공급기구에 후단이 접속되어 있으며, 따라서 주지의 요령으로 브라인드 리벳트(24)가 맨드렐(25A)를 후방으로 위치 시키면서 공기압력에 의하여 리벳트 공급관(30)내를 이동하며는, 척(21)은 리벳트 파지고(27)이 리벳트 공급관(30)의 배출관(31)과 정합되어 있으므로 리벳트는 그대로 확실하고 용이하게 척(21)의 리벳트 수령공(26)의 스프링(23)의 힘에 항거하면서 뛰어 들고, 탄력적으로 파지된다.
본체(2)의 측면에는 에어시린더(34)가 부착되어 있어, 그 롯드(35)의 끝이 접동자(7)에 L자형 레버(36)을 통하여 연결된다. 레버(36)는 중앙이 핀(14)에 의하여 3(7)에 피버트되어 있으며, 그 전단에 횡방향의 지지핀(37)(제1도)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지지핀(37)은 아암부재(13)의 하방과 접합하도록 되어 있다. 레버(36)의 후단(38)은 에서시린더(34)의 혹드(35)에 연결되어 있으며, 두 개의 정지구(40),(41)의 사이에 위치한다. 에어시린더(34)가 롯드를 땅기도록 동작하며는, 에버(36)가 먼저 회전하여 정지구(40)와 접합하며 다시 동작을 계속하려는, 접동자(7)를 돌출하우징(3)위에서 전방으로 접동시키도록 되어있다. 접동자(7)의 전방이동시 레버(36)의 지지핀(37)이 평행 크랭크 기구(20)를 제1,2도에 표시한 위치에 계속보전되는 것은 이미 알것이다.
이상태에서 접동자(7)가 전방으로 계속 이동하여 그 최전방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표시한 것이 제3도이다. 척(21)은 리벳트 공급관(30)의 배출단(31)과 정합한 상태로 돌출편(5)의 정방에 위치한다.
제3도의 상태에서 에어시린더(34)의 롯드를 후방으로 끌어 되돌리며 평행크랭크 기구(20)가 스프링(12) 작용에 의해 하방으로 요동한다. 평행크랭크 기구의 원리에 의하여, 척홀더(18)는 수직자세로 따라서 척(21)의 리벳트 수령공(26)이 돌출편(5)의 관통공(6)과 평행이 된 상태로 돌출편(5)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레버(36)과 지지핀(37)을 통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그 후단이 정지구(41)와 접합한다. 이때, 제4도에 표시한 것 같이 척(21)의 리벳트 수령공이 돌출편(5)의 관통공(6)과 정합한다. 그 이유는, 리벳트 공급관(30)의 축선이 돌출편(5)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인 까닭이다. 이로서 평행 크랭크 기구(20)의 동작은 단순하므로 정지구(40),(41)의 위치 조정은 간단하며 또한 용이하고, 척(21)의 리벳트 공급관(30)과 돌출편(5)과의 정합이 용이하게 행하여진다.
그후, 에어시린더(34) 롯드(35)를 인입 작동시키며는 접동자(7), 따라서 척(21)이 후퇴하여 리벳트(24)의 맨드렐(25A)가 돌출편(5)의 관통공(6)내에 들어가 맨드렐(25A)는 파지장치(4)에 의하여 물리게 되며 척(21)은 돌출편(5)과 접합한다. 다시 에어시린더(34)를 인입 방향으로 작동시키며는 리벳트(24)를 파지장치(4)에 인도하고 비어있는 척(21)의 절결부(切缺部)(28)로 인하여, 그대로 돌출편(5)을 통과하여, 돌출하우징(3)에 접합하면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접동자(7)가 다시 후퇴하며는, 마침내 척홀더(18)의 완충부재(29)가 돌출하우징(3)의 상부와 접합하여 평행크랭크 기구(20)는 제1,2도에 표시한 위치로 스프링(12)의 억압력과 에어시린더내의 공기압력에 저항하면서 되돌려 간다. 그리고, 척(21)이 리벳트 공급관(30)의 배출단(31)과 접합하여 다음 리벳트를 받을 준비가 완료되게 된다. 접동자(7)의 후퇴시에 척홀더(18)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장치를 따로 마련하여도 좋다.
이상의 동작은 당업자이며는 용이하게 착상하는 시켄스회로를 방아쇠의 조작에 의하여 작동시킴으로서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인드 리벳트가 아무런 지장없이 척에 수용되어 확실하게 보전되고, 또한 확실하고 용이하게 돌출편에 수용되어 확실하게 보전되고, 또한 확실하고 용이하게 돌출편에 장진된다. 더우기 이 동작은 간단한 기구로서 행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장치의 본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하우징(3)과, 이 돌출하우징의 선단에 장착되어 브라인드 리벳트의 맨드렐을 받는 축선방향 관통공(6)을 갖는 돌출편과 돌출하우징 내에 장치된 파지장치(4)를 포함하는 브라인드 리벳트 체결기에 있어서, 상기 돌출하우징에 길이방향으로 접동되도록 장착된 접동자(7)와, 접동자상에 거리를 두고 각각의 일단이 피버트되어 접동자의 전방쪽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부재(11,13)와, 이 아암부재의 타단이 각각 거리를 둔 두점에 피버트되어 슬라이더와 함께 크랭크기구를 구성하는 척홀더(18)와, 돌출하우징(3)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리벳트 공급관(30)과, 척홀더(18)상에 장착되며 리벳트를 탄력적으로 파지하도록 되어 있는 척부재(21)와, 접동자에 연결된 롯드(35)가 있으며 접동자를 돌출하우징상에서 접동시키는 에어시린더 장치(34)와, 척부재의 리벳트 수공을 리벳트공급관의 배출단(31)의 접합시킬 수 있고 척홀더상에 마련된 완충부재(29)와, 상기 접동자상에 마련된 레버장치(36)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리벳트 체결기.
KR7900799A 1979-03-16 1979-03-16 브라인드 리벳트 체결기 KR820001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799A KR820001231B1 (ko) 1979-03-16 1979-03-16 브라인드 리벳트 체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799A KR820001231B1 (ko) 1979-03-16 1979-03-16 브라인드 리벳트 체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231B1 true KR820001231B1 (ko) 1982-07-07

Family

ID=1921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799A KR820001231B1 (ko) 1979-03-16 1979-03-16 브라인드 리벳트 체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23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5547A (en) Automatic rivet feed
CA1283635C (en) Apparatus for installing fasteners
US4351311A (en) Pulled bow arrow holder
US4674469A (en) Bow string release
US8407873B2 (en) System for loading collars onto bolts in large-scale manufacturing operations
US4804127A (en) Fastener driving gun
US4170980A (en) Archery bow arrow rest
US20030168053A1 (en) Paintball loader
KR102382907B1 (ko) 보우스트링 해제기
JP3606962B2 (ja) 打込み工具の固着具送り装置
US2493868A (en) Air gun rivet feed
US4014225A (en) Power-driven screwdriver
US11680767B2 (en) Multi-stroke lever action crossbow
RU2005101632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безопасная игла-бабочка
US6941627B2 (en) Adaptable fastener installation tool
GB2264255A (en) Fastener applying and collar swaging apparatus
US4074843A (en) Fastening element feeding device for an explosive powder driven setting gun
KR820001231B1 (ko) 브라인드 리벳트 체결기
US3312810A (en) Automatic stud feeder
US4506536A (en) Jaw assembly for blind riveting
US4220033A (en) Blind riveting tool
US3548627A (en) Riveting tools
US6732725B2 (en) Fire out canister launcher
US4247137A (en) Solder feeder apparatus
US3005566A (en) Tool for installing hollow rivets